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4612A - 빗물받이 - Google Patents

빗물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4612A
KR20060034612A KR1020050005433A KR20050005433A KR20060034612A KR 20060034612 A KR20060034612 A KR 20060034612A KR 1020050005433 A KR1020050005433 A KR 1020050005433A KR 20050005433 A KR20050005433 A KR 20050005433A KR 20060034612 A KR20060034612 A KR 20060034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heck plate
rain gutter
plate
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0583B1 (ko
Inventor
이성규
최동주
Original Assignee
이성규
최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규, 최동주 filed Critical 이성규
Publication of KR20060034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53Forms specially designed for commercial use, e.g. bills, receipts, offer or order sheets, coup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2Postcards; Greeting, menu, business or like cards; Letter cards or letter-sheets
    • B42D15/025Postcards; Greeting, menu, business or like cards; Letter cards or letter-sheets with peel-away layer hiding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7Lots, e.g. lottery ticket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퇴적된 토사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빗물받이가 개시된다. 이러한 빗물받이는 지하에 매설 가능하며 유입된 유체를 배출시키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유체가 유입되는 체크 플레이트와, 상기 체크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적치되는 적치함과, 상기 체크 플레이트와 상기 적치함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과, 그리고 상기 적치함의 내부에 구비되어 그 상면에 적치되는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는 분리판을 포함한다.
빗물, 맨홀, 토사, 제거, 사슬, 체크플레이트, 적치

