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9950A -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9950A
KR20060029950A KR1020040078819A KR20040078819A KR20060029950A KR 20060029950 A KR20060029950 A KR 20060029950A KR 1020040078819 A KR1020040078819 A KR 1020040078819A KR 20040078819 A KR20040078819 A KR 20040078819A KR 20060029950 A KR20060029950 A KR 20060029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paper
paper
pressure plate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정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8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9950A/ko
Publication of KR20060029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9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ntrolled by height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5Means for moving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2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electric elements
    • B65H2553/21Variable resistances, e.g. rheostats, potentiometers or strain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개시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은 기록용지가 적재되는 가압판이 장착된 케이스가 구비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에 있어서 가압판에 적재된 기록용지를 픽업할 경우 기록용지의 적재높이 변화에 따라 가압판의 높이를 변경시켜 기록용지의 픽업위치를 일정하게 하는 위치제어수단을 구비한다.
급지유닛, 가압판, 픽업롤러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Paper Supply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위치제어수단의 동작을 보여주는 확대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급지유닛의 위치제어수단의 동작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레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00 : 케이스 210 : 가압판
220 : 용지감지기 240 : 픽업롤러
270 : 동력수단 271 : 작동바
300 : 회전감지수단 400 : 제어부
500 : 롤러구동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급지유닛에 적재되어 급지되는 기록용지의 급지되는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급지되는 기록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화상형성부로부터 화상이 형성된 기록용지를 배지하는 배지부 및 상기 화상이 형성되는 기록용지를 적재함과 아울러 화상형성부로 순차적으로 급지해주는 급지유닛을 구비한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의 동작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에 급지유닛을 장착한 상태에서, 가압판 상부에 힌지설치된 용지감지기를 통해 가압판 상부에 기록용지가 적재된지 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기록용지가 가압판 상부에 적재된 기록용지를 확인 한 후, 급지유닛 내부에 설치된 모터와 연결되어 가압판 하면에 접촉하여 가동되도록 설치된 레버가 상승하게 되어 가압판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기록용지의 상단이 최고점 높이, 즉, 높이감지기로 부터 감지되는 A위치까지 가압판을 상승시킨다.
이어, 가압판 상부에 적재된 용지는 본체에 힌지연결된 픽업롤러의 구동에 의해 차례로 피드롤러 측으로 급지된다.
이와 같이 급지됨에 따라, 가압판 상부의 기록용지의 적재량을 줄어들게 되며, 적재된 기록용지가 B위치까지 줄어들게 되면, 높이감지기가 이를 감지하게 되어 모터에 구동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때, 모터는 레버를 상측으로 구동시켜, 가압판 상부에 적재된 기록용지의 상면을 A위치까지 상승시킴으로써, 기록용지의 최상단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 모터의 구동은 높이감지기가 가압판 상부에 적재된 기록용지가 최상단 위치 또는 최하단 위치에서만 이를 인지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피드롤러측으로 급지되는 기록용지의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해줄 수 없고, 또한, 이와같은 온/오프구동으로 인한 기계적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가압판 상부에 설치된 용지감지기와 높이감지기 2개가 모두 기록용지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피드롤러측으로 공급되므로써 기록용지와 감지기간의 마찰력이 발생하여 안정적으로 픽업되어 피드롤러측으로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가압판 상부에 적재되는 기록용지를 픽업롤러를 통해 피드롤러측으로 급지하는 경우, 기록용지가 급지되어진 높이 만큼 가압판을 상측으로 상승시켜, 항상 피드롤러측으로 급지되는 기록용지의 위치를 일정하게 하여 안정적으로 급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은 기록용지가 적재되는 가압판이 장착된 케이스가 구비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에 적재된 상기 기록용지를 픽업할 경우, 상기 기록용지의 적재높이 변화에 따라 상기 가압판의 높이를 변경시켜 상기 기록용지의 픽업위치를 일정하게 하는 위치제어수단을 포함한 다.
