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9547A - n형 탄소 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탄소나노튜브 전계효과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n형 탄소 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탄소나노튜브 전계효과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9547A
KR20060029547A KR1020040078544A KR20040078544A KR20060029547A KR 20060029547 A KR20060029547 A KR 20060029547A KR 1020040078544 A KR1020040078544 A KR 1020040078544A KR 20040078544 A KR20040078544 A KR 20040078544A KR 20060029547 A KR20060029547 A KR 20060029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carbon nanotubes
oxide layer
gate oxide
cnt f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1965B1 (ko
Inventor
배은주
민요셉
박완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8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1965B1/ko
Priority to CNB2005100874158A priority patent/CN100474623C/zh
Priority to US11/192,107 priority patent/US7381983B2/en
Priority to JP2005258904A priority patent/JP4938272B2/ja
Publication of KR20060029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965B1/ko
Priority to US12/107,318 priority patent/US770534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10/00Organi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ganic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K10/40Organic transistors
    • H10K10/46Field-effect transistors, e.g. organic thin-film transistors [OTFT]
    • H10K10/462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s]
    • H10K10/468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s] characterised by the gate dielectrics
    • H10K10/472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s] characterised by the gate dielectrics the gate dielectric comprising only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30Doping active layers, e.g. 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10/00Organi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ganic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K10/40Organic transistors
    • H10K10/46Field-effect transistors, e.g. organic thin-film transistors [OTFT]
    • H10K10/462Insulated 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s]
    • H10K10/464Lateral top-gate IGFETs comprising only a single g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20Carbon compounds, e.g. carbon nanotubes or fullerenes
    • H10K85/221Carbon nanotub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90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 Y10S977/93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for electronic or optoelectronic application
    • Y10S977/936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for electronic or optoelectronic application in a transistor or 3-terminal device
    • Y10S977/938Field effect transistors, FETS, with nanowire- or nanotube-channel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형 탄소 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CNT FET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n형 탄소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CNT FET는, 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전극과,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형성된 탄소나노튜브와, 상기 탄소나노튜브 상에 형성된 게이트 산화층과, 상기 게이트 산화층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을 구비한다. 상기 게이트 산화층은, 상기 탄소나노튜브에 전자를 제공하는 전자도너원자를 포함하며,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전자도너원자에 의해서 n형 도핑된다.

Description

n형 탄소 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탄소나노튜브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N-type CNT-FET having n-type carbon nanotub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n형 CNT FET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n형 CNT FET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BTSO 증착전 및 증착후의 CNT-FET의 I-V 특성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n형 CNT FET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n형 CNT FET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n형 탄소 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CNT FET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 나노튜브에 전자를 주는 원자(전자 도너 원자)(electron donor atom)를 흡착시켜서 제조한 n형 탄소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CNT FET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는 기계적, 화학적 특성이 좋으며, 수 나노미터 또는 수십 나노미터의 직경에서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길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전기적 도전성이 우수하여 전자 소자로서의 응용성이 매우 뛰어나다. 탄소 나노튜브를 다양한 소자에 응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며, 현재 전계 방출 소자, 광통신 분야의 광스위치 또는 바이오 소자에도 적용되고 있다.
탄소 나노튜브는 아크 방전법, 레이저 용발법, 촉매를 이용한 화학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스크린 프린팅, 스핀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있으며, 현재 탄소 나노튜브의 제조법은 널리 알려져 있다.
탄소 나노튜브를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 소자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p-타입 및 n-타입 MOS 트랜지스터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탄소나노튜브는 홀 도핑(hole-doping : p-타입 도핑)이 되기 쉽다.
