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1849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1849A
KR20060031849A KR1020067000395A KR20067000395A KR20060031849A KR 20060031849 A KR20060031849 A KR 20060031849A KR 1020067000395 A KR1020067000395 A KR 1020067000395A KR 20067000395 A KR20067000395 A KR 20067000395A KR 20060031849 A KR20060031849 A KR 20060031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charge
recording
conveyance bel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0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8317B1 (ko
Inventor
신지 이모토
세이이치 코구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60031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B65H5/02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between belts and stationary pressing, supporting or guiding elements forming a transport n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7Conveyor belts or like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04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using electrostatic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B65H5/025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between belts and rotary means, e.g. rollers, drums, cylinders or balls, forming a transport n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olding the material
    • B65H2301/4433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olding the material using electrostatic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3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for acting on performance of handling machine
    • B65H2301/532Modifying characteristics of surface of parts in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301/5322Generating electrostatic charge at said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8Other properties of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5/00Physical ent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11/00 or B65H2513/00
    • B65H2515/40Temperature; Thermal conductivity

Abstract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간단한 구성으로 기록매체의 이송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안개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어, 고화질 화상을 안정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송벨트는 인가되는 전하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력(electrostatic force)으로 기록매체를 흡착하여, 상기 기록매체를 이송하고, 기록헤드는 상기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기록매체를 향해 기록액체 방울을 토출한다. 상기 기록매체의 저항값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에 유발되는 전하량을 조정한다.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인쇄 속도(printing speed), 대전 롤러(charge roller), 정전력(electrostatic force), 표면 전위(surface potential)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벨트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련된다.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 장치 등의 화상 형성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잉크젯 기록 장치가 알려져 있다. 잉크젯 기록 장치는 기록헤드로부터 기록용지 등의 기록매체(이하, "용지" 라고 하지만, 재질을 종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에 잉크방울을 토출함으로써 기록을 실행한다. 이러한 잉크젯 기록 장치는 고정밀 화상을 고속으로 기록할 수 있는데, 유지비가 저렴하고, 소음이 작으며, 멀티-컬러 잉크를 사용하여 컬러 화상 기록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화상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용지에 대한 잉크방울의 도달 위치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일본공개특허출원 4-201469호, 9-254460호 및 2000-25249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것처럼, 이송벨트를 균일하게 대전시켜서, 정전력(electrostatic force)으로 용지를 흡착하고, 기록헤드와 용지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용지의 이송을 정밀히 제어함으로써 용 지의 위치의 이탈(offset)을 방지하고, 용지와 기록헤드의 접촉으로 인한 잼(jam)이나 더러움을 방지하도록 용지의 리프트(lift)를 방지하는 잉크젯 기록 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정전 흡착력으로 용지를 흡착하기 위해 이송벨트를 플러스 전압으로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경우, 기록헤드로부터 분사된 잉크방울은 전기장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데, 이는 용지에 대한 잉크방울의 도달 위치의 이탈 및 기록헤드(7)로의 잉크 안개의 역류를 야기한다.
잉크방울의 도달 위치의 이탈 및 잉크 안개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일본공개특허출원 2000-25249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것처럼, 표면이 균일하게 대전된 이송벨트에 이송 방향으로 기록헤드의 상류측에서 이송벨트의 전하와 반대 극성을 갖는 전하를 인가하여 용지 표면의 전위를 약하게 함으로써 분사된 잉크방울이 전기장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한 이송벨트의 표면과 동일한 극성을 갖는 용지 표면의 전위를 약하게 함으로써 정전 흡착력으로 이송벨트에 용지를 흡착하게 하는 대전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이송벨트의 대전 방법으로서, 일본특허 2897960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것처럼, 이송벨트의 표면에 전압 인가 수단을 접촉시키고, 이송벨트의 표면에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를 교대로 인가함으로써 이송벨트의 표면에 교대 전하 패턴(alternating charge pattern)을 형성하는 이송벨트의 대전 방법도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일본공개특허출원 2000-25249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처럼, 기록매체의 표면 전위를 무효화시키기 위해서, 기록매체에 인가되는 전하량을 표면 전위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다단계로 조정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기록매체 재질과 화상 형성 장치의 사용 환경에 따라 기록매체의 표면 전위가 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록매체의 표면 전위 또는 표면 저항을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한 센서 등의 수단이 필요한데, 이에 따라 장치가 복잡해지므로, 결국 비용 및 전력소비의 증가의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는 유용하고 향상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기록매체의 이송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안개의 역류를 방지하여 고화질 화상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인가되는 전하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력(electrostatic force)으로 기록매체를 흡착하여, 이송하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기(charger);
상기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기록매체를 향해 기록액체 방울을 토출하는 기록헤드; 및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에 유발되는 전하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의 저항값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헤드로부터 상기 기록매체를 향해 상기 기록액체 방울이 토출되는 기록 위치까지 이송되는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한다.
상기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상기 기록매체의 저항값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헤드로부터 상기 기록매체를 향해 상기 기록액체의 방울이 토출되는 기록 위치까지 이송되는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상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기록매체의 이송 정밀도가 향상되고, 기록헤드로부터 토출되는 기록액체의 방울의 비행 방향(flight direction)이 기록매체상의 전하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장의 영향으로 인해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록액체의 안개가 역류에 의해 기록헤드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고화질 화상을 안정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의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 저항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의 체적 저항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 수단은 환경 온도 및 습도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 수단은 외부로부터 부여받은 상기 기록매체의 저항값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인가되는 전하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력으로 기록매체를 흡착하여, 이송하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기; 상기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기록매체를 향해 기록액체 방울을 토출하는 기록헤드; 및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에 유발되는 전하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와 상기 이송벨트에 인가되는 전하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한다.
상기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상기 기록매체와 상기 이송벨트에 인가되는 전하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상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기록매체의 이송 정밀도가 향상되고, 기록헤드로부터 토출되는 기록액체의 방울의 비행 방향이 기록매체상의 전하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장의 영향으로 인해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록액체의 안개가 역류에 의해 기록헤드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고화질 화상을 안정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인가되는 전하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력으로 기록매체를 흡착하여, 이송하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기; 상기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기록매체를 향해 기록액체 방울을 토출하는 기록헤드; 및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에 유발되는 전하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기록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기록액체 방울의 크기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한다.
상기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상기 기록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기록액체의 방울의 크기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상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기록매체의 이송 정밀도가 향상되고, 기록헤드로부터 토출되는 기록액체의 방울의 비행 방향이 기록매체상의 전하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장의 영향으로 인해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록액체의 안개가 역류에 의해 기록헤드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고화질 화상을 안정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의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조정 수단은 외부로부터 부여받는 상기 기록액체 방울의 크기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인가되는 전하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력으로 기록매체를 흡착하여, 이송하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기; 상기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기록매체를 향해 기록액체 방울을 토출하는 기록헤드; 및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에 유발되는 전하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기록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기록액체 방울의 점도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한다.
상기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상기 기록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기록액체의 방울의 점도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상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기록매체의 이송 정밀도가 향상되고, 기록헤드로부터 토출되는 기록액체의 방울의 비행 방향이 기록매체상의 전하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장의 영향으로 인해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록액체의 안개가 역류에 의해 기록헤드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고화질 화상을 안정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의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조정 수단은 환경 온도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인가되는 전하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력으로 기록매체를 흡착하여, 이송하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기; 상기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기록매체를 향해 기록액체 방울을 토출하는 기록헤드; 및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에 유발되는 전하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 수단은 기록매체의 저항값, 상기 기록매체와 상기 이송벨트에 인가된 전하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의 검출 결과, 상기 기록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기록액체 방울의 크기 및 상기 기록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기록액체 방울의 점도 중의 2 이상의 항목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한다.
상기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기록매체의 저항값, 상기 기록매체와 상기 이송벨트에 인가된 전하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의 검출 결과, 상기 기록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기록액체의 방울의 크기 및 상기 기록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기록액체의 방울의 점도를 포함하는 2 이상의 항목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상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기록매체의 이송 정밀도가 향상되고, 기록헤드로부터 토출되는 기록액체의 방울의 비행 방향이 기록매체상의 전하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장의 영향으로 인해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록액체의 안개가 역류에 의해 기록헤드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고화질 화상을 안정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양면 인쇄가 가능하게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인가되는 전하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력으로 제 1면과 상기 제1 면과 반대쪽의 제2 면을 갖는 기록매체를 흡착하여, 이송하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기; 상기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기록매체를 향해 기록액체 방울을 토출하는 기록헤드; 및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에 유발되는 전하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의 저항값 및 처음에 인쇄될 상기 제1 면에 화상이 형성되는지 상기 제1 면 이후에 인쇄될 제2 면에 화상이 형성되는지의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헤드로부터 상기 기록매체를 향해 상기 기록액체 방울이 토출되는 기록 위치까지 이송될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한다.
상기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양면 인쇄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의 저항값 및 처음에 인쇄되는 상기 제1 면에 화상이 형성되는지 상기 제1 면 이후에 인쇄되는 제2 면에 화상이 형성되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헤드로부터 상기 기록매체를 향해 상기 기록액체의 방울이 토출되는 기록 위치까지 이송되는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상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기록매체의 이송 정밀도가 향상되고, 기록헤드로부터 토출되는 기록액체의 방울의 비행 방향이 기록매체상의 전하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장의 영향으로 인해 편향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록액체의 안개가 역류에 의해 기록헤드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고화질 화상을 안정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의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제1 면에 부착되는 기록액체량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제2 면의 저항값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제1 면의 미리 정해진 영역마다 부착된 기록액체량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제2 면의 미리 정해진 영역마다의 저항값을 예측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대전기에 의해 상기 이송벨트에 인가되는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의 대전 주기 길이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이송벨트에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를 인가하는 상기 대전기에 인가되는 교류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에서의 전하의 유무를 바꾸도록 상기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하는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할 때부터 상기 이송벨트상의 전하가 상기 기록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이송벨트의 이송속도와 정지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의 주요 부분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송벨트의 일 예의 층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송벨트의 다른 예의 층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잉크젯 기록 장치의 전체 제어부의 블럭도이다.
