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969B1 - 유지관리 통로가 구비된 빗물저류조 - Google Patents

유지관리 통로가 구비된 빗물저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969B1
KR101704969B1 KR1020160055073A KR20160055073A KR101704969B1 KR 101704969 B1 KR101704969 B1 KR 101704969B1 KR 1020160055073 A KR1020160055073 A KR 1020160055073A KR 20160055073 A KR20160055073 A KR 20160055073A KR 101704969 B1 KR101704969 B1 KR 101704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inflow
rainwater
storage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헌
박미란
박진양
Original Assignee
(주)리버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버앤텍 filed Critical (주)리버앤텍
Priority to KR1020160055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Abstract

본 발명은 유지관린 통로가 구비된 빗물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저류조의 하부에 구비된 내부구조물에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는 작업통로를 구비하여 내부청소 및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빗물을 저류조의 하부부터 채워지도록 하고 작업자가 들어갈 수 없는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는 거름망을 구비하여 상부구조물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유지관리 통로가 구비된 빗물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저류탱크와 상기 저류탱크의 하부에 사람이 통행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하부블록과 상기 하부블록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블록 및 상기 저류탱크의 외부에서 상기 하부블록과 연결되는 진입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지관리 통로가 구비된 빗물저류조{A RAINWATER STORAGE TANK EQUIPPED WITH A MAINTENANCE PASSAGE}
본 발명은 유지관리 통로가 구비된 빗물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저류조의 하부에 구비된 내부구조물에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는 작업통로를 구비하여 내부청소 및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빗물을 저류조의 하부에서 채워지도록 하고 작업자가 들어갈 수 없는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는 거름망을 구비하여 상부구조물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지관리 통로가 구비된 빗물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빗물은 지표면의 수분이 증발하여 높은 고도에서 응결된 후에 다시 지표면으로 떨어지는 자연순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지구상의 모든 동식물이 생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자연순환을 통하여 발생하는 빗물이 지구상의 모든 동식물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수자원이 된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환경오염으로 인한 이상기후로 상기와 같은 자연순환에 문제가 발생하면서 수자원이 점점 더 부족해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더구나 인구의 폭증과 도심화의 가속화로 인하여 수자원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지만 정작 빗물의 활용률은 점점 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예를 들어, 정상적인 자연환경에서는 비가 내리면 상당량의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들기 때문에 강이나 하천으로 빗물이 급격히 유입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하며, 이렇게 땅속으로 스며든 지하수는 지면으로 천천히 용출되어 다시 강이나 하천으로 흘러가서 생태계가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도심화가 진행되면서 지표면이 아스팔트와 콘크리트로 포장되었기 때문에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들 수가 없게 되었다. 따라서 지표면으로 떨어진 많은 양의 빗물이 한꺼번에 저지대로 몰려서 수해를 일으키기도 하고, 동시에 하수관 등으로 유입되거나 강이나 하천으로 흘러가서 하수관의 역류나 강이나 하천 등의 범람으로 인한 수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반대로 건기에는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들어서 저장되지 못하기 때문에 수자원이 부족하여 청소나 가로수 등에 공급할 물은 물론, 식수로 사용할 물도 부족해 지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따라서 우기에 내리는 빗물의 일부를 저장하여 수해를 방지함은 물론 건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빗물저류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한편, 빗물저류조는 규모나 시공조건에 따라 크게 2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하나는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하여 내부에 지지기둥이 구비된 저장공간을 만드는 방식이다. 이와 관련한 일례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7437호(종래기술 1)가 있다. 종래기술 1은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하여 육면체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는 지지기둥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의 빗물저류조는 모든 구조물을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완성한 후에 현장에서 조립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빗물저류조의 규모가 커지면 설치시간과 비용이 지나치게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지지기둥 등의 증가로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드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또 다른 방법의 빗물저류조로, 내부공간에 플라스틱블록체를 채우는 방식이 있다. 즉, 지하에 터파기를 통한 공간을 형성한 후에 상기 공간에 플라스틱블록체를 채우는 방식으로, 시공이 간편하고 비용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다. 플라스틱블록체와 관련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0605호(종래기술 2)가 있다. 종래기술 2의 도 1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블록체로 빗물저류조의 내부를 가득 채우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플라스틱블록체는 저렴한 비용으로 짧은 시간에 대량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빗물저류조를 건설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개개의 플라스틱블록체가 저류조 내부를 가득 채우기 때문에 저류탱크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만들 필요가 없으며, 상기 플라스틱블록체는 공극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실제 저류조공간의 최대 92%까지 빗물을 저장할 수도 있다. 하지만, 플라스틱블록체는 작은 공간들이 밀집된 형태이기 때문에 사람이 들어가서 유지보수나 청소 등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빗물저류조에 저장되는 빗물은 지표면의 흙을 쓸고 유입되는 흙탕물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된 빗물이 저류조 내에서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플라스틱블록체 내부의 공간들 사이에 침전되며, 이렇게 침전된 흙들은 시간이 지나면 단단하게 굳어져서 저류공간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빗물저류조는 정기적으로 침전된 흙을 청소해 주어야 하지만, 플라스틱조립체는 사실상 청소가 어렵거나 청소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더구나 플라스틱블록체는 저류탱크의 벽면이 자연상태의 지면에 터파기를 하고, 벽면에 방수필름 등을 구비한 후에 그 내부에 생성된 공간에 상기 플라스틱블록체를 가득 체우는 방식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청소를 위하여 상기 플라스틱블록체를 제거하면 벽면이 취약해지게 되는 문제도 있다.