한편, 미국공개특허 2003-122,133호에는 산소 또는 포타슘 이온을 도핑하여 n형 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산소는 원소로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포타슘 이온은 취급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미국특허 제 6,723,624호에는 포타슘 이온 또는 산소 도핑이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다른 n형 도핑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즉, n-타입(electron-doping : 전자 도핑) 탄소 나노튜브를 제조하기 위해서 탄소나노튜브 상에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x)를 PECVD(plasma-enhanced chemical vapor-phased deposition)로 증착하고, 가열을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채널영역인 탄소나노튜브 상에 전자 도너 원자를 포함하는 게이트 산화층을 형성함으로써 n형 탄소나노튜브를 형성한 n형 CNT FET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n형 탄소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CNT FET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전극;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형성된 탄소나노튜브;
상기 탄소나노튜브 상에 형성된 게이트 산화층; 및
상기 게이트 산화층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게이트 산화층은, 상기 탄소나노튜브에 전자를 제공하는 전자도너원자를 포함하며,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전자도너원자에 의해서 n형 도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이트 산화층은 5족 원소를 포함하는 산화물 또는 질화물을 ALD 증착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5족 원소는 비스무스 원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물은 BTSO(Bismuth titanium silicon oxide)일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n형 탄소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CNT FET는,
도전성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게이트 산화층;
상기 게이트 산화층 상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전극; 및
상기 게이트 산화층 상에서 상기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형성된 탄소나노튜브;를 구비하며,
상기 게이트 산화층은, 상기 탄소나노튜브에 전자를 제공하는 전자 도너 원자를 포함하며,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전자도너원자에 의해서 n형 도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n형 탄소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CNT FET 제조방법은,
도전성 기판 상에 전자 도너 원자가 포함된 산화물 또는 질화물을 증착하여 게이트 산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기판 상에 각각 서로 이격된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탄소나노튜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탄소나노튜브 상에 전자 도너 원자가 포함된 산화물 또는 질화물을 증착하여 게이트 산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산화층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도너원자는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n형 도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n형 탄소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CNT FET 제조방법은,
도전성 기판 상에 전자 도너 원자가 포함된 산화물 또는 질화물을 증착하여 게이트 산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산화층 상에 각각 서로 이격된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산화층 상에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탄소나노튜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도너원자는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n형 도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n형 탄소 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CNT FET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n형 CNT FET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10) 상에 절연층(11)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층(11) 상에는 탄소나노튜브(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탄소나노튜브(12)의 양단에는 각각 전극(13,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전극(13,14)은 각각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으로 작용하며, 상기 탄소나노튜브(12)는 채널영역으로 작용한다.
상기 절연층(11) 상에는 상기 탄소나노튜브(12)를 덮는 게이트 산화층(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 산화층(15) 상에는 상기 전극(13,14)들 사이에 대응 되는 위치에 게이트 전극(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산화층(15)은 산화물층 또는 질화물층으로서 전자 도너 층(electron donor layer)이 될 수 있다. 게이트 산화층(15)은 5족원소인 N, P, As, Sb, Bi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ALD(atomic layer deposition) 공정으로 형성된 BSTO(Bismuth-Tellurium-Strontium Oxide)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STO 층은 상기 탄소나노튜브(12) 상에 증착되면서, 상기 비스므스 원자가 탄소나노튜브(12)에 전자를 주어서 탄소나노튜브(12) 표면을 n 도핑시킨다. 따라서, 상기 탄소나노튜브(12)는 n형으로 도핑되며, 따라서, 도 1의 전자소자는 톱 게이트 형(top gate type) n형 CNT FET로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n형 CNT FET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전성 기판(20), 예컨대 고농도로 도핑된 실리콘 웨이퍼 상에 게이트 산화층(21)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산화층(21) 상에는 탄소나노튜브(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탄소나노튜브(22)의 양단에는 각각 전극(23,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전극(23,24)은 각각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으로 작용하며, 상기 탄소나노튜브(22)는 채널영역으로 작용한다. 또한, 상기 도전성 기판(20)은 게이트 전극으로 작용한다.
상기 게이트 산화층(25)은 산화물층 또는 질화물층으로서 전자 도너 층(electron donor layer)이 될 수 있다. 게이트 산화층(25)은 5족원소인 N, P, As, Sb, Bi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ALD(atomic layer deposition) 공정으로 형성된 BSTO(Bismuth-Tellurium-Strontium Oxide)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 기 BSTO 층은 상기 탄소나노튜브(22) 상에 증착되면서, 상기 비스므스 원자가 탄소나노튜브(22)에 전자를 주어서 탄소나노튜브(22) 표면을 n 도핑시킨다. 따라서, 상기 탄소나노튜브(22)는 n형으로 도핑되며, 따라서, 도 2의 전자소자는 바텀 게이트형(bottom gate type) n형 CNT FET로 된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BTSO 증착전 및 증착후의 CNT-FET의 I-V 특성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BTSO 증착전 탄소나노튜브는 적게 p형 도핑(slightly p-doped) 되어 있다. 드레인 전극 및 소스 전극에 전압(Vds)을 인가하고, 게이트 바이어스 전압(Vg)을 마이너스 방향으로 인가했을 때 트랜지스터가 턴온(turn-on)되었다. 이는 p형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BTSO 증착후 탄소나노튜브는 n형 도핑되어 있다. 드레인 전극 및 소스 전극에 전압(Vds)을 인가하고, 게이트 바이어스 전압(Vg)을 플러스 방향으로 인가했을 때 트랜지스터가 턴온(turn-on)되었다. 이는 n형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BTSO 증착으로 탄소나노튜브가 n형 도핑된 것을 보여준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n형 CNT FET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기판(30) 위에 절연층(31), 예컨대 산화물층을 형성한다. 상기 기판(30)이 부도전체인 경우에는 절연층(31)을 생략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절연층(31) 상에 도전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도전층을 패터닝하여 서로 이격된 드레인 전극(33) 및 소스 전극(34)을 형성한다.