도 6은 대전 제어와 관련된 부분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이송벨트상의 전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기록용지가 상기 이송벨트와 접촉한 때의 전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표면 전위의 소멸 시간과 대전 주기 길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표면 저항률과 표면 전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3 종류의 기록용지에 대한 표면 전위와 대전 주기 길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상기 3 종류의 기록용지에 대한 흡착력과 대전 주기 길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할 때 발생하는 방전 손실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표면 저항률과 대전 주기 길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대전 주기 길이 조정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17은 체적 저항과 대전 주기 길이 사이의 이상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대전 주기 길이 조정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20은 3 종류의 기록용지에 대한 표면 전위와 온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상기 3 종류의 기록용지에 대한 표면 전위와 습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2는 상기 3 종류의 기록용지에 대한 표면 저항률과 온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3은 상기 3 종류의 기록용지에 대한 표면 저항률과 습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4는 온도와 대전 주기 길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5는 습도와 대전 주기 길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6은 대전 주기 길이 조정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이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실행되는 대전 주기 길이 조정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실행되는 대전 제어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3 종류의 기록용지에 대한 표면 전위와 인가된 전압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2는 상기 3 종류의 기록용지에 대한 흡착력과 인가된 전압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실행되는 대전 제어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실행되는 대전 제어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실행되는 대전 제어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36A 내지 도 36D는 큰 액체방울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7A 내지 도 37D는 작은 액체방울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8A 내지 도 38D는 낮은 점도의 액체방울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9A 내지 도 39D는 높은 점도의 액체방울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0은 잉크 점도와 온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1은 온도 센서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43은 3 종류의 기록용지에 대한 인쇄율 20%의 양면 인쇄에서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의 표면 저항률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4는 3 종류의 기록용지에 대한 인쇄율 50%의 양면 인쇄에서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의 표면 저항률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5는 3 종류의 기록용지에 대한 양면 인쇄에서 표면 전위의 변화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6은 3 종류의 기록용지에 대한 양면 인쇄에서 흡착력의 변화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7은 3 종류의 기록용지에 대한 흡착력과 인가된 전압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측면 설명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의 주요 부분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에는, 좌우 측판에 브리지(bridge)한 가이드 로드(1) 및 가이드 레일(2)이 주 스캐닝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캐리지 (carriage)(3)를 지지하고 있어, 상기 캐리지(3)를 주 스캐닝 모터로 구동 풀리(6a) 및 종동 풀리(6b)와 결합한 타이밍 벨트를 거쳐 도 2의 화살표 방향(주 스캐닝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캐닝한다. 또한, 상기 캐리지(3)와 상기 가이드 로드(1) 사이에는 가이드 부싱(베어링)(3a)을 각각 개재시키고 있다.
옐로(Y), 시안(C), 마젠타(M) 및 블랙(Bk)의 잉크방울을 토출하는 액체방울 토출 헤드로 구성되는 4개의 기록헤드(7)를 배열하는데, 이는 복수의 잉크 토출구를 주 스캐닝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배열하고, 잉크방울 토출 방향이 아래로 향하도록 한다.
기록헤드(7)를 구성하는 잉크젯 헤드로서는, 압전 소자를 이용하는 압전형 엑츄에이터, 발열 저항체 등의 전기-열 변환 소자로 액체의 막 비등(film boiling)에 의한 상 변화를 이용하는 서멀(thermal)형 엑츄에이터, 온도 변화에 의한 금속 상 변화를 이용하는 형상 기억 합금형 엑츄에이터, 정전력(electrostatic force)을 이용하는 정전형 엑츄에이터 등이 될 수 있다. 각각 다른 컬러 잉크를 토출하는 복수의 노즐 열을 갖는 1 이상의 액체 토출 헤드로 상기 기록헤드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기록헤드(7)에 각 컬러의 잉크를 공급하도록, 상기 캐리지(3)에는 각 컬러용 서브 탱크(8)가 탑재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서브 탱크(8)에는 잉크 공급관(9)을 통해 메인 탱크(잉크 카트리지)로부터 잉크가 공급된다. 또한, 잉크방울을 토출하는 상기 기록헤드(7) 이외에, 기록 액체(잉크)와 반응하여 잉크의 정착성(fixation)을 높이는 정착용 처리액(정착용 잉크)을 토출하는 기록헤드를 구비할 수도 있다.
급지 카세트(10)의 용지 적재부(누름판)(11)에 적재된 기록용지(12)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부로서는, 반월(semilunar) 롤러(급지 롤러)(13) 및 분리 패드(1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반월 롤러(13)는 상기 용지 적재부(11)로부터 기록용지(12)를 한장씩 분리 급지한다. 상기 분리 패드(14)는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급지 롤러(13)를 향해 힘이 가해진다.
또한, 급지부로부터 급지된 기록용지(12)를 상기 기록헤드(7) 아래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로서는, 이송벨트(21), 카운터(counter) 롤러(22), 이송 가이드(23) 및 선단 누름 롤러(2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송벨트(21)는 정전력으로 상기 기록용지(12)를 흡착하여 이송하고, 상기 카운터 롤러(22)는 급지부로부터 가이드(15)를 통해 급지되는 기록용지(12)를 1장씩 상기 이송벨트(21)와의 사이에 끼워서 이송한다. 상기 가이드(23)는 상기 기록용지(12)가 상기 이송벨트(21)를 따라 나아가도록, 연직 상방으로 급지되는 기록용지(12)를 대략 90°방향 전환시키고, 상기 선단 누름 롤러(25)는 상기 이송벨트(21)를 향해 누름 부재(24)로 압력을 가한다. 또한, 정전 흡착력이 발생하도록 이송벨트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수단인 대전 롤러(2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송벨트(21)는 무한 벨트(본래 무한 벨트로 형성되거나 벨트의 양단을 연결하여 형성)이고, 이송 롤러(27) 및 텐션 롤러(28)와 접촉을 유지하고 있어, 부 스캐닝 모터(31)로부터 타이밍 벨트(32) 및 타이밍 롤러(33)를 거쳐 회전되는 상기 이송 롤러(27)에 의해 도 2의 벨트 이송 방향(부 스캐닝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이송벨트(21)의 이면측에는 기록헤드에 의한 화상 형성 영역에 대응하게 가이드 부재(29)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이송벨트(21)로서는, 도 3에 도시된 단일층 구조의 벨트를 사용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복층(multi-layered) 구조를 갖는 벨트를 사용할 수 있다. 단일층 구조의 이송벨트(21)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이송벨트(21)는 상기 기록용지(12)와 대전 롤러(28)에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층 전체를 절연 재료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복층 구조의 이송벨트(21)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기록용지(12)와 대전 롤러(28)에 접촉하게 되는 면은 절연층(21A)으로, 상기 기록용지(12)와 대전 롤러(28)에 접촉하지 않게 되는 면은 전도층(21B)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일층 구조를 갖는 이송벨트(21)를 형성하는 절연 재료나 상기 복층 구조를 갖는 이송벨트(21)의 절연층(21A)의 절연 재료로서는, PET, PEI, PVDF, PC, ETFE, PTFE 등의 수지(resin) 또는 엘라스토머(elastomer)로 전도 제어 재료를 포함하지 않은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료의 체적 저항률은 1012Ω㎝ 이상, 바람직하게는 1015Ω㎝가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복층 구조를 갖는 이송벨트(21)의 전도층(21B)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앞에 언급한 수지 또는 엘라스토머에 카본(carbon)을 혼합하여, 체적 저항률을 105 ~ 107Ω㎝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전 롤러(26)는 상기 이송벨트(21)의 전면층을 형성하는 절연층(21A)과 접촉하게 되고(복층 구조의 벨트의 경우), 상기 이송벨트(21)의 이동에 의해 회 전하여, 축의 양단에 누르는 힘을 가한다. 상기 대전 롤러(26)는 106 ~ 109Ω㎝의 체적 저항률을 갖는 전도성 부재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대전 롤러(26)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AC 바이어스 공급부(고전압 전원)(114)로부터 예를 들면 2kV의 플러스, 마이너스 AC 바이어스(고전압)가 인가된다. 상기 AC 바이어스는 정현파나 삼각파도 가능하지만, 사각파(square wave)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나타나듯이, 상기 이송 롤러(27)의 축에는 슬릿 원판(slit disc)(34)을 설치하고, 상기 슬릿 원판(34)의 슬릿을 검출하는 센서(35)를 구비하여, 상기 슬릿 원판(34) 및 상기 센서(35)로 인코더(encoder)(36)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나듯이, 상기 캐리지(3)의 전면측에는 슬릿을 갖는 인코더 스케일(42)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인코더 스케일(42)의 슬릿을 검출하도록 상기 캐리지(3)의 전면측에는 투과형 광 센서를 포함하는 인코더 센서(43)를 구비하여, 상기 캐리지(3)의 주 스캐닝 방향으로의 위치를 검출하는 인코더(44)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기록헤드(7)에 의해 기록된 기록용지(12)를 배지하기 위한 배지부로서는, 상기 이송벨트(21)로부터 기록용지(12)를 1장씩 분리하는 분리 클로(claw)(51), 배지 롤러(52, 53) 및 배지된 기록용지(12) 정렬하는 배지 트레이(5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잉크젯 기록 장치의 후면측에는 양면 급지 유닛(61)을 탈착 가능 하게 장착하고 있다. 상기 양면 급지 유닛(61)은 기록용지(12)를 1장씩 상기 이송벨트(21)의 역회전에 의해 되돌리며, 상기 기록용지(12)를 방향 전환시키고, 상기 카운터 롤러(22)와 이송벨트(21) 사이의 위치에 급지하게 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나듯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하부에는 확장 트레이(70)가 장착되어 있는데, 상기 확장 트레이(70)는 급지 트레이(10)와 유사하게, 기록용지(12)를 놓는 누름판(용지 배치판), 급지 롤러(73) 및 분리 패드(7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확장 트레이(70)로부터 기록용지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급지 롤러(73)와 분리 패드(74)가 기록용지를 1장씩 급지하고 나면, 이송 롤러(75, 76)는 본 장치의 본체 아래로부터 상기 기록용지를 상기 카운터 롤러(22)와 이송벨트(21) 사이의 위치에 급지한다.
또한, 급지되는 기록용지의 표면 저항률을 측정하도록, 기록용지(12)의 이송 경로에서 상기 급지 롤러(13)의 일부에(주 스캐닝 방향에서) 표면 저항계(80)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잉크젯 기록 장치에서는, 급지부로부터 기록용지(12)가 1장씩 분리 급지되고, 연직 상방으로 급지되는 기록용지(12)는 상기 가이드(15)에 의해 안내되며, 상기 이송벨트(21)와 카운터 롤러(22)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이송된다. 그런 후, 각 기록용지(12)의 선단을 상기 이송 가이드(23)로 안내하고, 상기 선단 누름 롤러(25)로 이송벨트(21)에 맞닿게 눌러주어, 대략 90° 이송 방향을 전환한다.
이때, 대전 롤러(26)에 플러스 출력과 마이너스 출력을 반복적으로 인가하도 록, 상기 대전 롤러(26)에 고전압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이송 롤러(21)는 교류 전하 전압 패턴으로 대전되어, 이송벨트(21)의 회전 방향인 부 스캐닝 방향으로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가 교대로 배열된다. 플러스, 마이너스 패턴으로 교대로 대전된 이송벨트(21)에 기록용지(12)가 급지되면, 정전력에 의해 기록용지(12)는 상기 이송벨트(21)에 흡착하고, 부 스캐닝 방향으로 회전하는 이송벨트(21)에 의해 이송된다.
그러므로, 상기 캐리지(3)를 이동시키면서 화상 신호에 따라 기록헤드(7)를 구동함으로써, 기록용지(12)가 정지 상태에 있을 때, 잉크방울을 기록용지(12)에 토출하여 1 행의 인쇄를 실행한다. 그런 후,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기록용지(12)를 이송한 후, 다음 행의 인쇄를 실행한다. 기록 종료 신호나 기록용지(12)의 후단이 기록 영역에 도달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받으면, 기록 작동은 종료되고, 기록용지(12)를 배지 트레이(54)로 배지한다.
양면 인쇄의 경우, 기록이 끝난 기록용지(12)를 양면 급지 유닛(61)으로 보내도록, 전면(처음 인쇄 면)의 인쇄 종료 후 상기 이송벨트(21)를 역회전시킨다. 이 후, 기록용지(12)를 반전시키고(후면을 인쇄면이 되는 상태), 상기 카운터 롤러(22)와 이송벨트(21) 사이의 위치에 급지한다. 그 다음, 타이밍 제어를 하면서 상기 이송벨트(21)에 기록용지(12)를 이송함으로써 후면의 인쇄를 실행하고, 상기 배지 트레이(54)로 기록용지(12)를 배지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잉크젯 기록 장치의 제어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잉크젯 기록 장치의 전체 제어부의 블럭도이다.
