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6999A - 승용이앙기 - Google Patents

승용이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6999A
KR20060026999A KR1020040075790A KR20040075790A KR20060026999A KR 20060026999 A KR20060026999 A KR 20060026999A KR 1020040075790 A KR1020040075790 A KR 1020040075790A KR 20040075790 A KR20040075790 A KR 20040075790A KR 20060026999 A KR20060026999 A KR 20060026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transplanter
control
automatic
shift lever
pass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2485B1 (ko
Inventor
함태용
감병우
김종수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5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485B1/ko
Publication of KR20060026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이앙기에 관한 것으로서,
HST변속레버 상단의 조작뭉치 부분에 이앙작업기부 제어용 버튼과 선긋기 마커 제어용 버튼을 각각 구비하는 한편, 운전석 부근에 별도의 자동/수동 선택스위치를 배치한 구조로서,
종래의 승강레버 기능과 요동레버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HST변속레버에 합체화함으로써, 이앙작업기부에 대한 합리적 제어체계를 갖춤에 따라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 특징이 있다.
아울러, 주행변속 감지수단을 상기 HST변속레버 하단에 장착함으로써, 실제 주행속도를 기초로 한 정확한 이앙작업기부 제어가 가능하다.
승용이앙기, 이앙작업기부 제어

Description

승용이앙기{Saddle rice transplanter}
도 1 은 일반적 구조의 승용이앙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 는 일반적 구조의 승용이앙기에 있어서의 승강레버 조작 경로도,
도 3 은 본 발명 실시예의 승용이앙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 실시예의 승용이앙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 실시예의 승용이앙기를 구성하는 HST변속레버 및 그 하단부의 주행속도 감지수단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a) 내지 6(c) 는 본 발명 실시예의 승용이앙기에 있어 그 이앙작업기부 제어 로직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7 은 본 발명 실시예의 승용이앙기에 있어서의 전체적 제어체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0 : 주행본체부 20, 200 : 이앙작업기부
16 : 승강레버 17 : 요동레버
18, 180 : HST변속레버 170 : 자동/수동 선택스위치
a, b : 이앙작업기부 제어용 버튼 c, d : 선긋기 마커 제어용 버튼
본 발명은 승용이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앙작업기부에 대한 합리적 제어체계를 갖춤에 따라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 승용이앙기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 구조의 승용이앙기를 나타낸 도 1 에 따르면, 승용이앙기(1)는 엔진(11), 운전석(12), 전륜(13), 후륜(14), 계기판 및 패널(panel) 등을 포함하는 주행본체부(10)와, 모탑재대(21) 및 플로트(float)(22) 등을 포함하는 이앙작업기부(20)로 크게 구분되며, 이들 두 부분은 상호 요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이앙 작업이 이루어지는 물논은, 상기 전륜(13) 및 후륜(14)이 그 위를 굴러가게 되는 견고한 논 바닥면으로서의 경반과, 플로트(22)가 그 표면에 닿은 상태로 끌려가게 되는 침수 연질 토양으로 구성된다.
즉, 주행본체부(10)를 움직이는 상기 전륜(13) 및 후륜(14)은 울퉁불퉁한 경반 위를 요동하며 나아가는 반면, 이앙작업기부(20)를 구성하는 상기 플로트(22)는 침수 연질 토양, 즉 물 속 진흙의 표면을 평평하게 만들면서 비교적 큰 요동 없이 나아간다.
이앙 작업 진행 중에 있어서는 상기 이앙작업기부(20)의 하단에 배치된 이식기(23)가 상기 모탑재대(21)로부터 매번 일정량의 모를 집어내어 상기 진흙 속에 적정 깊이로 옮겨심는 동작을 계속하게 되며, 이 동작은 바로 기계에 의한 이앙 작 업의 기본이다.