KR 10-1217437 B1 KR 10-1204036 B1 KR 10-1030605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빗물저류조의 하부에 작업자가 들어가서 청소 등을 하거나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작업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통로의 상부에는 상부블록를 구비하여 빗물저류조의 저류용량을 최대한으로 유지하며,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유지관리 통로가 구비된 빗물저류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저류탱크와 상기 저류탱크의 하부에 사람이 통행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하부블록과 상기 하부블록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블록 및 상기 저류탱크의 외부에서 상기 하부블록과 연결되는 진입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하부블록은 바닥면과 상부면 및 상기 바닥면과 상부면 사이를 지지하는 블록기둥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블록유닛이 저류탱크의 바닥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블록유닛의 상부면과 바닥면 사이에는 1.5m~2.5m의 작업통로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블록유닛은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상부로 연장되는 블록기둥과 상기 블록기둥의 상부에 상기 바닥면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상부면으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블록유닛이 상기 저류탱크의 바닥면에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상기 기둥들 사이에 작업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블록기둥에는 외측에는 지지리브가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되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블록기둥의 외주면에 최소한 2개 이상이 방사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지지리브는 상하방향의 양단에서 가운데 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블록기둥과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서로 인접한 지지리브들 사이의 가운데 부분에 작업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블록유닛들 사이의 작업통로에는 월류벽이 더 구비되되, 상기 월류벽은 상기 하부블록의 하단에만 구비되고 상부는 개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하부블록과 상기 상부블록의 사이에는 여과층이 더 구비되어 상기 하부블록으로 유입된 빗물이 상기 여과층을 거쳐서 상기 상부블록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여과층은 상기 유입블록에서 멀어질수록 투수공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저류탱크의 하부에는 외부의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블록이 상기 하부블록과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입블록과 외부유입구 사이의 유입통로를 통하여 빗물이 유입되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유입통로의 하부에는 감쇄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유입통로를 통하여 유입된 빗물이 상기 감쇄부에 부딪혀서 퍼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유입블록은 하부블록으로부터 단절된 밀폐구조로 이루어지고 유입관을 통하여 외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입관의 하부에는 역류방지유닛이 더 구비되되, 상기 역류방지유닛은 상기 유입관의 하부에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유입관보다 지름이 크게 구성되는 부력조절관과, 상기 부력조절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부력조절관의 하단부와 상기 유입블록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보다는 크고 상기 유입관보다는 작게 구성되는 부력체와,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인접한 블록유닛으로 연결되는 유입안내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유입안내관에는 역류방지밸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지관리 통로가 구비된 빗물저류조에 의하면 저류탱크의 하부로 빗물이 유입되어 상부로 흘러가도록 하고, 하부에는 작업자가 들어가서 통행하거나 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통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주로 하부에 침전되는 흙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저류탱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부구조를 지지력이 강하고 공극률이 높은 플라스틱조립체구조의 상부블록로 채워서 저류용량을 최대한으로 유지하면서 시공시간과 비용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빗물저류조로 유입되는 빗물을 하부에서 상부로 채워지는 방식으로 구성하고, 사람이 들어가서 작업을 하기 어려운 상부블록으로 유입되는 빗물은 거름망 등을 이용하여 걸러줌으로써 청소가 어려운 상부블록으로 이물질이나 부유물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지관리통로가 구비된 빗물저류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의 하부블록과 상부블록의 적층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상부블록과 하부블록 사이의 여과층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입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입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지관리통로가 구비된 빗물저류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의 하부블록과 상부블록의 적층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상부블록과 하부블록 사이의 여과층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지관리통로가 구비된 빗물저류조는 저류탱크(100)와 상기 저류탱크(100)의 하부에 사람이 통행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하부블록(110)과 상기 하부블록(110)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블록(130) 및 상기 저류탱크(100)의 외부에서 상기 하부블록(110)과 연결되는 진입통로(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저류탱크(100)는 빗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류탱크(100)는 지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터파기를 하여 만들어 진다. 