KR20060047298A - 색상 감지기 및 집적 회로 칩 - Google Patents

색상 감지기 및 집적 회로 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7298A
KR20060047298A KR1020050032948A KR20050032948A KR20060047298A KR 20060047298 A KR20060047298 A KR 20060047298A KR 1020050032948 A KR1020050032948 A KR 1020050032948A KR 20050032948 A KR20050032948 A KR 20050032948A KR 20060047298 A KR20060047298 A KR 20060047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in selection
amplifier
gain
color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1710B1 (ko
Inventor
분 킷 탄
치 문 호
Original Assignee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 인크. filed Critical 애질런트 테크놀로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60047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28Investigating the spectrum
    • G01J3/2803Investigating the spectrum using photoelectric array detect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28Vertical-lift gates with slid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01J1/46Electric circuits using a capaci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0256Compact construction
    • G01J3/0259Monolith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01J3/50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01J3/50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3/51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using colour filters
    • G01J3/513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using colour filters having fixed filter-detector pai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pectrometry And Color Measurement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Amplifier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색상 감지기는 단일의 집적 회로 칩 상에 구현된다. 색상 감지기는 복수의 색상 감지기 회로 및 이득 선택 제어를 포함한다. 복수의 색상 감지기 회로 내의 각각의 색상 감지기 회로는 광 검출기, 증폭기 및 이득 선택 회로를 포함한다. 증폭기는 광 검출기에 접속된다. 증폭기는 광 검출기로부터의 신호를 증폭한다. 이득 선택 회로는 증폭기에 접속된다. 이득 선택에 의해 증폭기의 이득이 제어된다. 이득 선택 회로는 가변 피드백 저항을 포함한다. 이득 선택 제어는 각각의 색상 감지기 회로마다 구별되는 가변 피드백 저항의 값을 선택한다.

Description

색상 감지기 및 집적 회로 칩{COLOR SENSOR CIRCUIT WITH INTEGRATED PROGRAMMABLE GAIN SEL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상 감지기 회로의 간략화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득 선택 회로의 간략화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 전압 대 조도(output swing verse illuminance)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상 감지기 회로의 간략화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상 감지기 회로의 간략화된 블록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칩 11: 그라운드 신호
14, 24, 34 : 광 다이오드 및 필터 16, 26, 36 : 보상 캐패시턴스
17 : 피드백 저항 18 : 출력
19 : 라인 23 : 연산 증폭기
본 발명은 광의 검출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가능한 이득 선택 기능이 합체된 색상 감지기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색상 감지기 회로는 세가지 색상을 검출한다. 세가지 색상은 통상 적색, 청색 및 녹색이다. 색상 감지기의 각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세 개의 별도의 구성요소가 사용된다. 제 1 구성요소는 색상의 조도(illuminance)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광 다이오드 및 필터를 포함한다. 제 2 구성요소는 TIA(transimpedance amplifier)로서 작용하는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이다. 제 3 구성요소는 피드백 저항기이다. 통상, 각각의 색상을 위한 세가지 구성요소는 PCB(printed circuit board) 상에 탑재된다.
통상, 광 다이오드는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데, 이러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은 고 광 전류(photocurrent)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하다. 고 광 전류는 잡음에 덜 민감한 감지기 회로를 제조하는데 필요하다. 이에 따라, 피드백 저항기의 값도 큰 값이 사용된다. 외부 저항기의 값은, TIA를 위해 필요한 적절한 이득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필요한 피드백 저항 및 피드백 캐패시턴스는 시스템마다 달라서, 이로 인해, 종래의 기술에서는 광 다이오드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구성요소 상에 피드백 저항을 구현하는 것이 필요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일의 집적 회로 칩 상에 색상 감지기가 구현된다. 색상 감지기는 복수의 색상 감지기 회로 및 이득 선택 제어를 포함한다. 복수의 색상 감지기 회로 내의 각각의 색상 감지기 회로는 광 검출기, 증폭기 및 이득 선택 회로를 포함한다. 증폭기는 광 검출기에 접속된다. 증폭기는 광 검출기로부터의 신호를 증폭한다. 이득 선택 회로는 증폭기에 접속된다. 이득 선택에 의해 증폭기의 이득이 제어된다. 이득 선택 회로는 가변 피드백 저항을 포함한다. 이득 선택 제어는 각 색상 감지기 회로마다 가변 피드백 저항의 구별되는 값을 선택한다.
