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1405B1 - 이동 통신 방법 및 무선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방법 및 무선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1405B1
KR100681405B1 KR1020050027200A KR20050027200A KR100681405B1 KR 100681405 B1 KR100681405 B1 KR 100681405B1 KR 1020050027200 A KR1020050027200 A KR 1020050027200A KR 20050027200 A KR20050027200 A KR 20050027200A KR 100681405 B1 KR100681405 B1 KR 100681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station
mobile station
switching station
sgs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5390A (ko
Inventor
가쓰히로 노구치
가즈유키 고즈
고타 후지무라
다카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60045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2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signalling between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 controllers and backbone network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제1 교환국 SGSN #1에서 폭주나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동일한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는 제2 교환국 SGSN #2에 위치 등록하는 이동국 UE #2가, 본래 액세스 가능했던 제2 교환국 SGSN #2에 대하여 액세스를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 제어 장치 RNC는 이동국 UE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이동국 UE에 관련된 제1 교환국 SGSN #1 또는 제2 교환국 SGSN #2에 대해 전송하는 전송부(26)와, 제1 교환국 SGSN #1 및 제2 교환국 SGSN #2의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부(25)를 구비한다. 감시부(25)가 제1 교환국 SGSN #1에 대하여 액세스가 불가능함을 검지하는 경우, 전송부(26)는 제1 교환국 SGSN #1에 관련된 이동국 UE #1로부터의 신호를 제2 교환국 SGSN #2에 전송한다.
교환국, 무선 제어 장치, 이동국, 이동 통신 시스템, 위치 등록 영역

Description

이동 통신 방법 및 무선 제어 장치{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NETWORK CONTROLLER}
도 1은 종래 기술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무선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SGSN #1 인터페이스 22 : SGSN #2 인터페이스
23 : UE 인터페이스 24 : UE 관리부
25 : SGSN 상태 감시부 26 : 신호 처리부
본 발명은 무선 제어 장치와, 동일한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는 제1 교환국 및 제2 교환국에 의해 행해지는 이동 통신 방법 및 이러한 이동 통신 방법으로 이용되는 무선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동일한 위치 등록 영역을 복수개의 교환국에서 관리함으로써, 각 교환국에서의 처리 부하의 분산을 도모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도 1a를 참조하여, 이러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제어 장치 RNC가 소정의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lu-flex 인터페이스)로, 동일한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는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 및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접속되어 있다.
무선 제어 장치 RNC는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 UE로부터의 위치 등록 요구를 수신한 경우,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의 부하(負荷)의 상황에 따라, 당해 이동국 UE의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는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을 결정하고, 결정한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대하여 당해 이동국 UE로부터의 이동 등록 요구를 전송한다.
도 1a에서는, 이동국 UE #1이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 대하여 위치 등록하고,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을 통하여 각종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를 송신하고 있다.
한편, 이동국 UE #1과 동일한 위치 등록 영역에 재권(在圈)하는 이동국 UE #2는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대하여 위치 등록하고,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를 통하여 각종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를 송신하 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동일한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는 복수개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중에서 1개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서 폭주(輻輳)나 장해가 발생한 경우, 당해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위치 등록하는 이동국 UE 뿐만 아니라, 당해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는 다른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위치 등록하고 있는 이동국 UE도, 위치 등록처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대하여 각종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를 송신할 수 없는, 즉 패킷 교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S1에 있어서,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서 폭주나 장해가 발생한 경우, 단계 S2에서,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은 그 취지를 통지하는 상태 신호를 무선 제어 장치 RNC에 송신한다.
단계 S3에서, 무선 제어 장치 RNC는 패킷 교환 서비스 도메인에 대한 액세스를 규제하는 액세스 제한 신호를 이동국 UE에 대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제어 장치 RNC가 액세스 제한 신호에 있어서, 폭주나 장해가 발생한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을 특정할 수 없다. 따라서, 단계 S4에서, 이동국 UE #1이 수신한 액세스 제한 신호에 따라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로 향하는 각종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는 동시에, 단계 S5에서, 이동국 UE #2도 수신한 액세스 제한 신호에 따라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로 향하는 각종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의 송신을 정지한다.