따라서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저장공간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에 비하여 건설기간과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저류탱크(100)의 벽면은 방수포 또는 방수필름 등과 같은 재질로 덧대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저류탱크(100)의 흙벽이 붕괴하지 않도록 하면서 내부에 빗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후술하여 설명할 공극률이 높은 상부블록(130)과 하부블록(110)을 가득 채우게 된다. 다만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저류탱크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내부에 상하부블록이 채워지는 공간이 형성되는 구조라면 공지의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하부블록(110)은 저류탱크(100)의 하부에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하부블록(110)은 바닥면(121)과 상부면(125) 및 상기 바닥면(121)과 상부면 사이를 지지하는 블록기둥(123)으로 구성되는 블록유닛(120)이 저류탱크(100)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블록기둥(123)들 사이에 작업통로(1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록유닛(120)은 내부에 작업통로(113)가 형성될 수 있는 구조라면 공지의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실시예가 가능하다.
블록유닛(120)은 바닥면(121)과 상기 바닥면(121)의 상부로 연장되는 블록기둥(123)과 상기 블록기둥(123)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면(125)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인 단면구조가 I자형 또는 이와 유사한 단면구조를 가지는 블록유닛(120)이 저류탱크(100)의 하부에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바닥면(121)과 상부면(125)은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육면체의 저류탱크(100)의 바닥면(121)에 설치되는 블록유닛(120)의 경우에 바닥면(121)과 상부면(125)이 사각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면(121)과 상부면(125)의 가운데 부분에 상기 바닥면(121) 또는 상부면(125)보다 작은 원기둥 또는 다각형의 기둥이 수직으로 연결되며, 상기와 같은 구성의 블록유닛(120)을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하면 상기 기둥들 사이에 사람이 통행할 수 있을 정도의 작업통로(113)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도 2 참조).
블록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과 상부면 사이의 모서리에 4개의 기둥이 구비된 박스형 블록유닛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닥면과 상부면의 양 측면이 벽으로 구성된 박스형 블록유닛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I형 블록유닛을 기준으로한 설명이며, 박스형 블록유닛 등에 관해서는 필요시 보충적으로 설명한다.
블록유닛(120)은 작업자가 통행하면서 내부에서 청소작업 등을 할 수 있는 구조라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서서 통행하는데 불편함이 없는 크기와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블록유닛(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작업통로(113)는 1.5m~2.5m 정도의 높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m~2.5m의 높이로 할 수 있다. 블록유닛(120) 또는 상기 블록유닛(120)으로 구성되는 하부블록(110)은 후술하여 설명할 상부블록(130)을 지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구조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록유닛(120)의 상부면(125)과 바닥면(121) 사이로, 블록기둥(123)의 외측면에는 최소한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4개의 지지리브(127)가 상하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리브(127)는 블록기둥(123)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구비되며, 상하방향의 양단에서 가운데 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블록기둥(123)과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하중을 지지하기 용이하게 하면서 복수의 블록유닛(120)이 연결되는 경우에 지지리브(127)의 오목한 부분에 의하여 상기 블록유닛(120)들 사이에 작업통로(113)가 형성되도록 한다. 박스형 블록유닛(120)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각 모서리에 구비된 기둥에 전술하여 설명한 구조와 유사한 지지리브(127)가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물의 블록유닛(120)은 후술하여 설명할 상부블록(130)들에 비해서 흙으로 된 저류탱크의 벽면을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할 수 있다. 즉, 상부블록(130)은 비교적 작고 밀집된 구조의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 구조체가 조밀하게 채워지기 때문에 벽면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지만, 하부블록(110)은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는 작업통로(113)만큼 벽면이 지지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유닛(120) 중 저류탱크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블록유닛(120)은 상기 저류탱크(100)와 대면하는 부위에 벽면이 더 구비되거나 상기 저류탱크(100)의 벽면을 보강할 수도 있다.