도 1은 단일의 집적 회로(IC) 칩(10) 상에 구현되는 색상 감지기 회로를 도시한다. 제 1 색상 회로는 출력(18) 상에 제 1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제 1 출력 전압은 제 1 색상의 검출된 조도(illuminance)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 1 색상은 적색이다. 광 다이오드 및 필터(14)는 제 1 색상의 조도를 검출한다. 광 다이오드 및 필터(14)는 그라운드 신호(11)와 라인(19) 사이에 연결된다.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13)는 라인(19) 상의 전압을 증폭하여 출력(18) 상에 제 1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이득은 이득 선택 회로(15)에 의해 제어된다. 이득 선택 회로(15)는 피드백 저항(17) 및 보상 캐패시턴스(16)를 포함한다. 연산 증폭기(13)는 도시한 바와 같이 그라운드 신호(11) 및 Vcc 신호(12)에 연결된다.
제 2 색상 회로는 출력(28) 상에 제 2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제 2 출력 전압은 제 2 색상의 검출된 조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 2 색상은 녹색이다. 광 다이오드 및 필터(24)는 제 2 색상의 조도를 검출한다. 광 다이오드 및 필터(24)는 그라운드 신호(11)와 라인(29) 사이에 연결된다. 연산 증폭기(23)는 라인(29) 상의 전압을 증폭하여 출력(28) 상에 제 2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이득은, 이득 선택 회로(25)에 의해 제어된다. 이득 선택 회로(25)는 피드백 저항(27) 및 보상 캐패시턴스(26)를 포함한다. 연산 증폭기(23)는 도시한 바와 같이, 그라운드 신호(11) 및 Vcc 신호(12)에 연결된다.
제 3 색상 회로는 출력(38) 상에 제 3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제 3 출력 전압은 제 3 색상의 검출된 조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 3 색상은 청색이다. 광 다이오드 및 필터(34)는 제 3 색상의 조도를 검출한다. 광 다이오드 및 필터(34)는 그라운드 신호(11)와 라인(39) 사이에 연결된다. 연산 증폭기(33)는 라인(39) 상의 전압을 증폭하여 출력(38) 상에 제 3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이득은, 이득 선택 회로(35)에 의해 제어된다. 이득 선택 회로(35)는 피드백 저항(37) 및 보상 캐패시턴스(36)를 포함한다. 연산 증폭기(33)는 도시한 바와 같이, 그라운드 신호(11) 및 Vcc 신호(12)에 연결된다.
이득 선택 제어 회로(39)는 피드백 저항(17), 보상 캐패시턴스(16), 피드백 저항(27), 보상 캐패시턴스(26), 피드백 저항(37) 및 보상 캐패시턴스(36)를 위해 선택되는 값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색상을 위한 이득 선택은 나머지 색상을 위한 이득 선택에 대해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이로써, 저항의 개별적인 저항 의 선택에 의해 각 색상에 대한 출력 전압의 전압이 최적화될 수 있다. 각 색상에 대한 출력 전압의 분해능(정밀도)은 이득 선택을 위해 사용되는 비트의 개수를 근거로 한다. 비트 개수가 많이 사용되면, 분해능이 보다 우수해질 수 있다.
도 2는 이득 선택 회로(15)의 예시적인 구현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피드백 저항(17)은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되어 있는 저항기(51), 저항기(52), 저항기(53), 저항기(54), 스위치(55), 스위치(56), 스위치(57) 및 스위치(58)에 의해 구현된다. (도 1에 도시한) 보상 캐패시턴스(16)는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되어 있는 캐패시터(61), 캐패시터(62), 캐패시터(63), 캐패시터(64), 스위치(66), 스위치(67) 및 스위치(68)에 의해 구현된다.
이득 선택 회로(15)의 본 구현예에서, 이득은 2개의 비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2개의 비트에 의해 피드백 저항(17)의 4개의 서로 다른 값 및 보상 캐패시턴스(16)의 네 개의 서로 다른 값의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스위치(SW)(55 내지 58)를 이용하여 피드백 저항(17)의 서로 다른 값이 선택된다. 예를 들어, 저항의 네 개의 서로 다른 값은 R0(저항기(51) + 저항기(52) + 저항기(53) + 저항기(54)), R1(저항기(52) + 저항기(53) + 저항기(54)), R2(저항기(53) + 저항기(54)), 및 R3(저항기(54))로 라벨링된다.