[일반 참조 문헌 1] 3GPP 표준사양 TS 23.236 "Intra-domain connection of Radio Access Network(RAN) nodes to multiple Core Network(CN) nodes"
[일반 참조 문헌 2] 3GPP 표준사양 TS 25.331 "Radio Resource Control(RRC) protocol specific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에서 폭주나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동일한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는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에 위치 등록하는 이동국이, 본래 액세스 가능했던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에 대하여 액세스를 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방법 및 이러한 이동 통신 방법에 이용되는 무선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동일한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는 제1 교환국 및 제2 교환국에 접속되어 있는 무선 제어 장치로서, 상기 무선 제어 장치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과 상기 제1 교환국 또는 상기 제2 교환국을 관련시켜 관리하는 관리부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상기 이동국에 관련된 상기 제1 교환국 또는 상기 제2 교환국에 대하여 전송하는 전송부와, 상기 제1 교환국 및 상기 제2 교환국의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감시부가 상기 제1 교환국에 대한 액세스가 불가능함을 검지하는 경우,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1 교환국에 관련된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제2 교환국에 전송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제1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제1 교환국에서 폭주 또는 장해가 발생한 취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제1 교환국에 대한 액세스가 불가능함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제1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제1 교환국에서의 부하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교환국에서의 부하에 따라 상기 제1 교환국에 관련된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제2 교환국에 전송하는 비율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무선 제어 장치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이 상기 제1 교환국 또는 상기 제2 교환국에 대하여 위치 등록 처리를 완료한 후에, 상기 이동국에 할당된 일시적 사용자 식별자(TMSI)와, 상기 제1 교환국 또는 상기 제2 교환국을 관련시켜 관리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가 상기 제1 교환국에 대한 액세스가 가능함을 검지하는 경우,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1 교환국에 관련된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제1 교환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가 상기 제1 교환국에 대한 액세스가 불가능함을 검지하는 경우,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1 교환국에 관련된 이동국으로부터의 특정 신호를 상기 제2 교환국에 전송하고, 상기 제1 교환국에 관련된 이동국으로부터의 특정 신호 이외의 신호를 상기 제1 교환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되 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무선 제어 장치와, 동일한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는 제1 교환국 및 제2 교환국에 의해 행해지는 이동 통신 방법으로서, 이동국이 상기 무선 제어 장치에 대하여 위치 등록 요구를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무선 제어 장치가 상기 제1 교환국에 대하여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상기 위치 등록 요구를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국과 상기 제1 교환국을 관련시켜 관리하는 공정과, 상기 무선 제어 장치가 상기 제1 교환국에 대한 액세스가 불가능함을 검지하는 공정과, 상기 무선 제어 장치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제2 교환국에 전송하는 공정과,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2 교환국에 대하여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에서 폭주나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동일한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는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에 위치 등록하는 이동국이, 본래 액세스 가능했던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에 대해 액세스를 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방법 및 이러한 이동 통신 방법에 이용되는 무선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4년 3월 31일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P2004-107863에 기초하고 그 우선권을 주장한다. 상기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가 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과 동일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과의 차이점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제어 장치 RNC는 동일한 위치 등록 영역(예를 들면, 라우팅 영역이나 로케이션 영역 등)을 관리하는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노드) SGSN #1 및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노드) SGSN #2에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제어 장치 RNC는 SGSN #1 인터페이스(21), SGSN #2 인터페이스(22), UE 인터페이스(23), UE 관리부(24), SGSN 상태 감시부(25) 및 신호 처리부(26)를 구비하고 있다.
SGSN #1 인터페이스(21)는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과의 통신 인터페이스이며, SGSN #2 인터페이스(22)는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과의 통신 인터페이스이며, UE 인터페이스(23)는 무선 제어 장치 RNC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 UE #1 및 UE #2와의 사이에 설정되는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그리고, SGSN #1 인터페이스(21) 및 SGSN #2 인터페이스(22)는 lu-flex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UE 관리부(24)는 무선 제어 장치 RNC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 UE와,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 또는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를 관련시켜 관리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UE 관리부(24)는 무선 제어 장치 RNC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 UE가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 또는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대하여 위치 등록 처리를 완료한 후에, 신호 처리부(26)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당해 이동국 UE의 TMSI(일시적인 사용자 식별자: 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와,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 또는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의 식별자를 관련시켜 관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이동국 UE #1이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 위치 등록하고, 이동국 UE #2가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위치 등록하고 있으므로, UE 관리부(24)는 이동국 UE #1의 TMSI "UE #1_TMSI"와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 "#1"을 관련시키는 동시에, 이동국 UE #2의 TMSI "UE #2_TMSI"와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 "#2"를 관련시킨다.