상부블록(130)은 상판(131)과 하판(133) 및 상기 상판(131)과 하판(133)을 연결하는 복수의 기둥(135)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둥(135)은 내부가 중공으로 구성된다. 상부블록(130)은 전체적인 형상이 육면체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볍고 튼튼한 플라스틱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부블록(130)의 상판(131)과 하판(133) 사이의 공간과 기둥(135) 내부의 공간 등에는 유입된 빗물이 채워지면서 저장될 수 있다. 상부블록(130)은 저류탱크(100)의 벽면들을 지지하는 동시에 내부에 공극률을 크게 하여 저수량을 최대로 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즉, 지반을 터파기하여 만들어진 저류탱크(100)의 내부에 조밀한 구조의 상부블록(130)이 가득 채워져서 상기 저류탱크(100)의 벽면을 지지하게 된다. 다만, 상기와 같은 구성의 상부블록(130)은 본 발명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전술하여 설명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공지의 다양한 상부블록(130)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공지의 상부블록(130)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6635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5047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471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5778호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공지의 다양한 상부블록(130)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상부블록(130)은 하부블록(110)의 상부공간을 가득 채우도록 조밀하게 적층 된다.
상부블록(130)은 내부공극을 크게 하면서 지지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가로세로의 단위길이가 30cm~60cm 정도의 크기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내측에는 다양한 지지구조를 가지는 벽면이나 기둥이 조밀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체적 대비 약 92%의 공간에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요소이다. 하지만, 부피가 작고 조밀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사람이 들어가서 작업을 하거나 통행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부블록(130)의 경우에 빗물저류조의 특성상 반드시 발생하는 하부침전물의 제거나 청소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실제로 상부블록(130)를 모두 제거하지 않으면 사실상 청소가 불가능하며, 이러한 방식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블록(130)을 제거하는 경우에 흙으로 된 저류탱크의 벽면이 붕괴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진입통로(150)는 저류탱크(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작업자가 드나들 수 있도록 하는 통로이다. 따라서 저류탱크(100)의 외부에서 연장되어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는 작업통로(113)가 형성된 하부블록(110)과 연결되며, 일반적으로는 저류탱크(100)의 상부에 점검구맨홀(155)이 구비되어 상기 점검구맨홀(155)에서 하부블록(110)이 구비된 저류탱크(100)의 하부까지 사다리 등과 같은 이동로를 통하여 수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구조는 본 발명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작업자가 저류탱크(100)의 외부에서 하부블록(110)까지 드나들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구조와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저류탱크(100)의 하부에는 외부의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블록(170)이 구비되며, 상기 유입블록(170)은 외부의 유입구와 유입관(175)을 통하여 연통될 수 있다. 그리하여 외부의 빗물이 유입관(175)을 통하여 유입블록(170)의 내부로 유입된 후에 저류탱크(100)의 전체로 퍼져 나가는 구조가 된다. 유입블록(170)은 고압의 빗물이 곧바로 유입되기 때문에 다른 부위보다 충격이나 침식에 강하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블록(170)은 저류탱크(100)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블록(110)과 나란하게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류탱크(100)의 가장자리 중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된다. 이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모래나 먼지 및 기타 부유물을 포함한 빗물이 하부블록(110)을 지나면서 상기 부유물 등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빗물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구조와 방법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전술하여 설명한 하부블록(110)과 상부블록(130)의 사이에는 여과층(190)이 더 구비될 수 있다(도 3 참조). 여과층(190)은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구조라면 공지의 다양한 구조와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여과층(190)의 일례로 부직포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여과층(190)의 투수공은 저류탱크(100)로 유입되는 빗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에 토사가 많아서 빗물에 토사나 나뭇가지 등과 같은 큰 이물질이 많이 유입되는 장소에 설치되는 저류탱크(100)의 경우에는 비교적 큰 투수공을 가지는 여과층(19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작은 먼지 종류가 주로 유입되는 장소에 설치되는 저류탱크(100)의 경우에는 작은 투수공을 가지는 여과층(19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투수공이란 여과층에서 물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나 틈을 의미한다.
