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6721A - 콤바인의 곡식 알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곡식 알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6721A
KR20060046721A KR1020050067054A KR20050067054A KR20060046721A KR 20060046721 A KR20060046721 A KR 20060046721A KR 1020050067054 A KR1020050067054 A KR 1020050067054A KR 20050067054 A KR20050067054 A KR 20050067054A KR 20060046721 A KR20060046721 A KR 20060046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switch
discharge
egg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4655B1 (ko
Inventor
요시노리 도이
후미오 요시무라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6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6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 A01D34/008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for automated or remotely controlled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오퍼레이터가 잘못하여 스위치를 만지는 경우나, 원격조작기의 조심성 없는 취급에 대하여, 곡식 알 배출 장치가 오퍼레이터의 뜻에 반하여 작동하는 사태를 회피하여 확실한 취급이 가능한 콤바인의 곡식 알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무선조작식 배출 오거제어장치(2)는, 콤바인으로부터 곡식 알을 배출하는 배출 오거장치(1)의 장출동작, 수납동작, 및 배출 온(on)동작을 각각 지령하기 위한 스위치를 구비한 무선조작용 원격조작기(20)와, 각 스위치의 조작 신호와 대응하여 배출 오거장치의 각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a)로 구성되고, 이 제어부(2a)는, 상기 각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소정의 시간 내에서 복수회 행하여지는 조작에 의한 것을 조건으로 배출 오거장치의 각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곡식, 배출, 오거, 무선, 원격, 콤바인, 배출장치

Description

콤바인의 곡식 알 배출 장치{AUGER CONVEYEOR FOR A HARVESTER}
도 1은, 무선조작식 배출 오거 제어장치를 적용한 콤바인의 측면도.
도 2는, 무선조작식 배출 오거 제어장치의 제어입출력 계통도.
도 3은, 원격조작기(무선식의 조작장치)의 스위치 배치도.
도 4는, 조작 타이밍 챠트.
도 5는, 배출 오거 장치의 수납동작의 타이밍 챠트.
도 6은, 배출 오거 장치의 동작 평면도.
도 7은, 배출 오거 장치의 수납상태의 평면도.
도 8은, 원격조작기의 신호 레벨 특성도.
도 9는, 조작 모니터의 표시 형태.
도 10은, 원격조작기의 스위치 표시예
도 11은, 오거의 선회동작의 평면 설명도.
도 12는, 소정 패널의 소작에 의해 처리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예.
도 13은, 도 12의 처리에 의한 타이밍 챠트 예.
도 14는, 조건에 의해 조작의 효과를 바꾸기 위한 플로우 챠트 예.
도 15는, 도 14의 처리에 의한 타이밍 챠트 예.
도 16은, 장출수납의 동작 형태를 표시한 평면도.
도 17은, 모든 원격조작에서 소정의 동작기기를 긴급정지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예.
[부호의 설명]
1 : 배출 오거(auger) 장치
1b : 선회 오거부
2 : 무선조작식 배출 오거 제어장치
2a : 마이크로 컴퓨터(micro computer)(제어부)
20 : 원격조작기(무선식 제어장치)
21a : 자동수납 스위치(switch)
21b : 자동장출 스위치
21c : 수납장출 스위치(스위치 수단)
24 : 배출지령
24c : 배출정지 스위치(스위치 수단)
C : 수납위치
f : 운전대