상기 제어부(100)는, 본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중앙 처리 유닛(CPU)(101); 상기 CPU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다른 고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롬(ROM)(102);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램(RAM)(103); 본 장치의 전원이 꺼졌을 때 데이터를 유지하는 재기록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rewritable non-volatile memory)(104); 및 화상 데이터에 대한 각종 신호 처리와 재배열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와 본 장치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입출력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ASIC(application specification integrated circuit)(10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데이터 처리 장치인 호스트 측(90)과 데이터 및 신호를 교환하는 인터페이스(I/F); 기록헤드(7)의 구동을 제어하는 헤드 구동 제어부(107) 및 헤드 드라이버(108); 주 스캐닝 모터(4)를 구동하는 주 스캐닝 모터 구동부(111); 부 스캐닝 모터(31)를 구동하는 부 스캐닝 모터 구동부(113); 및 상기 인코더(34), 기록매체의 표면 저항값을 검출하기 위한 표면 저항계(80), 환경 온도 및/또는 환경 습도를 검출하는 환경 센서(118), 앞서 언급한 인코더(44)(미 도시) 및 다른 각종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I/O)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본 장치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표시하는 작동 패널(117)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대전 롤러(26)에 AC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AC 바이어스 공급부(114)의 출력의 ON/OFF 작동을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데이터 처리 장치, 화상 스캐너 등의 화상 판독 장치,디지털 카메라 등의 화상 촬영 장치 등의 호스트 측(90)으로부 터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쇄 데이터를 케이블이나 네트(net)를 통해 상기 I/F(106)로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에 공급되는 인쇄 데이터의 생성은 호스트 측(90)의 프린터 드라이버(91)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 CPU(101)는 상기 I/F(106)에 포함되는 수신 버퍼 내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를 판독 분석하고, ASIC(105)로 상기 데이터를 재배열 처리한 후, 상기 헤드 구동 제어부(107)에 상기 화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화상 데이터는 상기 프린터 드라이버(91)로 비트맵으로 전개하고 본 장치에 전송하고 있지만, 상기 화상 데이터의 비트맵 데이터로의 변환은, 예를 들어 ROM(102) 내에 저장된 폰트 데이터에 따라 실행할 수도 있다.
상기 헤드 구동 제어부(107)는, 기록헤드(7)의 1 행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도트 패턴 데이터)를 얻은 후, 클록(clock) 신호에 동시에 일어나는 상태로 상기 헤드 드라이버(108)에 상기 도트 패턴 데이터를 1 행에 대응하는 시리얼 데이터로 송신하고, 또한 상기 헤드 드라이버(108)에 미리 정해진 타이밍으로 래치(latch)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헤드 구동 제어부(107)는, 구동 파형(구동 신호)의 패턴 데이터를 저장하는 ROM(상기 ROM(102)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및 증폭기와 상기 ROM으로부터 판독되는 구동 파형 데이터를 변환하는 D/A 변환기를 포함하는 파형 생성 회로를 갖는 구동 파형 생성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헤드 드라이버(108)는, 상기 헤드 구동 제어부(107)로부터 보내진 클록 신호 및 시리얼 신호를 입력하는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상기 헤드 구 동 제어부(107)로부터의 래치 신호에 의해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의 레지스터 값을 래치하는 래치(latch) 회로; 상기 래치 회로의 출력값의 레벨(level) 변화를 수행하는 레벨 변환 회로(레벨 시프터); 및 상기 레벨 시프터에 의해 ON/OFF 상태가 되는 아날로그 스위치 어레이(스위치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헤드 드라이버(108)는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 어레이의 ON/OFF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구동 파형에 포함되는 필요한 구동 파형을 기록헤드(7)에 선택적으로 인가하여, 상기 기록헤드(7)를 구동한다.
상기 주 스캐닝 모터 구동부(111)는 상기 CPU(101)로부터 주어진 목표값과 상기 인코더(44)로부터의 검출 펄스를 샘플링(sampling)하여 얻은 속도 검출값에 근거하여 제어값을 산출하고, 내부 모터 드라이버로 주 스캐닝 모터(4)를 구동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부 스캐닝 모터 구동부(113)는 상기 CPU(101)로부터 주어진 목표값과 상기 인코더(36)로부터의 검출 펄스를 샘플링(sampling)하여 얻은 속도 검출값에 근거하여 제어값을 산출하고, 내부 모터 드라이버로 부 스캐닝 모터(31)를 구동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이송벨트(21)에 대한 대전 제어에 관계되는 부분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대전 제어에 관한 주요 부분 설명도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송벨트(21)를 구동하는 이송 롤러(27)의 단부에 설치된 인코더(36)는 회전량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회전량에 따라 제어부, 상기 부 스캐닝 모터 구동부(113) 및 대전 롤러(36)에 고전압(AC 바이어스)을 인가하는 AC 바이어스 공급부(114)로 상기 부 스캐닝 모터(31)를 제어한다.
상기 AC 바이어스 공급부(114)는 상기 대전 롤러(26)에 인가되는 플러스, 마이너스 전압의 주기(인가 시간)를 제어하고, 동시에, 상기 제어부(100)는 이송벨트(21)에 미리 정해진 대전 주기 길이로 인가되는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AC 바이어스 공급부(114)를 제어하여, 상기 AC 바이어스 공급부(114)로부터 출력되는 인가 전압의 주기를 변화시킨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이송벨트(21)에 인가되는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의 대전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자, 이송벨트(21)에 인가되는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의 대전 주기 길이에 따라 이송벨트(21)의 이송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앞서 언급했듯이, 인쇄를 시작하면, 부 스캐닝 모터(31)로 이송 롤러(27)를 구동함으로써 도 1의 시계방향으로 이송벨트를 회전시키고, 동시에, AC 바이어스 공급부(114)로부터 대전 롤러(26)에 사각파가 인가된다. 상기 대전 롤러(26)은 상기 이송벨트(21)의 절연층(21A)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도 6에 나타나듯이, 이송벨트(21)의 절연층(21A)에 이송벨트(21)의 이송 방향으로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가 띠 모양으로 교대로 인가되고, 상기 이송벨트(21)에 불평등(uneven) 전기장이 발생한다. 또한, "대전 주기 길이"는 도 6에 나타나듯이 서로 인접한 1쌍의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 패턴의 길이(폭)를 의미한다.
상기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가 인가되는 이송벨트(21)의 절연층(21A)은 앞서 언급했듯이 그 체적 저항률이 1012Ω㎝ 이상, 바람직하게는 1015Ω㎝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절연층(21A)에 있는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가 그 경계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절연층(21A)에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급지 롤러(13)에 설치되고 기록용지(12)에 접촉할 수 있는 표면 저항계(80)의 2개의 단자 사이에 예를 들어 1kV의 전하를 인가하고, 상기 단자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급지 작동 중 또는 급지 작동 전에 기록용지(12)의 표면 저항을 측정한다.
기록매체인 기록용지(12)는 상기 급지 롤러(13) 및 분리 패드(14)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절연층(21A)에 형성된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에 의해 불평등(uneven) 전기장이 발생하는 이송벨트(21)로 급지되면, 즉시, 상기 전기장 방향으로 기록용지(12) 내에 분극(polarization)이 발생하고, 기록용지(12)는 이송벨트(12)에 흡착한다. 상기 불평등 전기장에 의하면, 이송벨트(21)와 기록용지(12)의 이송벨트측의 표면 사이의 흡착력을 일으키는 전하의 밀도는 높아지고, 기록용지(12)의 그 반대측 표면과 이송벨트(21) 사이의 반발력을 일으키는 전하의 밀도는 낮아진다. 이러한 전하의 차이에 의해 기록용지(12)는 즉시 이송벨트(21)에 흡착한다. 동시에, 기록용지(12)는 유한한 저항을 갖고 있기 때문에, 기록용지(12)의 흡착 표면 및 그 반대측 표면에는 참(True) 전하가 유발된다.
기록용지(12)의 흡착 표면측에 유발된 전하와 이송벨트(21)에 인가된 전하는 서로 끌어당기는 것으로 안정한 상태이지만, 그 반대측에 유발된 플러스, 마이너스 참 전하는 불안정하다.
상기 기록용지(12)는 107Ω/□ - 1013Ω/□의 유한한 표면 저항률 값을 갖기 때문에, 기록용지(12)의 흡착 표면과 반대측 표면에 유발된 참 전하를 이동할 수 있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인접하는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는 서로 끌어당기고 이동함으로써 중화되고 감소한다.
결과적으로, 이송벨트(21)상의 전하는 기록용지(12)의 흡착 표면에 유발된 참 전하와 균형을 이루게 되어, 전기장의 소거(cancellation)를 초래하고, 기록용지(12)의 흡착 표면과 반대측 표면에 유발된 참 전하는 중화되고 전기장은 소거된다. 즉, 기록헤드(7)를 향하여 연장된 전기장은 감소한다. 또한, 이송벨트(21)에 인가된 전하 및 상기 이송벨트(21)상의 전하와 반대의 전하는 기록용지(12)의 표면에서 감소하기 때문에, 상기 기록용지(12)와 이송벨트(21) 사이의 흡착력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한다.
여기서, 도 9에 나타나듯이, 기록용지(12)의 표면상의 표면 전위의 감소량 및 전하가 소멸할 때까지의 시간은 기록용지의 저항 및 대전 주기 길이에 따라 다르다. 기록용지(12)의 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기록용지(12)의 표면(이송벨트와 반대측 표면)에 유발되는 전하의 이동량은 감소하여, 표면상의 전하가 중화되는데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대전 주기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유발되는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기 때문에, 전하가 이동할 때의 실질적인 저항은 증가하게 된다. 또한,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전위도 거리에 반비례하여 감소하기 때문에, 표면상의 전하가 중화되는데 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기록용지(12)의 저항값이 동일하고 이송벨트(21)에 인가되는 단위면적당 전하량이 동일한 경우, 기록용지의 표면(이송벨트와 반대측)의 전하의 소멸 시간은 대략 대전 주기 길이의 제곱에 비례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송벨트(21)에 흡착된 기록용지(12)는 기록헤드(7) 아래의 위치로 이송된다. 그 다음, 캐리지(3)가 주 스캐닝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동시에 상기 기록헤드(7)로부터 잉크방울이 토출되는 것으로, 기록용지(12)에 기록헤드(7)의 1회 왕복에 대응하는 화상이 형성된다. 1회 왕복에 대응하는 화상이 형성된 후, 기록용지(12)는 이송벨트에 의해 다음의 인쇄 위치로 이송되고, 상기 기록용지(12)에 다시 1회 왕복에 대응하는 화상이 형성된다. 화상 형성 종료 후, 상기 기록용지(12)는 이송벨트(21)에 의해 이송되며, 분리 클로(claw)(51)에 의해 이송벨트(21)로부터 분리되고, 배지 트레이(54)로 배지된다.