여과층(190)의 투수공은 전술하여 설명한 유입블록(170)에서 멀어질수록 커지고, 상기 유입블록(170)에 가까울수록 상대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에 유입블록(170)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 좌측으로 갈수록 여과층(190)의 투수공이 커지고, 유입블록(170)이 있는 우측으로 갈수록 여과층(190)의 투수공이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유입블록(170)에 인접할수록 유입된 빗물의 물살이 강하기 때문에 이물질의 부유가 심하여 여과성을 높일 필요가 있고, 상기 유입블록(170)에서 멀어질수록 물살이 약하고 이물질의 침전으로 인하여 여과성이 낮아도 되기 때문이다. 반면, 여과층(190) 전체로 볼 때 어느 한 부분은 투수율을 높게 하여 상기 여과층(190)에 가해질 압력을 낮출 필요가 있기 때문에 유입블록(170)에서 먼 위치에 있는 여과층(190)의 투수공을 크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블록유닛(120)들 사이의 작업통로(113)에는 월류벽(11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월류벽(115)은 하나 또는 복수의 블록유닛(120)으로 구성된 구획들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하부블록(110)에 형성되는 작업통로(113)의 하단을 차단할 수 있다. 월류벽(115)은 하부블록(110)의 작업통로 중 하단의 일부 구간에만 차단하도록 설치되고, 상부는 개방된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하여 작업자가 작업통로(113)를 지날 때 월류벽(115)을 넘어서 다닐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월류벽(115)은 70cm 정도의 높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월류벽(115)은 블록유닛(120)들 사이를 막을 수 있다면 공지의 다양한 구조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월류벽(115)은 필요에 따라 탈착식으로 구성되어 청소를 하거나 점검을 할 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월류벽(115)의 역할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유지관리통로가 구비된 빗물저류조의 기능을 살펴보면, 먼저 비가 내리면 지표면의 빗물이 유입통로를 통하여 유입블록(170)으로 들어오게 된다. 이때, 유입블록(170)으로 들어온 빗물은 주변의 토사나 모래 및 작은 조약돌 등이 포함된 흙탕물인 경우가 많다.
유입블록(170)으로 들어온 빗물은 수평방향으로 흘러서 저류탱크(100)의 하부에 구비된 하부블록(110)로 흘러가게 된다. 이때, 하부블록(110)들 사이에는 월류벽(115)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에 포함된 흙이나 모래 등과 같은 이물질 중 무거운 입자는 빗물저류조의 수위에 상관없이 하부로 침전하여 상기 월류벽(115)에 걸러지게 된다. 유입블록(170)은 하부블록(110)의 가장자리 중 어느 한 부분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유입블록(170)에서 멀어질수록 하부블록(110)의 넓이가 넓어지고, 따라서 유입블록(170)에서 유입된 빗물은 하부블록(170)으로 퍼저나가면서 유속이 느려지게 된다. 따라서, 무거운 입자는 유입블록(170)에서 가까운 월류벽(115)에 걸려서 쌓이고, 가벼운 입자는 유입블록(170)에서 멀리 떨어진 월류벽(115)에 걸려서 쌓이게 된다. 따라서 하부블록(110)을 주기적으로 청소를 하는 경우에 무겁고 많은 이물질이 쌓여 있는 부분(유입블록에서 가까운 부분)을 자주 청소하고 가벼운 이물질이 천천히 침전되면서 쌓이는 부분(유입블록에서 먼 부분)은 청소주기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작업이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강수량이 적어서 소량의 빗물이 유입되는 경우(이 경우에 이물질이 상대적으로 많음)에는 유입블록(170)의 인접한 위치의 블록유닛(120)에만 이물질이 포함된 빗물이 저장되어 일부 구간만 청소를 하면 되는 이점도 있다.
