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5389A - 이동 통신 방법, 이동국 및 무선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방법, 이동국 및 무선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5389A
KR20060045389A KR1020050027199A KR20050027199A KR20060045389A KR 20060045389 A KR20060045389 A KR 20060045389A KR 1020050027199 A KR1020050027199 A KR 1020050027199A KR 20050027199 A KR20050027199 A KR 20050027199A KR 20060045389 A KR20060045389 A KR 20060045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er
switching
mobile station
station
location reg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1404B1 (ko
Inventor
가쓰히로 노구치
가즈유키 고즈
고타 후지무라
다카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60045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082Mobility data transfer for traffic bypassing of mobility servers, e.g. location registers, home PLMNs or home ag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1 교환국 SGSN #1에서 폭주나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동일한 위치 등록 영역 RA #1을 관리하는 제2 교환국 SGSN #2에 위치 등록하는 이동국 UE #2 및 새롭게 위치 등록 영역 RA #1로 진입한 이동국 UE #3이, 본래 액세스 가능한 제2 교환국 SGSN #2에 대하여 액세스를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국 UE #1 내지 UE #3은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한 위치 등록 영역 RA에서 할당된 이동국의 식별자 TMSI를 기억하는 이동국 식별자 기억부(12)와, 무선 제어 장치 RNC로부터 액세스 제한 신호를 이용하여 통지된 교환국의 식별자 NRI 및 이동국의 식별자 TMSI에 포함되는 교환국의 식별자 NRI가 일치하는 경우에 무선 제어 장치 RNC에 대한 신호의 송신을 정지시키는 통신 제어부(15)를 구비한다.
교환국, 이동국, 이동 통신 시스템, 위치 등록 영역, 무선 제어 장치

Description

이동 통신 방법, 이동국 및 무선 제어 장치{MOBILE COMMUNICATION METHOD, MOBILE STATION AND RADIO NETWORK CONTROLLER}
도 1은 종래 기술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관한 이동국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관한 무선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시퀀스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이동국의 기능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시퀀스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무선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 및 위치 등록 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시퀀스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송수신부 12 : TMSI 기억부
13 : RAI 기억부 14 : 통신 제어부
15 : 판단부 16 : SGSN-ID 기억부
21 : SGSN #1 인터페이스 22 : SGSN #2 인터페이스
23 : UE 인터페이스 24 : SGSN 상태 감시부
25 : 신호 처리부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교환국이 동일한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고, 무선 제어 장치가 상기 적어도 2개의 교환국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는 어느 하나의 교환국에 대하여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는 이동 통신 방법, 이러한 이동 통신 방법에 이용되는 이동국 및 무선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동일한 위치 등록 영역을 복수 개의 교환국에서 관리하는 것에 의해, 각 교환국에 있어서의 처리 부하(負荷)의 분산을 도모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도 1a를 참조하여, 이러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제어 장치 RNC가 소정의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lu-flex 인터페이스)로, 동일한 라우팅 영역(위치 등록 영역) RA #1을 관리하는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 및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접속되어 있다.
무선 제어 장치 RNC는, 라우팅 영역 RA #1 내의 이동국 UE로부터의 위치 등록 요구를 수신한 경우,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의 부하의 상황에 따라, 당해 이동국 UE의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는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을 결정하고, 결정한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대하여 당해 이동국 UE로부터의 이동 등록 요구를 전송한다.
도 1a에서는, 이동국 UE #1이 라우팅 영역 RA #1에서,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 대하여 위치 등록하고,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을 통하여 각종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를 송신하고 있다.
한편, 이동국 UE #1과 동일한 라우팅 영역 RA #1에 재권(在圈)하는 이동국 UE #2는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대하여 위치 등록하고,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를 통하여 각종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를 송신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동일한 라우팅 영역 RA #1을 관리하는 복수 개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중에서 하나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서 폭주(輻輳)나 장해가 발생한 경우, 당해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위치 등록하는 이동국 UE 뿐만 아니라, 당해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는 다른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위치 등록하는 이동국 UE도, 위치 등록처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대하여 각종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를 송신할 수 없는, 즉 패킷 교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S1에 있어서,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서 폭주나 장해가 발생한 경우, 단계 S2에서,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은 그 취지를 통지하는 상태 신호를 무선 제어 장치 RNC에 송신한다.
단계 S3에서, 무선 제어 장치 RNC는 패킷 교환 서비스 도메인에 대한 액세스를 규제하는 액세스 제한 신호를 라우팅 영역 RA #1 내의 이동국 UE에 대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제어 장치 RNC가 액세스 제한 신호에 의해서, 폭주나 장해가 발생한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을 특정할 수 없다.