스위치(SW)(66 내지 68)를 이용하여 보상 캐패시턴스(16)의 서로 다른 값이 선택된다. 보상 캐패시턴스는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피드백 저항에 의해 제어되는) 이득이 변하면, 이로써, 시스템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 는 주파수 응답이 변하게 된다. 각각의 이득 선택 옵션에 있어서, 대응하는 보상 캐패시턴스가 시스템 폴 위치를 시프트해서, 안정된 응답을 위한 충분한 이득 및 위상 마진을 유지한다. 캐패시터(61), 캐패시터(62), 캐패시터(63), 캐패시터(64)의 값은, 시스템 안정성이 유지되도록 선택된다.
아래의 표 1은 각각의 가능한 선택 비트 조합(00, 01, 10, 11)을 위한 스위치의 상태를 제공한다.
Figure 112005020638503-PAT00001
저항기(51 내지 54)를 위해 선택되는 값은 회로 특성 및 감지 시스템의 원하는 정밀도(α)를 기초로 한다. 예를 들어, 60%의 정밀도(즉, α=60%)란, 선택되는 최대 조도가 정의된 범위인 경우, 0 내지 선택되는 최대 조도까지의 어떤 선택 범위가, 전체 전압 범위(즉, 0 볼트 내지 Vcc)의 적어도 60%를 이용하는 것을 보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80%의 정밀도(즉, α=80%)란, 선택되는 최대 조도가 정의된 범위인 경우, 0 내지 선택되는 최대 조도까지의 어떤 선택 범위가 전체 전압 범위(즉, 0 볼트 내지 Vcc)의 적어도 80%를 이용하는 것을 보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00 메가 옴(㏁)의 최대 선택 저항(R0)에 의해 최대 100.0 럭스(lux)의 조도가 생기는 경우에 있어서, 아래의 표 2에서는 정밀도(α)가 60%인 경우에, 필요한 저항(R0, R1, R2, R3) 및 그 결과로 생기는 조도(M0, M1, M2, M3)를 설정하고 있다.
Figure 112005020638503-PAT00002
표 2로부터 추론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음 관계 :
Figure 112005020638503-PAT00003
가 성립한다.
예를 들어, 100 메가 옴(㏁)의 최대 선택 저항(R0)에 의해 최대 100.0 럭스(lux)의 조도가 생기는 경우에 있어서, 아래의 표 3에서는 정밀도(α)가 80%인 경우에, 필요한 저항(R0, R1, R2, R3) 및 그 결과로 생기는 조도(M0, M1, M2, M3)를 설정하고 있다.
Figure 112005020638503-PAT00004
표 3으로부터 추론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음 관계 :
Figure 112005020638503-PAT00005
가 성립한다.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밀도가 높을수록(α가 증가되면), 조도 범위는 감소하고 저항값은 높아진다. 정밀도(α)가 증가해도 동일한 조도 범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선택 비트를 추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3은 100 메가 옴(㏁)의 최대 선택 저항(R0)에 의해 최대 100.0 럭스(lux)의 조도가 생기고, 정밀도(α)가 60%인 경우에 출력 전압 대 조도(output swing verses illuminance)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축(71)은 광 다이오드 및 필터(14)(도 1에 도시)에 의해 검출되는 조도(럭스)를 나타낸다. 축(72)은 출력(18)(도 1에 도시) 상의 제 1 출력 전압을 나타낸다.
트레이스(73)는 선택 스위치(55 내지 58)(도 2에 도시)가 R0(저항기(51) + 저항기(52) + 저항기(53) + 저항기(54))를 선택하는 경우의 응답을 나타낸다. 트레이스(74)는 선택 스위치(55 내지 58)(도 2에 도시)가 R1(저항기(52) + 저항기(53) + 저항기(54))를 선택하는 경우의 응답을 나타낸다. 트레이스(75)는 선택 스위치(55 내지 58)(도 2에 도시)가 R2(저항기(53) + 저항기(54))를 선택하는 경우의 응답을 나타낸다. 트레이스(76)는 선택 스위치(55 내지 58)(도 2에 도시)가 R3(저항기(54))를 선택하는 경우의 응답을 나타낸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60 럭스 내지 463 럭스까지로 정의된 범위 내에서 선택되는 최대 조도에 있어서, 0 내지 선택된 최대 조도까지의 선택 범위는 전체 전압 범위의 적어도 60%를 이용하도록 보장한다. 필요한 것은 정확한 저항값을 선택하기 위해 선택 비트를 이용하는 것일 뿐이다.