본 발명은, 콤바인(combine)의 곡식 알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콤바인의 곡식 알 배출 장치는,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무선 식의 조작장치에 의해 기체(機體) 밖에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조작장치에서는, 다수의 스위치(switch)를 구비하여 곡식 알 배출 장치의 다양한 동작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확 곡식 알을 트럭(truck) 등에 옮겨 실을 때에, 오퍼레이터(operator)가 가까운 위치로부터 옮겨 싣는 상황을 직접 감시하면서 조작장치에 의해 효율적인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오퍼레이터가, 다른 작업 등 때문에 조작장치를 포켓(pocket)에 넣거나, 목에 걸거나 할 때에, 이 조작장치의 스위치가 작업상태로 되고, 또한, 조작장치의 다수의 스위치를 선택하여 조작하는 것에 동반하여 오조작이 생길 수 있다. 이 경우는, 오퍼레이터의 뜻에 반하여 곡식 알 배출 장치가 작동하게 되어, 벼가 쓸데없이 배출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특허문헌1]특개평6-90611호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오퍼레이터가 잘못하여 스위치를 만지는 경우나, 조작장치의 조심성 없는 취급에 대하여, 곡식 알 배출 장치가 오퍼레이터의 뜻에 반하여 작동하는 사태를 회피하여 확실한 취급이 가능한 무선조작식 곡식 알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곡식 알 배출 장치를 임의로 선회시키는 수동 선회 스위치와,
상기 곡식 알 배출 장치를 콤바인의 기체 위의 격납위치와 곡식 알 배출 작 업 위치에 걸쳐 자동적으로 선회시키는 자동선회 스위치와,
상기 곡식 알 배출 장치로부터의 곡식 알의 배출을 개시 및 정지시키는 배출 스위치와,
를 무선식의 조작장치에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조작장치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동선회 스위치의 조작에 근거한 곡식 알 배출 장치의 선회동작과 자동선회 스위치의 조작에 근거한 곡식 알 배출 장치의 자동 선회동작과 배출 스위치의 조작에 근거한 곡식 알 배출 장치의 곡식 알 배출개시 동작 및 곡식 알 배출정지 동작을 실행시키는 제어부를
콤바인의 기체 측에 설치하고,
상기 수동선회 스위치의 조작에 근거한 곡식 알 배출 장치의 선회동작 및 배출 스위치의 조작에 근거한 곡식 알 배출정지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 수동선회 스위치 또는 배출 스위치가 조작되는 경우에 이 조작에 근거한 곡식 알 배출 장치의 선회동작 또는 곡식 알 배출정지 동작을 무조건으로 실행시키지만,
상기 자동선회 스위치의 조작에 근거한 곡식 알 배출 장치의 자동선회 동작 및 배출 스위치의 조작에 근거한 곡식 알 배출개시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 자동선회 스위치 또는 배출 스위치가 각각 소정 시간 내에 복수회 조작되는 경우에만, 이 조작에 근거한 자동선회 동작 또는 곡식 알 배출개시 동작을 실행시키는 제어조건을 상기 제어부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곡식 알 배출 장치로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수동선회 스위치의 조작에 근거한 곡식 알 배출 장치의 선회 동작 및 배출 스위치의 조작에 근거한 곡식 알 배출 정지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 수동선회 스위치 또는 배출 스위치가 조작되는 경우에 이 조작에 근거한 곡식 알 배출 장치의 선회 동작 또는 곡식 알 배출 정지 동작이 무조건 실행된다. 이것에 대하여, 자동선회 스위치의 조작에 근거한 곡식 알 배출 장치의 자동선회 동작 및 배출 스위치의 조작에 근거한 곡식 알 배출 개시동작에 대해서는, 상기 자동선회 스위치 또는 배출 스위치가 각각 소정 시간 내에 복수회 조작되는 경우에 한하여, 이 조작에 근거한 자동선회 동작 또는 곡식 알 배출 동작이 실행된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상기 자동선회 스위치를 단일한 스위치로 하고,
곡식 알 배출 장치가 격납위치에 있는 경우에 이 자동선회 스위치를 조작하면, 곡식 알 배출 장치를 배출작업 위치 쪽으로 자동적으로 선회시키고,
곡식 알 배출 장치가 곡식 알 배출 작업 위치에 있는 경우에 이 자동선회 스위치를 조작하면, 곡식 알 배출 장치를 격납위치 쪽으로 자동적으로 선회시키는 제어조건을,
