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065B1 -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 - Google Patents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065B1
KR101802065B1 KR1020160047957A KR20160047957A KR101802065B1 KR 101802065 B1 KR101802065 B1 KR 101802065B1 KR 1020160047957 A KR1020160047957 A KR 1020160047957A KR 20160047957 A KR20160047957 A KR 20160047957A KR 101802065 B1 KR101802065 B1 KR 101802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groundwater
infiltration
storage tank
infiltration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825A (ko
Inventor
진규남
이정민
홍갑수
Original Assignee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토지주택공사 filed Critical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to KR1020160047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065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6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corrosion by soil or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에 노출되는 것으로, 경사진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진입부; 및 상기 진입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부에 연결되는 터널바닥부와, 상기 양 측벽부에 연결되는 양 터널측벽부와, 상기 양 터널측벽부의 상측을 연결하는 터널천장부를 포함하는 터널부;를 포함하는 지하차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진입부에 구비되고 지하수의 유입과 유출이 가능한 침투저류조를 더 포함함으로써 지하수에 의한 상기 지하차도의 부상을 방지하는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진입부와 터널부로 구성된 지하차도에 지하수의 유입과 유출이 가능한 침투저류조를 구비함으로써, 지하수를 저류하여 강우시 홍수 유출량을 줄이거나 유출시간을 지연할 수 있고, 필요시에는 저류된 지하수를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하수에 의한 지하차도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지하차도의 유지관리 비용이 저감되어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Underground structure with underground water storage container}
본 실시예는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차도에는 그 자체의 자중이 발생함과 동시에 지하수에 의한 부력이 발생하게 되며, 지하차도의 자중보다 지하수에 의한 부력이 클 경우에 지하차도는 부상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구조물 하중이 작은 지하차도의 진입부에서 발생하며, 구조물 자중이 크고 지반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 토사의 하중을 받는 터널부에서는 상대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작다.
따라서, 앵커공법이나 지하수위저감공법 등을 실시하여 지하차도의 부상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앵커공법은 지하차도 하부의 기초지반까지 천공하여 인장재를 삽입하고 인장함으로써 지하차도를 그 하부의 기초지반에 정착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앵커공법은 공사기간이 길고, 공사비가 고가이며, 보수가 어렵고, 시간의 경과시 앵커의 인장력이 유지되지 않아 지속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하수위저감공법은 지하차도 구조물 외측면에 배수재를 설치하고, 구조물 주위 지반의 지하수를 지하차도 하측에 구비된 집수정으로 유입시킨 후, 지하수를 펌프 등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수하는 방법이다. 상기 지하수위저감공법은 펌프 등으로 배수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상시적으로 배수를 실시해야 하므로 유지관리비가 고가이고, 펌프의 고장시 지하차도 내에 침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부유물질 등에 의해 펌프의 막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특허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79624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진입부(U-type 옹벽구조물)와 터널부(Box 구조물)로 구성된 지하차도에 지하수의 유입과 유출이 가능한 침투저류조를 구비함으로써, 강우시 지하수를 저류하여 홍수 유출량을 줄이거나 유출시간을 지연할 수 있고, 필요시에는 저류된 지하수를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하수에 의한 지하차도의 부상을 방지하여 부력방지행커공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상시적으로 배수할 필요가 없어 지하차도의 유지관리 비용이 저감되는 경제적인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지하차도의 진입부의 양 측벽부의 외측 지하에 침투저류조를 구비함으로써, 침투저류조의 자중, 침투저류조 내의 저류수, 및 침투저류조 상측의 지반 등을 하중으로 활용하여 지하수에 의한 지하차도의 부상을 영구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침투저류조의 최하단부에 배수관을 구비하여 상기 배수관을 지하차도 내측의 배수측구와 연결하고 게이트밸브를 구비함으로써, 침투저류조의 저류수를 지하차도의 배수측구로 자연 유하할 수 있으므로 저류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침투저류조 내의 침전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침투저류조와 게이트밸브 사이의 배수관 상에 압력계를 설치함으로써, 침투저류조 내의 저류수의 양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침투저류조의 외측 측면의 상측과 하측에 복수의 관통공을 구비함으로써, 지하수위의 증가에 따라 지하수의 자유로운 유출입이 가능하여 지하수를 부력방지에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기에 지하로 유출할 수 있고, 