한편, 하부블록(110)의 아래부터 채워진 수위가 상승하여 상부블록(130)에 닿으면 상기 하부블록(110)과 상부블록(130)의 사이에 구비된 여과층(190)에 의하여 다시 한번 이물질이 걸러진 후에 상부블록(130)로 유입된 빗물이 올라가게 된다. 빗물과 함께 유입된 이물질 중에 비교적 무겁고 큰 입자는 하부에 쌓이게 되고, 비교적 가볍고 미세한 입자만 부유하면서 상부블록(130)로 올라가게 되므로 여과층(190)은 이러한 입자들을 걸러내기 용이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빗물에 유입된 이물질 중에 가벼운 것일수록 유입블록(170)으로부터 멀리 흘러가지 못하고 곧바로 상부로 부유하고, 비교적 먼지와 같은 크기에 비하여 무거운 입자들은 부유하면서 유입블록(170)으로부터 멀리까지 흘러가서 여과층(190)을 만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여과층(190)의 투수공은 유입블록(170)에서 가까울수록 작게 하여 이물질을 잘 걸러내게 하고, 멀리 떨어질수록 크게 하여 상기 여과층(190)으로 빗물이 원활히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빗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가벼우면서 큰 입자는 유입블록(170)에 인접한 위치에서 부유하여 여과층(190)에서 걸러지고 유입블록(170)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유입된 빗물의 흐름이 느려져서 침전되는 입자가 많아지기 때문에 여과할 이물질이 현저히 적어지며, 따라서 상기 여과층(190)을 빠르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유입된 빗물이 여과층(190)에서 적체되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빗물저류조는 우기에 빗물을 저장하였다가 건기에 방류하거나 재활용하게 된다. 따라서 저류탱크(100)의 물을 방류하거나 재활용하여 상기 저류탱크(100)가 비워지면 작업자가 진입통로(150)를 통하여 하부블록(110)으로 들어갈 수 있으며, 상기 하부블록(110)들 사이의 작업통로(113)를 통하여 바닥에 쌓여 있는 흙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청소할 수 있다. 상부블록(130)은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람이 들어가서 작업을 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렵고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하부블록(110)을 통과하면서 부유물을 최대한 걸러낸 후에 상부블록(130)으로 흘러가게 함으로써 상기 상부블록(130)에 침전되는 이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비록 영구적으로 상부블록(130)의 이물질제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저류탱크(100)의 하부에 침전되는 비교적 큰 입자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상부블록(130)을 최대한 오랫동안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빗물저류조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입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입블록은 하부 내부에 감쇄부(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유입블록(170)으로 유입되는 빗물은 물살이 빠르고 모래나 작은 자갈 등과 같은 이물질이 다량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빗물이 빠른 속도로 유입블록(170)의 내부로 떨어지면 상기 유입블록(170)이 패이거나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빗물이 유입되는 통로 하단으로, 상기 빗물이 가장 빠른 속도로 부딪히는 위치에 감쇄부(200)를 구비하여 유입블록(170)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감쇄부(200)는 빗물이 빠른 속도로 부딪히는 위치에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쇄부(200)의 상부가 빗물이 퍼저나가는 방향이 낮고, 반대방향이 높게 형성되도록 한다. 유입블록(170)으로 유입되는 빗물의 유입통로는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유입관(175)으로 구성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저류조의 벽면과 상부블록(130) 및 하부블록(110) 사이에 직접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유입통로(205)가 직접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유입통로(205)의 내측면에는 감쇄벽(20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감쇄벽(203)은 유입통로(205)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자유단이 하부로 절곡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빗물저류조의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입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입블록은 유입관(175)에 의하여 외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입관(175)의 하부에 역류방지유닛(2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역류방지유닛(210)은 부력조절관(211)과 부력체(213) 및 유입안내관(215)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력조절관(211)은 유입관(175)의 하부에 인접하게 연장되어 끝단이 유입블록(170)의 하부로부터 일부 이격되게 구성된다. 부력조절관(211)은 유입관(175)보다는 지름이 크게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끝단의 일부가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부력체(213)는 유입안내관(215)의 내측에 구비되며, 물에 뜨는 구조나 재질이라면 공지의 다양한 구조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부력체(213)와 유입안내관(215)사이에는 충분한 공간이 구비되어 빗물의 배수가 원활하도록 한다. 부력체(213)는 최소한 부력조절관(211)의 하단부와 유입블록(170)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보다는 크게 구성되거나 상기 부력체(213)가 와이어나 체인 등에 의하여 부력조절관(211)의 내부에 고정되어 유입블록(170)에 물이 없는 경우에도 상기 부력체(213)가 부력조절관(211)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부력체(213)는 부력조절관(211)의 내부지름보다는 작게 구성되고, 유입관(175)보다는 크게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부력체(213)가 부력조절관(211)의 상부로 최대한 이동하더라도 유입관(175)을 만나면 멈추도록 구성된다.