또, UE 관리부(24)는, 신호 처리부(26)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각 이동국 UE의 위치 등록처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이 변경된 것을 검지한 경우, 관리 내용을 갱신한다.
SGSN 상태 감시부(25)는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 및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의 상태를 감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SGSN 상태 감시부(25)는,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로부터 송신된 상태 신호에 따라,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대한 액세스 가 불가능하게 된 것(예를 들면,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서 고장이 발생한 것 또는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의 부하가 소정의 임계값을 넘은 것)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SGSN 상태 감시부(25)는,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으로부터 송신된 상태 신호에 따라,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대한 액세스가 가능하게 된 것(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서 고장이 회복된 것 또는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의 부하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로 된 것)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SGSN 상태 감시부(25)는,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으로부터 송신된 상태 신호에 따라,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서의 부하를 감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신호 처리부(26)는 각 인터페이스(21~23)를 통하여 송수신하는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부(26)는 무선 제어 장치 RNC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 UE로부터의 위치 등록 요구를 수신한 경우,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 및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의 부하 상황에 따라, 이러한 이동국 UE의 위치 등록처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을 결정하고, 결정한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대하여 이러한 위치 등록 요구를 전송한다.
여기서, 위치 등록 요구에는 패킷 교환 서비스용 위치 등록 갱신 신호(Normal Routing Area Update)나 패킷 교환 서비스용 어태치 신호(GPRS attach) 등 이 포함된다.
또한, 신호 처리부(26)는 무선 제어 장치 RNC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 UE로부터의 각종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를, 당해 이동국 UE의 위치 등록처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즉 UE 관리부(24)에서 당해 이동국 UE에 관련된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대하여 전송한다. 각종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는 패킷 교환 서비스를 이용할 때 송신되는 임의의 신호이다.
또한, 신호 처리부(26)는, SGSN 상태 감시부(25)에 의해 소정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제1 교환국)에 대한 액세스가 불가능한 것으로 검지되었을 경우, 이러한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제1 교환국)에 위치 등록되어 있는 이동국 UE로부터의 각종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를, 액세스 가능한 다른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제2 교환국)에 대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26)는, SGSN 상태 감시부(25)에 의해 소정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제1 교환국)이 복구되어, 액세스가 가능하게 된 것이 검지되었을 경우, 위치 등록처를 다른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으로 변경한 이동국 UE로부터의 각종 패킷 교환용 서비스 신호를, 소정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제1 교환국)에 되돌리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신호 처리부(26)는 무선 제어 장치 RNC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 UE의 위치 등록처가 변경되었을 경우, 그 취지를 UE 관리부(24)에 통지한다.
예를 들면, 신호 처리부(26)는, SGSN 상태 감시부(25)에 의해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 대한 액세스가 불가능함이 검지되었을 경우,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 위치 등록되어 있는 이동국 UE #1로부터의 각종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를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전송하고, 이동국 UE #1의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대한 위치 등록이 완료한 후, 그 취지를 UE 관리부(24)에 통지한다. 그 결과, UE 관리부(24)는 이동국 UE #1에 대하여 새로운 TMSI를 부여하는 동시에, 이러한 TMSI를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의 식별자에 관련시킨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26)는,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대한 액세스가 불가능함을 검지한 경우라도, UE 인터페이스(23)를 통하여, 무선 제어 장치 RNC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 UE에 대하여, 해당하는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대한 액세스 제한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신호 처리부(26)는,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대한 액세스가 가능함을 검지한 경우에도, UE 인터페이스(23)를 통하여 무선 제어 장치 RNC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 UE에 대하여, 해당하는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대한 액세스 제한 해제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신호 처리부(26)는, SGSN 상태 감시부(25)에 의해 감시되는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의 부하에 따라,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관련된 이동국 UE로부터의 각종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를 다른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에 전송하는 비율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신호 처리부(26)는, 각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의 부하가 소정값을 넘었을 경우, 소정 개수의 이동국 UE로부터의 각종 패킷 교환 서비스 용 신호를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전송한다.
