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2874A -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 Google Patents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132874A KR20090132874A KR1020080059063A KR20080059063A KR20090132874A KR 20090132874 A KR20090132874 A KR 20090132874A KR 1020080059063 A KR1020080059063 A KR 1020080059063A KR 20080059063 A KR20080059063 A KR 20080059063A KR 20090132874 A KR20090132874 A KR 200901328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nnel
- ferroelectric
- memory device
- layer
- substrat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21389 graphe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8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15801 BaSrTi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1 iri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8161 membrane de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736 metal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10 silicon-bas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26 zirco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19 dop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57 re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40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 H01L29/401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the electrodes comprising a layer which is used for its ferroelectric propert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9—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 H01L29/51—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 H01L29/516—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with at least one ferroelectric lay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391—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the gate comprising a layer which is used for its ferroelectric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이다.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 탄소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채널; 상기 채널 상에 형성된 강유전체층; 상기 강유전체층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층; 및 상기 채널 양측에 각각 연결된 소스 및 드레인;을 포함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채널을 비실리콘 물질을 사용함으로서,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열화를 방지한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산업이 발전하면서 단위 면적 당 높은 밀도를 지니는 메모리 소자가 요구되고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하나인 F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 강유전체 메모리)은 캐패시터 부분에 강유전 물질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동작 원리는 일반적인 플래쉬 메모리 소자(flash memory)와 유사하다. 다만,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경우 플로팅 게이트 또는 차지 트랩층의 전자의 농도에 의해 문턱 전압(Vth) 쉬프트를 야기하는 반면,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경우 강유전체층의 분극(polarization) 방향에 따라 문턱 전압의 쉬프트가 야기된다.
도 1a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소스(12a) 및 드레인(12b)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11) 상에 소스(12a) 및 드레인(12b)과 접촉하며, 게이트 구조체가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구조체는 버퍼층(13), 강유전체층(14) 및 게이트 전극(15)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실리콘 기판(11) 상에 강유전체층(14)이 직접 형성될 수 있으나, 실리콘 기판(11)과의 화학적 반응을 방지하고, 누설 전류를 억제하기 위하여 통상 산화물 또는 질화물로 형성된 버퍼층(13)을 더 포함하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도 1b는 도 1a 구조의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시리즈 캐패시터(series capacitor)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버퍼층(13)을 실리콘 기판(11) 및 강유전체층(14) 사이에 형성함으로써, 버퍼층(13)과 강유전체층(14)은 시리즈 캐패시터(series capacitor)를 형성하게 되고, 강유전체층(14)의 다이 폴(dipole) 방향을 역전시키려는 depolarization field 성분이 크게 증가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이에 따라,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리텐션 특성을 열화시켜 안정된 메모리 소자의 구동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비실리콘 기판 상에 탄소 함유 물질로 채널을 형성함으로써 리텐션 특성을 향상시킨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
탄소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채널;
상기 채널 상에 형성된 강유전체층;
상기 강유전체층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층; 및
상기 채널 양측에 각각 연결된 소스 및 드레인;을 포함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탄소 함유 물질은 바이폴라 특성을 지닌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CNT 또는 그라핀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소스 및 드레인은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금속 또는 전도성 금속 산화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비실리콘 기판 상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산화물 또는 질화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투광성 기판이나 가요성 기판인 것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된 각 층의 두께 및 폭은 설명을 위하여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었음을 명심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판(21) 상에 소스(21a) 및 드레인(21b)가 형성되어 있으며, 소스(21a) 및 드레인(21b) 사이에는 채널(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채널(22) 상에는 강유전체층(23) 및 게이트 전극(24)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각 층을 형성하는 물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판(21)은 실리콘 기판이 아닌 절연체 물질인 산화물 또는 질화물을 사용 가능하며, 글래스, 투명 산화물 등의 투광성 기판이나 플라스틱 등의 가요성(flexible) 기판 또한 사용 가능하다. 소스(21a) 및 드레인(21b)는 Al, Pt, Ag, Au, Ir, Zr, Ti 또는 W 등의 금속 또는 전도성 금속 화합물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경우, 실리콘 물질을 기판 또는 채널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소스(21a) 및 드레인(21b)을 형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불순물 도핑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 전도성 물질을 기판(21) 상에 형성하여 소스(21a) 및 드레인(21b)을 형성한다. 강유전체층(23)은 강유전성 물질로 형성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강유전체 캐패시터에 강유전성 물질로 사용되는 것이면 제한이 없다. 구체적으로 Pb-Zr-Ti(PZT, PbZrTiO3), Sr-Bi-Ta(SBT, SrBiTa2O9), Bi-La-Ti(BLT, (BiLa)4Ti3O12) 또는 Ba-Sr-Ti(BST, BaSrTiO3) 등의 물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경우, CNT 또는 그라핀 등의 탄소 함유 물질을 채널(22)로 사용하며, 소스(21a) 및 드레인(21b)은 전도성 물질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경우, 버퍼층을 채널 및 강유전층 사이에 형성함으로써, 버퍼층이 자체로 유전층이 되어 강유전체층과 함께 시리즈 캐패시터를 형성하게 되어, 강유전체층의 다이폴 방향을 역전시키는 depolarization field가 증가한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경우, 채널(22)을 탄소 함유 물질을 사용함을써, 채널(22)과 강유전체층(23) 사이의 반응성이 거의 없으므로, 버퍼층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리텐션 특성이 크게 향상된다.