도 5c를 참조하면, 절연층(31) 상에 전극(33,34)과 연결되게 탄소나노튜브(32)를 성장시키거나, 또는 스크린 프린팅, 스핀 코팅 등의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절연층(31) 상에 탄소나노튜브(32)를 형성한다. 이러한 탄소나노튜브(32)는 p형 성질을 가진다.
도 5d를 참조하면, 탄소나노튜브(32) 상에서 전극(33,34)을 덮는 게이트 산화층(35)을 증착한다. 상기 게이트 산화층(35)은 300℃에서 BTSO(Bismuth titanium silicon oxide)를 ALD(atomic layer deposition) 공정으로 증착할 수 있다. 산소 소스로는 수증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비스무스층을 증착하면, 비스무스층의 전자가 탄소나노튜브(32)의 표면에 흡착되면서 탄소나노튜브(32)를 n형 으로 도핑시킨다. 이와 같이 게이트 산화층(35)을 전자도너층으로도 이용하므로, n형 도핑공정이 단순화되며, 용이해진다.
한편, 게이트 산화층(35)으로서 산화물층을 형성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게이트 산화층(35)은 5족원소인 N, P, As, Sb, Bi 중 어느 하나의 원자층을 포함하는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e를 참조하면, 드레인 전극(33) 및 소스 전극(34) 사이의 게이트 옥사이드층 상에 게이트 전극(36)을 형성한다. 게이트 전극(36)은 패터닝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n형 CNT FET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도전성 기판(40), 예컨대 고농도로 도핑된 실리콘 기판 위에 게이트 산화층(41)을 증착한다. 상기 게이트 산화층(41)은 300℃에서 BTSO(Bismuth titanium silicon oxide)를 ALD(atomic layer deposition) 공정으로 증착할 수 있다. 산소 소스로는 수증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게이트 산화층(41) 상에 도전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도전층을 패터닝하여 서로 이격된 드레인 전극(43) 및 소스 전극(44)을 형성한다.
도 6c를 참조하면, 게이트 산화층(41) 상에 탄소나노튜브(42)를 성장시키거나, 또는 스크린 프린팅, 스핀 코팅 등의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게이트 산화층(41) 상에 탄소나노튜브(42)를 형성한다. p형 탄소나노튜브(42)는 게이트 산화층(41)의 비스무스층의 전자가 표면에 흡착되면서 탄소나노튜브(42)는 n형 으로 도핑된다.
본 발명에 의한 n형 CNT FET 제조방법은 게이트 산화층의 전자도너층에 의하여 탄소나노튜브가 n형 도핑되므로, 제조공정이 단순화되며, 또한 용이하다.
또한, 통상의 p형 탄소나노튜브를 n형 탄소나노튜브로 변환함으로써 p형 및 n형 소자를 포함하는 논리소자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Claims (16)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전극;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형성된 탄소나노튜브;
    상기 탄소나노튜브 상에 형성된 게이트 산화층; 및
    상기 게이트 산화층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게이트 산화층은, 상기 탄소나노튜브에 전자를 제공하는 전자도너원자를 포함하며,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전자도너원자에 의해서 n형 도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탄소 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CNT FET.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산화층은 5족 원소를 포함하는 산화물 또는 질화물을 ALD 증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탄소 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CNT FET.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5족 원소는 비스무스 원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탄소 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CNT FET.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은 BTSO(Bismuth-Tellurium-Strontium Ox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탄소 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CNT FET.
  5. 도전성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게이트 산화층;
    상기 게이트 산화층 상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전극; 및
    상기 게이트 산화층 상에서 상기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형성된 탄소나노튜브;를 구비하며,
    상기 게이트 산화층은, 상기 탄소나노튜브에 전자를 제공하는 전자 도너 원자를 포함하며,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전자도너원자에 의해서 n형 도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탄소 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CNT FET.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산화층은 5족 원소를 포함하는 산화물 또는 질화물을 ALD 증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탄소 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CNT FET.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5족 원소는 비스무스 원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CNT FET.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은 BTSO(Bismuth titanium silicon ox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CNT FET.