예를 들어, 선택된 최대 조도가 120 럭스라고 하자. 이런 경우에, 선택되는 저항은 R1이고, 그 결과로 생기는 응답은 트레이스(74)로 표시된다. 도 3에 도시한 그래프 상에서 라벨링된 점(77)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0 내지 215 럭스까지의 선택된 범위는 전체 전압 범위의 71.9%를 이용한다.
여러가지 실시예에 따라, 채널의 개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는 단일의 집적 회로(IC) 칩(110) 상에 구현되는 색상 감지기 회로를 도시한다. 제 1 색상 회로는 출력(118) 상에 제 1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제 1 출력 전압은 제 1 색상의 검출된 조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 1 색상은 적색이다. 광 다이오드 및 필터(114)는 제 1 색상의 조도를 검출한다. 광 다이오드 및 필터(114)는 그라운드 신호(111)와 라인(119) 사이에 연결된다. 연산 증폭기(113)는 라인(119) 상의 전압을 증폭하여 출력(118) 상에 제 1 출력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이득은 이득 선택 회로(115)에 의해 제어된다. 연산 증폭기(113)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신호(111) 및 Vcc 신호(112)에 연결된다.
제 2 색상 회로는 출력(128) 상에 제 2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제 2 출력 전압은 제 2 색상의 검출된 조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 2 색상은 녹색이다. 광 다이오드 및 필터(124)는 제 2 색상의 조도를 검출한다. 광 다이오드 및 필터(124)는 그라운드 신호(111)와 라인(129) 사이에 연결된다. 연산 증폭기(123)는 라인(129) 상의 전압을 증폭하여 출력(128) 상에 제 2 출력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이득은 이득 선택 회로(125)에 의해 제어된다. 연산 증폭기(123)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신호(111) 및 Vcc 신호(112)에 연결된다.
제 3 색상 회로는 출력(138) 상에 제 3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제 3 출력 전압은 제 3 색상의 검출된 조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 3 색상은 청색이다. 광 다이오드 및 필터(134)는 제 3 색상의 조도를 검출한다. 광 다이오드 및 필터(134)는 그라운드 신호(111)와 라인(139) 사이에 연결된다. 연산 증폭기(133)는 라인(139) 상의 전압을 증폭하여 출력(138) 상에 제 3 출력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이득은 이득 선택 회로(135)에 의해 제어된다. 연산 증폭기(133)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신호(111) 및 Vcc 신호(112)에 연결된다.
제 4 색상 회로는 출력(148) 상에 제 4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제 4 출력 전압은 제 4 색상의 검출된 조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 4 색상은 백색이다. 광 다이오드 및 필터(144)는 제 4 색상의 조도를 검출한다. 광 다이오드 및 필터(144)는 그라운드 신호(111)와 라인(149) 사이에 연결된다. 연산 증폭기(143)는 라인(149) 상의 전압을 증폭하여 출력(148) 상에 제 4 출력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이득은 이득 선택 회로(145)에 의해 제어된다. 연산 증폭기(143)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신호(111) 및 Vcc 신호(112)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6 채널 시스템에서는, 6개의 색상 감지기 회로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6가지 색상은 적색, 청색, 녹색, 청녹색(cyan), 자홍색(magenta) 및 황색(yellow)이다. 이와 다르게, 다른 색상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4가 단일 단 증폭기를 이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당업자라면, 다단 증폭기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단일 단 또는 다단 증폭기를 위한 이득 선택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는 각각의 단을 위해 이득이 선택되는 다단 증폭기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색상 회로는 회로 출력(238) 상에 회로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광 다이오드 및 필터(214)는 제 1 색상의 조도를 검출한다. 광 다이오드 및 필터(214)는 그라운드 신호(211)와 라인(219) 사이에 연결된다. 연산 증폭기(213)는 라인(219) 상의 전압을 증폭하여 출력(218) 상에 중간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이득은, 이득 선택 회로(215)에 의해 제어된다. 연산 증폭기(213)는 도시한 바와 같이, 그라운드 신호(211) 및 Vcc 신호(212)에 연결된다.