여기서, 실험으로부터 구한 용지 표면 전위와 기록용지의 표면 저항률 사이의 상관 관계의 일 예가 도 10에 나타나있다. 이 실험에서, 대전 주기 길이는 8㎜, 인가 전압은 ±2.0kV, 이송벨트(21)가 기록용지(12)에 접촉하게 된 시간으로부터 경과 시간은 1.6초로 설정하여 표면 전위를 측정하였다. 상기의 실험 결과로부터, 표면 저항률이 높아짐에 따라 표면 전위가 증가한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또한, 도 11은 실험으로부터 구한 표면 저항률이 다른 3 종류의 기록용지(기 록용지A : 1.8×1013Ω/□, 기록용지B : 1.2×1012Ω/□, 기록용지C : 5×1011Ω/□) 에 대한 대전 주기 길이와 기록용지의 표면 전위 사이의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 실험에서, 인가 전압은 ±2.0kV, 이송벨트(21)가 기록용지(12)에 접촉하게 된 시간으로부터 경과 시간은 1.6초로 설정하여 표면 전위를 측정하였다.
이 실험 결과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시간 후(1.6초 후), 저항률이 다른 기록용지A, B 및 C의 표면 전위가 소멸하는 대전 주기 길이는 다르고, 기록용지의 표면 저항률이 높은 경우에도 대전 주기 길이를 작게함으로써 기록용지의 표면 전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즉, 대전 주기 길이를 제어함으로써, 기록헤드에 의한 기록 위치(화상 형성 위치)에 이송되는 기록매체의 표면상의 전하량의 조정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2는 표면 저항률이 다른 상기 기록용지A, B 및 C에 대한 흡착력과 대전 주기 길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실험에서, 인가 전압은 ±2.0kV, 이송벨트(21)가 기록용지(12)에 접촉하게 된 시간으로부터 경과 시간은 1.6초로 설정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 후(1.6초 후), 저항률이 다른 기록용지A, B 및 C의 흡착력이 최대가 되는 대전 주기 길이는 다르고, 기록용지의 표면 저항률이 높은 경우에도 대전 주기 길이를 작게함으로써 흡착력을 최대화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즉, 기록용지의 표면 전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면, 미리 정해진 시간 후의 흡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전기장의 영향에 의한 액체방울의 도 달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록헤드(7)로의 안개의 역류로 인한 헤드의 더러워짐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기록용지의 이송 고정밀도와 고화질 화상을 함께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도 12에 나타나듯이, 대전 주기 길이가 너무 짧으면, AC 바이어스 공급부(114)의 상승 손실(raising loss)과 이송벨트(21)에 전하를 인가할 때 발생하는 방전 손실(discharge loss)은 증가하고, 이송벨트(21)에 충분한 전하량을 인가할 수 없게 되어서, 흡착력의 감소를 초래하게 된다.
AC 바이어스 공급부(114)의 상승 손실이란, 전압이 바뀔 때 전압 상승이 무디어지는 것에 의해 일어나는 손실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AC 바이어스 공급부(AC 바이어스 공급 장치)는 예를 들면, 0 에서 ±2.0kV 까지 전압을 상승시키는데 10msec의 시간이 필요하고, 이송속도가 예를 들면, 200㎜/sec 이면, 전압이 상승할 때까지의 이동 거리는 2㎜가 된다.
한편, 이송벨트(21)에 전하를 인가할 때 발생하는 방전 손실이란, 전압을 인가할 때의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에 의해 일어나는 손실이다. 대전 롤러(26)로부터 이송벨트(21)에의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의 인가는, 도 13에 나타나듯이, 상기 대전 롤러(26)와 이송벨트(21)가 서로 접촉하는 닙(nip)부(L로 표시) 내에서 실행된다. 상기 대전 롤러(26)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이 바뀌면, 극성이 바뀌기 전 닙부의 하류측의 코로나 방전 영역(Lr) 내에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고, 상기 코로나 방전은 이미 인가된 전하를 소거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벨트(21)의 표면에 인가되었던 전하는 방전되어 버린다. 이러한 방전 손실은 대전 롤러(26)의 닙 부의 변동(fluctuation)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대전 주기 길이가 짧아지면, 그 영향을 무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대전 주기 길이는 너무 길어도 너무 짧아도 문제가 발생하므로, 기록용지의 표면 저항률에 따라 대전 주기 길이를 최적값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용지의 표면 저항률과 대전 주기 길이 사이의 이상적인 관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기록용지의 표면 저항률과 표면 전위가 미리 정해진 시간(1.6초) 후에 500Vp-p 이하(플러스, 마이너스 전위의 peak to peak(최대-최소의 절대값:이하 "p-p"라 한다))가 되는 대전 주기 길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실험에서, 표면 전위가 500Vp-p 이하인 경우, 액체방울의 도달 위치 이탈을 방지하고 헤드 면의 더러워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했다. 따라서, 500Vp-p 값을 사용하지만, 표면 전위가 이 값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말하는 기록용지의 표면 저항률이란, 기록용지의 표면에 예를 들면, 1kV의 전압을 인가하여 기록용지의 표면 저항률을 측정한 값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본 화상 형성 장치에서 기록매체의 표면 전하를 조정하기 위한 대전 주기 길이 조정 처리의 일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기록용지의 흡착력과 표면 전위가 최적화되는 표면 저항률과 대전 주기 길이 사이의 관계를 테이블(table)화 시켜놓고, 그 테이블 정보를 ROM(102) 등에 저장해둔다. 또한, 호스트(90)측의 프린터 드라이버(91)에 상기 테이블 정보를 보유하고, 화상 형성 장치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의 각 실시예에 대해서도 상기 테이블 정보의 저장 위치에 대한 설명이 없어도 동일한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15에 나타나듯이, 기록용지(12)가 급지되면(S1 단계), 표면 저항계(80)에 의해 급지된 기록용지의 표면 저항률이 측정(검출)되고(S2 단계), 표면 저항률과 대전 주기 길이의 테이블 정보로부터 기록용지(12)의 표면 저항률에 대응하는 값을 얻고, 그 판독된 값을 대전 주기 길이로 설정한다(S3 단계). 그 다음, AC 바이어스 공급부(114)를 제어하여, AC 바이어스 공급부(114)로부터 그 설정된 대전 주기 길이로 이송벨트(21)에 대전 작동을 실행하는 고전압 파형을 출력시킨다.
이것에 따라, 급지된 기록용지(12)의 표면 저항률에 따라 최적의 대전 주기 길이로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가 이송벨트에 대전되고, 흡착력을 유지하면서 기록헤드(7) 아래의 표면 전위를 제어하여, 이송벨트(21)에 의해 기록용지(12)가 흡착, 이송된다.
이처럼,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함으로써 발생한 정전력으로 기록매체를 흡착, 이송하는 경우, 기록매체의 저항값과 이송벨트상의 기록매체 표면의 전하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기록매체의 저항값에 따라 기록헤드 아래의 전기장을 약화시키도록 이송벨트에 인가된 전하를 조정한다. 따라서, 이송벨트에 의해 기록매체를 흡착함으로써 이송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기록헤드 아래의 전기장으로 인한 잉크방울의 도달 위치 이탈을 방지하고, 또한 헤드로의 안개의 역류로 인한 헤드의 더러워짐도 방지할 수 있어, 고화질 화상을 안정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기록매체의 저항값을 검출하기 위해 표면 저항계를 이용함으로써, 기록매체의 저항값을 정밀하고 용이하게 검출하여 기록헤드 아래의 기록매체 표면의 전하가 작아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기록매체 표면의 전하를 조정하기 위해, 이송벨트에 인가된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의 대전 주기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정밀하고 용이하게 기록헤드 아래의 기록매체 표면의 전하가 작아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해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도 16에 나타나듯이, 제1 실시예에서의 표면 저항계(80) 대신에 급지되는 기록용지(12)의 체적 저항을 검출하는 체적 저항계(81)를 설치한다. 상기 체적 저항계(81)는 기록용지(12)와 이송벨트(21)가 접촉하는 위치의 기록용지(12)의 급지 방향으로 상류측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기록용지(12)를 끼워넣으면서 기록용지(12)의 양단에 걸쳐 예를 들면, 1kV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기록용지(12)의 체적 저항을 측정한다. 또한, 제어부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 실시예의 표면 저항계(80)를 체적 저항계(81)로 단지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록용지의 표면 저항률과 마찬가지로, 체적 저항도 기록용지에 유발된 전하가 소멸하기까지의 시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도 17은 대전 주기 길이와 기록용지의 체적 저항 사이의 이상적인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기록용지의 체적 저항률과 표면 전위가 미리 정해진 시간(1.6 초) 후에 500Vp-p 이하가 되는 대전 주기 길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실험에서, 표면 전위가 500Vp-p 이하인 경우, 액체방울의 도달 위치 이탈을 방지하고 헤드 면의 더러워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했다. 따라서, 500Vp-p 값을 사용하지만, 표면 전위가 이 값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말하는 기록용지의 체적 저항이란, 기록용지의 양단에 걸쳐 예를 들면, 1kV의 전압을 인가하여 측정한 값이다.
여기서, 도 18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기록매체의 표면 전하를 조정하기 위한 대전 주기 길이 조정 처리의 일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7에 나타나듯이, 기록용지의 흡착력과 표면 전위가 최적화되는 체적 저항과 대전 주기 길이 사이의 관계를 테이블(table)화 시켜놓고, 그 테이블 정보를 ROM(102) 등에 저장해둔다.
그 다음, 도 18에 나타나듯이, 기록용지(12)가 급지되면(S1 단계), 체적 저항계(81)에 의해 급지된 기록용지의 체적 저항이 측정(검출)되고(S4 단계), 체적 저항과 대전 주기 길이의 테이블 정보로부터 기록용지(12)의 체적 저항에 대응하는 값을 얻고, 그 판독된 값을 대전 주기 길이로 설정한다(S5 단계). 그 다음, AC 바이어스 공급부(114)를 제어하여, AC 바이어스 공급부(114)로부터 그 설정된 대전 주기 길이로 이송벨트(21)에 대전 작동을 실행하는 고전압 파형을 출력시킨다.
이것에 따라, 급지된 기록용지(12)의 체적 저항에 따라 최적의 대전 주기 길이로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가 이송벨트에 대전되고, 흡착력을 유지하면서 기록헤드(7) 아래의 표면 전위를 제어하여, 이송벨트(21)에 의해 기록용지(12)가 흡착, 이송된다.
이처럼, 기록매체의 체적 저항을 검출하기 위해 체적 저항계를 이용함으로써, 기록매체의 저항값을 정밀하고 용이하게 검출하여 기록헤드 아래의 기록매체 표면의 전하가 작아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해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서는, 도 19에 나타나듯이, 제1 실시예에서의 표면 저항계(80) 대신에 급지되는 기록용지가 놓이는 환경의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는 환경 센서(118)를 이용하여, 그 환경 온도 및 환경 습도에 따라 급지되는 기록용지(12)의 저항값을 예측한다. 또한, 여기서는 제1 실시예에서의 환경 센서(118)를 겸용하고 있지만, 각각의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기록용지의 저항값은 온도 및 습도와 상관 관계를 가진다. 예를 들어, 도 20은 표면 저항률이 다른 3 종류의 기록용지(A, B 및 C)에 대한 표면 전위 p-p와 온도 사이의 관계의 측정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 실험에서, 인가 전압은 ±2.0kV, 대전 주기 길이는 4㎜, 습도는 50%RH, 이송벨트가 기록용지에 접촉하게 된 시간으로부터 경과 시간은 0.4초로 설정하였다.