따라서, 단계 S4에서, 이동국 UE #1이 수신한 액세스 제한 신호에 따라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로 향하는 각종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는 동시에, 단계 S5에서, 이동국 UE #2도 수신한 액세스 제한 신호에 따라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로 향하는 각종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의 송신을 정지한다.
또, 단계 S6에서, 다른 라우팅 영역으로부터 라우팅 영역 RA #1로 이동해 온 이동국 UE #3이 본래 액세스 가능했던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라우팅 영역 RA #1에서 위치 등록 요구를 송신할 수 없다.
[일반 참조 문헌 1] 3GPP 표준사양 TS 23.236 "Intra-domain connection of Radio Access Network(RAN) nodes to multiple Core Network(CN) nodes"
[일반 참조 문헌 2] 3GPP 표준사양 TS 25.331 "Radio Resource Control(RRC) protocol specific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에서 폭주나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동일한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는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에 위치 등록하는 이동국 및 새롭게 당해 위치 등록 영역으로 이동해 온 이동국이, 본래 액세스 가능했던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에 대하여 액세스를 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방법 및 이러한 이동 통신 방법에 이용되는 이동국 및 무선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적어도 2개의 교환국이 동일한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고, 무선 제어 장치가 상기 적어도 2개의 교환국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는 어느 하나의 교환국에 대하여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는 이동국으로서, 상기 무선 제어 장치로부터 액세스 제한 신호를 이용하여 통지된 교환국의 식별자와, 상기 이동국이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한 교환국의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 제어 장치에 대한 신호의 송신을 정지시키는 통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한 위치 등록 영역에서 할당된 상기 이동국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이동국 식별자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가 상기 무선 제어 장치로부터 액세스 제한 신호를 이용 하여 통지된 교환국의 식별자와, 상기 이동국의 식별자에 포함되는 교환국의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 제어 장치에 대한 신호의 송신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한 위치 등록 영역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위치 등록 영역 식별자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가, 상기 무선 제어 장치로부터 액세스 제한 신호를 이용하여 통지된 교환국의 식별자와, 상기 이동국의 식별자에 포함되는 교환국의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에, 또한 상기 무선 제어 장치로부터 통지된 위치 등록 영역의 식별자와, 상기 위치 등록 영역 식별자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 등록 영역의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 제어 장치에 대한 신호의 송신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한 교환국의 식별자를 상기 무선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기억하는 교환국 식별자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가, 상기 무선 제어 장치로부터 액세스 제한 신호를 이용하여 통지된 교환국의 식별자와, 상기 교환국 식별자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교환국의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 제어 장치에 대한 신호의 송신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교환국의 식별자가 특정의 위치 등록 영역 및 인접하는 위치 등록 영역 내에서, 각 교환국을 일관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가 상기 무선 제어 장치로부터 액세스 제한 해제 신호를 이용하여 통지된 교환국의 식별자와, 상기 이동국이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한 교환국의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 제어 장치에 대한 신호의 송신을 재개(再開)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적어도 2개의 교환국이 동일한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고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교환국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는 무선 제어 장치로서, 접속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교환국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부와; 상기 감시부에 의해 특정의 교환국에 대한 액세스가 불가능한 것이 검지된 경우, 상기 무선 제어 장치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특정의 교환국의 식별자를 통지하는 교환국 식별자 통지부와; 상기 무선 제어 장치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이동 등록 영역의 식별자를 통지하는 위치 등록 영역 식별자 통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적어도 2개의 교환국이 동일한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고, 무선 제어 장치가 상기 적어도 2개의 교환국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는 어느 하나의 교환국에 대하여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는 이동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한 위치 등록 영역에 할당된 상기 이동국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공정과; 상기 무선 제어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교환국 중에서 특정의 교환국에 대한 액세스가 불가능한 것을 검지하는 공정과; 상기 무선 제어 장치가 상기 무선 제어 장치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특정의 교환국의 식별자를 통지하는 공정과; 상기 무선 제어 장치가 상기 무선 제어 장치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이동 등록 영역의 식별자를 통지하는 공정과; 상기 이동국이 상기 무선 제어 장치로부터 액세스 제한 신호를 이용하여 통지된 교환국의 식별자와 상기 이동국의 식별자에 포함되는 교환국의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 제어 장치에 대한 신호의 송신을 정지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4년 3월 31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P2004-108113에 기초하고 그 우선권을 주장한다. 상기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가 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과 동일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의 차이점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노드) SGSN #1 및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노드) SGSN #2가 동일한 라우팅 영역(위치 등록 영역) RA #1을 관리하고, 무선 제어 장치 RNC가 제1 패킷 교환 서 비스용 교환국 SGSN #1 및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국 UE는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라우팅 영역 RA를 관리하는 어느 하나의 교환국 SGSN에 대하여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국 UE는 송수신부(11), TMSI 기억부(12), RAI 기억부(13), 통신 제어부(14) 및 판단부(15)를 구비하고 있다.