연산 증폭기(223)는 라인(218) 상의 전압을 증폭하여 출력(228) 상에 중간 전압을 생성한다. 이득은 이득 선택 회로(225)에 의해 제어된다. 연산 증폭기(223)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신호(211) 및 Vcc 신호(212)에 연결된다. 연산 증폭기(233)는 라인(228) 상의 전압을 증폭하여 회로 출력(238) 상에 회로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이득은 이득 선택 회로(235)에 의해 제어된다. 연산 증폭기(233)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신호(211) 및 Vcc 신호(212)에 연결된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방법 및 실시예를 개시하고 기술한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개시는 예시적이며, 청구의 범위에 설정되어 있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색상 감지기를 단일의 집적 회로 칩 상에 구현할 수 있다.

Claims (20)

  1. 단일의 집적 회로 칩 상에 구현되는 색상 감지기로서,
    복수의 색상 감지기 회로와,
    이득 선택 제어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색상 감지기 회로 내의 각각의 색상 감지기 회로는
    광 검출기와,
    상기 광 검출기에 접속되는 증폭기 ― 상기 증폭기는 상기 광 검출기로부터의 신호를 증폭시킴 ― 와,
    상기 증폭기에 접속되는 이득 선택 회로 ― 상기 이득 선택은 상기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며, 상기 이득 선택 회로는 가변 피드백 저항을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이득 선택 제어는 각각의 상기 색상 감지기 회로를 위해 구별되는 가변 피드백 저항 값을 선택하는
    색상 감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색상 감지기 회로는 적색 색상 감지기 회로, 녹색 색상 감지기 회로 및 청색 색상 감지기 회로를 포함하는
    색상 감지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색상 감지기 회로는 적색 색상 감지기 회로, 녹색 색상 감지기 회로, 청색 색상 감지기 회로 및 백색 색상 감지기 회로를 포함하는
    색상 감지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색상 감지기 회로 내의 각각의 색상 감지기 회로에서,
    상기 가변 피드백 저항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저항기와,
    상기 복수의 저항기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이득 선택 제어는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가변 피드백 저항의 값을 선택하는
    색상 감지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선택 제어는, 각각의 상기 색상 감지기 회로에 있어서, 선택되는 최대 조도가 소정의 범위 내인 경우, 선택되는 최소 조도 내지 상기 선택되는 최대 조도까지의 어떤 선택되는 범위가, 전체 전압 범위의 적어도 사전 결정된 양을 이용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각각의 상기 색상 감지기 회로를 위해 상기 구별되는 가변 피드백 저항 값을 선택하는
    색상 감지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는 다단 증폭기(milti-stage amplifier)인
    색상 감지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는 다수의 단에서 구별되는 이득 선택을 갖는 다단 증폭기인
    색상 감지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선택 회로는 가변 보상 캐패시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득 선택 제어는 상기 가변 보상 캐패시턴스의 값을 선택하는
    색상 감지기.
  9. 집적 회로 칩으로서,
    광 검출기와,
    상기 광 검출기에 접속되는 증폭기 ― 상기 증폭기는 상기 광 검출기로부터의 신호를 증폭시킴 ― 와,
    상기 증폭기에 접속되는 이득 선택 회로 ― 상기 이득 선택은 상기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며, 상기 이득 선택 회로는 가변 피드백 저항 및 가변 보상 캐패시턴스를 포함함 ― 와,
    이득 선택 제어를 포함하되,
    상기 이득 선택 제어는 상기 가변 피드백 저항의 값 및 상기 가변 보상 캐패시턴스의 값을 선택하는
    집적 회로 칩.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 2 광 검출기와,
    상기 제 2 광 검출기에 접속되는 제 2 증폭기 ― 상기 제 2 증폭기는 상기 제 2 광 검출기로부터의 신호를 증폭시킴 ―와,
    상기 제 2 증폭기에 접속되는 제 2 이득 선택 회로 ― 상기 제 2 이득 선택 은 상기 제 2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며, 상기 제 2 이득 선택 회로는 제 2 가변 피드백 저항 및 제 2 가변 보상 캐패시턴스를 포함함 ―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득 선택 제어는 상기 제 2 가변 피드백 저항의 값 및 상기 제 2 가변 보상 캐패시턴스의 값을 선택하는
    집적 회로 칩.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 3 광 검출기와,
    상기 제 3 광 검출기에 접속되는 제 3 증폭기 ― 상기 제 3 증폭기는 상기 제 3 광 검출기로부터의 신호를 증폭시킴 ― 와,
    상기 제 3 증폭기에 접속되는 제 3 이득 선택 회로 ― 상기 제 3 이득 선택은 상기 제 3 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며, 상기 제 3 이득 선택 회로는 제 3 가변 피드백 저항 및 제 3 가변 보상 캐패시턴스를 포함함 ―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득 선택 제어는 상기 제 3 가변 피드백 저항의 값 및 상기 제 3 가변 보상 캐패시턴스의 값을 선택하는
    집적 회로 칩.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 검출기는 적색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광 검출기는 녹색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광 검출기는 청색 필터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칩.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피드백 저항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저항기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칩.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피드백 저항은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저항기와,
    상기 복수의 저항기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이득 선택 제어는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가변 피드백 저항의 값을 선택하는
    집적 회로 칩.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보상 캐패시턴스는
    제 2 복수의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캐패시터를 포함하되,
    상기 이득 선택 제어는 상기 제 2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가변 보상 캐패시턴스의 값을 선택하는
    집적 회로 칩.