그리고, 종래의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경우, 기판을 n형 또는 p형으로 도 핑된 Si으로 형성하고, 소스 및 드레인에 p형 또는 n형 도펀트로 도핑하는 경우, 채널에서의 캐리어(carrier)는 전자 또는 정공 중 하나로 한정이 되어 유니 폴라(uni-polar) 특성을 지닌다. 이에 따라, 강유전체층의 분극 방향(polarization direction)에 따라 채널에서의 캐리어의 밀도가 크게 차이가 나는 단점이 발생한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경우, 전도성이며, 바이폴라(bi-polar) 특성을 지닌 탄소 함유 물질로 채널(2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강유전체층(23)의 분극 방향에 따른 채널(22)에서의 캐리어 농도의 변화가 없어 안정적인 동작 특성을 지닌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먼저 기판(21)을 마련한다. 기판(21)은 통상적인 반도체 소자에서 사용하는 실리콘 기판이 아닌 일반적인 절연체 물질인 Al2O3, SiO2 등의 산화물, 질화물 또는 가요성 물질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기판(21) 상에 탄소 함유 물질을 도포하여 채널(22a)을 형성한다. 탄소 함유 물질로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 또는 그라핀(graphe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탄소 나노튜브는 CVD 공정에 의해 기판(21) 상에 직접 성장시키는 방법이나, 탄소 함유 물질을 유기물 또는 무기물 용액에 혼합한 페이스트(paste)를 기판(21) 상에 인쇄하여 노광하는 방법으로 형성 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채널(22) 상에 강유전체 물질층(23a) 및 전도성 물질층(24a)를 도포한다. 강유전체 물질층(23a)은 Pb-Zr-Ti(PZT, PbZrTiO3), Sr-Bi-Ta(SBT, SrBiTa2O9), Bi-La-Ti(BLT, (BiLa)4Ti3O12) 또는 Ba-Sr-Ti(BST, BaSrTiO3)와 같은 강유전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도성 물질층(24a)은 Al, Pt, Ag, Au, Ir, Zr, Ti 또는 W 등의 금속 또는 전도성 금속 화합물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강유전체 물질층(23a) 및 전도성 물질층(24a)의 양측부를 제거함으로써 강유전체층(23) 및 게이트 전극층(24)을 형성한다. 그리고, 채널(22) 및 게이트 전극(24) 상에 절연성 물질을 도포하여 층간 절연막(26)을 형성하고 채널(22)을 노출시킨 뒤, 도 3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도성 물질을 채널(22)에 도포하여 소스(21a) 및 드레인(21b)을 형성한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의해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 구조의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시리즈 캐패시터(series capacitor)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21... 기판 12a, 21a... 소스
12b, 21b... 드레인 13... 버퍼층
14, 23... 강유전체층 15, 24... 게이트 전극
22... 채널
Claims (8)
-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탄소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채널;상기 채널 상에 형성된 강유전체층;상기 강유전체층 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층; 및상기 채널 양측에 각각 연결된 소스 및 드레인;을 포함하는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탄소 함유 물질은 바이폴라 특성을 지닌 물질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채널은 CNT 또는 그라핀으로 형성된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소스 및 드레인은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전도성 물질은 금속 또는 전도성 금속 산화물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채널은 비실리콘 기판 상에 형성된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기판은 산화물 또는 질화물로 형성된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기판은 투광성 기판이나 가요성 기판인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9063A KR20090132874A (ko) | 2008-06-23 | 2008-06-23 |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9063A KR20090132874A (ko) | 2008-06-23 | 2008-06-23 |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32874A true KR20090132874A (ko) | 2009-12-31 |
Family
ID=41691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59063A KR20090132874A (ko) | 2008-06-23 | 2008-06-23 |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132874A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02601A2 (ko) * | 2011-06-30 | 2013-01-03 | 광주과학기술원 | 그래핀을 이용한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315270B1 (ko) * | 2010-06-29 | 2013-10-07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플렉서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용 강유전체 캐패시터, 플렉서블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
US8592799B2 (en) | 2010-10-01 | 2013-11-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Graphen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US8994079B2 (en) | 2011-06-10 | 2015-03-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Graphene electronic devices having multi-layered gate insulating layer |
KR101532313B1 (ko) * | 2011-06-24 | 2015-06-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그래핀과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그 제조 및 동작방법 |