필요시에는 사용할 수 있는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침투저류조의 관통공이 형성된 측면에 1필터매트, 마대, 및 2필터매트를 설치함으로써, 침투저류조의 내부로 쓰레기, 부유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침투저류조의 관통공에 침전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침전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기물, 입자가 작은 흙 등을 침전시켜 침투저류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는, 외부에 노출되는 것으로, 경사진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진입부; 및 상기 진입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부에 연결되는 터널바닥부와, 상기 양 측벽부에 연결되는 양 터널측벽부와, 상기 양 터널측벽부의 상측을 연결하는 터널천장부를 포함하는 터널부;를 포함하는 지하차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진입부에 구비되고 지하수의 유입과 유출이 가능한 침투저류조를 더 포함함으로써 지하수에 의한 상기 지하차도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투저류조는 상기 진입부의 바닥부 하측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침투저류조는 상기 진입부의 양 측벽부의 외측 지하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침투저류조의 자중과 상기 침투저류조 내의 저류수와 상기 침투저류조 상측의 지반을 하중으로 활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침투저류조는 최하단부에 배수관을 구비하며, 상기 배수관은 상기 지하차도 내측의 배수측구로 연결되고 게이트밸브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침투저류조의 저류수를 상기 지하차도의 배수측구로 자연 유하시켜 저류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침투저류조 내의 침전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밸브와 상기 침투저류조 사이의 상기 배수관 상에 압력계를 설치하여 상기 침투저류조 내의 저류수의 양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침투저류조의 측면의 상측과 하측에 복수의 관통공을 구비하여 지하수위의 증가에 따라 상기 지하수의 자유로운 유출입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지하수를 부력방지에 활용하고, 건기에 지하로 유출하며, 필요시 사용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침투저류조의 관통공이 형성된 측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1필터매트, 상기 1필터매트의 외측에 적층되는 마대들, 및 상기 마대들의 외측에 설치되는 2필터매트를 포함하여, 상기 침투저류조의 내부로 쓰레기, 부유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는 침전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침전장치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는 사각통 형상의 침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침전부는 그 상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투수공과, 그 하측에 설치되는 지그재그형상의 복수의 날개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진입부(U-type 옹벽구조물)와 터널부(Box 구조물)로 구성된 지하차도에 지하수의 유입과 유출이 가능한 침투저류조를 구비함으로써, 강우시 지하수를 저류하여 홍수 유출량을 줄이거나 유출시간을 지연할 수 있고, 필요시에는 저류된 지하수를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하수에 의한 지하차도의 부상을 방지하여 부력방지행커공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상시적으로 배수할 필요가 없어 지하차도의 유지관리 비용이 저감되는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하차도의 진입부의 양 측벽부의 외측 지하에 침투저류조를 구비함으로써, 침투저류조의 자중, 침투저류조 내의 저류수, 및 침투저류조 상측의 지반 등을 하중으로 활용하여 지하수에 의한 지하차도의 부상을 영구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침투저류조의 최하단부에 배수관을 구비하여 상기 배수관을 지하차도 내측의 배수측구와 연결하고 게이트밸브를 구비함으로써, 침투저류조의 저류수를 지하차도의 배수측구로 자연 유하할 수 있으므로 저류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침투저류조 내의 침전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침투저류조와 게이트밸브 사이의 배수관 상에 압력계를 설치함으로써, 침투저류조 내의 저류수의 양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침투저류조의 외측 측면의 상측과 하측에 복수의 관통공을 구비함으로써, 지하수위의 증가에 따라 지하수의 자유로운 유출입이 가능하여 지하수를 부력방지에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기에 지하로 유출할 수 있고, 필요시에는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침투저류조의 관통공이 형성된 측면에 1필터매트, 마대, 및 2필터매트를 설치함으로써, 침투저류조의 내부로 쓰레기, 부유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침투저류조의 관통공에 침전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침전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기물, 입자가 작은 흙 등을 침전시켜 침투저류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의 진입부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의 침투저류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배수관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관통공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도 5의 관통공에 침전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의 침전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는, 외부에 노출되는 진입부(11)와, 상기 진입부(11)에 연결되는 터널부(13)로 구성되는 지하차도(10) 구조의 진입부(11)에 지하수의 유입과 유출이 가능한 침투저류조(15)가 구비된다.