송수신부(11)는 기지국 BS와의 사이에서 무선 채널을 설정하는 것이며, 이러한 무선 채널을 통하여, 무선 제어 장치 RNC에 대하여 위치 등록 요구를 포함하는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를 송신하고, 무선 제어 장치 RNC로부터 액세스 제한 신호 등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TMSI 기억부(12)는 당해 이동국 UE가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한 라우팅 영역에 할당된 "이동국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TMSI 기억부(12)는 위치 등록 처리에 의해 할당되는 "이동국의 일시적 사용자 식별자(TMSI: 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TMSI에는 당해 이동국 UE의 위치 등록처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Node Resource Indicator)"가 포함되어 있지만, 이동국 UE는 TMSI 교환국의 부분에 NRI가 포함되어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TMSI로부터 NRI를 자체적으로 검출할 수 없다.
RAI 기억부(13)는 당해 이동국 UE가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한 라우팅 영역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RAI 기억부(13)는 정기적으로 무선 제어 장치 RNC로부터 송신되는 통보 신호로부터 검출한 라우팅 영역의 식별자 "RAI (Routing Area Indicator)"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신 제어부(14)는 패킷 교환 서비스에서의 통신에 필요한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통신 제어부(13)는 전원이 온(ON)으로 된 경우, 전원이 오프(OFF)로 된 경우, 또는 위치 등록 영역이 변경된 경우 등에,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대한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는 것을 결정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14)는 사용자로부터의 지시 등에 기초하여 발생한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를, 무선 제어 장치 RNC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판단부(15)는 무선 제어 장치 RNC로부터 송신된 액세스 제한 신호나 액세스 제한 해제 신호에 따라,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를 무선 제어 장치 RNC에 대하여 송신하는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5)는 무선 제어 장치 RNC로부터 액세스 제한 신호를 이용하여 통지된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와, TMSI에 포함되는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가 일치하는 경우에, 또한 무선 제어 장치 RNC로부터의 통보 신호에 의해 통지된 라우팅 영역의 식별자 RAI와, RAI 기억부(13)에 기억되어 있는 라우팅 영역의 식별자 RAI가 일치하는 경우에, 무선 제어 장치 RNC에 대한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의 송신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판단부(15)는 무선 제어 장치 RNC로부터 액세스 제한 해제 신호를 이용하여 통지된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와, TMSI에 포함되는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가 일치하는 경우에, 또한 무선 제어 장치 RNC로부터의 통보 신호에 의해 통지된 라우팅 영역의 식별자 RAI와, RAI 기억부(13)에 기억되어 있는 라우팅 영역의 식별자 RAI가 일치하는 경우에, 무선 제어 장치 RNC에 대한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의 송신을 재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제어 장치 RNC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SGSN #1인터페이스(21), SGSN #2 인터페이스(22), UE 인터페이스(23), SGSN 상태 감시부(24) 및 신호 처리부(25)를 구비하고 있다.
SGSN #1 인터페이스(21)는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과의 통신 인터페이스이며, SGSN #2 인터페이스(22)는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와의 통신 인터페이스이고, UE 인터페이스(23)는 무선 제어 장치 RNC가 접속되어 있는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에 의해 관리되는 라우팅 영역 RA 내의 이동국 UE #1 및 UE #2와의 사이에 설정되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그리고, SGSN #1 인터페이스(21) 및 SGSN #2 인터페이스(22)는 lu-flex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SGSN 상태 감시부(24)는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 및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의 상태를 감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SGSN 상태 감시부(24)는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으로부터 송신된 상태 신호에 따라,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대하여 액세스 불가능으로 된 것(예를 들면,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서 고장이 발생한 것 또는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의 부하가 소정의 임계치를 넘은 것)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SGSN 상태 감시부(24)는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으로부터 송신된 상태 신호에 따라,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대하여 액세스 가능으로 된 것(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서 고장이 회복된 것 또는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의 부하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로 된 것)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SGSN 상태 감시부(24)는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으로부터 송신된 상태 신호에 따라,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서의 부하를 감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신호 처리부(25)는 각 인터페이스(21~23)를 통하여 송수신하는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부(25)는 무선 제어 장치 RNC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 UE로부터의 위치 등록 요구를 수신한 경우,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 및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의 부하의 상황에 따라, 이러한 이동국 UE의 위치 등록처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을 결정하고, 결정한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대하여 이러한 위치 등록 요구를 전송한다.
여기서, 위치 등록 요구에는, 패킷 교환 서비스용 위치 등록 갱신 신호(Normal Routing Area Update)나 패킷 교환 서비스용 어태치 신호(GPRS attach) 등이 포함된다.