또한, 도 21은 표면 저항률이 다른 3 종류의 기록용지(A, B 및 C)에 대한 표면 전위 p-p와 습도 사이의 관계의 측정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 실험에서, 인가 전압은 ±2.0kV, 대전 주기 길이는 4㎜, 온도는 23°C, 이송벨트가 기록용지에 접촉하게 된 시간으로부터 경과 시간은 0.4초로 설정하였다.
또한, 도 22는 표면 저항률이 다른 3 종류의 기록용지(A, B 및 C)에 대한 표면 저항률과 온도 사이의 관계의 측정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 실험에서, 습도는 50%RH로 설정하였다. 마찬가지로, 도 23은 표면 저항률이 다른 3 종류의 기록용지(A, B 및 C)에 대한 표면 저항률과 습도 사이의 관계의 측정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 실험에서, 온도는 23°C로 설정하였다.
앞서 언급했듯이, 환경 온도 및 환경 습도에 따라 기록용지(12)의 표면 저항률이 변화하고, 이는 표면 전위 p-p의 변화를 초래한다.
여기서,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기록매체의 표면 전하를 조정하기 위한 대전 주기 길이 조정 처리의 일 예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나듯이, 기록용지의 흡착력과 표면 전위가 최적화되는 온도 및 습도와 대전 주기 길이 사이의 관계를 테이블(table)화 시켜놓고, 그 테이블 정보를 ROM(102)에 저장해둔다.
그 다음, 도 26에 나타나듯이, 기록용지(12)가 급지되면(S1 단계), 환경 센서(118)에 의해 기록용지가 급지되는 때의 환경 온도 및 환경 습도가 검출되고(S6 단계), 환경 온도 및 환경 습도와 대전 주기 길이의 테이블 정보로부터 검출된 환경 온도 및 환경 습도에 대응하는 값을 얻고, 그 판독된 값을 대전 주기 길이로 설정한다(S7 단계).
그 다음, AC 바이어스 공급부(114)를 제어하여, AC 바이어스 공급부(114)로부터 그 설정된 대전 주기 길이로 이송벨트(21)에 대전 작동을 실행하는 고전압 파형을 출력시킨다.
이것에 따라, 기록용지가 급지되는 때의 환경 온도 및 환경 습도에 따라 최적의 대전 주기 길이로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가 이송벨트에 대전되고, 흡착력을 유지하면서 기록헤드(7) 아래의 표면 전위를 제어하여, 이송벨트(21)에 의해 기록용지(12)가 흡착, 이송된다.
이처럼, 환경 온도 및 환경 습도에 근거하여 기록매체의 저항값을 예측함으로써, 기록매체의 저항값에 따라 기록헤드 아래의 기록매체 표면의 전하를 정밀하고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제4 실시예에서는, 기록용지(12)의 저항값의 상관 관계에 대한 정보가 호스트(90)측의 프린터 드라이버(91)로부터 본 화상 형성 장치에 주어진다. 또한, 본 화상 형성 장치는 표면 저항계가 생략된 것을 제외하고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호스트(90)측으로부터 주어진 기록용지의 저항값의 상관 관계에 대한 정보에 대해 최적의 대전 주기 길이의 테이블 정보를 미리 ROM(102)에 저장하거나, 호스트(90)측으로부터 상기 테이블 정보가 전송되고 RAM(104) 또는 RAM(103)에 저장한다. 상기 테이블 정보를 호스트(90)측의 프린터 드라이버(91)에 저장하고, 대전 주기 길이에 관한 정보를 본 화상 형성 장치에 직접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27에 나타나듯이, 호스트(90)측으로부터 전송된 기록용지(12)의 저항값에 관한 정보를 읽어들이고(S11 단계), 상기 테이블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읽어들인 정보에 대응하는 대전 주기 길이에 대한 값을 판독한다(S12 단계). 그 다음, 판독한 값을 대전 주기 길이로 설정한다(S13 단계). 그 다음, AC 바이어스 공급부(114)를 제어하여, AC 바이어스 공급부(114)로부터 그 설정된 대전 주기 길이로 이송벨트(21)에 대전 작동을 실행하는 고전압 파형을 출력시킨다.
이것에 따라, 기록용지가 급지되는 때의 환경 온도 및 환경 습도에 따라 최적의 대전 주기 길이로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가 이송벨트에 대전되고, 흡착력을 유지하면서 기록헤드(7) 아래의 표면 전위를 제어하여, 이송벨트(21)에 의해 기록용지(12)가 흡착, 이송된다.
또한, 호스트(90)측의 프린터 드라이버(91)에 의해 최적의 대전 주기 길이를 선택하는 경우, 그 대전 주기 길이에 관한 정보를 읽어들여서, 읽어들인 대전 주기 길이에 따라 AC 바이어스 공급부(114)를 제어한다.
여기서 말하는 기록용지의 저항값의 상관 관계에 대한 정보란, 인쇄시 작동자가 입력하는 용지의 종류(예를 들면, 보통지, 코팅지, OHP, 광택지 등의 용지의 종류나 사용자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조건에 의해 저항을 예측할 수 있는 고저항지, 저저항지)에 한정하지 않고, 호스트측으로부터 자동적으로 입력된 사용 날짜 또는 사용 지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 지역이 도쿄(일본)이고, 사용 날짜가 2월이면, 그 정보를 근거하여 온도 및 습도를 예측할 수 있다(이 경우, 낮은 습도를 예측할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호스트측(외부)으로부터 기록매체의 저항값의 상관 관계에 대한 정보를 받아 기록매체의 저항값을 예측함으로써, 기록매체의 저항값에 따라 기록헤드 아래의 기록매체 표면의 전하를 정밀하고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제5 실시예서는, 도 28에 나타나듯이, 기록용지(12)의 이송 경로에 검출 레버(16)가 앞뒤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검출 레버(16)의 요동을 알아내는 광 센서에 의해 기록용지의 유무를 알아내는 용지 검출 센서(120)를 구비하여, 상기 용지 검출 센서(120)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기록용지(12)의 선단 및 후단을 검출하도록 한다. 그 밖의 구성은 표면 저항계(80)가 생략된 것을 제외하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서는, 기록용지의 표면 전체가 일정한 대전 주기 길이로 전하가 인가된 이송벨트(21)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기록헤드 아래의 기록용지(12)상의 표면 전위와 기록용지(12)에 대한 흡착력은 기록용지(12)의 선후단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이 경우, 기록용지(12)의 저항을 정밀하게 측정(예측)할 수 있다면,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기록용지상의 표면 전위의 감소는 기록용지에 흡착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대전 주기 길이는 일치한다). 그러나, 습도 센서나 호스트측으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기록용지의 저항값을 예측하는 경우, 예측값에 있어서의 변동(variation)을 고려하여, 그 변동에 대한 로버스트(robust) 특성이 주어져야 한다. 즉, 기록용지의 저항값이 예측값으로부터 어느 정도 벗어나는 경우에도 문제가 없도록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 선후단의 영역에서 기록용지의 단부의 리프트(lift)가 발생하기 쉽고, 예측된 저항값에 있어서 변동이 있는 경우에도 어느 정도의 흡착력을 발생해야 한다. 한편, 기록용지의 화상 형성 영역에서 예측된 저항값에 있어서 변동이 있는 경우에도 표면 전위를 작게 하여, 전기장의 영향으로 인한 잉크방울의 도달 위치 이탈 및 기록헤드(7)로의 안개의 역류에 의한 헤드의 더러워짐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헤드 아래에 있어서 기록용지상의 표면 전위의 감소를 위한 제어와 흡착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의 우선 순위가 기록용지의 위치 예를 들어, 선단부, 중앙부, 후단부에 따라 다른 사실에 착안하여, 화상 형성 영역에서는 예측된 값에 있어서 변동이 있는 경우에도 표면 전위가 작아지도록 제어하고, 기록용지의 리프트가 발생하기 쉬운 선후단 영역에서는 예측된 값에 있어서 변동이 있는 경우에도 충분한 흡착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예측된 저항값에 있어서의 변동에 대해서 로버스트 특성을 가지게 한다.
도 30을 참조하여, 본 화상 형성 장치의 이송벨트의 대전 제어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인쇄 처리가 시작되면, 기록용지(12)가 급지된다(S21 단계). 이때, 상기 용지 검출 센서(120)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기록용지(12)의 선단 및 후단을 검출함으로써, 기록용지(12)와 이송벨트(21)에 인가된 전하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알아낸다.
그 다음, 이송벨트(21) 표면의 부분이 기록용지(12)와 접촉했는지 여부를 판 별한다(S22 단계). 판별 결과가 긍정이면, 예측된 저항값에 대해 흡착력을 우선한 미리 정해진 대전 주기 길이로 이송벨트(21) 표면의 부분에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를 인가한다(S23 단계). 이 후, 이송벨트(21)와 접촉하는 기록용지 표면의 부분이 화상 형성 영역(백지 중앙부)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24 단계). 기록용지(12) 표면의 상기 부분이 백지 중앙부로 판별되면, 예측된 저항값에 있어서의 변동에 대해 기록용지상의 표면 전위의 감소를 우선한 미리 정해진 다른 대전 주기 길이로 이송벨트(21)에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를 인가한다(S25 단계). 그 다음, 루틴(routine)은 S24 단계로 되돌아간다.
한편, S22 단계의 판별 결과가 부정이면, 루틴은 S26 단계로 진행하여 인쇄 처리 종료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인쇄 처리 종료라고 판별되면, 다음의 인쇄 처리가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27 단계). 다음의 인쇄 처리가 없다면, 기록용지(12)를 배지하고(S28 단계), 루틴은 종료된다. 한편, S26 단계의 판별 결과가 부정이면, 루틴은 S22 단계로 되돌아간다. 또한, S27 단계에서 다음의 인쇄 처리가 있다고 판별되면, 루틴은 S22 단계로 되돌아가서 상기의 인쇄 처리를 반복한다.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난 실험 결과로부터, 대전 주기 길이를 6㎜로 설정한 경우, 저항이 다른 3 종류의 기록용지(A, B 및 C) 모두에 대해 어느 정도의 흡착력이 발생하는 것이 밝혀진다. 따라서, S23 단계의 처리에서 미리 정해진 대전 주기 길이를 6㎜로 설정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난 실험 결과로부터, 대전 주기 길이를 2㎜로 설정한 경우, 상기 3 종류의 기록용지(A, B 및 C) 모두에 대해 상기의 목표값인 500Vp-p 보다 낮게 표면 전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진다.
이처럼, 선단 영역과 후단 영역이 이송벨트(21)와 접촉하는 경우, 예측된 저항값에 있어서의 변동에 대해 흡착력을 우선한 예를 들어 6㎜의 미리 정해진 대전 주기 길이로 이송벨트(21)에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를 인가한다. 한편, 화상 형성 영역(백지 중앙부)이 이송벨트(21)와 접촉하는 경우, 예측된 저항값에 있어서의 변동에 대해 기록용지상의 표면 전위의 감소를 우선한 예를 들어 2㎜의 미리 정해진 다른 대전 주기 길이로 이송벨트(21)에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를 인가한다. 이것에 따라, 저항이 다른 각종 기록용지에 대해 이송 향상과 화상품질 향상을 동시에 높은 수준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하여 발생한 정전력으로 흡착하여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경우, 흡착력을 얻기 위한 이송벨트에 대한 전하의 인가 제어와 기록매체 표면상에 유발된 전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이송벨트에 대한 전하의 인가 제어는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송벨트에 인가된 전하에 대한 기록매체의 상대적인 위치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기록매체 표면상의 전하를 조정한다. 즉, 기록매체의 선단 영역과 후단 영역에 대해 적절한 흡착력을 발생시키는 제어를, 화상이 인쇄되는 중앙부에서는 기록매체 표면의 중앙부상의 전하를 감소시키는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이송 정밀도가 향상됨과 동시에, 기록헤드 아래의 전기장으로 인한 잉크방울의 도달 위치 이탈 및 기록헤드(7)로의 안개의 역류에 의한 헤드의 더러워짐이 없이 고화질 화상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31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에 대해 설명한다. 제6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제5 실시예에서 기록헤드(7) 아래의 기록용지상의 표면 전위를 조정하기 위해 대전 주기 길이를 조정하는 것 대신에, 이송벨트(21)에 전하를 인가할 때의 AC 바이어스 공급부(114)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 파형의 전압을 조정(가변)한다.