또, 신호 처리부(26)는, SGSN 상태 감시부(25)에 의해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 대한 액세스가 불가능함을 검지하는 경우,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 관련된 이동국 UE로부터의 특정 신호를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전송하고,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 관련된 이동국 UE로부터의 특정 신호 이외의 신호를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부(26)는, SGSN 상태 감시부(25)에 의해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 대한 액세스가 불가능함을 검지하는 경우(예를 들면,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의 부하가 소정의 임계치를 넘었을 경우 등),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 관련된 이동국 UE로부터의 모든 신호를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의 신호만을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101에서,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 및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의해 관리되는 위치 등록 영역에 진입한(또는, 이러한 위치 등록 영역 내에서 전원을 온(ON)으로 한) 이동국 UE #1은 무선 제어 장치 RNC에 대하여 위치 등록 요구를 송신한다.
단계 S102에서, 무선 제어 장치 RNC는,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 및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의 부하에 따라, 이동국 UE #1의 위치 등록처의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을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로 결정한다.
단계 S103에서, 무선 제어 장치 RNC는 이동국 UE #1로부터의 위치 등록 요구를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 전송한다.
단계 S104에서는 이동국 UE #1의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 대한 위치 등록 처리가 행해진다. 이동국 UE #1의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 대한 위치 등록 처리가 완료된 후, 무선 제어 장치 RNC는, 이동국 UE #1에 대하여 할당된 TMSI와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을 관련시켜 관리한다.
단계 S11O에 있어서는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서 폭주 또는 장해가 발생한다. 단계 S111에서,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은, 폭주 또는 장해가 발생한 취지를 통지하기 위한 상태 신호를 무선 제어 장치 RNC에 송신한다. 무선 제어 장치 RNC는, 이러한 상태 신호에 의해,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서 폭주 또는 장해가 발생한 것을 검지한다.
단계 S121에서, 이동국 UE #1은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를 무선 제어 장치 RNC에 송신한다. 무선 제어 장치 RNC는, 단계 S122에서, 이동국 UE #1의 위치 등록처인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서 폭주 또는 장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단계 S123에서, 이러한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를 제2 패킷 교 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대하여 전송한다.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는, 단계 S124에서, 이동국 UE #1이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대해 위치 등록하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단계 S125에서, 이동국 UE #1의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는 이동국 UE #1에 대하여 위치 등록 요구를 송신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이동국 UE #1의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수신한 패킷 교환 서비스용 신호를 위치 등록 요구인 것으로 하여, 이동국 UE #1의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동국 UE #1의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대한 위치 등록 처리가 완료된 후, 무선 제어 장치 RNC는, 이동국 UE #1에 대하여 새롭게 할당된 TMSI와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를 관련시켜 관리한다.
그 후, 무선 제어 장치 RNC는,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이 복구되어 액세스가 가능하게 된 것을 검지하는 경우, 이동국 UE #1로부터의 패킷 교환용 서비스 신호를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은 이동국 UE #1의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 대한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한다.
또,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의 부하가 소정값을 넘은 경우,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 위치 등록되어 있는 모든 이동국 UE의 패킷 교환용 서비스 신호를,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의 부하 상황에 따른 소정 개수의 이동국 UE의 패킷 교환용 서비스 신호를,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전송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교환국 및 제2 교환국이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인 경우의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교환국 및 제2 교환국이 회선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MSC/VLR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제1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1에서 폭주나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동일한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는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위치 등록하고 있는 이동국 UE #2가, 본래 액세스 가능했던 제2 패킷 교환 서비스용 교환국 SGSN #2에 대해 액세스를 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방법 및 이러한 이동 통신 방법에 이용되는 무선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다른 장점들과 변형예를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대표적인 실시예와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청구의 범위와 그 균등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일반적인 발명의 개념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7)

  1. 동일한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는 적어도 제1 교환국 및 제2 교환국에 접속되는 무선 제어 장치로서,
    상기 무선 제어 장치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과, 상기 제1 교환국 또는 상기 제2 교환국을 관련시켜 관리하는 관리부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상기 이동국에 관련된 상기 제1 교환국 또는 상기 제2 교환국에 대하여 전송하는 전송부와;
    상기 제1 교환국 및 상기 제2 교환국의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부
    를 구비하고,
    상기 감시부가, 상기 제1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제1 교환국에서 폭주 또는 장해가 발생한 취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제1 교환국에 대한 액세스가 불가능함을 검지하는 경우,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1 교환국에 관련된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제2 교환국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제1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제1 교환국에서의 부하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교환국에서의 부하에 따라, 상기 제1 교환국에 관련된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제2 교환국에 전송하는 비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무선 제어 장치의 제어하에 있는 이동국이 상기 제1 교환국 또는 상기 제2 교환국에 대하여 위치 등록 처리를 완료한 후에, 상기 이동국에 할당된 일시적인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제1 교환국 또는 상기 제2 교환국을 관련시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가 상기 제1 교환국에 대한 액세스가 가능함을 검지하는 경우,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1 교환국에 관련된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제2 교환국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가 상기 제1 교환국에 대한 액세스가 불가능함을 검지하는 경우,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1 교환국에 관련된 이동국으로부터의 특정 신호를 상기 제2 교환국에 전송하고, 상기 제1 교환국에 관련된 이동국으로부터의 특정 신호 이외의 신호를 상기 제1 교환국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제어 장치.