또한, 신호 처리부(25)는 무선 제어 장치 RNC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 UE로부터의 각종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를, 당해 이동국 UE의 위치 등록처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대하여 전송한다. 각종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는 패킷 교환 서비스를 이용할 때 송신되는 임의의 신호이다.
또한, 신호 처리부(25)는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대하여 액세스 불가능으로 된 것을 검지한 경우, UE 인터페이스(23)를 통하여, 무선 제어 장치 RNC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 UE에 대하여, 해당하는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대한 액세스 제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신호 처리부(25)는 TMSI 내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의 위치 및 비트수 등을 액세스 제한 신호 내에 포함시킴으로써, 액세스 불가능으로 된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을 이동국 UE에 대하여 통지해도 된다.
또, 신호 처리부(25)는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를 액세스 제한 신호에 명시적으로 부가함으로써, 액세스 불가능으로 된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을 이동국 UE에 대하여 통지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신호 처리부(25)는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대하여 액세스 가능으로 된 것을 검지한 경우에도, UE 인터페이스(23)를 통하여, 무선 제어 장치 RNC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 UE에 대하여, 해당하는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대한 액세스 제한 해제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25)는 무선 제어 장치 RNC가 접속되어 있는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의해 관리되는 라우팅 영역의 식별자를 통보 신호에 의해 이동국 UE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통지한다.
다음에,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 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1OOa에서, 라우팅 영역 RA #1 내의 이동국 UE #1은 라우팅 영역 RA #1을 관리하는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 대하여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고,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로부터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 #1을 포함하는 TMSI를 취득하여 TMSI 기억부(12)에 기억시킨다.
단계 S1O1a에서, 이동국 UE #1은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로부터 라우팅 영역의 식별자 RAI #1을 취득하여 RAI 기억부(13)에 기억시킨다.
마찬가지로, 단계 S10Ob에서, 라우팅 영역 RA #2 내의 이동국 UE #3은 라우팅 영역 RA #2를 관리하는 제3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3에 대하여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고, 제2 무선 제어 장치 RNC #2로부터 제3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 #1을 포함하는 TMSI를 취득하여 TMSI 기억부(12)에 기억시킨다.
단계 S101b에서, 이동국 UE #1은 제2 무선 제어 장치 RNC #2로부터 라우팅 영역 RA #2의 식별자 RAI #2를 취득하여 RAI 기억부(13)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와 제3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는 동일한 NRI #1인 것으로 한다.
단계 S111에서,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서 폭주 또는 장해가 발생한다. 단계 S112에서,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은 폭주 또는 장해가 발생한 취지를 통지하기 위한 상태 신호를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에 송신한다.
단계 S113에서,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은 이러한 상태 신호에 의해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서 폭주 또는 장해가 발생한 것을 검지하고,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 #1을 포함하는 액세스 제한 신호를 라우팅 영역 RA #1 내의 이동국 UE에 대하여 송신한다.
단계 S114에서,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은 라우팅 영역의 식별자 RAI #1을 통지하기 위한 통보 신호를 라우팅 영역 RA #1 내의 이동국에 대하여 송신한다.
단계 S115a에서, 이동국 UE #1은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로부터 송신된 액세스 제한 신호에 포함되는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 #1과, TMSI에 포함되는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 #1가 일치하고, 또한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로부터의 통보 신호에 의해 통지된 라우팅 영역의 식별자 RAI #1과, RAI 기억부(13)에 기억되어 있는 라우팅 영역의 식별자 RA1 #1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이동국 UE #1은 이러한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에 대한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의 송신을 정지한다.
한편, 단계 S115b에서, 새롭게 라우팅 영역 RA #1로 이동해 온 이동국 UE #3은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로부터 송신된 액세스 제한 신호에 포함되는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 #1과, TMSI에 포함되는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 #1이 일치하지만,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로부터의 통보 신호에 의해 통지된 라우팅 영역의 식별자 RAI #1과, RAI 기억부(13)에 기억되어 있는 라우팅 영역의 식별자 RAI #2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단계 S116에서, 이동국 UE #3은 이러한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무선 제어 장 치 RNC #1에 대하여, 라우팅 영역 RA #1에 있어서의 위치 등록 요구를 송신한다.