즉, 기록매체(7) 아래의 기록용지(12)상의 표면 전위는 이송벨트(21)에 인가된 플러스, 마이너스 전체 전하량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송벨트(21)에 전하를 인가할 때의 인가 전압 p-p를 변화시킴으로써 표면 전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31은 상기 3 종류의 기록용지(A, B 및 C)에 대해 인가 전압을 변화시킨 경우의 표면 전위를 측정한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낸다.
따라서, 인가 전압을 감소시킴으로써, 기록헤드(7) 아래의 기록용지상의 표면 전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인가 전압과 흡착력은 도 32에 나타나듯이, 인가 전압이 감소하면 흡착력이 감소하는 관계에 있기 때문에, 인가 전압을 극단적으로 작은 값으로 감소시키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기록용지(12)의 표면 전위가 최적값이 되는 기록용지의 저항과 인가 전압 사이의 관계를 테이블화 시켜두고, 상기 제5 실시예처럼, 기록용지(12)의 부분과 이송벨트(21)의 부분(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라 인가 전압을 변화시키면,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이송벨트의 대전 제어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먼저, 인쇄 처리가 시작되면, 기록용지(12)가 급지된다(S31 단계). 이때, 상기 용지 검출 센서(120)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기록용지(12)의 선단 및 후단을 검출함으로써, 기록용지(12) 와 이송벨트(21)에 인가된 전하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알아낸다.
그 다음, 이송벨트(21) 표면의 부분이 기록용지(12)와 접촉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32 단계). 판별 결과가 긍정이면, 흡착력을 우선한 미리 정해진 인가 전압(예를 들어, 2.0kV의 인가 전압 p-p)으로 기록용지(12)의 선단 영역 및 후단 영역과 접촉하는 이송벨트(21)의 부분에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를 인가한다(S33 단계).
이 후, 이송벨트(21)와 접촉하는 기록용지 표면의 부분이 화상 형성 영역(백지 중앙부)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34 단계). 기록용지(12) 표면의 상기 부분이 백지 중앙부로 판별되면, 기록헤드(7) 아래의 기록용지상의 표면 전위의 감소를 우선한 미리 정해진 다른 인가 전압으로 화상 형성 영역(백지 중앙부)과 접촉하는 이송벨트(21)의 부분에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를 인가한다(S35 단계). 그 다음, 루틴(routine)은 S34 단계로 되돌아간다.
한편, S32 단계의 판별 결과가 부정이면, 루틴은 S36 단계로 진행하여 인쇄 처리 종료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인쇄 처리 종료라고 판별되면, 다음의 인쇄 처리가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37 단계). 다음의 인쇄 처리가 없다면, 기록용지(12)를 배지하고(S38 단계), 루틴은 종료된다. 한편, S36 단계의 판별 결과가 부정이면, 루틴은 S32 단계로 되돌아간다. 또한, S37 단계에서 다음의 인쇄 처리가 있다고 판별되면, 루틴은 S32 단계로 되돌아가서 상기의 인쇄 처리를 반복한다.
상기의 처리에 의하면, 이송의 향상과 화상품질의 향상을 동시에 높은 수준으로 달성할 수 있고, 상기 제5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제7 실시예에서는, 제5 또는 제6 실시예처럼 대전 주기 길이 또는 인가 전압을 조정하는 것 대신에, 이송벨트(21)에의 인가 전압의 유무로 기록헤드(7) 아래의 기록용지상의 표면 전위를 조정(가변)한다. 즉, 표면 전위는 이송벨트(21)에 인가된 플러스, 마이너스 전체 전하량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송벨트(21)에의 전하의 인가를 제거하여, 기록헤드(7) 아래의 기록용지상의 표면 전위를 작게 할 수 있다.
전하를 인가하지 않으면, 흡착력이 발생하지 않지만, 기록용지(12)의 표면 전위가 최적값이 되는 기록용지의 저항과 전압의 인가 타이밍(timing) 사이의 관계를 테이블화 시켜두고, 상기 제5 실시예처럼 기록용지(12)의 부분에 따라 인가 전압(고전압 출력)을 ON/OFF 시키면,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 34를 참조하여, 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이송벨트의 대전 제어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인쇄 처리가 시작되면, 기록용지(12)가 급지된다(S41 단계). 이때, 상기 용지 검출 센서(120)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기록용지(12)의 선단 및 후단을 검출한다. 그 다음, 이송벨트(21) 표면의 부분이 기록용지(12)와 접촉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42 단계). 판별 결과가 긍정이면, 인가 전압 p-p를 2.0kV로 설정한다(S43 단계). 이 후, 이송벨트(21)와 접촉하는 기록용지 표면의 부분이 화상 형성 영역(백지 중앙부)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44 단계). 판별 결과가 긍정이면,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하지 않는다(S45 단계). 그 다음, 루틴은 S44 단계로 되돌아간다. 한편, S44 단계의 판별 결과가 부정이면, 루틴은 S42 단계로 되돌아간다.
S42 단계의 판별 결과가 부정이면, 루틴은 이송벨트(21)에 전하를 인가하지 않는 S46 단계로 진행한다. 그 다음, 인쇄 처리 종료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47 단계). 인쇄 처리 종료라고 판별되면, 다음의 인쇄 처리가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48 단계). 다음의 인쇄 처리가 없다면, 기록용지(12)를 배지하고(S49 단계), 루틴은 종료된다. 한편, S47 단계의 판별 결과가 부정이면, 루틴은 S42 단계로 되돌아간다. 또한, S48 단계에서 다음의 인쇄 처리가 있다고 판별되면, 루틴은 S41 단계로 되돌아가서 상기의 인쇄 처리를 반복한다.
상기의 처리에 의하면, 기록용지(12)의 선단 영역 및 후단 영역과 접촉하는 이송벨트(21)의 부분에 인가 전압(예를 들면, 2.0kV의 인가 전압 p-p)으로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를 인가하고, 기록용지(12)의 화상 형성 영역과 접촉하는 이송벨트(21)의 부분에는 전하를 인가하지 않음으로써, 이송의 향상과 화상품질의 향상을 동시에 높은 수준으로 달성할 수 있고, 상기 제5 및 제6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영역(백지 중앙부)에는 전하를 인가하지 않지만, 화상 형성 영역(백지 중앙부)에 전하의 인가와 제거를 반복하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제어함으로써, 표면 전위와 흡착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어, 이송의 향상과 화상품질의 향상을 동시에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제8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5 또는 제6 실시예처럼 대전 주기 길이 또는 인가 전압을 조정하는 것 대신에, 기록용지(12)가 이송벨트(21)와 접촉할 때부터 상 기 기록용지(12)가 기록헤드(7) 아래의 화상 형성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조정(가변)함으로써, 기록헤드(7) 아래의 기록용지상의 표면 전위를 조정한다.
즉, 기록용지(12)상에 유발된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는 서로 이동하고 중화하기 때문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기록용지(12)상의 표면 전위는 감소한다. 또한, 기록헤드(7) 아래의 표면 전위는 기록용지(12)가 이송벨트(21)와 접촉할 때부터 상기 기록용지(12)가 기록헤드(7) 아래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이송시간을 길게 하면 표면 전위를 줄일 수 있다. 이송시간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이송속도를 변화시키거나 이송 중에 정지시간을 마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앞서 언급했듯이, 대전 주기 길이와 기록용지의 표면 전위가 500Vp-p의 목표값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 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난 실험 결과는 용지 저항이 1.8×1013Ω/□, 인가 전압이 ±2kV인 예이다. 대전 주기 길이가 길면, 기록용지 표면의 표면 전위가 감소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지고, 어느 대전 주기 길이에 대해서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전하가 감소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여, 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이송벨트의 대전 제어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인쇄 처리가 시작되면, 기록용지(12)가 급지된다(S51 단계). 이때, 상기 용지 검출 센서(120)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기록용지(12)의 선단 및 후단을 검출한다. 그 다음, 이송벨트(21) 표면의 부분이 기록용지(12)와 접촉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52 단계). 판별 결과가 긍정이면, 이송시간은 0.4초로 설정한 다(S53 단계). 이 후, 이송벨트(21)와 접촉하는 기록용지 표면의 부분이 화상 형성 영역(백지 중앙부)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54 단계). 판별 결과가 긍정이면, 루틴은 이송시간이 1.6초인 S55 단계로 진행한다. 그 다음, 루틴은 S54 단계로 되돌아간다. 한편, S54 단계의 판별 결과가 부정이면, 루틴은 S52 단계로 되돌아간다.
S52 단계의 판별 결과가 부정이면, 인쇄 처리 종료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56 단계). 인쇄 처리 종료라고 판별되면, 다음의 인쇄 처리가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57 단계). 다음의 인쇄 처리가 없다면, 기록용지(12)를 배지하고(S58 단계), 루틴은 종료된다. 한편, S56 단계의 판별 결과가 부정이면, 루틴은 S52 단계로 되돌아간다. 또한, S57 단계에서 다음의 인쇄 처리가 있다고 판별되면, 루틴은 S51 단계로 되돌아가서 상기의 인쇄 처리를 반복한다.
상기의 처리에 의하면, 이송벨트(21)와 접촉하는 기록용지의 표면이 화상 형성 영역(백지 중앙부)인 경우는, 기록헤드(7) 아래의 위치까지 미리 정해진 이송시간(예를 들면, 0.4초)을 넘는 이송시간(예를 들면, 1.6초)으로 기록용지(12)를 이송함으로써, 이송의 향상과 화상품질의 향상을 동시에 높은 수준으로 달성할 수 있고, 상기 제5 및 제6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양자의 지시가 혼재하는 경우, 화상 형성 영역에 관한 지시를 우선하여, 기록헤드(7) 아래의 표면 전위를 미리 정해진 표면 전위보다 작은 값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이송의 향상과 화상품질의 향상을 동시에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 36 및 도 3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는, 잉크방울의 도달 위치 이탈 및 기록헤드(7)로의 안개의 역류에 의한 기록헤드(7)의 더러워짐을 감소시키기 위해, 기록헤드(7) 아래의 기록용지상의 표면 전위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장의 크기를 조정하고 있다.
그런데, 잉크방울에 영향을 주는 전기장의 크기가 동일하면, 그 전기장 내에서의 잉크방울의 거동은 각 잉크방울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된다.