  9. 기판 상에 각각 서로 이격된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서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탄소나노튜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탄소나노튜브 상에 전자 도너 원자가 포함된 산화물 또는 질화물을 증착하여 게이트 산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산화층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도너원자는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n형 도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탄소 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CNT FET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산화층은 5족 원소를 포함하는 산화물 또는 질화물을 ALD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탄소 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CNT FET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5족 원소는 비스무스 원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CNT FET.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은 BTSO(Bismuth titanium silicon ox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CNT FET 제조방법.
  13. 도전성 기판 상에 전자 도너 원자가 포함된 산화물 또는 질화물을 증착하여 게이트 산화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산화층 상에 각각 서로 이격된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산화층 상에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탄소나노튜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도너원자는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n형 도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탄소 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CNT FET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산화층은 5족 원소를 포함하는 산화물 또는 질화물을 ALD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CNT FET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5족 원소는 비스무스 원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탄소 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CNT FET 제조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은 BTSO(Bismuth titanium silicon ox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n형 CNT FET 제조방법.
KR1020040078544A 2004-10-02 2004-10-02 n형 탄소 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탄소나노튜브 전계효과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601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544A KR100601965B1 (ko) 2004-10-02 2004-10-02 n형 탄소 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탄소나노튜브 전계효과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CNB2005100874158A CN100474623C (zh) 2004-10-02 2005-07-22 N型碳纳米管场效应晶体管及其制备方法
US11/192,107 US7381983B2 (en) 2004-10-02 2005-07-29 N-type carbon nanotube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5258904A JP4938272B2 (ja) 2004-10-02 2005-09-07 n型炭素ナノチューブ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12/107,318 US7705347B2 (en) 2004-10-02 2008-04-22 N-type carbon nanotube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544A KR100601965B1 (ko) 2004-10-02 2004-10-02 n형 탄소 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탄소나노튜브 전계효과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547A true KR20060029547A (ko) 2006-04-06
KR100601965B1 KR100601965B1 (ko) 2006-07-18

Family

ID=36377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544A KR100601965B1 (ko) 2004-10-02 2004-10-02 n형 탄소 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탄소나노튜브 전계효과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381983B2 (ko)
JP (1) JP4938272B2 (ko)
KR (1) KR100601965B1 (ko)
CN (1) CN100474623C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992B1 (ko) * 2007-03-19 2008-04-16 광주과학기술원 나노선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WO2008150726A2 (en) * 2007-05-25 2008-12-11 Kalburge Amol M Method for integrating nanotube devices with cmos for rf/analog soc applications
US7998850B2 (en) 2008-05-02 2011-08-16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221715B2 (en) 2008-11-28 2012-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rbon-nanotube n-doping material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KR101410933B1 (ko) * 2008-04-11 2014-07-0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탄소나노튜브를 구비한 트랜지스터의 도핑방법 및 도핑이온의 위치 제어방법 및 트랜지스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6784A1 (en) * 2004-10-13 2007-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nipolar nanotube transistor using a carrier-trapping material
US7687841B2 (en) * 2005-08-02 2010-03-30 Micron Technology, Inc. Scalable high performance carbon nanotube field effect transistor
US8119032B2 (en) 2006-02-07 2012-02-21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Gas-phase functionalization of surfaces including carbon-based surfaces
CN101873992B (zh) * 2006-02-07 2013-11-06 哈佛大学校长及研究员协会 碳纳米管的气相官能化
KR100951730B1 (ko) * 2007-05-30 2010-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도성이 개선된 카본나노튜브, 그의 제조방법 및 상기카본나노튜브를 함유하는 전극
KR20100110853A (ko) * 2007-12-31 2010-10-13 아토메이트 코포레이션 에지-접촉된 수직형 탄소 나노튜브 트랜지스터
US8004018B2 (en) * 2008-12-29 2011-08-23 Nokia Corporation Fabric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s based on aligned high aspect ratio nanoparticle networks
US8064253B2 (en) * 2009-09-15 2011-11-22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Multi-valued ROM using carbon-nanotube and nanowire FET
KR20120081801A (ko) * 2011-01-12 2012-07-20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
US8748873B2 (en) * 2011-01-21 2014-06-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dual semiconducting layer