EP3627537A1 (en) * | 2018-09-18 | 2020-03-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2008
- 2008-06-23 KR KR1020080059063A patent/KR2009013287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5187B1 (ko) * | 2010-06-29 | 2013-10-07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플렉서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용 강유전체 캐패시터, 플렉서블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
US8729614B2 (en) | 2010-06-29 | 2014-05-20 | Sungkyunkwan University Foundation For Corporate Collaboration | Flexible ferroelectric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
KR101315270B1 (ko) * | 2010-06-29 | 2013-10-07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플렉서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용 강유전체 캐패시터, 플렉서블 비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
US8835899B2 (en) | 2010-10-01 | 2014-09-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Graphen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US8592799B2 (en) | 2010-10-01 | 2013-11-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Graphen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US8994079B2 (en) | 2011-06-10 | 2015-03-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Graphene electronic devices having multi-layered gate insulating layer |
KR101532313B1 (ko) * | 2011-06-24 | 2015-06-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그래핀과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그 제조 및 동작방법 |
WO2013002601A3 (ko) * | 2011-06-30 | 2013-04-11 | 광주과학기술원 | 그래핀을 이용한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WO2013002601A2 (ko) * | 2011-06-30 | 2013-01-03 | 광주과학기술원 | 그래핀을 이용한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EP3627537A1 (en) * | 2018-09-18 | 2020-03-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US10937885B2 (en) | 2018-09-18 | 2021-03-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US11538918B2 (en) | 2018-09-18 | 2022-12-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US11908918B2 (en) | 2018-09-18 | 2024-02-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37107B1 (ko) | 전자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JP5584960B2 (ja) | 薄膜トランジスタおよび表示装置 | |
US7537975B2 (en) |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JP5474374B2 (ja) | 薄膜トランジスタ、その製造方法及び薄膜トランジスタを備える平板表示装置 | |
KR102140148B1 (ko) | 이차원 물질을 포함하는 메모리소자와 그 제조방법 및 동작방법 | |
US20110266611A1 (en) |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KR20090132874A (ko) | 강유전체 메모리 소자 | |
US10177328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0601965B1 (ko) | n형 탄소 나노튜브를 구비한 n형 탄소나노튜브 전계효과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 |
WO2017187720A1 (ja) |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 |
TWI700714B (zh) | 鐵電組件及形成鐵電組件之方法 | |
CN105789317A (zh) | 薄膜晶体管器件及其制备方法 | |
CN101611489B (zh) | 半导体装置 | |
US9530839B2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 |
JP2010263119A (ja) |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10062221A (ja) | 強誘電体ゲート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それを用いたメモリ素子及び強誘電体ゲート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 |
JP2012156237A (ja) | 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記憶装置 | |
JP2006060169A (ja) | 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0953023B1 (ko) | 게이트 전극 형성 방법 | |
KR100777109B1 (ko) | ZnO 박막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 |
JP2010062222A (ja) | 強誘電体ゲート有機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それを用いたメモリ素子及び強誘電体ゲート有機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 |
Lee et al. |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erroelectric gate field-effect transistor memory based on ferroelectric–insulator interface conduction | |
JP3779556B2 (ja) |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 |
KR100975974B1 (ko) | 이이피롬에서 플로팅 게이트의 버즈빅 현상의 감소방법 | |
JP2004265973A (ja)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