도 36A 내지 도 36D 및 도 37A 내지 37D는 기록헤드(7)로부터 이송벨트(21)에 흡착되는 기록용지(12)에 토출되는 잉크방울의 거동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6A 내지 도 36D는 300dpi용 40pl의 잉크방울의 거동을, 도 37A 내지 37D는 600dpi용 20pl의 잉크방울의 거동을 나타낸다.
도 36A 및 도 37A에 나타나듯이, 기록헤드(7)의 노즐(7a)로부터 토출되는 잉크방울(301A, 301B)는 이송벨트(21)에 흡착되는 기록용지(12)상의 표면 전위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장의 영향을 받고, 도 36B 및 도 37B에 나타나듯이, 상기 잉크방울(301A, 301B)에 참 전하가 유발된다. 따라서, 도 36C 및 도 37C에 나타나듯이, 상기 잉크방울(301A, 301B)은 주 방울(302A, 302B)과 안개(부 방울)(303A, 303B)로 분열한다. 상기 안개(303A, 303B)는 많은 경우 기록용지(12)와 동일한 극성으로 대전되기 때문에, 기록용지(12)상의 전하와 반발하고, 도 36D 및 도 37D에 나타나듯이, 기록헤드(7)를 향해 역류하고, 잉크 토출 면 부근에서의 기록헤드의 부분에 부착하게 된다.
따라서, 기록헤드(7)에의 잉크 부착량은 잉크방울이 분열할 때 만들어지는 안개의 양에 따라 좌우되므로, 꼬리가 더 짧은 600dpi 잉크방울의 경우가 300dpi 잉크방울의 경우보다 기록헤드(7)에의 잉크 부착량이 적어진다.
따라서, 잉크방울의 크기에 따라 이송벨트(21)에 인가하는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의 대전 주기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기록헤드(7)에의 잉크 부착량의 경감과 우수한 이송성능을 동시에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실험에서는, 300dpi 잉크방울의 경우보다 600dpi 잉크방울의 경우가 기록헤드(7)에의 잉크 부착량이 적지만, 기록헤드의 엑츄에이터 소자의 구동 파형이나 잉크 종류가 다른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잉크 부착량과 잉크방울의 성질 사이의 관계를 테이블화 시켜두고, 인쇄 명령을 지시하는 호스트측(프린터 드라이버측)으로부터의 데이터(예를 들면, 화상품질 또는 해상도)에 따라 적절한 대전 주기 길이를 결정하면, 기록헤드(7)에의 잉크 부착량의 경감과 우수한 이송성능을 동시에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언급했듯이, 잉크방울에 미치는 전기장의 영향의 정도는 잉크방울의 크기에 따라 변한다. 즉, 잉크방울의 크기가 증가하면, 안개가 발생하기 쉽고 전기장의 영향을 받기 쉽다는 상관 관계가 있다. 따라서,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액체방울에 따라 기록헤드 아래의 기록매체의 표면상의 전하를 조정함으로써, 이송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고, 또한 기록헤드 아래의 전기장으로 인한 액체방울의 도달 위치 이탈 및 기록헤드로의 안개의 역류 없이 고화질 화상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38 및 도 3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제10 실시예에서는, 이송벨트(21)에 인가되는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의 대전 주기 길이를 변화시키는 조건으로 잉크의 점도를 이용한다.
도 38A 내지 도 38D 및 도 38A 내지 38D는 기록헤드(7)로부터 이송벨트(21)에 흡착되는 기록용지(12)에 토출되는 잉크방울의 거동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8A 내지 도 38D는 점도가 낮은 잉크방울의 거동을, 도 39A 내지 도 39D는 점도가 높은 잉크방울의 거동을 나타낸다. 도 38A 및 도 39A에 나타나듯이, 기록헤드(7)의 노즐(7a)로부터 토출되는 잉크방울(311A, 311B)는 이송벨트(21)에 흡착되는 기록용지(12)상의 표면 전위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장의 영향을 받고, 도 38B 및 도 39B에 나타나듯이, 상기 잉크방울(311A, 311B)에 전하가 유발된다. 따라서, 도 38C 및 도 39C에 나타나듯이, 상기 잉크방울(311A, 311B)은 주 방울(312A, 312B)과 안개(부 방울)(313A, 313B)로 분열한다. 상기 안개(303A, 303B)는 많은 경우 기록용지(12)와 동일한 극성으로 대전되기 때문에, 기록용지(12)상의 전하와 반발하고, 도 38D 및 도 39D에 나타나듯이, 기록헤드(7)를 향해 역류하고, 잉크 토출 면 부근에서의 기록헤드의 부분에 부착하게 된다.
따라서, 기록헤드(7)에의 잉크 부착량은 잉크방울이 분열할 때 만들어지는 안개의 양에 따라 좌우되므로, 꼬리가 더 짧은 점도가 낮은 잉크방울의 경우가 꼬리가 더 긴 점도가 높은 잉크방울의 경우보다 기록헤드(7)에의 잉크 부착량이 적어진다. 따라서, 잉크방울의 점도에 따라 이송벨트(21)에 인가하는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의 대전 주기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기록헤드(7)에의 잉크 부착량의 경감과 우수한 이송성능을 동시에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0에 나타나듯이, 잉크방울의 점도는 온도에 따라 크게 변화하므로, 도 41에 나타나듯이, 상기 환경 센서(118)를 이용하거나 개별적으로 온도 센서(84)를 설치하여 잉크방울의 점도를 예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 부착량과 온도 특성을 갖는 잉크방울의 점도 사이의 관계를 테이블화 시켜두고, 잉크방울의 점도를 더욱 정밀하게 결정할 수 있다면, 기록헤드(7)에의 잉크 부착량의 경감과 우수한 이송성능을 동시에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언급했듯이, 잉크방울에 미치는 전기장의 영향의 정도는 잉크방울의 점도에 따라 변한다. 즉, 잉크방울의 점도가 증가하면, 안개가 발생하기 쉽고 전기장의 영향을 받기 쉽다는 상관 관계가 있다. 따라서,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액체방울의 점도에 따라 기록헤드 아래의 기록매체의 표면상의 전하를 조정함으로써, 이송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고, 또한 기록헤드 아래의 전기장으로 인한 액체방울의 도달 위치 이탈 및 기록헤드로의 안개의 역류 없이 고화질 화상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는, 기록헤드(7)에의 잉크 부착량의 경감과 우수한 이송성능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 기록매체의 저항, 이송벨트에 인가된 전하에 대한 기록매체의 상대적인 위치의 검출 결과, 기록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잉크방울의 크기 및 기록헤 드로부터 토출되는 잉크방울의 점도에 따라 기록매체 표면상의 전하량을 조정하기 위한 적절한 제어를 실행한다.
그러나, 기록매체의 저항, 이송벨트에 인가된 전하에 대한 기록매체의 상대적인 위치의 검출 결과, 기록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잉크방울의 크기 및 기록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잉크방울의 점도 사이에는 상호 작용이 존재한다. 따라서, 잉크방울의 도달 위치 이탈 및 기록헤드로의 안개의 역류에 의한 기록헤드의 더러워짐 없이 화상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개별적인 항목이 아니라 전체 항목을 고려하여 제어를 최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록매체의 저항, 이송벨트에 인가된 전하에 대한 기록매체의 상대적인 위치의 검출 결과, 기록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잉크방울의 크기 및 기록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잉크방울의 점도의 항목 중에서 2 이상의 항목의 상호 작용으로부터 얻은 값을 테이블화 시켜두고, 인쇄 조건에 따라 기록헤드(7) 아래의 기록용지의 전하를 조정한다면, 잉크방울의 도달 위치 이탈 및 기록헤드로의 안개의 역류에 의한 기록헤드의 더러워짐 없이 화상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4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제12 실시예는 양면 인쇄가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련된다.
도 42에 나타나듯이, 양면 인쇄의 경우, 제1 면(처음에 인쇄되는 면)의 기록이 끝난 후, 기록이 끝난 기록용지(12)를 양면 급지 유닛(61)에 이송하도록, 이송벨트(21)를 역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기록용지(12)는 반전 경로(reverse path)(400)를 통과하고, 이미 기록이 끝난 제1 면이 이송벨트(21)와 접촉하도록 반전된다. 즉, 아직 인쇄되지 않은 제2 면이 전면으로 전환되고, 상기 기록용지(12)는 가이드 부재(29)에 이송되고, 기록헤드(7)로부터 토출되는 액체방울로 제2 면을 인쇄한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와 동일하고, 용지 검출 센서(120)를 구비하고 있다(도 29 참조).
여기서, 도 43은 표면 저항률이 다른 3 종류의 기록용지를 이용하여, 제1 면에 CMYK 5%, 전체 20%의 인쇄를 실행할 때, 제1 면의 인쇄에서 제2 면의 인쇄까지의 표면 저항률의 추이(transition)를 나타낸다. 도 43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면에 토출, 부착된 액체방울로 인해, 제2 면 인쇄시에는 기록용지의 표면 저항률이 감소한다.
이것은 제1 면에 부착된 액체방울 내의 수분 성분으로 인해 기록용지상의 전하의 이동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기록용지의 표면 저항률에 있어서의 감소 정도는 인쇄율, 즉 제1 면에 토출, 부착된 액체방울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 인쇄율이 CMYK 전체 50%인 경우, 제2 면의 표면 저항률은 더욱 감소한다. 이러한 이유로, 도 45에 나타나듯이, 기록헤드(7) 아래의 기록용지(12)의 제2 면의 표면 전위는 제1 면의 표면 전위보다 낮다. 이에 의해 잉크방울의 도달 위치 이탈이나 잉크 안개의 튐(bounce)으로 인한 헤드 면(노즐 면)의 더러워짐이 억제된다.
그러나, 도 46에 나타나듯이, 표면 저항률이 낮아지면 제2 면에 대한 흡착력이 감소한다. 이것은 표면 저항률이 낮아지면 흡착력은 도 47의 기록용지(C)의 경 향을 나타내고, 흡착력의 피크(peak)는 대전 주기 길이가 긴 쪽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1 면은 수분 성분을 함유하기 때문에, 상기 제1 면은 부풀어서, 제2 면의 양단을 이송벨트와 반대 방향으로 감기게(curl) 하는 힘을 발생시켜, 이송벨트(21)로부터 기록용지(12)의 단부가 들어 올려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양면 인쇄시, 기록용지(12)의 제1 면의 미리 정해진 영역마다 상기 기록용지(12)의 제1 면에 토출되는 잉크량을 검출(측정)한다. 상기 잉크량의 검출은 제어부(100)에 의해 기록헤드(7)로부터 토출되는 방울의 수를 크기마다 카운트함으로써 계산할 수 있다. 그 다음, 기록용지(12)의 제1 면의 미리 정해진 영역마다 검출된 잉크량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면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대응하는 제2 면의 미리 정해진 영역마다 제2 면의 저항값을 예측한다. 그 다음, 용지 검출 센서(120)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기록용지(12)의 선단 및 후단을 검출함으로써, 이송벨트(21)에 인가된 전하와 기록용지(12) 내의 상기 예측된 저항값을 갖는 미리 정해진 영역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검출한다.