여기서, 상기 위치제어수단은 상기 기록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와 연결된 레버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감지수단과, 상기 회전감지수단으로 부터 소정의 신호를 받아 상기 가압판을 승/하강시키는 동력수단을 구동시키도록 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감지수단은 상기 레버의 회전각에 따른 회전량을 저항의 변화량으로 변환하는 가변저항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력수단의 동작속도와 토크를 상기 가변저항에서 측정된 저항값에 비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은 본체(100)와,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어 급지되는 기록용지(10)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미도시)와, 화상형성부로 부터 화상이 형성된 기록용지(10)를 배지하여 적재하는 배지부(미도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0)에 장착되는 케이스(200)와, 케이스(200) 내부에 일단이 힌지연결되어 승하강 회전되고, 그 상부에 일정량의 기록용지(10)가 적재되는 가압판(210)과, 가압판(210) 하면에 접촉되어 슬라이딩 가동되는 작동바(271)가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상하방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등의 동력수단(270)과, 본체(100)에 힌지연결된 레버(241)와 연 결되어 기록용지(10)를 화상형성부로 급지하기 위해 픽업하는 픽업롤러(240)와, 픽업롤러(240)가 기록용지(10)를 픽업하여 급지하는 경우, 픽업롤러(240)에 연결된 레버(241)가 하방으로 회전하여 다음 급지될 기록용지 상면에 접촉되어져서 가변된 기록용지의 적재높이가 상기와 같이 낮아짐에 따라 낮아진 적재높이 만큼 가압판(210)을 승강시켜 기록용지(10)의 픽업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하는 위치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위치제어수단은 일단이 본체(100)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은 픽업롤러(240)가 연결된 레버(241)의 힌지축(242)에 설치되어 레버(241)가 하방으로 회전됨에 따라 형성되는 회전각(Δθ)만큼의 회전량을 가변된 저항값으로 인식하는 회전감지수단(300)과, 회전감지수단(300)으로 부터 상기 가변저항값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아 케이스(200) 내부에 설치된 동력수단(270)의 작동바(271)를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제어부(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감지수단(300)은 레버(271)의 회전각(Δθ)에 따른 회전량을 저항값으로 변환하는 가변저항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상기 동력수단(270)의 동작속도와 토크를 상기 가변저항에서 측정된 저항값에 비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구조를 갖는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00) 하부에 급지유닛이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 고, 급지유닛 내부에 힌지연결되어 승하강되도록 설치된 가압판(210) 상부에는 일정높이를 형성하며 기록용지(10)가 적재되어 있다.
이때, 가압판(210) 상측으로 본체(100)에 설치된 용지감지기(220)는 감지기몸체(221)에 회전되도록 설치된 회전바(222)가 적재된 기록용지(10)의 상면에 접촉되어 설정된 임의의 각도가 형성되면, 이 회전각만큼을 기록용지(10)가 적재된 것으로 감지하여, 화상형성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가압판(210) 상부에 기록용지(10)가 적재되지 않은 경우, 가압판(210) 상면에 접촉되지 않고, 기록용지(10)가 적재됨에 따라 기록용지(10) 상면에 접촉됨과 아울러 상측으로 회전되어 회전각을 발생하여 기록용지(10)가 적재됨을 인식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가압판(210) 상부에 일정량의 기록용지(10)가 적재됨을 인지한 용지감지기(220)는 제어부(400)로 전기적 신호를 보내주게 되고, 제어부(400)는 롤러구동부(500)로 동작신호를 발생시켜 피드롤러(250) 및 기록용지(10) 상면에 접촉된 픽업롤러(240)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최상단의 기록용지(10) 상면, 즉 C위치에 접촉된 픽업롤러(240)는 피드롤러(250)측으로 회전하여 최상단의 기록용지(10)를 차례로 피드롤러(250)의 급지구(250a)측으로 급지하여 화상형성부로 보내주어 화상형성작업을 진행하도록 한다.