따라서, 지하수를 저류하여 강우시 홍수 유출량을 줄이거나 유출시간을 지연할 수 있다. 즉, 지반 내의 지하수를 침투저류조(15)의 내부로 지속적으로 유입할 수 있으므로 지하차도(10) 주변 지반의 지하수위가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강우시 지반 내 강우 침투량이 증가하여 홍수 유출량을 줄이거나 유출시간을 지연할 수 있다. 또한, 필요시에는 저류된 지하수를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침투저류조(15) 자체의 자중과 침투저류조(15) 내의 저류수와 침투저류조(15) 상측의 지반 등을 하중으로 활용하여 지하수에 의한 지하차도(10)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침투저류조(15) 및 지하차도(10)가 대수층 내에 위치하여 지하수의 유입량이 많은 경우에도 그 안정성, 즉 부상방지 기능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침투저류조(15)를 지하차도(10)에 연결하여 설치하므로 별도로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종래에 비해 지하차도(10)의 유지관리 비용이 저감되어 매우 경제적이다.
지하차도(10)의 진입부(11)는 경사진 바닥부(111)와, 상기 바닥부(111)의 양측에 연결되는 측벽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터널부(13)는 진입부(11)의 바닥부(111)에 연결되는 터널바닥부와, 진입부(11)의 양 측벽부(113)에 연결되는 양 터널측벽부와, 상기 양 터널측벽부의 상측을 연결하는 터널천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진입부(11)에 구비되는 침투저류조(15)는 지하차도(10)가 부력에 대해 안정될 수 있는 크기 이상으로 형성되어, 진입부(11)의 바닥부(111)의 하측에 구비될 수도 있고(미도시), 양 측벽부(113)의 외측에 구비(도 1 및 도 2 참조)될 수도 있다. 침투저류조(15)가 바닥부(111)의 하측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지하차도(10)를 구축하기 위한 굴착 심도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굴착 폭이 증가하게 되며, 또한 침투저류조(15)가 그 상측의 지하차도(10)와 교통하중 등을 지지하여야 하므로 규모가 증가하게 된다. 침투저류조(15)를 양 측벽부(113)의 외측에 구비하는 경우 침투저류조(15) 상측의 지반 등을 하중으로 활용하여 지하수에 의한 지하차도(10)의 부상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침투저류조(15)는 필요한 경우 터널부(13)에도 설치할 수 있다.
침투저류조(15)는 RC(철근콘크리트), PC(프리캐스트콘크리트), PP(폴리프로필렌)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최하단부에 배수관(21)을 구비하여 상기 배수관(21)을 지하차도(10) 내측의 배수측구(19)와 연결하고 게이트밸브(23)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침투저류조(15)의 저류수를 지하차도(10)의 배수측구(19)로 자연 유하시킬 수 있어 저류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홍수가 예상될 때에는 침투저류조(15)의 내부에 저류된 지하수를 미리 배수관(21)을 통해 배수하여 강우시 침투되는 우수를 최대한 저류시킬 수 있다. 또한, 배수관(21)이 침투저류조(15)의 최하단부에 구비됨으로써, 침투저류조(15) 내의 침전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 배수관(21)은 침투저류조(15)의 최하단부에 구비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녹이 슬지 않는 내부식성 황동관 또는 스텐레스관 등으로 형성한다. 상기 배수관(21)을 통해 배수된 저류수는 지하차도(10) 내측의 배수측구(19)를 통해 자연 유하하여 집수정(17)으로 집수되며, 이때 배수되는 저류수는 게이트밸브(23)를 이용하여 그 배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집수정(17)으로 집수된 지하수는 필요시 소방용수, 정원용수, 지하차도(10)의 벽면 청소용수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밸브(23)와 침투저류조(15) 사이의 배수관(21) 상에는 압력계를 설치하여 침투저류조(15) 내의 저류수의 양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저류수를 배출할 것인지 쉽게 알 수 있다.