단계 S117 및 단계 S118에서, 이동국 UE #3으로부터의 위치 등록 요구는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을 통하여, 라우팅 영역 RA #1을 관리하는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전송되고, 이동국 UE #3의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대한 위치 등록 처리가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서 폭주나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동일한 라우팅 영역 RA #1을 관리하는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위치 등록하는 이동국 UE #2 및 새롭게 라우팅 영역 RA #1로 이동해 온 이동국 UE #3이 본래 액세스 가능한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에 대하여 액세스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제2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의 차이점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관한 이동국 UE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국 UE의 구성 요소에, SGSN-ID 기억부(16)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SGSN-ID 기억부(16)는 이동국 UE가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한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SGSN-ID"를 기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SGSN-ID 기억부(16)는 무선 제어 장치 RNC로부터 소정 타이밍에 송신된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 국의 식별자 SGSN-ID를 수신하여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무선 제어 장치 RNC는 이동국 UE의 위치 등록 처리 중에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SGSN-ID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이동국 UE의 위치 등록 처리 후에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SGSN-ID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SGSN-ID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모든 라우팅 영역 RA에 있어서,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을 일관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SGSN-lD는 TMSI보다 적은 데이터량을 갖는 정보이다.
또한, 판단부(15)는 무선 제어 장치 RNC로부터 액세스 제한 신호를 이용하여 통지된 SGSN-ID와, SGSN-ID 기억부(16)에 기억되어 있는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SGSN-ID가 일치하는 경우에, 무선 제어 장치 RNC에 대한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판단부(15)는 무선 제어 장치 RNC로부터 액세스 제한 해제 신호를 이용하여 통지된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SGSN-ID와, SGSN-ID 기억부(16)에 기억되어 있는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SGSN-ID가 일치하는 경우에, 무선 제어 장치 RNC에 대한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의 송신을 재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30la에서, 라우팅 영역 RA #1 내의 이동국 UE #1은 라우팅 영역 RA #1 을 관리하는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 대하여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고,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은 소정의 타이밍에서 이동국 UE #1의 위치 등록처의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SGSN-ID #1을 이동국 UE #1에 송신한다. 이동국 UE #1은 수신한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SGSN-ID #1을 SGSN-ID 기억부(16)에 기억시킨다.
마찬가지로, 단계 S301b에서, 라우팅 영역 RA #2 내의 이동국 UE #3은 라우팅 영역 RA #2를 관리하는 제3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3에 대하여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고, 제2 무선 제어 장치 RNC #2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이동국 UE #3의 위치 등록처의 제3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SGSN-ID #3을 이동국 UE #1에 송신한다. 이동국 UE #3은 수신한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SGSN-ID #3을 SGSN-ID 기억부(16)에 기억시킨다.
단계 S311에서는,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서 폭주 또는 장해가 발생한다. 단계 S312에서,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은 폭주 또는 장해가 발생한 취지를 통지하기 위한 상태 신호를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에 송신한다.
단계 S313에서,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은 이러한 상태 신호에 의해,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서 폭주 또는 장해가 발생한 것을 검지하고,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SGSN-ID #1을 포함하는 액세스 제한 신호를 라우팅 영역 RA #1 내의 이동국 UE에 대하여 송신한다.
단계 S314a에서, 이동국 UE #1은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로부터 송신된 액세스 제한 신호에 포함되는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SGSN-ID #1과 SGSN-ID 기억부(16)에 기억되어 있는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SGSN-ID #1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이동국 UE #1은 이러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에 대한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의 송신을 정지한다.
한편, 단계 S314b에서, 새롭게 라우팅 영역 RA #1로 이동한 이동국 UE #3은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로부터 송신된 액세스 제한 신호에 포함되는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SGSN-ID #1과, SGSN-ID 기억부(16)에 기억되어 있는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식별자 SGSN-ID #3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단계 S315에서, 이동국 UE #3은 이러한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에 대하여, 라우팅 영역 RA #1에서의 위치 등록 요구를 송신한다.
단계 S316 및 단계 S317에 있어서, 이동국 UE #3으로부터의 위치 등록 요구는,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을 통하여 라우팅 영역 RA #1을 관리하는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전송되고, 이동국 UE #3의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대한 위치 등록 처리가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SGSN-ID가 모든 라우팅 영역에서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을 일관되게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국 UE는 이러한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SGSN-ID의 비교에 의해, 무선 제어 장치 RNC에 대한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 호의 송신을 제어할 수 있고, 이동국 UE에 있어서의 처리 부하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의 차이점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관한 무선 제어 장치 RNC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관한 무선 제어 장치 RNC의 구성 요소에, NRI 관리부(26)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NRI 관리부(26)는 다른 무선 제어 장치 RNC와 협동하여,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가, 상기 무선 제어 장치 RNC에 의해 관리되는 라우팅 영역 RA 및 당해 라우팅 영역 RA에 인접하는 라우팅 영역 RA 내에서,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을 일관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우팅 영역 RA #1을 관리하는 무선 제어 장치 RNC는 라우팅 영역 RA #2 내지 RA #7을 관리하는 무선 제어 장치 RNC와 협동하여,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가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을 일관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구성을 갖는다.