이어, 최상단의 기록용지(10)를 급지하고 난 후, 픽업롤러(240)는 레버(241)가 힌지축(242)에 연결됨으로 인해 하방으로 회전하여 다음 적재된 기록용지(10) 상면, 즉, D위치에서 접촉하여 대기하게 된다.
여기서, 다음 급지될 D위치에서의 기록용지(10) 급지위치가 피드롤러(250)의 급지구(250a)와 하방으로 높이차(Δt)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픽업롤러(240)가 C위치에서 D위치로 하강하면서 레버(241)의 힌지축(242)에 설치된 가변저항인 회전감지수단(300)은 회전각(Δθ)에 바례하는 저항값의 변화를 발생시키고 이를 제어부(400)로 전달하여준다.
즉, 레버(241)의 힌지축(242)에 설치된 가변저항인 회전감지수단(300)은 레버(241)가 일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회전량을 가변되는 저항값으로 변환하여 제어부(400)로 전달하게 된다.
이어, 가변저항값을 전달받은 제어부(400)는 동력수단(270)로 구동신호를 주게된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동력수단(270)을 통해 가압판(210)을 상승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이 최상단의 기록용지(10)가 급지됨에 따라서 발생한 높이차(Δt)를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 대기중인 기록용지(10)의 급지위치, 즉, D위치의 기록용지(10)를 C위치로 위치시켜 피드롤러(250)의 급지구(250a)의 위치와 평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압판(210) 상승동작은 상기와 같이 가변된 저항값을 전달 받은 제어부(400)가 동력수단(270)을 구동시켜 작동바(271)를 상승시킴으로써 상승되는데, 이는 가압판(210) 하면에 회전되도록 접촉 연결된 작동바(271)가 가압판 (210) 하면에서 슬라이딩 가동됨으로써 일정높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즉, 최상단의 기록용지(10)가 급지된 후, 하방으로 형성된 높이차(Δt) 만큼 가압판(210)이 상승되어 가압판(210) 상부에 적재된 D위치의 기록용지(10)의 상면이 D위치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피드롤러(250)의 급지구(250a)측과 일치되도록 되도록 한다.
가압판(210) 상면에 일정 높이를 갖고 적재된 기록용지(10)를 연속적으로 픽업롤러(240)를 통해 급지될 경우,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을 통해 다매의 기록용지(10)의 최상단은 피드롤러(250)의 급지구(250a) 위치와 일치되도록 하여 급지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급지동작을 함으로써 가압판(210) 상의 기록용지(10)가 모두 급지되어 빈(empty) 상태가 되는 경우, 용지감지기(220)는 이를 인지하여 제어부(400)로 신호를 보내주고, 제어부(400)는 회전감지수단(300)으로 신호를 보내주어 픽업롤러(240)가 장착된 레버(241)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동력수단(600)에 구동신호를 주어 동력수단(270)에 힌지연결된 작동바(271)를 하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가압판(210)은 하방으로 하강하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가압판(210)이 빈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가압판(210) 상부에 기록용지(10)를 재적재시 외력에 의해 작동바(271)는 가압판(210) 하면에 접촉되어 하방으로 회전되어 가압판(210)이 수평이 되는 위치에서 회전동작이 정지되고, 화상형성작업시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게 되어, 가압판(210) 상부에 적 재된 기록용지(10)의 양에 상관없이 급지되는 기록용지(10)의 최상단이 피드롤러(250)의 급지구(250a)의 위치와 항상 일치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최상단의 기록용지(10)가 급지됨에 따라 픽업롤러(240)가 하강하고, 픽업롤러(240)에 연결된 레버(241)가 힌지축(24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하강함에 따라 발생하는 기록용지(10)의 높이차(Δt)를 보상하기 위해 가압판(210)은 픽업롤러(240)의 하강된 높이차(Δt) 만큼 상측으로 상승하되, 가압판(210) 일단에 스크류 홈(211)이 형성된 고정부재(212)를 힌지연결되게 하고, 스크류 홈(211)에 끼워짐과 아울러 급지유닛 하단면과 본체 프레임에 설치된 볼스크류 바(215)를 설치하며, 볼스크류 바(215)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16)의 구동에 의해 상부로 점차적으로 상승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가압판(210) 상면에 기록용지(10)가 모두 소진된 경우, 제어부(400)는 모터(216)를 통해 볼스크류 바(215)를 빠른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가압판(210)을 상승시킨다.