상기 제어부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기재의 콤바인의 곡식 알 배출 장치로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단일한 자동선회 스위치가 조작되면, 이 시점에 있어서의 곡식 알 배출 장치의 선회 위치에 따라, 배출 작업 위치 쪽으로의 자동선회 동작과 격납위치 쪽으로의 자동선회 동작이 제어부에 의해 실행된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상기 자동선회 스위치의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의 복수회 조작 중의 처음 회의 조작에 근거하여, 곡식 알 배출 장치의 곡식 알 배출 동작을 정지시키는 조건을, 상기 제어부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기재의 콤바인의 곡식 알 배출 장치로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자동선회 스위치의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 복수회 조작 중의 처음 회의 조작에 의해, 곡식 알 배출 동작이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상기 배출 스위치를 단일한 스위치로 하고,
곡식 알 매출 장치가 곡식 알 배출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 이 배출 스위치를 조작하면, 곡식 알 배출 장치의 곡식 알 배출개시 동작을 실행시키고,
곡식 알 배출 장치가 곡식 알 배출 상태에 있는 경우에 이 배출 스위치를 조작하면, 곡식 알 배출 장치의 곡식 알 배출 정지 동작을 실행시키는 조건을,
상기 제어부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기재의 콤바인의 곡식 알 배출 장치로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단일한 배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곡식 알 배출 장치의 배출 동작이 개시 및 정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하여, 이하에서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콤바인은, 그 전체 구성 예의 측면도를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크롤러(crawler) 주행장치(a, a)에 의해 지지된 기체(機體)에, 곡간(穀稈)을 예취 부(刈取部)(b), 곡간으로부터 벼를 분리하는 탈곡부(c), 탈곡된 벼를 수용하는 저장부(그레인 탱크(grain tank))(d), 이 저장부(d)로부터 벼를 기체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 오거 장치(곡물 알 배출 장치)(e), 기체 주행 및 작업 기기 동작을 오퍼레이터가 조작하기 위한 운전대(f) 등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배출 오거장치(곡물 알 배출 장치)(1)는, 저장부(d)로부터 세워져 올라감과 아울러 좌우 선회하는 종축 오거부(1a)와, 이 종축 오거부(1a)의 상단에서 상하 회동가능하게 연통하여 곡식 알을 기체의 측방향으로 송출가능한 선회 오거부(1b)와, 이 선회 오거부(1b)의 선회 각도 위치를 기체의 내외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조절하는 후술의 무선조작식 배출 오거 제어장치(2)로 구성된다.
선회 오거부(1b)는, 그 선단에 배출구를 구비함과 아울러, 격납위치로 된 오거 수좌(受座)에서 수납유지되고, 배출구의 위치 결정 조절을 하기 위해, 선회 오거부(1b)의 축선경동(軸線傾動)에 의한 상하동작과 그 축선 방향에서의 신축동작, 종축 오거부(1a)의 축선에 대한 선회동작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도시하지 않은 파워 클러치(power clutch)에 의해 배출의 온/오프(on/off)가 제어된다. 또한, 무선 조작식 배출 오거제어장치(2)는, 운전대(f)에서부터 떨어져서 기체 밖으로 배출 오거 장치(1)를 조작하기 위한 원격조작기(무선 송신식의 조작장치)(20)(후술)의 조작 신호를 무선으로 받아서, 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기구의 조작에 따라 각 기기를 제어한다.
무선조작식 배출 오거 제어장치(2)는, 제어 입출력 계통도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컴퓨터(micro computer)(2a)에 의한 제어부에 의해 입출력의 신호 처리를 한다. 입출력 측에서는, 본 기체의 운전대(f)의 배출 오거 조작부의 자동수납 스위치(4a), 자동장출(張出) 스위치(4b), 좌우 선회용 수동 레버(lever) 스위치(5), 승강용 수동 레버 스위치(6), 배출 스위치(7), 장출 위치 설정 다이얼(dial)(3c) 외에, 오거 포지션 센서(auger position sensor)(3d)의 신호를 받는다. 출력측에는 배출 오거의 각 긱긱를 제어하기 위해 좌선회 릴레이(relay)(11a), 우선회 릴레이(11b), 상승 솔레노이드(solenoid)(12a), 하강 솔레노이드(12b), 배출 릴레이(13)를 구동제어한다. 그 외에, 입력에서는, 도 3에 원격 조작기(20)의 조작에 의해, 자동 수납(21a), 자동장출(21b), 좌우 선회(22), 승강(23), 배출(24)의 신호를 기계 밖에서부터 받는다.