  7. 무선 제어 장치와, 동일한 위치 등록 영역을 관리하는 제1 교환국 및 제2 교환국에 의해 행해지는 이동 통신 방법으로서,
    이동국이 상기 무선 제어 장치에 대하여 위치 등록 요구를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무선 제어 장치가 상기 제1 교환국에 대하여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상기 위치 등록 요구를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이동국과 상기 제1 교환국을 관련시켜 관리하는 공정과;
    상기 무선 제어 장치가 상기 제1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제1 교환국에서 폭주 또는 장해가 발생한 취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제1 교환국에 대한 액세스가 불가능함을 검지하는 공정과;
    상기 무선 제어 장치가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제2 교환국에 전송하는 공정과;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2 교환국에 대하여 위치 등록 처리를 행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방법.
KR1020050027200A 2004-03-31 2005-03-31 이동 통신 방법 및 무선 제어 장치 KR100681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07863 2004-03-31
JP2004107863A JP4301989B2 (ja) 2004-03-31 2004-03-31 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390A KR20060045390A (ko) 2006-05-17
KR100681405B1 true KR100681405B1 (ko) 2007-02-09

Family

ID=34880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200A KR100681405B1 (ko) 2004-03-31 2005-03-31 이동 통신 방법 및 무선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24971B2 (ko)
EP (2) EP1583388B1 (ko)
JP (1) JP4301989B2 (ko)
KR (1) KR100681405B1 (ko)
CN (1) CN10046918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97548A1 (en) * 2000-06-14 2001-12-2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 location registration
US7519354B2 (en) * 2005-12-15 2009-04-14 At&T Mobility Ii Llc Dynamic authentication configuration in a network
JP4992308B2 (ja) * 2006-06-14 2012-08-08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動作制御方法、位置管理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CN101128047B (zh) * 2006-08-15 2010-04-14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核心网业务重分配的方法
JP5284577B2 (ja) * 2006-11-13 2013-09-11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基地制御局およびルーチング方法
US7660267B2 (en) * 2008-01-16 2010-02-09 Alcatel-Lucent Usa Inc. Homing of user nodes to network nodes in a communication system
JP5169366B2 (ja) * 2008-03-25 2013-03-27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の位置登録制御方法
JP5205236B2 (ja) * 2008-12-04 2013-06-0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移動局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JP5042248B2 (ja) * 2009-01-22 2012-10-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移動体通信システム、呼制御サーバ及びアクセスゲートウェイ装置
DE102009016403B4 (de) 2009-04-07 2018-03-29 Vodafone Holding Gmbh Überprüfung der Funktionsfähigkeit von Vermittlungseinrichtungen eines Mobilfunknetzes
US20130083650A1 (en) * 2010-05-11 2013-04-04 Nec Europe Ltd. Method for handling failure of a mme in a lte/epc network
JP5223952B2 (ja) 2011-08-12 2013-06-26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移動局、交換局および移動局の位置登録方法
JP5252062B2 (ja) * 2011-10-31 2013-07-31 日本電気株式会社 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移動管理装置及び移動局
KR101998385B1 (ko) 2011-12-06 2019-07-09 니토 보세키 가부시기가이샤 비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유리 섬유 및 이것을 이용한 섬유 강화 수지 성형체
JP5252113B2 (ja) * 2012-12-10 2013-07-31 日本電気株式会社 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WO2014191053A1 (en) * 2013-05-31 2014-12-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rvice layer control aware control signalling in a communication network
EP3793230A3 (en) 2015-03-12 2021-05-26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node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304A (ko) * 1999-07-27 2001-02-15 김영환 카오디오용 앰프 구조
KR20030039911A (ko) * 2001-11-16 2003-05-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동기 imt-2000 통신망 중 패킷망에서의 에스알엔에스재배치 방법 및 에스알엔에스 재배치 시스템