  16. 광 검출기와,
    상기 광 검출기에 접속되는 다단 증폭기(milti-stage amplifier) ― 상기 증폭기는 상기 광 검출기로부터의 신호를 증폭시킴 ― 와,
    복수의 이득 선택 회로와,
    이득 선택 제어를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복수의 이득 선택 회로는 상기 다단 증폭기의 개개의 단에 연결되며, 각각의 상기 복수의 이득 선택 회로는 가변 피드백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이득 선택 제어는 각각의 상기 복수의 이득 선택 회로 내의 상기 가변 피드백 저항을 위해 구별되는 값을 선택하는
    집적 회로 칩.
  17. 제 1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가변 피드백 저항은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저항기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칩.
  18. 제 1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가변 피드백 저항은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저항기와,
    상기 복수의 저항기에 연결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이득 선택 제어는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가변 피드백 저항의 값을 선택하는
    집적 회로 칩.
  19. 제 1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복수의 이득 선택 회로는
    가변 보상 캐패시턴스를 포함하되,
    상기 이득 선택 제어는 각각의 상기 복수의 이득 선택 회로 내에서 상기 가변 보상 캐패시턴스를 위해 구별되는 값을 선택하는
    집적 회로 칩.
  20. 제 19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가변 보상 캐패시턴스는
    복수의 스위치에 연결되는 복수의 캐패시터를 포함하되,
    상기 이득 선택 제어는 상기 복수의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가변 보상 캐패시턴스의 값을 선택하는
    집적 회로 칩.
KR1020050032948A 2004-04-21 2005-04-21 색상 감지기 및 집적 회로 칩 KR1011317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28,707 US7349017B2 (en) 2004-04-21 2004-04-21 Color sensor circuit with integrated programmable gain selection
US10/828,707 2004-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298A true KR20060047298A (ko) 2006-05-18
KR101131710B1 KR101131710B1 (ko) 2012-04-03

Family

ID=35135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948A KR101131710B1 (ko) 2004-04-21 2005-04-21 색상 감지기 및 집적 회로 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49017B2 (ko)
JP (1) JP2005308747A (ko)
KR (1) KR101131710B1 (ko)
CN (1) CN1690674A (ko)
DE (1) DE102005006645A1 (ko)
TW (1) TWI3581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1024B2 (en) * 2001-03-13 2009-06-23 Marvell World Trade Ltd. Nested transimpedance amplifier
US7605649B2 (en) * 2001-03-13 2009-10-20 Marvell World Trade Ltd. Nested transimpedance amplifier
US7276965B1 (en) 2001-03-13 2007-10-02 Marvell International Ltd. Nested transimpedance amplifier
JP4345403B2 (ja) * 2003-08-21 2009-10-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読み取り装置
US7558014B1 (en) 2004-06-24 2009-07-07 Marvell International Ltd. Programmable high pass amplifier for perpendicular recording systems
US7443435B2 (en) * 2004-07-07 2008-10-28 Altasens, Inc. Column amplifier with automatic gain selection for CMOS image sensors
US7598987B2 (en) * 2005-11-29 2009-10-06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Flicker detection gain control circuit, digital imaging system, and method
JP2008175742A (ja) * 2007-01-19 2008-07-31 Omron Corp 光電センサ
KR101511128B1 (ko) * 2008-11-17 2015-04-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FR2941305B1 (fr) * 2009-01-22 2011-05-20 Centre Nat Rech Scient Structure d'amplification et chaine de detection et de mesure comportant une telle structure.