각 조작기구에 의한 제어부(2a)의 구체적인 제어처리는 다음과 같다. 자동 장출 스위치(4b)에 의해, 선회 오거부(1b)를 수좌로부터 상승 후, 장출 위치 설정 다이얼(3c)과 대응하는 소정의 각도 위치까지 선회구동한다. 자동수납 스위치(4a)에 의해, 선회 오거부(1b)를 수납위치까지 선회하고, 하강하여 수좌로 수납하도록 구동한다. 좌우 선회용 수동 레버 스위치(5)에 의해, 오퍼레이터의 조작과 대응하여 좌선회 릴레이(11a), 우선회 릴레이(11b)를 통하여 선회 오거부(1b)를 선회제어한다. 승강용 수동 레버 스위치(6)에 의해, 상승 솔레노이드(12a), 하강 솔레노이드(12b)를 통하여 선회 오거부(1b)를 승강제어한다. 배출 스위치(7)에 의해, 배출 릴레이(13)을 통하여 곡식 알 송출계(係)의 전동식의 클러치(clutch)를 넣음/끊음 제어한다. 오거 포지션 센서(3d)는 선회 오거부(1b)의 선회 각도 위치를 피드백(feedback)한다. 또한, 원격조작기(무선식의 조작장치)(20)에 의해, 본 기체의 조 작기구와 마찬가지로 하여 배출 오거장치(1)가 구동제어된다.
원격조작기(20)의 구체적인 스위치의 배치는, 배출 오거장치(1)의 좌우 선회동작을 위한 「좌」「우」의 각 스위치(22a, 22b), 상하 동작을 위한 「상」「하」의 각 스위치(23a, 23b), 신축(伸縮)동작을 위한 「신」「축」스위치(25a 25b), 배출의 온/오프를 위한 「배출정지」스위치(24c), 수납 장출을 위한「수납장출」스위치(21c)를 배치한다.
「배출정지」스위치(24c)는, 배출의 온/오프를 위한 공통의(단일한) 스위치 수단으로서, 배출 오거장치(1)가 수납위치에서는 장출동작하고, 장출위치에서는 수납동작하여 제어부(2a)가 제어출력한다. 또한, 「수납장출」스위치(21c)는, 장출동작과 수납동작을 위한 공통의 스위치 수단으로서, 배출 오거장치(1)가 수납위치에 있을 때는 장출동작하고, 장출위치에 있는 때는 수납동작하여 제어출력하도록 제어부(2a)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역방향의 동작을 공통의(단일한) 스위치 수단으로서 구성하는 것에 의해, 개개의 스위치를 배치한 경우의 조작부의 복잡화를 해소하고, 한편, 어떤 것인가의 스위치를 선택하는 번잡한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조작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공통의 스위치 수단을 조작할 때마다, 대응 동작으로 교대로 반전(反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똑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수납장출」스위치(21c)에 의한 장출동작, 수납동작, 및 「배출정지」스위치(24c)에 의한 배출 오거 동작은, 스위치의 조작신호가 소정의 시간 내에 2회 행해지는 것을 조건으로 배출 오거 장치(1)의 각 동작을 제어하도록 제어부(2a)를 구성한다. 이 조작은, 도 4의 타이밍 챠트(timing chart)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시간(예를 들어 500ms) 내의 제 1의 조작과 소정 시간(예를 들어 500ms) 내의 개방으로 이어지는 소정 시간에 이르는 제2의 조작을 조건으로 한다. 상기 배출 오거장치의 수납동작(장출위치에 있어서의 조작을 포함함)에 있어서는, 최초의 조작의 신호에 의해 그 배출 오거 장치의 배출 동작을 강제 정지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원격조작기(20)에 의한 장출동작, 수납동작, 배출 오거동작에 대해, 소정의 시간 내에 2회 행하여지는 조작에 한정하여 배출 오거장치를 동작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간단한 스위치 조작이나 접촉에 대하여 의도적인 스위치 조적을 구별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오퍼레이터가 잘못하여 스위치를 만지는 경우나, 원격조작기의 조심성 없는 취급에 대하여, 배출 오거장치가 작동하는 사태를 회피하여 확실한 취급이 가능하다.