기록헤드(7) 아래의 기록용지(12)의 제2 면의 표면 전위가 최적값이 되도록, 기록용지(12)의 제2 면의 미리 정해진 영역마다 예측된 저항값에 따라 대전 주기 길이를 제어함으로써, 기록헤드(7) 아래의 표면 전위의 경감과 흡착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즉, 기록매체의 저항값 및 화상 형성 면이 처음 인쇄되는 제1 면인지 다음에 인쇄되는 제2 면인지 여부에 근거하여 기록헤드(7) 아래의 기록매체 표면상의 전하를 조정함으로써, 이송 정밀도가 향상되도록 기록매체를 이송벨트에 흡착시킬 수 있고, 기록헤드 아래의 전기장으로 인한 액체방울의 도달 위치 이탈 및 기록헤드로의 안개의 역류에 의한 더러워짐 없이 고화질 화상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1 면에 부착된 액체량에 근거하여 제2 면의 저항값을 예측함으로써, 더욱 정밀하게 제2 면의 저항값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기록매체의 제1 면의 미리 정해진 영역마다 부착된 액체량에 근거하여 기록매체의 제2 면의 미리 정해진 영역마다 저항값을 예측함으로써, 더욱 정밀하게 제2 면의 저항값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38)

  1. 인가되는 전하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력(electrostatic force)으로 기록매체를 흡착하여, 이송하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기(charger);
    상기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기록매체를 향해 기록액체 방울을 토출하는 기록헤드; 및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에 유발되는 전하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의 저항값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헤드로부터 상기 기록매체를 향해 상기 기록액체 방울이 토출되는 기록 위치까지 이송되는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 저항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의 체적 저항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환경 온도 및 습도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외부로부터 부여받은 상기 기록매체의 저항값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대전기에 의해 상기 이송벨트에 인가되는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의 대전 주기 길이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이송벨트에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를 인가하는 상기 대전기에 인가되는 교류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에서의 전하의 유무를 바꾸도록 상기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하는 타이밍(timing)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할 때부터 상기 이송벨트상의 전하가 상기 기록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이송벨트의 이송속도와 정지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인가되는 전하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력으로 기록매체를 흡착하여, 이송하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기;
    상기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기록매체를 향해 기록액체 방울을 토출하는 기록헤드; 및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에 유발되는 전하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와 상기 이송벨트에 인가되는 전하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대전기에 의해 상기 이송벨트에 인가되는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의 대전 주기 길이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이송벨트에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를 인가하는 상기 대전기에 인가되는 교류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에서의 전하의 유무를 바꾸도록 상기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하는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할 때부터 상기 이송벨트상의 전하가 상기 기록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이송벨트의 이송속도와 정지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인가되는 전하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력으로 기록매체를 흡착하여, 이송하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기;
    상기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기록매체를 향해 기록액체 방울을 토출하는 기록헤드; 및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에 유발되는 전하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기록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기록액체 방울의 크기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외부로부터 부여받는 상기 기록액체 방울의 크기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대전기에 의해 상기 이송벨트에 인가되는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의 대전 주기 길이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이송벨트에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를 인가하는 상기 대전기에 인가되는 교류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에서의 전하의 유무를 바꾸도록 상기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하는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할 때부터 상기 이송벨트상의 전하가 상기 기록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이송벨트의 이송속도와 정지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1. 인가되는 전하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력으로 기록매체를 흡착하여, 이송하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기;
    상기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기록매체를 향해 기록액체 방울을 토출하는 기록헤드; 및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에 유발되는 전하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기록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기록액체 방울의 점도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환경 온도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대전기에 의해 상기 이송벨트에 인가되는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의 대전 주기 길이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이송벨트에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를 인가하는 상기 대전기에 인가되는 교류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에서의 전하의 유무를 바꾸도록 상기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하는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할 때부터 상기 이송벨트상의 전하가 상기 기록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이송벨트의 이송속도와 정지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7. 인가되는 전하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력으로 기록매체를 흡착하여, 이송하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기;
    상기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기록매체를 향해 기록액체 방울을 토출하는 기록헤드; 및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에 유발되는 전하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 수단은 기록매체의 저항값, 상기 기록매체와 상기 이송벨트에 인가된 전하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의 검출 결과, 상기 기록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기록액체 방울의 크기 및 상기 기록헤드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기록액체 방울의 점도 중의 2 이상의 항목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대전기에 의해 상기 이송벨트에 인가되는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의 대전 주기 길이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이송벨트에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를 인가하는 상기 대전기에 인가되는 교류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에서의 전하의 유무를 바꾸도록 상기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하는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할 때부터 상기 이송벨트상의 전하가 상기 기록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이송벨트의 이송속도와 정지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2. 양면 인쇄가 가능하게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인가되는 전하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력으로 제 1면과 상기 제1 면과 반대쪽의 제2 면을 갖는 기록매체를 흡착하여, 이송하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기;
    상기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기록매체를 향해 기록액체 방울을 토출하는 기록헤드; 및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에 유발되는 전하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의 저항값 및 처음에 인쇄될 상기 제1 면에 화상이 형성되는지 상기 제1 면 이후에 인쇄될 제2 면에 화상이 형성되는지의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헤드로부터 상기 기록매체를 향해 상기 기록액체 방울이 토출되는 기록 위치까지 이송될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제1 면에 부착되는 기록액체량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제2 면의 저항값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제1 면의 미리 정해진 영역마다 부착된 기록액체량에 근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제2 면의 미리 정해진 영역마다의 저항값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대전기에 의해 상기 이송벨트에 인가되는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의 대전 주기 길이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이송벨트에 플러스, 마이너스 전하를 인가하는 상기 대전기에 인가되는 교류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7.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에서의 전하의 유무를 바꾸도록 상기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하는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8.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이송벨트에 전하를 인가할 때부터 상기 이송벨트상의 전하가 상기 기록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변화시키도록 상기 이송벨트의 이송속도와 정지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의 표면의 전하량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67000395A 2004-05-06 2005-05-02 화상 형성 장치 KR1007183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37036 2004-05-06
JP2004137036 2004-05-06
JP2005000057A JP4919601B2 (ja) 2004-05-06 2005-01-04 画像形成装置
JPJP-P-2005-00000057 2005-0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849A true KR20060031849A (ko) 2006-04-13
KR100718317B1 KR100718317B1 (ko) 2007-05-15

Family

ID=35320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0395A KR100718317B1 (ko) 2004-05-06 2005-05-02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21632B2 (ko)
EP (1) EP1742803B1 (ko)
JP (1) JP4919601B2 (ko)
KR (1) KR100718317B1 (ko)
WO (1) WO20051080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2757B2 (ja) * 2005-07-26 2011-11-2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730963B2 (ja) * 2006-09-13 2011-07-2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8297091A (ja) * 2007-06-01 2008-12-1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4866298B2 (ja) * 2007-06-07 2012-02-01 株式会社リコー 用紙搬送装置
US7761018B2 (en) * 2007-07-31 2010-07-20 Ricoh Company, Limited Image forming apparatus
JP4921280B2 (ja) * 2007-08-10 2012-04-2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EP2037329B1 (en) * 2007-09-13 2014-07-02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belt unit, and belt driving control method
JP4913711B2 (ja) * 2007-11-28 2012-04-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EP2219871A4 (en) * 2007-12-10 2014-07-09 Ricoh Co Ltd PICTURE PRODUCTION DEVICE AND FOAM APPLICATION DEVICE
CN101896348B (zh) * 2007-12-12 2012-08-22 株式会社理光 图像形成设备和泡沫涂敷装置
EP2070710B1 (en) * 2007-12-12 2014-10-29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foam application device
JP5347527B2 (ja) 2008-05-23 2013-11-2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泡塗布装置
JP5256902B2 (ja) * 2008-07-22 2013-08-0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200802B2 (ja) * 2008-09-17 2013-06-0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廃液管理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10111488A (ja) 2008-11-07 2010-05-20 Ricoh Co Ltd シート状媒体搬送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4678050B2 (ja) * 2008-11-11 2011-04-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搬送装置及び記録装置
JP5672761B2 (ja) * 2009-05-20 2015-02-18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429621B2 (ja) * 2009-09-03 2014-02-26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9139388B2 (en) * 2009-09-11 2015-09-22 Xerox Corporation Side edge sheet curler for sheet hold down devices
JP5154589B2 (ja) 2010-01-29 2013-02-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装置
JP5589457B2 (ja) * 2010-03-13 2014-09-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464492B2 (ja) 2010-06-16 2014-04-0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処理液付与装置
JP6098253B2 (ja) * 2013-03-14 2017-03-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8844926B1 (en) * 2013-08-01 2014-09-30 Eastman Kodak Company Controlling recharging to restore electrostatic holding force
JP6476604B2 (ja) 2013-09-12 2019-03-06 株式会社リコー 用紙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JP7115174B2 (ja) 2018-09-19 2022-08-09 株式会社リコー 液体を吐出す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6483A (en) * 1988-11-08 1994-01-0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an attraction charger controlled by one or more ambient conditions
US5121170A (en) * 1989-05-12 1992-06-09 Ricoh Company, Ltd. Device for transporting sheet members using an alternating voltage
JP3224528B2 (ja) 1990-08-31 2001-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014815B2 (ja) * 1990-08-31 2000-02-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4201469A (ja) 1990-11-30 1992-07-22 Canon Inc 被記録材の搬送装置および該搬送装置を有する記録装置
JP2718626B2 (ja) * 1993-11-16 1998-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材搬送装置
JPH09254460A (ja) 1996-03-22 1997-09-30 Seiko Instr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並びに該装置に用いる紙搬送機構
GB9818539D0 (en) * 1998-08-26 1998-10-21 Dow Corning Process for producing a silicone polymer
JP2001031278A (ja) * 1999-07-26 2001-02-06 Toshiba Tec Corp 静電吸着式ドラムプリンタ
JP2001134106A (ja) * 1999-11-01 2001-05-18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2002046310A (ja) 2000-08-02 2002-02-12 Noritsu Koki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2123095A (ja) * 2000-10-17 2002-04-26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3804928B2 (ja) * 2001-03-09 2006-08-02 株式会社リコー 液体噴射記録装置
JP4280470B2 (ja) * 2001-09-17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の搬送方法及び記録装置
JP2004009928A (ja) * 2002-06-10 2004-01-15 Oi Seisakusho Co Ltd サンルーフにおける遮蔽部材の取付構造
JP2004099280A (ja) * 2002-09-11 2004-04-02 Riso Kagaku Corp 用紙搬送装置
JP4501373B2 (ja) * 2003-02-17 2010-07-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記録装置
JP2005053663A (ja) * 2003-08-06 2005-03-0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記録液、搬送ベルト及び記録液カートリッジ
JP4533080B2 (ja) * 2003-12-15 2010-08-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781795B2 (ja) * 2005-11-29 2011-09-2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19601B2 (ja) 2012-04-18
WO2005108099A1 (en) 2005-11-17
EP1742803A1 (en) 2007-01-17
US20070103532A1 (en) 2007-05-10
KR100718317B1 (ko) 2007-05-15
US7621632B2 (en) 2009-11-24
EP1742803B1 (en) 2012-09-26
EP1742803A4 (en) 2010-04-14
JP2005343167A (ja) 200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317B1 (ko) 화상 형성 장치
KR100888763B1 (ko) 화상 형성 장치
KR100973836B1 (ko) 화상 형성 장치
US773132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878426B1 (ko) 화상 형성 장치
KR100637912B1 (ko) 용지 이송장치, 화상 형성장치 및 용지 이송방법
JP4566880B2 (ja) 画像形成装置
US8246136B2 (en) Recording apparatus including two attraction devices for attracting recording medium
JP2004351837A (ja) 画像形成装置
CN100509418C (zh) 成像装置
JP481945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5324918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