유입안내관(215)은 유입관(175)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분기되어 인접한 하부블록(110)의 블록유닛(120)으로 연결된다. 이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입블록(170)은 하부블록(110)으로부터 단절된 밀폐구조로 이루어져서 유입안내관(215)을 통해서만 빗물이 상기 하부블록(11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유입안내관(215)이 유입관(175)으로부터 분기되는 위치는 최소한 부력체(213)가 이동할 수 있는 최상점보다 높은 위치가 되도록 하고, 상기 유입안내관(215)에는 역류방지밸브(21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역류방지밸브(217)는 하부블록(110)으로부터 유입관(175)으로 빗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지의 다양한 역류방지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입블록은 초기에 유입되는 빗물은 부력조절관(211)의 하부를 통하여 유입블록(170)의 내부로 유입된다. 그런 후에 유입블록(170)에 일정수량이 채워져서 부력체(213)가 유입관(175)을 만나면 상기 부력체(213)에 의하여 유입관(175)이 차폐되면서 유입관(175)을 통하여 유입된 빗물이 유입안내관(215)을 통하여 하부블록(110)으로 흘러가게 된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빗물저류조로 유입되는 빗물은 주변의 흙이나 기타 이물질을 함께 쓸어서 유입되며, 특히 초기에 유입되는 빗물에 다량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입블록은 초기에 유입되는 빗물은 상기 유입블록(170)의 내부에 채워지고,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유입된 빗물부터 하부블록(110)으로 흘러가도록 한다. 그리하여 하부블록(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최소화하고, 유입블록(170)의 내부에 쌓이는 이물질만 주기적으로 청소해 주도록 함으로써 빗물저류조의 유지관리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빗물저류조의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저류탱크
110: 하부블록
115: 여과막
130: 상부블록
150: 진입통로
155: 점검구맨홀
170: 유입블록
175: 유입관
190: 여과층

Claims (10)

  1. 저류탱크와 상기 저류탱크의 하부에 사람이 통행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하부블록과 상기 하부블록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부블록 및 상기 저류탱크의 외부에서 상기 하부블록과 연결되는 진입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블록은,
    상판과 하판 및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를 연결하는 내부가 중공인 기둥이 사람이 통행할 수 없는 조밀한 구조의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블록은,
    바닥면과 상부면 및 상기 바닥면과 상부면 사이를 지지하며 상기 상부면과 바닥면보다 작게 구성되는 블록기둥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블록유닛이 저류탱크의 바닥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블록유닛의 상부면과 바닥면 사이에는 1.5m~2.5m의 작업통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블록유닛들 사이의 작업통로에는 월류벽이 더 구비되되, 상기 월류벽은 상기 하부블록의 하단에만 구비되고 상부는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블록유닛으로 구성된 구획들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무거운 입자는 유입블록에서 가까운 월류벽에 걸려서 쌓이고 가벼운 입자는 상기 유입블록에서 멀리 떨어진 월류벽에 걸려서 쌓이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블록과 상기 상부블록의 사이에는 여과층이 더 구비되어 상기 하부블록으로 유입된 빗물이 상기 여과층을 거쳐서 상기 상부블록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여과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여과층은 상기 유입블록에서 멀어질수록 투수공이 크게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저류탱크의 하부에는 외부의 빗물이 유입되어 상기 하부블록으로 흘러가는 유입블록이 상기 하부블록과 나란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입블록과 외부유입구 사이의 유입통로를 통하여 빗물이 유입되록 구성되는 유지관리통로가 구비된 빗물저류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블록은 하부블록으로부터 단절된 밀폐구조로 이루어지고 유입관을 통하여 외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입관의 하부에는 역류방지유닛이 더 구비되되,
    상기 역류방지유닛은 상기 유입관의 하부에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유입관보다 지름이 크게 구성되는 부력조절관과, 상기 부력조절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부력조절관의 하단부와 상기 유입블록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보다는 크고 상기 유입관보다는 작게 구성되는 부력체와,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인접한 블록유닛으로 연결되는 유입안내관으로 구성되는 유지관리통로가 구비된 빗물저류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유입안내관에는 역류방지밸브가 더 구비되어 있는 유지관리통로가 구비된 빗물저류조.