또한, 배출 오거장치의 수납동작(장출위치에 있어서의 조작을 포함)에 있어서의 최초의 조작에 의해 배출 동작을 강제정지하도록 구성하는 경우는, 도 5의 타이밍 챠트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동작에 앞서서 배출 오거를 제어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배출동작을 계속한 채 수납동작을 개시하는 것 같은 사태를 회피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위치 조작과 대응하여 배출 동작을 즉시 정지할 수 있으므로 긴급사태에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기계의 운전대(f)와 원격조작기(20)와의 상호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소정의 경우에서 원격조작기(20)을 우선하여 배출 오거장치(1)를 구동제어한다. 본 기 체 측의 자동수납 스위치(4a), 자동장출 스위치(4b)에 의해 배출 오거장치(1)가 자동수납 또는 자동장출이 개시되고, 이 때, 원격조작기(20)로 상하승강동작, 좌우선회동작, 전후신축동작의 스위치를 누르는 경우는, 자동수납 또는 자동장출을 즉시 중시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제어하는 것에 의해, 본 기계 측의 오퍼레이터의 사각(死角)에 장해물이 있어도, 작업보조자가 원격조작기(20)로 오거의 움직임을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안전하다.
다음으로, 도 6의 배출 오거장치(1)의 동작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조작기(20)로 배출 온/오프할 수 있는 선회각도범위(B)는, 본 기체의 운전대 조작의 경우의 각도범위(A)보다 좁은 범위로 한정하여 배출 온/오프가 가능하게 구성한다. 이와 같이 각도범위를 한정하는 것에 의해, 원격조작기(20)의 오조작에 의한 배출 오거 장치(1)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7에 배출 오거 장치(1)의 수납상태의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위치의 판별을 위한 크고 작은 각도범위(A, B)를 설정하고, 배출 클러치 넣음 동작할 때는 큰 각도 범위(A)를 조건으로 하고, 또한, 자동장출 동작할 때는 작은 각도범위(B)를 조건으로 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각도범위의 차이에 의해, 배출 오거장치(1)가 수납위치에 있는 경우에, 원격조작기(20)에 의한 조작 내용에 대한 허용범위로 하여 취급을 안전하게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의 원격조작기(20)의 신호 레벨(level) 특성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조작기(20)의 신호의 수신 레벨을 높고 낮음(H, L)으로 나누고, 자동장출, 자동수납, 배출 클러치 넣음에 대하여 수신감도를 낮은 레벨(L)로 하고, 다른 수동조작(상하, 좌우, 신축)이나 자동정지, 배출정지에 대하여 수신감도를 높은 레벨(H)로 한다. 이 높고 낮은 수신 레벨 구분(H, L)에 의해, 그 수신 레벨 이상의 신호에 한하여 수신하도록 구성하고, 배출 오거장치(1)의 특정의 동작에 대해서 수신감도를 낮은 레벨(L)로 수신하기 어렵게 하는 것에 의해, 수신감도의 한계 부근에서 수신한 경우에, 긴급을 요하는 정지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의 조작 모니터(monitor)의 표시 형태와 같이, 조작 모니터의 표시기(D)를 설치하고, 이 표시기(D)에 조작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원격조작기(20)의 송신기와 수신기의 각각의 식별 코드(code)를 표시하도록 구성한다. 송신기와 수신기에서 서로의 식별 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작동규제하는 시스템(system)에서는, 원격조작기(20)을 조작하여도 본 기체의 배출 오거장치(1)가 대응동작을 하지 않는 원인으로서, 기기의 고장, 전파장해 외에, 식별 코드의 불일치가 있고, 식별 코드의 불일치가 원인으로 되면 표시기의 표시에 근거하여 체크(check)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상(異狀)의 원인의 특정(特定)이 용이하게 된다. 복수개의 원격조작기(20)를 취급하는 규모가 큰 집단에서는 특히 유효하다.