Description

빗물받이{RAIN RESERVOIR}
도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 는 도1 에 도시된 빗물받이의 분해사시도.
도3 은 도1 에 도시된 빗물받이의 정면도.
도4 는 도1 에 도시된 빗물받이의 측면도.
도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6 은 도5 에 도시된 빗물받이의 내부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7 은 도5 에 도시된 빗물받이의 측면도.
본 발명은 빗물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빗물받이의 내부에 적치되는 이물질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빗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빗물받이는 도로 등의 인접지역에 설치되어 빗물 혹은 하수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빗물받이는 빗물 혹은 하수 등의 유체가 그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토사나 쓰레기 등이 같이 유입된다. 그리고, 유입된 토사 혹은 쓰레기 등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빗물받이의 내부에 적치된다.
이와 같이 적치된 토사나 쓰레기 등은 빗물받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로 등을 막는 원인이 되어 설치된 빗물받이가 재기능을 하지 못함으로써 도로상에 빗물이 고임으로써 자동차 사고의 원인이 되고, 장마철과 같이 많은 양의 비가 내릴 경우 주변 주택이나 상가에 침수피해를 줄 수가 있다.
그리고, 빗물받이 내부에 적치된 토사 등은 일정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고형화됨으로써 이들은 청소하는 것이 쉽지않고, 도로상에 수없이 많이 설치된 빗물받이를 일일이 청소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빗물받이 사이에 구비된 연결로가 막히는 경우에는 막힌 구간을 정확히 찾기란 매우 힘든 상황이며, 이럴 경우에는 빗물받이와 빗물받이 사이 전체를 걷어내어 재시공을 하는 바 공사비 소요와 그 곳을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그 내부에 적치된 토사를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빗물받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지하에 매설 가능하며 유입된 유체를 배출시키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유체가 유입되는 체크 플레이트와; 상기 체크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적치되는 적치함과; 상기 체크 플레이트와 상기 적치함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과; 그리고 상기 적치함의 내부에 구비되어 그 상면에 적치되는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는 분리판을 포함하는 빗물받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빗물받이(1)는 지하에 매설되는 케이스(Case;5)와, 상기 케이스(5)의 상부에 안착되어 유체가 유입가능한 체크 플레이트(Check Plate;3)와, 상기 체크 플레이트(3)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5)의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토사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적치함(1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빗물받이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는 그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된 관체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케이스(5)는 바람직하게는 하부보다 상부의 단면적이 넓은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케이스(5)의 일측면에는 배수관(7)이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지면(G)으로부터 케이스(5)로 유입된 유수는 이 배수관(7)을 통하여 하수도 등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케이스(5)의 상부 지지턱(22)에는 상기 체크 플레이트(3)가 안착됨으로서 지표면에 흐르는 빗물 혹은 하수 등이 이 체크 플레이트(3)를 통하여 케이스 (5)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체크 플레이트(3)는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구조의 체크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즉, 다수의 메쉬(Mesh;12)가 형성됨으로써 지면(G)의 하수 및 빗물 등이 체크 플레이트(3)를 통하여 하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크 플레이트(3)와 적치함(10)은 연결수단(8)에 의하여 서로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수단(8)은 바람직하게는 프레임(Frame)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단(8)은 강체재질이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개가 구비된다.
이러한 연결수단(8)은 체크 플레이트(3)의 각 구석부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적치함(10)의 각 구석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적치함(10)은 상부가 개방되고, 측방 및 저부는 둘러싸인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체크 플레이트(3)를 통하여 주입된 빗물은 상기 배수관(7)을 통하여 배출되고, 빗물에 포함된 토사 및 이물질은 침전됨으로써 적치함(10)에 적치된다.
또한, 상기 적치함(10)의 바닥부에는 관통홀(16)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16)은 후술하는 분리판(14)의 상부에 적치된 토사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경우, 이 관통홀(16)을 통하여 도구를 삽입하여 분리판(14)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분리판(14)을 적치함(10)으로부터 제거하게 된다.
이 관통홀(16)은 원형, 사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지만, 바람 직하게는 원형홀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분리판(14)은 그 상부에 토사 및 이물질이 적치되고, 일정 기간 경과 후 이 분리판(14)을 적치함(10)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토사 및 이물질을 빗물받이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판(14)은 바람직하게는 사각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8)의 내측에 구비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적치함(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빗물받이에 의하여 토사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케이스(5)를 지하에 매설하거나, 기 설치된 맨홀의 내측에 위치시킨다. 이때, 케이스(5)의 배수관(7)이 하수도 혹은 배수로에 연통되도록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5)의 내측에 적치함(10)을 삽입시킨다. 즉, 상기 적치함(10)은 연결수단(8)에 의하여 체크 플레이트(3)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음으로 체크 플레이트(3)를 케이스(5)의 상부에 설치하는 경우 자연히 적치함(10)이 케이스(5)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지면(G)에서 체크 플레이트(3)를 통하여 유입되는 빗물 혹은 하수 등의 유수는 낙하하여 적치함(10)에 저장되고, 배수관(7)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빗물 혹은 하수에 함유된 토사 및 이물질은 침전됨으로써 적치함(10)의 분리판(14)에 적치된다.
그리고, 일정 기간 경과 후, 빗물받이(1)를 청소하는 경우, 상기 체크 플레 이트(3)를 케이스(5)로부터 인출하고, 적치함(10)의 관통홀(16)을 통하여 도구를 삽입하여 분리판(14)의 저면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분리판(14)을 적치함(10)으로써 분리하게 된다. 따라서, 분리판(14)상에 적치된 토사 등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5 내지 도7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30)는 상기한 전 실시예와 유사한 구조를 갖으나 빗물받이(30)의 높이를 조절가능한 구조를 갖는 차이점이 있다.
즉, 적치함(34)을 케이스(31)의 내부에 삽입하는 경우 체크 플레이트(32)와 적치함(34)이 프레임 등과 같은 강체로 연결된 경우에는 케이스(31)의 깊이에 따라 체크 플레이트(32)가 케이스(31)의 외부로 돌출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체크 플레이트(32)와 적치함(34)을 사슬(36)로 연결함으로써 체크 플레이트(32)를 케이스(31)의 내부에 삽입하는 경우 체크 플레이트(32)가 케이스(31)의 상부에 안착됨으로써 케이스(31)의 내부 깊이와 관계없이 적치함(34)이 케이스(3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케이스(31)의 내부 깊이보다 사슬(36)의 길이가 더 긴경우에는 사슬(36)이 적절하게 늘어뜨려짐으로써 체크 플레이트(32)가 케이스(31)의 외부로 돌출됨이 없이 적치함(34)이 케이스(31)의 내저부에 안착될 수 있고, 사슬(36)이 케이스(31)의 내부 깊이보다 짧은 경우에는 체크 플레이트(32)가 케이스(31)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적치함(34)이 늘어뜨려진다.
그리고, 상기 사슬(36)의 상단부(44)는 체크 플레이트(32)의 각 구석부에 돌출된 브래킷(42)에 일체로 연결되고, 하단부(48)도 적치함(34)에 돌출된 브래킷(46)에 연결된다.
또한, 적치함(34)의 내부에 분리판(38)이 분리가능하게 위치하며, 적치함(34)의 내저부에도 관통홀(4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크 플레이트(32)를 케이스(31)의 상부에 안착시키면 사슬(36)이 중력에 의하여 하부로 늘어뜨려짐으로서 적치함(34)이 케이스(31)의 내저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케이스(31)의 깊이가 사슬(36)의 길이보다 깊으면 적치함(34)이 케이스(31)의 바닥부로부터 일정 거리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반대로 사슬(36)의 길이가 케이스(31)의 깊이 보다 길게 형성되면 사슬(36)이 적절하게 접힘으로써 적치함(34)의 바닥부가 케이스(31)의 바닥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적치함(34)이 케이스(3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 체크 플레이트(32)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가 배출구(49)를 통하여 배출되고, 이때, 유체에 포함된 토사 등의 이물질이 적치함(34)의 내부에 적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토사가 적치된 적치함(34)을 일정 기간 경과 후 관통홀(40)를 통하여 도구를 삽입하여 분리판(38)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분리판(38)을 적치함(34)으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따라서, 분리판(38)에 적치되어 고형화 된 토사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빗물받이는 그 내부에 적치된 토사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빗물받이의 깊이에 따라 적절하게 가변됨으로써 적치함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을 통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 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5)