KR1020160055073A 2016-05-04 2016-05-04 유지관리 통로가 구비된 빗물저류조 KR101704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073A KR101704969B1 (ko) 2016-05-04 2016-05-04 유지관리 통로가 구비된 빗물저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073A KR101704969B1 (ko) 2016-05-04 2016-05-04 유지관리 통로가 구비된 빗물저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969B1 true KR101704969B1 (ko) 2017-02-10

Family

ID=58121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073A KR101704969B1 (ko) 2016-05-04 2016-05-04 유지관리 통로가 구비된 빗물저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96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8686A (ja) * 2005-11-21 2007-06-07 Shiro Kimura 曲面梁柱ブロックによる地下貯留空間の構築
JP2008208527A (ja) * 2007-02-23 2008-09-11 Kubota Ci Kk 雨水貯留・浸透システム
KR101030605B1 (ko) 2010-05-25 2011-04-20 (주)일산금속 혼합형 빗물 저류조
KR101204036B1 (ko) 2012-03-08 2012-11-23 최승선 부재조립형 pc 빗물저류조
KR101217437B1 (ko) 2010-06-10 2013-01-02 홍석희 구조물 축조용 블록, 부재강결장치 및 그를 이용하여 축조된 빗물저류조
KR101328223B1 (ko) * 2012-07-20 2013-11-14 에치투엘 주식회사 초기우수 배제 및 침투 시스템
KR101564767B1 (ko) * 2015-05-01 2015-10-30 주식회사 그린개발 비점오염원 저감형 조립식 저류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저감기능을 갖는 저류조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8686A (ja) * 2005-11-21 2007-06-07 Shiro Kimura 曲面梁柱ブロックによる地下貯留空間の構築
JP2008208527A (ja) * 2007-02-23 2008-09-11 Kubota Ci Kk 雨水貯留・浸透システム
KR101030605B1 (ko) 2010-05-25 2011-04-20 (주)일산금속 혼합형 빗물 저류조
KR101217437B1 (ko) 2010-06-10 2013-01-02 홍석희 구조물 축조용 블록, 부재강결장치 및 그를 이용하여 축조된 빗물저류조
KR101204036B1 (ko) 2012-03-08 2012-11-23 최승선 부재조립형 pc 빗물저류조
KR101328223B1 (ko) * 2012-07-20 2013-11-14 에치투엘 주식회사 초기우수 배제 및 침투 시스템
KR101564767B1 (ko) * 2015-05-01 2015-10-30 주식회사 그린개발 비점오염원 저감형 조립식 저류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저감기능을 갖는 저류조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9180B2 (ja) 路面排水処理装置
KR101703319B1 (ko) 빗물 침투 시설
US10799814B2 (en) Water storage in subsurface storm water basins
JP5791287B2 (ja) 雨水貯留施設
US20220356691A1 (en)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US11408162B2 (en)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KR101370481B1 (ko) 인공함양용 필터링 시스템 및 인공함양용 필터링 시스템 세척방법
KR101043661B1 (ko) 지중 침투형 빗물배수장치
JP4511077B2 (ja) 雨水排水処理システム
KR20190059034A (ko) 단계적 여과방식 빗물 저류 시스템
KR101704969B1 (ko) 유지관리 통로가 구비된 빗물저류조
KR101519076B1 (ko) 옹벽에서 배수 촉진용 저수조
KR100714315B1 (ko) 화단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20140004867A (ko) 산 비탈면 및 절토 면의 배수로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KR100690583B1 (ko) 빗물받이
KR20120062449A (ko) 초기우수배제형 빗물 저류장치
KR100994672B1 (ko) 만수 경고 기능이 있는 우수 저류조
JP6239404B2 (ja) 雨水貯留施設
CN205329835U (zh) 一种兀形预制混凝土构件渗透滞留池
KR102448419B1 (ko) 침투식 빗물 저류조
KR101274100B1 (ko) 비점오염원 여과장치
CN211312794U (zh) 一种具有预处理功能的分类截流式雨水口装置
CN209958218U (zh) 箱梁桥防堵收水结构
KR101285727B1 (ko) 역류형 유도관의 부유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
JP2011247024A (ja) 雨水流出抑制施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