침투저류조(15)의 지하차도(10)와 접하지 않는 반대쪽 측면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측과 하측에 복수의 관통공(151)을 구비하여 지하수위의 증가에 따라 지하수의 자유로운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지하수를 부력방지에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기 또는 지하수위가 저감될 때에는 지하수가 지하로 자연적으로 유출될 수 있고, 필요시에는 저류된 지하수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51)은 지하수의 원활한 유입과 유출을 위해 수평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침투저류조(15)의 관통공(151)이 형성된 측면에는 1필터매트(25)를 접하여 설치하고, 상기 1필터매트(25)의 외측에는 마대(27)들을 적층하고, 상기 마대(27)들의 외측에는 2필터매트(29)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지하수가 상기 1필터매트(25), 마대(27), 2필터매트(29)를 통해 침투저류조(15)로 유입되므로 침투저류조(15)의 내부로 유기물, 입자가 작은 흙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지하수의 유입과 유출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므로 상기 1필터매트(25), 마대(27), 2필터매트(29)의 막힘 현상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적으며, 따라서 공용중에 플러싱(flushing) 작업이나 지하수위 계측작업 등이 불필요해지고, 유지관리 비용이 더욱 저감된다.
상기 2필터매트(29)의 외측에는 양질의 토사로 뒤채움하며, 뒤채움재로 노상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공사비가 절감되어 좋다. 뒤채움재의 다짐시 침투저류조(15) 및 지하차도(10)의 가까운 곳에서부터 먼 쪽으로 다짐을 실시하여 상기 구조물에 지나친 토압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공(151)에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전장치(40)를 구비할 수 있다. 침전장치(40)는 관통공(151)에 삽입되는 삽입부(41)와, 상기 삽입부(41)에 결합되는 사각통 형상의 침전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침전부(43)의 상측에는 복수의 투수공(431)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지그재그형상의 복수의 날개판(433)이 형성된다. 따라서 1필터매트(25)를 통과한 유기물, 입자가 작은 흙 등은 침전장치(40)의 투수공(431)에 의해 2차적으로 걸러지게 되고, 지하수와 함께 상기 투수공(431)을 통과하는 유기물, 입자가 작은 흙 등은 날개판(433)의 하측으로 침전되어 침투저류조(15)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침투저류조(15)의 규모는 침투저류조(15) 내측에 지하수가 가득 차고 침투저류조(15) 상부의 지반에 토사가 구비된 상태에서 부력에 의하여 구조물이 부상하지 않도록 결정한다. 만약 지하수위가 높은 상태에서 침투저류조(15) 내부의 지하수를 배수하게 된다면 침투저류조(15) 측면의 관통공(151)으로부터 지하수가 중력에 의해 유입되며, 이때 지하수위의 저하로 부력이 줄어들게 되므로 지하차도 구조물(11)의 부력에 대한 안정성은 언제나 확보된다. 지하수위가 지표면 아래 1m 까지 형성되었을 때에도 지하차도 구조물은 부력으로부터 안전하여야 하며, 일반적인 경우 형성된 지하수위에서 구조물과 상부 토사를 더한 전체 구조물 자중은 부력에 대하여 1.2배 더 크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지하차도
11 : 진입부
111 : 바닥부
113 : 측벽부
13 : 터널부
15 : 침투저류조
151 : 관통공
17 : 집수정
19 : 배수측구
21 : 배수관
23 : 게이트밸브
25 : 1필터매트
27 : 마대
29 : 2필터매트
40 : 침전장치
41 : 삽입부
43 : 침전부
431 : 투수공
433 : 날개판

Claims (8)

  1. 외부에 노출되는 것으로, 경사진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진입부; 및
    상기 진입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부에 연결되는 터널바닥부와, 상기 양 측벽부에 연결되는 양 터널측벽부와, 상기 양 터널측벽부의 상측을 연결하는 터널천장부를 포함하는 터널부;를 포함하는 지하차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진입부에 구비되고 지하수의 유입과 유출이 가능한 침투저류조를 더 포함함으로써 지하수에 의한 상기 지하차도의 부상을 방지하고,
    상기 침투저류조는 상기 진입부의 양 측벽부의 외측 지하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침투저류조의 자중과 상기 침투저류조 내의 저류수와 상기 침투저류조 상측의 지반을 하중으로 활용하며,