다만, 라우팅 영역 RA #1 및 RA #8에서는, 상이한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대하여, 동일한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가 할당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무선 제어 장치 RNC가 협동하여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의 할당을 행하여도 되고, 별개로 독립된 NRI 관리 장치(도시 안 됨)가 일괄하여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의 할당을 행하여도 된다.
후자의 경우, NRI 관리부(26)는 NRI 관리 장치에 의해 할당된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제어 장치 RNC에 의해 관리되는 라우팅 영역 RA 및 당해 라우팅 영역 RA에 인접하는 라우팅 영역 RA 내에 있어서,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을 일관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를 할당하고 있지만,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을 일관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를 할당하는 라우팅 영역 RA를 다른 범위로 하여 설정해도 된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401a에서, 라우팅 영역 RA #1 내의 이동국 UE #1은 라우팅 영역 RA #1을 관리하는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 대하여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고,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로부터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 #1을 포함하는 TMSI를 취득하여 TMSI 기억부(12)에 기억시킨다.
마찬가지로, 단계 S40lb에서, 라우팅 영역 RA #2 내의 이동국 UE #3은 라우 팅 영역 RA #2를 관리하는 제3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3에 대하여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고, 제2 무선 제어 장치 RNC #2로부터 제3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 #11을 포함하는 TMSI를 취득하여 TMSI 기억부(12)에 기억시킨다.
여기서, 라우팅 영역 RA #1 및 RA #2는 인접하고 있으므로, 라우팅 영역 RA #1을 관리하는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 #1과 라우팅 영역 RA #2를 관리하는 제3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 #11에는 별개의 식별자가 할당되어 있다.
단계 S411에서는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서 폭주 또는 장해가 발생한다. 단계 S412에서,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은 폭주 또는 장해가 발생한 취지를 통지하기 위한 상태 신호를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에 송신한다.
단계 S413에서,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은 이러한 상태 신호에 의하여,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서 폭주 또는 장해가 발생한 것을 검지하고,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 #1을 포함하는 액세스 제한 신호를 라우팅 영역 RA #1 내의 이동국 UE에 대하여 송신한다.
단계 S414a에서, 이동국 UE #1은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로부터 송신된 액세스 제한 신호에 포함되는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 #1과 TMSI에 포함되는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 #1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이동국 UE #1은 이러한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에 대한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의 송신을 정지한다.
한편, 단계 S414b에서, 라우팅 영역 RA #1로 새롭게 이동해 온 이동국 UE #3은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로부터 송신된 액세스 제한 신호에 포함되는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 #1과 TMSI에 포함되는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 #11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단계 S415에서, 이동국 UE #3은 이러한 판단 결과에 따라,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에 대하여, 라우팅 영역 RA #1에 있어서의 위치 등록 요구를 송신한다.
단계 S416 및 단계 S417에서, 이동국 UE #3으로부터의 위치 등록 요구는 제1 무선 제어 장치 RNC #1을 통하여 라우팅 영역 RA #1을 관리하는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전송되고, 이동국 UE #3의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대한 위치 등록 처리가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가 특정의 범위의 라우팅 영역에서,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을 일관되게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국 UE는 이러한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의 식별자 NRI의 비교에 의하여, 무선 제어 장치 RNC에 대한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의 송신을 제어할 수 있고, 이동국 UE에서의 처리 부하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변경예)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을 사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대신에, 회선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MSC/VLR을 이용한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 등록 영역으로서 라우팅 영역 RA를 이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위치 등록 영역으로서 로케이션 영역 등을 사용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에서 폭주나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동일한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는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에 위치 등록하는 이동국 및 새롭게 당해 위치 등록 영역으로 이동해 온 이동국이 본래 액세스 가능한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에 대하여 액세스를 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방법, 이러한 이동 통신 방법에 이용되는 이동국 및 무선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다른 장점들과 변형예를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대표적인 실시예와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청구의 범위와 그 균등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일반적인 발명의 개념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8)

  1. 적어도 2개의 교환국이 동일한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고, 무선 제어 장치가 상기 적어도 2개의 교환국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는 어느 하나의 교환국에 대하여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는 이동국으로서,