다음으로, 도 10의 원격조작기(20)의 스위치 표시 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방향 스위치를 「수납측」「장출측」으로 하고, 각각에 대응하여 배출 오거 장치(1)가 수납위치로 되돌리는 방향의 선회동작과, 또한 큰 장출 방향의 선회동작으로 구동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테면, 도 11의 선회동작의 평면 설명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측」이 눌러지면, 오거 위치가 수납위치(C)보다 좌(A)로 있으 면 우선회출력하고, 수납위치보다 우로 있으면 좌선회출력한다. 「장출측」이 눌러지면, 오거 위치가 수납위치보다 좌로 있으면 좌선회출력하고, 수납위치보다 우로 있으면 우선회출력한다.
종래의 「좌」「우」의 선회동작에서는, 오퍼레이터가 오커의 후단측에 있을 때에 동작방향이 스위치의 표시와 역방향으로 되어 있어서 혼란하기도 했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위치에 관계없이, 오거의 동작 방향이 명확하게 되기 때문에, 조작성, 안전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제어처리에 대해서, 그 장치구성 및 처리순서의 구체적 예를 도면에 의해 나타낸다.
도 12는, 소정 패턴(pattern)의 조작(1초 내에 2회 행하는 조작)에 의해 처리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flow chart) 예이다. 도 13은, 그 타이밍 챠트 예이다.
도 14는, 조건에 의해 조작의 효과(배출 클러치의 넣음 또는 끊음)를 바꾸기 위한 플로우 챠트 예이다. 도 15는, 그 타이밍 챠트 예이다.
도 16은, 장출 수납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7은, 모든 원격조작에서 소정의 동작기기(자동장출동작 및 자동수납동작)를 긴급정지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예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콤바인의 곡식 알 배출 장치는 이하의 효과가 있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오퍼레이터가 잘못하여 스위치를 만지는 경우나, 조작장치의 조심성 없는 취급에 의해 곡식 알 배출 장치가 자동 선회를 개시 해 버리거나 곡식 알의 배출을 개시해 버리는 것과 같은 사태를 회피하여, 확실한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자동 선회 스위치를 단일한 스위치로 하는 것에 의해, 무선식의 조작 장치의 조작부를 간소화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곡식 알 배출 동작을 계속한 채 격납위치 측으로의 선회 동작을 개시하는 것과 같은 상태를 회피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자동 선회 스위치의 조작과 대응하여 곡식 알 배출 동작을 즉시 정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긴급사태에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배출 스위치를 단일한 스위치로 하는 것에 의해 무선식의 조작장치의 조작부를 간소화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4)

  1. 곡식 알 배출 장치를 임의로 선회시키는 수동선회 스위치와,
    상기 곡식 알 배출 장치를 콤바인의 기체 위의 격납위치와 곡식 알 배출 작업 위치에 걸쳐 자동적으로 선회시키는 자동선회 스위치와,
    상기 곡식 알 배출 장치로부터의 곡식 알의 배출을 개시 및 정지시키는 배출 스위치와,
    를 무선식의 조작장치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장치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동선회 스위치의 조작에 근거한 곡식 알 배출 장치의 선회동작과 자동선회 스위치의 조작에 근거한 곡식 알 배출 장치의 자동선회 동작과 배출 스위치의 조작에 근거한 곡식 알 배출 장치의 곡식 알 배출개시 동작 및 곡식 알 배출정지 동작을 실행시키는 제어부를
    콤바인의 기체 측에 설치하고,
    상기 수동선회 스위치의 조작에 근거한 곡식 알 배출 장치의 선회동작 및 배출 스위치의 조작에 근거한 곡식 알 배출정지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 수동선회 스위치 또는 배출 스위치가 조작되는 경우에 이 조작에 근거한 곡식 알 배출 장치의 선회동작 또는 곡식 알 배출정지 동작을 무조건으로 실행시키지만,
    상기 자동선회 스위치의 조작에 근거한 곡식 알 배출 장치의 자동선회 동작 및 배출 스위치의 조작에 근거한 곡식 알 배출 개시동작에 대해서는, 상기 자동선회 스위치 또는 배출 스위치가 각각 소정 시간 내에 복수회 조작되는 경우에만, 이 조작에 근거한 자동 선회 동작 또는 곡식 알 배출 개시 동작을 실행시키는 제어조건을 상기 제어부에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곡식 알 배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선회 스위치를 단일한 스위치로 하고,
    곡식 알 배출 장치가 격납위치에 있는 경우에 이 자동선회 스위치를 조작하면, 곡식 알 배출 장치를 배출 작업 위치 쪽으로 자동적으로 선회시키고,
    곡식 알 배출 장치가 곡식 알 배출 작업 위치에 있는 경우에 이 자동선회 스위치를 조작하면, 곡식 알 배출 장치를 격납위치 쪽으로 자동적으로 선회시키는 제어조건을,