    상기 침투저류조의 측면의 상측과 하측에 복수의 관통공을 구비하여 지하수위의 증가에 따라 상기 지하수의 자유로운 유출입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지하수를 부력방지에 활용하고, 건기에 지하로 유출하며, 필요시 사용할 수 있는 것인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투저류조는 최하단부에 배수관을 구비하며, 상기 배수관은 상기 지하차도 내측의 배수측구로 연결되고 게이트밸브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침투저류조의 저류수를 상기 지하차도의 배수측구로 자연 유하시켜 저류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침투저류조 내의 침전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인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밸브와 상기 침투저류조 사이의 상기 배수관 상에 압력계를 설치하여 상기 침투저류조 내의 저류수의 양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투저류조의 관통공이 형성된 측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1필터매트, 상기 1필터매트의 외측에 적층되는 마대들, 및 상기 마대들의 외측에 설치되는 2필터매트를 포함하여, 상기 침투저류조의 내부로 쓰레기 또는 부유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 설치되는 침전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침전장치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결합되는 사각통 형상의 침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침전부는 그 상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투수공과, 그 하측에 설치되는 지그재그형상의 복수의 날개판을 포함하는 것인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
KR1020160047957A 2016-04-20 2016-04-20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 KR101802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957A KR101802065B1 (ko) 2016-04-20 2016-04-20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957A KR101802065B1 (ko) 2016-04-20 2016-04-20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825A KR20170119825A (ko) 2017-10-30
KR101802065B1 true KR101802065B1 (ko) 2017-11-27

Family

ID=60300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957A KR101802065B1 (ko) 2016-04-20 2016-04-20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0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933Y1 (ko) * 2005-09-30 2005-12-14 주식회사 바우 컨설탄트 측구배수 구조를 이용한 부력방지 구조
KR100590421B1 (ko) * 2005-10-28 2006-06-19 (주)종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설구조물의 부력방지 배수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933Y1 (ko) * 2005-09-30 2005-12-14 주식회사 바우 컨설탄트 측구배수 구조를 이용한 부력방지 구조
KR100590421B1 (ko) * 2005-10-28 2006-06-19 (주)종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설구조물의 부력방지 배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825A (ko) 2017-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192B1 (ko) 우수를 지중에 침투 저장하는 침투 관정을 이용한 워터 포켓
US81137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storing, and distributing storm water
JP5346731B2 (ja) 雨水地中浸透施設
JP4284665B2 (ja) 側溝の排水構造
US11408162B2 (en)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KR101622222B1 (ko) 가뭄과 수해대비와 싱크홀 예방을 위한 빗물이용장치
US20220356691A1 (en)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RU2465398C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действия для промывки дренажа низконапорных грунтовых плотин
JP6739887B1 (ja) 水害時2次排水方法
KR101267377B1 (ko)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KR200405382Y1 (ko) 절ㆍ성토부면 노면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KR101802065B1 (ko) 침투저류조가 구비된 지하차도 구조
KR100429768B1 (ko) 하상여과에 의한 하천수질 정화장치 및 그 방법
JP3974214B2 (ja) ボックス配置型貯留浸透槽
JP2012219591A (ja) 浸透構造体、及び浸透構造体付き集水施設並びに浸透構造体の設置方法
KR100994672B1 (ko)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
KR100984372B1 (ko)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
KR20140122781A (ko) 옹벽에서 배수 촉진용 저수조
KR101356964B1 (ko) 도로 집수정
AU2020285563A1 (en)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JP5695495B2 (ja) 伏越し構造
CN206360052U (zh) 一种海绵式雨水渗透收排系统
KR200265463Y1 (ko) 악취차단 및 토사유입방지 맨홀
KR200430582Y1 (ko) 관을 이용한 빗물 저류조 구조
KR101271423B1 (ko) 지중침투형 빗물여과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