    상기 무선 제어 장치로부터 액세스 제한 신호를 이용하여 통지된 교환국의 식별자와, 상기 이동국이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한 교환국의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 제어 장치에 대한 신호의 송신을 정지시키는 통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한 위치 등록 영역에서 할당된 상기 이동국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이동국 식별자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제어 장치로부터 액세스 제한 신호를 이용하여 통지된 교환국의 식별자와, 상기 이동국의 식별자에 포함되는 교환국의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 제어 장치에 대한 신호의 송신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한 위치 등록 영역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위치 등록 영역 식별자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제어 장치로부터 액세스 제한 신호를 이용하여 통지된 교환국의 식별자와 상기 이동국의 식별자에 포함되는 교환국의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에, 또한 상기 무선 제어 장치로부터 통지된 위치 등록 영역의 식별자와 상기 위치 등록 영역 식별자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위치 등록 영역의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 제어 장치에 대한 신호의 송신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이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한 교환국의 식별자를 상기 무선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기억하는 교환국 식별자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제어 장치로부터 액세스 제한 신호를 이용하여 통지된 교환국의 식별자와, 상기 교환국 식별자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교환국의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 제어 장치에 대한 신호의 송신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국의 식별자는 특정의 위치 등록 영역 및 인접하는 위치 등록 영역 내에서, 각 교환국을 일관되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제어 장치로부터 액세스 제한 해제 신호를 이용하여 통지된 교환국의 식별자와, 상기 이동국이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한 교환국의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 제어 장치에 대한 신호의 송신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7. 적어도 2개의 교환국이 동일한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교환국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는 무선 제어 장치로서,
    접속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교환국의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부와;
    상기 감시부에 의해 특정의 교환국에 대한 액세스가 불가능한 것으로 검지된 경우, 상기 무선 제어 장치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특정의 교환국의 식별자를 통지하는 교환국 식별자 통지부와;
    상기 무선 제어 장치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이동 등록 영역의 식별자를 통지하는 위치 등록 영역 식별자 통지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제어 장치.
  8. 적어도 2개의 교환국이 동일한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고, 무선 제어 장치가 상기 적어도 2개의 교환국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는 어느 하나의 교환국에 대하 여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는 이동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한 위치 등록 영역에서 할당된 상기 이동국의 식별자를 기억하는 공정과;
    상기 무선 제어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교환국 중에서 특정의 교환국에 대한 액세스가 불가능한 것으로 검지하는 공정과;
    상기 무선 제어 장치가 상기 무선 제어 장치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특정의 교환국의 식별자를 통지하는 공정과;
    상기 무선 제어 장치가 상기 무선 제어 장치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에 대하여 상기 이동 등록 영역의 식별자를 통지하는 공정과;
    상기 이동국이 상기 무선 제어 장치로부터 액세스 제한 신호를 이용하여 통지된 교환국의 식별자와, 상기 이동국의 식별자에 포함되는 교환국의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무선 제어 장치에 대한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방법.
KR1020050027199A 2004-03-31 2005-03-31 이동 통신 방법, 이동국 및 무선 제어 장치 KR1006814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08113A JP4288199B2 (ja) 2004-03-31 2004-03-31 移動通信方法、移動局及び無線制御装置
JPJP-P-2004-00108113 2004-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389A true KR20060045389A (ko) 2006-05-17
KR100681404B1 KR100681404B1 (ko) 2007-02-09

Family

ID=34880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199A KR100681404B1 (ko) 2004-03-31 2005-03-31 이동 통신 방법, 이동국 및 무선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25262B2 (ko)
EP (1) EP1583382A1 (ko)
JP (1) JP4288199B2 (ko)
KR (1) KR100681404B1 (ko)
CN (1) CN10044104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647B1 (ko) * 2006-05-20 2006-10-18 강신만 영사기 안전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97548A1 (en) * 2000-06-14 2001-12-2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 location registration
JP4480512B2 (ja) * 2004-08-10 2010-06-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制御装置
CN100455138C (zh) * 2006-08-01 2009-01-21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核心网故障恢复后业务重分担的方法
JP4889435B2 (ja) 2006-10-11 2012-03-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パケット通信方法及び移動局
JP5284577B2 (ja) 2006-11-13 2013-09-11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基地制御局およびルーチング方法
CN100488314C (zh) * 2007-01-24 2009-05-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3g网络中对用户端的接入进行限制的方法
KR101155567B1 (ko) 2007-07-31 2012-06-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184114B (zh) * 2007-10-31 2010-06-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分组域临时移动用户标志的分配方法
US8818333B2 (en) * 2008-06-10 2014-08-26 Alcatel Lucent Method for handling roaming of mobile device to restricted area
JP5121624B2 (ja) * 2008-08-08 2013-01-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及び回線交換局
US8194581B1 (en) 2008-11-04 2012-06-05 Cellco Partnership Account holder notification for an infracting mobile station or mobile directory number (MDN)
CN101742644B (zh) * 2008-11-07 2012-10-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通知方法、用户设备及无线网络控制器
JP5042248B2 (ja) * 2009-01-22 2012-10-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移動体通信システム、呼制御サーバ及びアクセスゲートウェイ装置