KR20030051427A (ko) * 2000-05-22 2003-06-25 노키아 코포레이션 통신 네트워크에서 연결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67089A (ko) * 2002-02-07 2003-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ggsn과의 호 설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0987A (en) * 1990-06-18 1993-11-09 Northern Telecom Limited Mobile communications
FI106288B (fi) * 1998-10-06 2000-12-29 Nokia Networks Oy Matkaviestimen yksilöiminen pakettiradioverkossa
US6480476B1 (en) * 1998-10-15 2002-11-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Variable sleep mode for mobile stations in a mobile communications
FI107685B (fi) * 1998-11-19 2001-09-14 Nokia Networks Oy Palvelun toimittaminen
FI109753B (fi) * 2000-01-14 2002-09-30 Nokia Corp Tietoliikennejärjestelmä, jolla on parannettu vikasieto
ATE525871T1 (de) 2001-02-14 2011-10-15 Ericsson Telefon Ab L M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standortinformationen in einem kernnetz mit vielfachservern
US20050079853A1 (en) * 2001-11-21 2005-04-14 Tuija Hurtta Broadcasting information about eligible network operators to mobile user equipments
US7423993B2 (en) * 2003-02-10 2008-09-09 Nokia Corporation Connection release in communication networ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304A (ko) * 1999-07-27 2001-02-15 김영환 카오디오용 앰프 구조
KR20030051427A (ko) * 2000-05-22 2003-06-25 노키아 코포레이션 통신 네트워크에서 연결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39911A (ko) * 2001-11-16 2003-05-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동기 imt-2000 통신망 중 패킷망에서의 에스알엔에스재배치 방법 및 에스알엔에스 재배치 시스템
KR20030067089A (ko) * 2002-02-07 2003-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ggsn과의 호 설정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P조사보고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95234A (ja) 2005-10-20
EP3229519A1 (en) 2017-10-11
KR20060045390A (ko) 2006-05-17
US7224971B2 (en) 2007-05-29
EP1583388A1 (en) 2005-10-05
CN1678122A (zh) 2005-10-05
EP1583388B1 (en) 2017-08-30
US20050227690A1 (en) 2005-10-13
CN100469181C (zh) 2009-03-11
JP4301989B2 (ja)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1405B1 (ko) 이동 통신 방법 및 무선 제어 장치
KR100681404B1 (ko) 이동 통신 방법, 이동국 및 무선 제어 장치
KR100458614B1 (ko) 원격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 시그널링들의 구성
KR100681403B1 (ko) 이동 통신 방법 및 이동국
KR10048071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추적 및 감시 방법
JP3875489B2 (ja) パケット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移動性管理
KR101249424B1 (ko) 디지털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에서 셀 당 비정상적인 호 해제 이벤트의 카운팅을 분산시키는 방법
EP1419666B1 (en) Methods involving a core network node that is handling a mobile subscriber and initiates a request to a second core network node to handle said mobile subscriber
KR10219430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30036598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의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30006284A (ko) 접속 해제를 수행하는 방법 및 그 단말
KR2008002721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실패를 처리하는 방법 및관련된 장치
CN101114928B (zh) 一种实现负载均衡的系统及方法
EP2058987B1 (en) A method for dealing with the packet domain gateway support node errors
KR101043617B1 (ko) 이동통신단말의 접속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접속차단 제어장치 및 방법
JP612167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通信方法
CN104871580A (zh) 控制电信网络中的移动设备
JP4950983B2 (ja) 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制御装置
US10924500B2 (en) System to detect behaviour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91409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선 관리 방법
AU2010336217B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First Node and Second N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