  1. 지하에 매설 가능하며 유입된 유체를 배출시키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유체가 유입되는 체크 플레이트와;
    상기 체크 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상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적치되는 적치함과;
    상기 체크 플레이트와 상기 적치함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수단과; 그리고
    상기 적치함의 내부에 구비되어 그 상면에 적치되는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는 분리판을 포함하는 빗물받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그 상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체크 플레이트가 안착되며, 일측면에는 배출구가 돌출 형성되고, 그 저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빗물받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함은 상부가 개방되고, 측면이 폐쇄된 형상을 가지며, 그 바닥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빗물받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혹은 사슬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빗물받이.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판이 상기 케이스의 저부에 위치하면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충격을 가하여 분리하는 빗물받이.
KR1020050005433A 2004-10-19 2005-01-20 빗물받이 KR100690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778A KR20040097041A (ko) 2004-10-19 2004-10-19 청소용 빗물받이
KR1020040083778 2004-10-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612A true KR20060034612A (ko) 2006-04-24
KR100690583B1 KR100690583B1 (ko) 2007-03-09

Family

ID=371433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778A KR20040097041A (ko) 2004-10-19 2004-10-19 청소용 빗물받이
KR1020050005433A KR100690583B1 (ko) 2004-10-19 2005-01-20 빗물받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778A KR20040097041A (ko) 2004-10-19 2004-10-19 청소용 빗물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400970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61092A (ja) * 2014-09-18 2016-04-25 アロン化成株式会社 排水ますおよびそれを備えた排水システム
CN111794344A (zh) * 2020-07-17 2020-10-20 广东珠江建筑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排水管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715B1 (ko) * 2007-02-20 2007-12-03 김수선 오물수거 버켓이 설치된 빗물받이 블럭
KR102644077B1 (ko) 2022-12-14 2024-03-06 김명곤 각도조절형 빗물받이 모듈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086U (ja) * 1993-10-13 1995-05-12 前澤化成工業株式会社 泥溜め桝
JP2000257148A (ja) 1999-03-09 2000-09-19 Fumio Ida 排水用ストレーナ装置
KR20020034641A (ko) * 2000-11-02 2002-05-09 홍은영 인터넷을 이용한 계좌내역 자동 확인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61092A (ja) * 2014-09-18 2016-04-25 アロン化成株式会社 排水ますおよびそれを備えた排水システム
CN111794344A (zh) * 2020-07-17 2020-10-20 广东珠江建筑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市政道路排水管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041A (ko) 2004-11-17
KR100690583B1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656B1 (ko) 친환경 여과 집수조 및 그것을 이용한 우수 재순환 시스템
JP3814689B2 (ja) 雨水貯溜装置
US11408162B2 (en)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JP4936955B2 (ja) 雨水一時貯留槽
KR100690583B1 (ko) 빗물받이
KR101626502B1 (ko)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KR200405382Y1 (ko) 절ㆍ성토부면 노면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KR101627561B1 (ko) 다기능 하수구 뚜껑
KR20140004867A (ko) 산 비탈면 및 절토 면의 배수로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KR101519076B1 (ko) 옹벽에서 배수 촉진용 저수조
FR3076844A1 (fr) Avaloir pour une voie de circulation telle qu'une rue
KR101077132B1 (ko) 도로용 빗물받이
JP4526443B2 (ja) 雨水貯留槽
KR101054282B1 (ko) 빗물받이
KR20090093423A (ko) 분리식 빗물받이
KR200208312Y1 (ko) 여과조가 구비된 도로용 빗물 집수구
KR101054283B1 (ko) 빗물받이
KR101217390B1 (ko) 맨홀용 정화장치
KR200265463Y1 (ko) 악취차단 및 토사유입방지 맨홀
KR200265885Y1 (ko) 도로의 빗물 집수구용 집수박스
KR200215826Y1 (ko) 도로용 빗물 집수구
KR200494625Y1 (ko) 악취 차단 기능이 구비된 우수 처리 장치
KR100509953B1 (ko) 우수침투용 우수받이
KR101704969B1 (ko) 유지관리 통로가 구비된 빗물저류조
KR101802065B1 (ko)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