US8774073B1 (en) * 2010-03-04 2014-07-08 Cellco Partnership Issuance of sleep commands to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from radio network controller
JP5536694B2 (ja) * 2011-02-25 2014-07-02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サービス提供gprsサポートノード、および、移動通信方法
JP5223952B2 (ja) 2011-08-12 2013-06-26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局、交換局および移動局の位置登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3294B2 (ja) * 1988-12-23 1998-05-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パケット輻輳制御方法およびパケット交換装置
JP2903827B2 (ja) 1992-02-05 1999-06-14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網のトラヒック配分制御方式
JPH07264662A (ja) 1994-03-18 1995-10-13 Fujitsu Ltd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携帯端末位置管理方法、携帯端末、交換機、位置管理装置および携帯端末再接続方式
US5862480A (en) * 1995-12-26 1999-01-1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ervice accessibility between differing radio telecommunication networks
FI103084B1 (fi) * 1997-01-20 1999-04-1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Pakettiradioverkko ja menetelmä reititysalueen päivittämiseksi
JP2940526B2 (ja) * 1997-08-08 1999-08-25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
US6505044B1 (en) * 1998-09-24 2003-01-07 Nokia Telecommunications Oy Indicator in the mobility management (MM) procedures to specify the procedure type executed in the core network (CN) entities
FI107685B (fi) 1998-11-19 2001-09-14 Nokia Networks Oy Palvelun toimittaminen
US6507563B1 (en) * 1998-12-24 2003-01-14 Cisco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gestion within diverse protocol stacks
JP2000197088A (ja) 1998-12-25 2000-07-14 Nec Corp 移動網交換局の輻輳回避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4022017B2 (ja) * 1999-03-17 2007-12-12 富士通株式会社 Lan中継装置
SE515986C2 (sv) * 1999-12-10 2001-11-05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i ett telekommunikationssystem
SE0000908L (sv) * 2000-03-20 2001-09-21 Ericsson Telefon Ab L M Load regulation
AU2000245676A1 (en) 2000-05-22 2001-12-03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nec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3466999B2 (ja) * 2000-07-13 2003-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
JP3489558B2 (ja) 2000-10-23 2004-01-19 日本電気株式会社 パケット交換における簡易認証用番号による処理機能の特定方法及びその装置
ATE525871T1 (de) * 2001-02-14 2011-10-15 Ericsson Telefon Ab L M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standortinformationen in einem kernnetz mit vielfachservern
WO2002069660A1 (en) * 2001-02-23 2002-09-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ocation update procedure when roaming from a first communications service domain to a second communications service domain
JP4608830B2 (ja) * 2001-08-22 2011-01-12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並びにこれに用いる移動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3264860A (ja) * 2002-01-07 2003-09-19 Fujitsu Ltd 移動機の使用者の行動を反映する情報の提供方法とそれを実現する移動交換局、情報提供装置および移動機
JP4026118B2 (ja) * 2002-02-20 2007-12-26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端末、緊急呼管理装置、緊急呼管理システム及び緊急呼の管理方法
AU2003241592A1 (en) * 2002-05-21 2003-12-12 Jesse E. Russell An advanced multi-network client device for wideband multimedia access to private and public wireless networks
FR2840476B1 (fr) * 2002-05-30 2004-07-16 Nortel Networks Ltd Procede de restriction de l'usage d'un terminal radio et dispositif de restriction associe
US20050048984A1 (en) * 2003-05-30 2005-03-03 Foster Neal C. System and method for group restricted access of a shared access controll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647B1 (ko) * 2006-05-20 2006-10-18 강신만 영사기 안전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25262B2 (en) 2011-04-12
US20050233745A1 (en) 2005-10-20
EP1583382A1 (en) 2005-10-05
KR100681404B1 (ko) 2007-02-09
CN100441040C (zh) 2008-12-03
JP4288199B2 (ja) 2009-07-01
CN1678123A (zh) 2005-10-05
JP2005295264A (ja)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1404B1 (ko) 이동 통신 방법, 이동국 및 무선 제어 장치
KR100681405B1 (ko) 이동 통신 방법 및 무선 제어 장치
US1127247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user equipment and a mobility management entity thereof
EP1190591B1 (en) Arranging control signallings in telecommunication system
AU2010350963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achine Type Communication equipment to access network
US8416744B2 (en) Management of mobile terminals in a communication system allowing for multiple-tracking area registration
EP12823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load sharing within a core network
EP1767036B1 (en) Verifying availability of idle-mode mobile subscriber stations in a wireless access system
EP4178284A1 (en) Network entity,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the control and use of network slices
US200600145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5295232A (ja) 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局
JP4886670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自動接続復旧ノード
JP4950983B2 (ja) 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制御装置
KR10091409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선 관리 방법
JP4516997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移動局及び交換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