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4728A - 케이블 - Google Patents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4728A
KR20060044728A KR1020050024796A KR20050024796A KR20060044728A KR 20060044728 A KR20060044728 A KR 20060044728A KR 1020050024796 A KR1020050024796 A KR 1020050024796A KR 20050024796 A KR20050024796 A KR 20050024796A KR 20060044728 A KR20060044728 A KR 20060044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able
mark
cut
mar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테루 나카오
다이스케 스즈키
마사카즈 우치다
가츠야 미야케
가츠야 유키마츠
다카히로 다시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Publication of KR20060044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7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4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from a small area, e.g. a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머지의 길이를 간단하게 판단할 수 있어, 일정량씩 확실하게 절단 가능한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케이블(10)의 외표면에 절단용 절단 마크(20)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절단 마크(20)는 케이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향 배치된 1쌍의 절단 보조 마크(21, 22)를 포함하며, 절단 보조 마크(21, 22)의 중간에 케이블(10)의 절단 기준점(P)을 설치한다.

Description

케이블{ELECTRICAL CA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케이블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케이블을 확대 표시한 정면도,
도 3a는 절단 마크의 제 1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모식도,
도 3b는 절단 마크의 제 2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모식도,
도 4는 종래의 케이블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전원선이나 각종 신호선 등에 사용되는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절단위치의 특정을 하기 쉽고, 또한 절단하여도 나머지의 길이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전선이나 신호선 등의 각종 케이블은 일반적으로는 릴 등에 감긴 상태로 출하되어, 필요한 길이만큼을 풀어 내어 절단하여 사용된다. 이들 케이블은 업무용 이외에 일반 소매점의 가게 앞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되는 경우도 있다.
통상 소매 판매되는 경우의 대부분은, 소비자로부터 주문받은 만큼의 케이블 을 자(measure) 등을 사용하여 계측하고, 절단하여 판매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그 때마다 길이를 재고 나서 잘라 팔고 있었기 때문에, 수고와 시간이 든다.
따라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국 특허공개 H11-306874호 공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케이블이 일부에서 제공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케이블(1)의 표면에는 1 미터 간격으로 마크(2)가 설치되어 있다. 마크(2)는 선형상으로 형성된 위치 마크(2a)와, 위치 마크(2a)에 인접하여 케이블(1)의 선단으로부터 위치 마크(2a)에 이르기까지의 길이가 기재된 길이 마크(2b)로 이루어진다.
이것에 의하면 지금까지 어느 만큼의 길이의 케이블이 사용되었는지가 일목 요연하다. 그래서 이 마크(2)를 역이용하여 마크(2)로 케이블을 절단함으로써 자 등을 사용하지 않고 일정 길이로 케이블을 절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종류의 마크(2)는, 어디까지나 케이블(1)의 선단으로부터의 길이를 판단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절단하여 잘라 파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케이블은 케이블의 선단을 0 (제로)으로 하고, 종단측을 향하여 1m, 2m, 3m …로 순서대로 숫자가 증가하여 가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케이블이 나중에 어느 정도 남아 있는지 까지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소매점측이 재고관리나 재고조사 등을 할 때에, 나머지 케이블 길이를 손으로 재거나, 전체 케이블 길이로부터 길이 마크(2b)로서 나타나 있는 길이를 빼어 산출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결국은 수고와 시간이 들었다. 마찬가지로 소비자로부터의 재고 문의에 대해서도 즉답할 수 없어, 불편하였다.
또한 각 마크(2)는 1개소에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4에 있어서 예를 들면 위치 마크(2a)의 좌측에서 케이블(1)을 절단하였다고 하면, 남겨지는 쪽의 케이블선단에는 마크(2)이 없어지기 때문에, 다음에 절단할 때에 이전이 정해진 위치에서 절단되어 있는 지의 여부에 불안을 느끼는 일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나머지의 길이를 간단하게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량씩 확실하게 절단 가능한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몇가지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외표면에 절단용 절단 마크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각 절단 마크는, 상기 케이블의 절단 기준점을 사이에 두고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고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절단 마크는 상기 절단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폭을 가지고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1쌍의 절단 보조 마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형태로서, 상기 절단 마크는 상기 절단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는 폭이 같은 1개의 굵은 선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절단 마크의 폭은 1 mm ∼10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절단 마크의 폭이 1 mm 미만이면 절단되었을 때에 케이블에 절단 보조 마크가 남아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게 될 염려가 있다. 반대로 폭이 10 mm를 넘으면 절단 기준점이 정하기 어려워 절단 길이의 오차가 커진다.