또한, 상기 가압판(210)을 상승시키도록 가압판(210) 하면에 접촉하여 가압판을 상승시키는 엑츄에이터등의 구동수단을 설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선된 급지유닛을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가압판 상부에 일정높이를 형성하여 적재된 기록용지를 상단부부터 연속적으로 급지할 경우, 급지되는 기록용지의 위치와 피드롤러의 급지구의 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되도 록 제어함으로서 용지잼현상등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급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래와 같이 기록용지 상면에 접촉되어 용지의 상, 하단위치를 감지하는 감지기가 제외되어, 급지시 기록용지 상면에 접촉되어 발생하는 마찰저항을 줄일수 있어 안정적인 급지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록용지가 연속적으로 급지됨에 따라 가변되는 높이를 가압판이 상승되게 되어 실시간으로 보상함으로써, 급지유닛내부에서 발생하는 기계적인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기록용지가 적재되는 가압판이 장착된 케이스가 구비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에 적재된 상기 기록용지를 픽업할 경우, 상기 기록용지의 적재높이 변화에 따라 상기 가압판의 높이를 변경시켜 상기 기록용지의 픽업위치를 일정하게 하는 위치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어수단은 상기 기록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와 연결된 레버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회전감지수단과, 상기 회전감지수단으로 부터 소정의 신호를 받아 상기 가압판을 승/하강시키는 동력수단을 구동시키도록 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감지수단은 상기 레버의 회전각에 따른 회전량을 저항의 변화량으로 변환하는 가변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력수단의 동작속도와 토크를 상기 가변저항에서 측정된 저항값에 비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
KR1020040078819A 2004-10-04 2004-10-04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 KR200600299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819A KR20060029950A (ko) 2004-10-04 2004-10-04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819A KR20060029950A (ko) 2004-10-04 2004-10-04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950A true KR20060029950A (ko) 2006-04-07

Family

ID=37140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819A KR20060029950A (ko) 2004-10-04 2004-10-04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99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6961A (zh) * 2011-03-10 2015-08-05 株式会社理光 输纸器和图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6961A (zh) * 2011-03-10 2015-08-05 株式会社理光 输纸器和图像形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03712A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971123B1 (en) Image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scanner
KR100476977B1 (ko) 사무기기의 급지오류 감지장치 및 방법
KR20060029950A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유닛
US8113504B2 (en) Media sheet feeding method for overcoming at least one media handling failure mode
KR20190058887A (ko) 리클레이머용 감지장치
JP2007210763A (ja) 用紙残量検知装置および検知方法
JP3638219B2 (ja) シート給送装置
KR200341071Y1 (ko) 리드 프레임 검사 시스템
JP2009120273A (ja) 移載装置
KR100419218B1 (ko) 인쇄기의 배출용지 적재장치
JPH09278196A (ja) シート給送装置
JPH1191930A (ja) ワーク繰出し装置
JP2972690B2 (ja) 用紙残量検出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6143346A (ja) 画像形成装置用の給紙装置
JPS61206769A (ja) 排紙トレ−装置
JPH06100200A (ja) 画像形成装置の記録用紙残量検出装置及び方法
KR100343154B1 (ko)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US5704757A (en) Food material transfer apparatus
KR101554590B1 (ko) 게임용 카드 프린터
KR20170000856A (ko) 슬라브 이동장치 및 그 이동방법
KR102162092B1 (ko) 메쉬망 정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메쉬망 이송로봇
JPH10316251A (ja) 給紙装置
KR102162097B1 (ko) 메쉬망 정렬장치 및 이를 구비한 메쉬망 이송로봇
KR100679997B1 (ko) 바텐 승하강시 수평 밸런스 유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