    상기 제어부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곡식 알 배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선회 스위치의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의 복수회 조작 중의 처음 회의 조작에 근거하여, 곡식 알 배출 장치의 곡식 알 배출 동작을 정지시키는 조건을, 상기 제어부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곡식 알 배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스위치를 단일한 스위치로 하고,
    곡식 알 매출 장치가 곡식 알 배출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 이 배출 스위치 를 조작하면, 곡식 알 배출 장치의 곡식 알 배출 개시 동작을 실행시키고,
    곡식 알 배출 장치가 곡식 알 배출 상태에 있는 경우에 이 배출 스위치를 조작하면, 곡식 알 배출 장치의 곡식 알 배출 정지 동작을 실행시키는 조건을,
    상기 제어부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곡식 알 배출 장치.
KR1020050067054A 2004-07-29 2005-07-23 콤바인의 곡식 알 배출 장치 KR100694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21386A JP4281646B2 (ja) 2004-07-29 2004-07-29 無線操作式排出オーガ制御装置
JPJP-P-2004-00221386 2004-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721A true KR20060046721A (ko) 2006-05-17
KR100694655B1 KR100694655B1 (ko) 2007-03-13

Family

ID=35899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054A KR100694655B1 (ko) 2004-07-29 2005-07-23 콤바인의 곡식 알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281646B2 (ko)
KR (1) KR100694655B1 (ko)
CN (1) CN10034139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3522B2 (ja) * 2006-03-20 2012-03-28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無線式操作装置
JP6898067B2 (ja) * 2016-06-20 2021-07-07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1355A (ja) * 1997-01-23 1998-08-04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排出オーガの無線制御装置
JPH11206236A (ja) * 1998-01-27 1999-08-03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00300050A (ja) * 1999-04-15 2000-10-31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伸縮式オ−ガ装置
JP3874689B2 (ja) * 2002-03-29 2007-01-31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排出用オーガの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34212A (ja) 2006-02-09
KR100694655B1 (ko) 2007-03-13
CN1726753A (zh) 2006-02-01
CN100341394C (zh) 2007-10-10
JP4281646B2 (ja)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4655B1 (ko) 콤바인의 곡식 알 배출 장치
KR100228232B1 (ko) 쓰레기 용기를 비우기 위한 장치
JP4615356B2 (ja) 作業機の作動制御装置
JP2009225674A (ja) コンバイン
JP4533068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排出用オーガの無線式操作装置
JP2006238897A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排出用オーガの操作装置
JP2006271269A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排出用オーガの無線式操作装置
JP2004215558A (ja) コンバインの排出オーガ装置
JP2005013161A (ja) コンバインの排出オーガ装置
JPH02207712A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排出用オーガの操作装置
JP3874689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排出用オーガの操作装置
JP4533174B2 (ja) コンバイン
JPH10201355A (ja) 排出オーガの無線制御装置
JP2007043939A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搬出装置の操作装置
JP2003325032A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排出用オーガの操作装置
JP4740082B2 (ja) 作業機の無線式操作装置
JP4778340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排出用オーガの位置制御装置
JP4903522B2 (ja) 作業機の無線式操作装置
JP4903532B2 (ja) 作業機の無線式操作装置
JP3200549B2 (ja) コンバイン
JP3633746B2 (ja) 自動運転ショベル
CN110959368B (zh) 联合收割机
JPH06345211A (ja) 自動倉庫におけるスタッカークレーンの駆動制御システム
JP2006055053A5 (ko)
JP3240321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