또, 상기 각 절단 마크에는 상기 케이블의 선단으로부터 종단에 이르기까지의 나머지의 길이가 표시된 잔량 마크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잔량 마크는 상기 절단 마크를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으로 1쌍이 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는 케이블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케이블이란, 예를 들면 전선이나 각종 신호선 등의 심선이 외피에 의하여 피복된 선재를 말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음향용 각종 라인 케이블, 스피커 케이블, 비디오 케이블, 각종 전원 케이블, 디지털 오디오 케이블, 광케이블 외에, 자동차 등의 각종 하니스류 등이 포함된다. 또한 케이블의 기본구조 및 내부구조에 대해서는 임의이다.
이 케이블(10)은 내부에 도시 생략한 심선을 가지고, 심선을 합성수지제의 외피로 피복한 피복 케이블로 이루고, 릴(R)에 감긴 상태로 보관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케이블(10)은 릴(R)에 감긴 상태이나, 특별히 릴(R)에 감아 보관할 필요는 없다.
케이블(10)의 외표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L)으로 절단용 절단 마 크(20)가 본 예에 있어서는 1 미터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절단 마크(20)의 표시간격은 50 센티미터나 20 센티미터 등, 적절하게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케이블(10)에는 본 발명의 절단 마크(20) 이외에, 피복재질이나 전원선의 용량, 제조형식 번호, 제품명 등의 각종 정보가 인쇄되어도 좋다.
절단 마크(20)는 소정간격마다 표시되나, 도 1의 부분 확대도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절단 마크(20)에는 케이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x)을 가지고 대향 배치된 1쌍의 절단 보조 마크(21, 22)가 포함된다.
본 예에 있어서, 각 절단 보조 마크(21, 22) 사이의 폭(x)은 4 mm 이나, 절단 보조 마크(21, 22)는 1 미터마다 표시하는 절단 기준점(P)을 중심으로 한 같은 폭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 절단 보조 마크(21, 22)의 사이에 절단 기준점(P)을 나타내는 제 3 보조 마크를 더 설치하여도 좋다.
본 예에 있어서 절단 보조 마크(21, 22)의 폭(x)은 4 mm 로 설정되어 있으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mm 이상10 mm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3 mm 이상 8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폭(x)이 1 mm 미만이면 케이블이 절단되었을 때에 절단 보조 마크가 남아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폭(x)이 10 mm를 넘으면 절단 기준점(P)이 정하기 어려워 절단 길이에 오차가 생길 염려가 있다.
각 절단 보조 마크(21, 22)는 케이블(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직선을 서로 평행하게 배치한 것으로 이루어지나, 이것 이외에 도트형상이나 줄무늬 모양 등이어도 좋고, 2개의 절단 보조 마크(21, 22)가 1쌍이 되어 배치 가능하면, 그 형상에 대해서는 임의이다.
또한 절단 마크(2)는 절단 기준점(P)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폭을 가지고 있으면 좋고, 예를 들면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 기준점(P)을 중심으로 하여 같은 폭의 폭이 넓은 굵은 선이어도 좋다. 즉, 이 케이블(10)은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폭(x)[본 예에서는로서는 폭(x)은 4 mm]을 가지는 직사각형상의 절단 마크(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선 폭(x)도 바람직하게는 1 mm 이상 10 mm 이하(더욱 바람직하게는 3 mm 이상 8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절단된 케이블(10)의 양쪽 끝부에는 굵은 선의 일부가 재단되었을 때에 절단 보조 마크(21, 22)가 남음으로써 허용할 수 있는 정위치에서 절단되었는지의 여부를 한눈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 마크(20)를 굵은 선으로 바꾸어 능형으로 형성하는 방법도 있다. 이것에 의하면 능형의 대각선을 가상의 절단 기준선(P)으로서 사용할 수 있어, 더욱 정확한 위치에서 케이블(10)을 절단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절단 마크(20)에는 케이블의 선단(1a)으로부터 종단에 이르기까지의 나머지의 길이가 기재된 잔량 마크(a, a)가 설치되어 있다. 잔량 마크 (a, a)는 각 절단 보조 마크(21, 22)에 각각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종단측을 향함에 따라 수치가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절단 보조 마크(21)의 왼쪽 근처에 잔량 마크(a)가, 절단 보조 마크(22)의 오른쪽 근처에 잔량 마크(a)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각 절단 보조 마크(21, 22) 사이의 공간[본 예에서는 나머지(33) 미터점]을 절단 기준점으로 하고, 그곳으로부터 케이블(10)을 절단함으로써 본 케이블(10)의 끝부(10a)에는 절단 보조 마크(22)와 한쪽의 잔량 마크(a)가 남기 때문에 케이블(10)의 나머지의 길이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 보조 마크(22)에 의하여 케이블(10)이 소정의 허용범위 위치에서 절단된 것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잘라 낸 측의 케이블(10)(도 2에서는 왼쪽)의 끝부(10b)에도 절단보조 마크(21)와 다른쪽의 잔량 마크(a)가 남기 때문에, 소정의 허용범위 위치에서 절단된 것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 도시 생략한 반대측의 끝부에는 이전에 절단되었을 때의 잔량 마크(a)가 남아 있기 때문에, 이제부터 절단된 케이블(10)의 전체 길이를 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절단 마크(20) 및 잔량 마크(a, a)는 케이블(10)의 표면에 인쇄된 것으로 이루어지나, 예를 들면 케이블(10)과, 절단 마크(20) 및 잔수 마크(a, a)가 기재된 시일을 따로 준비하여 두고, 케이블(10)에 시일을 소정 간격으로 접합한 용으로 한 것이어도 좋고, 이들 각종 변형예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의 절단 기준점을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으로 소정 폭을 가지고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절단 기준점에서 케이블을 절단함으로써 절단된 케이블의 양쪽 끝에 절단 마크의 일부가 남아, 절단 기준점 근방에서 케이블이 확실하게 절단된 것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절단 보조 마크의 사이에서 케이블을 절단함으로써 절단 보조 마크를 남기면서 절단위치를 간단하게 특정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절단 기준점을 중심으로 한 1개의 굵은 선인 것에 의하여 절단위치의 특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절단된 케이블의 양쪽 끝에 확실하게 절단 마크를 남길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절단 마크에 잔량 마크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한눈에 케이블의 나머지의 길이를 판단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절단된 케이블의 양쪽 끝에 잔량 마크가 남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에서 절단되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Claims (6)