US8471249B2 (en) * 2011-05-10 2013-06-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rbon field effect transistors having charged monolayers to reduce parasitic resistance
CN104009091A (zh) * 2014-06-06 2014-08-27 湘潭大学 一种基于规整性碳纳米管条纹阵列的铁电场效应晶体管及其制备方法
CN105789130A (zh) * 2014-12-24 2016-07-20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一种基于碳纳米管薄膜晶体管的cmos反相器的制作方法
US9577204B1 (en) 2015-10-30 2017-02-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rbon nanotube field-effect transistor with sidewall-protected metal contacts
US10847757B2 (en) 2017-05-04 2020-11-24 Carbon Nanotube Technologies, Llc Carbon enabled vertical organic light emitting transistors
KR102534772B1 (ko) 2021-02-17 2023-05-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자기정렬된 질화붕소나노튜브-탄소나노튜브 혼합체를 이용한 전계효과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6365A (ja) * 2000-06-15 2002-03-15 Seiko Epson Corp 基板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気光学装置
JP2003017508A (ja) * 2001-07-05 2003-01-17 Nec Corp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KR100426495B1 (ko) 2001-12-28 2004-04-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일 탄소 나노튜브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TWI220269B (en) * 2002-07-31 2004-08-11 Ind Tech Res Inst Method for fabricating n-type carbon nanotube device
JP4338948B2 (ja) * 2002-08-01 2009-10-0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半導体素子の作製方法
KR100723399B1 (ko) * 2002-08-06 200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스무트 티타늄 실리콘 산화물, 비스무트 티타늄 실리콘산화물 박막 및 그 제조방법
US7115916B2 (en) * 2002-09-26 2006-10-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lecular optical emission
US7253434B2 (en) * 2002-10-29 2007-08-07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Suspended carbon nanotube field effect transistor
JP4071601B2 (ja) * 2002-11-11 2008-04-02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4501339B2 (ja) * 2002-11-29 2010-07-14 ソニー株式会社 pn接合素子の製造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992B1 (ko) * 2007-03-19 2008-04-16 광주과학기술원 나노선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WO2008150726A2 (en) * 2007-05-25 2008-12-11 Kalburge Amol M Method for integrating nanotube devices with cmos for rf/analog soc applications
WO2008150726A3 (en) * 2007-05-25 2009-07-09 Amol M Kalburge Method for integrating nanotube devices with cmos for rf/analog soc applications
US7871851B2 (en) 2007-05-25 2011-01-18 RF Nano Method for integrating nanotube devices with CMOS for RF/analog SoC applications
KR101410933B1 (ko) * 2008-04-11 2014-07-0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탄소나노튜브를 구비한 트랜지스터의 도핑방법 및 도핑이온의 위치 제어방법 및 트랜지스터
US7998850B2 (en) 2008-05-02 2011-08-16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221715B2 (en) 2008-11-28 2012-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rbon-nanotube n-doping material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91280A1 (en) 2008-08-14
KR100601965B1 (ko) 2006-07-18
US20070012961A1 (en) 2007-01-18
US7705347B2 (en) 2010-04-27
CN1755942A (zh) 2006-04-05
US7381983B2 (en) 2008-06-03
JP2006108653A (ja) 2006-04-20
CN100474623C (zh) 2009-04-01
JP4938272B2 (ja)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1965B1 (ko) n형 탄소 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탄소나노튜브 전계효과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2156320B1 (ko) 이차원 물질을 포함하는 인버터와 그 제조방법 및 인버터를 포함하는 논리소자
Lin et al. High-performance carbon nanotube field-effect transistor with tunable polarities
US9064777B2 (en) Graphene switching device having tunable barrier
KR102325523B1 (ko) 금속 칼코게나이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1605730B2 (en) Self-aligned short-channel electronic devices and fabrication methods of same
US20060128088A1 (en) Vertical integrated component, component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a vertical integrated component
US20150364589A1 (en) Graphene-metal bonding structur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graphene-metal bonding structure
US1017732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95778B1 (ko) 나노구조체 형성방법과 이를 적용한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및 나노구조체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
CN108091698B (zh) 场效应晶体管、制造场效应晶体管的方法及电子器件
KR102059131B1 (ko) 그래핀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JP4661065B2 (ja) 相補型有機半導体装置
US20090325370A1 (en) Field-effect transistor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20090132874A (ko)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WO2019114409A1 (en) Field effect transistor having source control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KR102288241B1 (ko) 스페이서 층이 있는 이종 접합 기반의 음미분저항 소자
KR100966007B1 (ko)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상온동작 단전자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9318718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silicon integrated vertically aligned field effect transistors
KR100891457B1 (ko) 누설 전류가 감소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과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능동 구동 표시 장치
KR102102252B1 (ko)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318768B1 (ko) 어레이형 그래핀-반도체 이종접합 광전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300911B (zh) 基于二维半导体异质结的与/或逻辑门电路及其实现和制备方法
JP6905188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58286B1 (ko)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