CN102095500B (zh) * 2011-01-24 2012-09-19 杭州电子科技大学 印染坯布染色过程色度检测电路
US9160376B1 (en) * 2014-09-15 2015-10-13 Qualcomm, Inc. Programmable stabilization network
US10291207B2 (en) 2016-07-07 2019-05-14 Analog Devices, Inc. Wide range programmable resistor for discrete logarithmic control, and tuning circuit for variable gain active filter using same
CN112097910A (zh) * 2019-06-17 2020-12-18 广州市合熠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型rgb数字颜色传感器电路系统
US11290674B1 (en) * 2020-12-18 2022-03-29 Omnivision Technologies, Inc. Column amplifier capacitor switch circuit to adjust analog gai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0288A (en) * 1971-12-22 1974-02-05 Xerox Corp Photometer including variable amplification and dark current compensation
US3960452A (en) * 1975-03-05 1976-06-01 Technical Hardware, Inc. Color monitor utilizing ambient light illumination
JPS62269507A (ja) * 1986-05-19 1987-11-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可変利得増幅器
GB8705905D0 (en) * 1987-03-12 1987-04-15 Lucas Ind Plc Combustion monitoring
US6304357B1 (en) * 1997-03-13 2001-10-16 Hitachi, Ltd. Optical receiver
US6876384B1 (en) * 2000-04-19 2005-04-05 Biomorphic Vlsi, Inc. Pixel selective white balancing
ITSV20010016A1 (it) * 2001-05-28 2002-11-28 Esaote Spa Amplificatore a guadagno variabile e basso rumore per sengali di ricezione di macchine per il rilevamento di immagini mediante ultrasuoni o
JP3827542B2 (ja) * 2001-07-10 2006-09-27 シャープ株式会社 光増幅器及びこれを用いた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6552605B1 (en) * 2002-02-11 2003-04-22 Intel Corporation Differential transimpedance amplifier for optical communication
US7423779B2 (en) * 2004-03-30 2008-09-09 Omnivisi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white bal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90674A (zh) 2005-11-02
KR101131710B1 (ko) 2012-04-03
TW200537679A (en) 2005-11-16
US7349017B2 (en) 2008-03-25
DE102005006645A1 (de) 2005-11-17
TWI358122B (en) 2012-02-11
US20050237401A1 (en) 2005-10-27
JP2005308747A (ja) 200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710B1 (ko) 색상 감지기 및 집적 회로 칩
KR100607807B1 (ko) 스위칭 전원
EP1860412B1 (en) Photodetector circuit
US7391265B2 (en) Amplifier unit and optical disc drive
US9882069B2 (en) Biasing voltage generating circuit for avalanche photodiode and related control circuit
JPH06310937A (ja) ディジタル受信器の自動オフセット制御回路
JP2005265846A (ja) 暗光電流をキャンセルするカラーセンサ
JP2003318681A (ja) 増幅回路及び光通信装置
GB2443917A (en) High dynamic range optical receiver amplifier, with feedback circuit including diode and impedance element
JP4347359B2 (ja) 光学式入力装置
US20050224697A1 (en) Light-receiving circuit capable of expanding a dynamic range of an optical input
JPH10290127A (ja) 電流/電圧変換ic及び光電気変換ic
US20080129369A1 (en) Current multiplexing circuit for optical power monitoring
JP2008544724A (ja) 広ダイナミックレンジスイッチング可変利得増幅器および制御
JP4244913B2 (ja) 受光増幅回路
US7180048B1 (en) Slow tail compensation
US20070145244A1 (en) Image sensor
US4302668A (en) Variably biased photoelectric circuit
CN100555154C (zh) 具有自动功率控制的电子系统
US5955734A (en) High temperature two-wire photocurrent detector circuit
JP7403488B2 (ja) 電流信号処理装置
JPS61224478A (ja) レ−ザ駆動装置
JPH1146011A (ja) 受光位置検出回路
JP4386651B2 (ja) 映像信号処理回路
US8263927B2 (en) Circuit and method for temperature and process independent transimpedance amplifier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