  1. 외표면에 절단용의 절단 마크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각 절단 마크는 상기 케이블의 절단 기준점을 사이에 두고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고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마크는 상기 절단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폭을 가지고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 1쌍의 절단 보조 마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마크는 상기 절단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는 폭이 같은 1개의 굵은 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마크의 폭은 1 mm 내지 1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절단 마크에는, 상기 케이블의 선단으로부터 종단에 이르기까지의 나머지의 길이가 표시된 잔량 마크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 마크는 상기 절단 마크를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으로 1쌍이 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KR1020050024796A 2004-03-26 2005-03-25 케이블 KR200600447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91179 2004-03-26
JP2004091179A JP2005276732A (ja) 2004-03-26 2004-03-26 ケーブ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728A true KR20060044728A (ko) 2006-05-16

Family

ID=3504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796A KR20060044728A (ko) 2004-03-26 2005-03-25 케이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5276732A (ko)
KR (1) KR20060044728A (ko)
CN (1) CN1674162A (ko)
TW (1) TW20060509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5126B1 (fr) 2012-09-06 2014-09-19 Nexans Dispositif de marquage d'un cable
DE102017127792A1 (de) * 2017-03-03 2018-09-06 Sven Hanzel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Leitungslängenbestimmung
JP6509458B2 (ja) * 2017-03-29 2019-05-08 大和鋼管工業株式会社 切断品の製造方法、製造システムおよび切断品
EP3683807A1 (en) * 2019-01-17 2020-07-22 Bruno Baldassari & Fratelli S.p.A. Cable comprising a marking sequence and relative method of marking
IT201900002649A1 (it) * 2019-02-25 2020-08-25 Bruno Baldassari & F Lli S P A Sistema di marcatura per cavi elettrici e relativo metodo di marcatura
JP2023064431A (ja) * 2021-10-26 2023-05-1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線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24827A5 (ko) * 1977-08-10 1981-08-31 Breveteam Sa
JPS5435391A (en) * 1977-08-24 1979-03-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Connection part for communication cable housing
JPS5827395A (ja) * 1981-08-11 1983-02-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印刷配線基板の接続装置
JPS6048617A (ja) * 1983-08-29 1985-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信号選択回路
JPS6361708A (ja) * 1986-09-01 1988-03-17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JPH036462U (ko) * 1989-06-02 1991-01-22
JP2000057860A (ja) * 1998-08-10 2000-02-25 Nippon Dennetsu Co Ltd 電気毛布などに配線するマーク付き導電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74162A (zh) 2005-09-28
TW200605098A (en) 2006-02-01
JP2005276732A (ja) 200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4728A (ko) 케이블
EP3594971B1 (en) Wire harness electric wire length correcting device, wire harness producing device, wire harness electric wire length correcting method, and wire harness producing method
US20080056653A1 (en) Optical Fiber Tape Unit and Optical Fiber Cable
EP0817317B1 (en) Sensing element lead wire connecting structure
US11456093B2 (en) Wire harness production-supporting device
US20080019647A1 (en) Optical Fiber Tape Unit And Optical Fiber Cable
AU2013216590A1 (en) Cable Comprising a Marking Device
JP5020175B2 (ja) 光ケーブル用識別表示具
KR200145123Y1 (ko) 눈금이 표시된 호스
JP5852511B2 (ja) 光ファイババンドル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3143980U (ja) 電気ケーブル巻回体
US20200357541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wire harness
KR101994824B1 (ko) 광섬유 유닛의 검사 장치 및 광섬유 유닛의 제조 방법
KR20220001799U (ko) 케이블 타이
JP2006288130A (ja) 通線ワイヤ
JP2014205763A (ja) 電線巻付用粘着テープ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7375561B2 (ja) 長尺体の曲がり表示装置、長尺体、および長尺体の敷設方法
JP3662303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分岐配線方法
JP3006836U (ja) 条長表示より合わせ電線
KR200415422Y1 (ko) 측량 기준대용 표시부재
JP5675558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分岐方法
KR20180094728A (ko)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
JP2004094032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用スロット
KR100226606B1 (ko) 광케이블 구성요소의 스트랜딩 피치 측정기
CN105637598A (zh) 电线的制造方法、卷状电线束、电线制造系统、和线束制造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