그런데, 전륜(13) 및 후륜(14)을 포함하는 상기 주행본체부(10) 전체가 울퉁불퉁한 경반 위를 요동하며 나아가는 동안 모탑재대(21) 및 이식기(23)를 포함하는 상기 이앙작업기부(20)는 주행본체부(10)의 요동과 무관하게 시종 일정한 깊이로 모를 심어 나가야 한다.
한편, 이앙작업기부(20)로 하여금 주행본체부(10)의 요동과 무관하게 일정 깊이의 이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주행본체부(10)상의 운전석(12) 부근에는 통상의 이앙작업기부 승강레버(16)(이하, "승강레버"라 함)에 더하여 자동이앙제어용 요동레버(17)(이하, "요동레버"라 함)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승강레버(16)는 운전석(12) 측방에 배치되는 반면, 상기 요동레버(17)는 핸들(handle) 바로 하방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승강레버(16)는 통상의 수동식 레버로서, 작업자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도 2 상의 승강레버 조작경로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이앙작업기부의 "상승", "하강" 등 각각의 멈춤 위치에 해당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승강레버 조작경로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그 하나는 도면상의 "자동"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이때 상기 이앙작업기부의 상승 또는 하강은 후술하는 바의 자동제어장치에 의한 통제를 받게 되며, 다른 하나는 조작경로상의 "상승" 위치로부터 "이앙작업"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부분, 말하자면, 수동 조작에 의한 통제 부분이다.
또한, 상기 요동레버(17)는 다접점 레버의 일종으로서, 승강레버(16)가 상기 "자동" 위치에 놓여 있는 경우에만 그 기능을 발휘한다.
즉, 승강레버(16)가 "자동" 위치로 놓여진 상태하에서, 작업자가 요동레버(17)를 상하방향으로 눌러주면 그 누르는 순서대로 이앙작업기부(20)의 하강, 이앙클러치 연결 등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바쁜 이앙작업 도중 이앙작업기부(20)의 승, 하강은 물론 이앙클러치의 단속을 위하여 일일이 승강레버를 조작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승강레버(16) 및 요동레버(17)에는 후륜펜더(19)상의 상한 리미트(limit) 스위치(switch) 및 플로트(22)상의 플로트센서(sensor) 등과 같이 각각의 센서류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들 센서는 그 측정 내지 감지 결과를 상기 운전석 하방의 중앙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로 보내준다.
한편, 상기 요동레버(17)는 이앙작업기부(20)의 상승 및 하강과 이앙클러치의 연결 및 끊음을 제어하는 기능 이외에도, 선긋기 마커(marker) (24)의 펼침을 제어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즉, 요동레버(17)를 전후방향으로 밀거나 당겨주면 좌, 우측 선긋기 마커(24) 가운데 어느 한쪽이 펼쳐진다.
예를 들면, 상기 요동레버(17)를 전방으로 밀면 좌측 선긋기 마커가 펼쳐지는 반면, 후방으로 당기면 우측 선긋기 마커가 펼쳐지게 된다.
이러한 펼침 과정과는 반대로, 이들 좌, 우측 선긋기 마커는 상기 이앙작업기부 상승 시 링크 작동에 의하여 접혀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승용이앙기(1)에 있어 운전석(12) 주위의 레버 배치상황을 좀 더 살펴보면, 운전석 좌측 전방으로는 HST변속레버(18)라는 또 하나의 레버가 배치되는데, 이 레버는 트랜스밋션 케이스(transmission case) 내부의 유압식 무단변속장치와 연결됨으로써 승용이앙기(1) 자체의 주행속도를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이처럼, 종래 승용이앙기(1)의 운전석(12) 주위에는 3 개의 레버(16, 17, 18)가 배치되며, 작업자는 이앙작업 도중 이들 다수의 레버를 때로는 번갈아가며, 또 때로는 동시에 조작해야 했다.
한 마디로 정리하자면, 상기와 같은 종래구조의 승용이앙기(1)는 레버 조작상의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높은 수준의 자동제어장치 채택에도 불구하고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상기 요동레버(17)를 전후방향으로 조작하여 좌, 우측 선긋기 마커(24)를 펼치도록 되어 있는데, 숙련이 덜 된 작업자의 경우 요동레버 조작상의 "전후"와 상기 선긋기 마커 작동상의 "좌우" 사이에 혼란을 일으켜 잘못 조작하는 경우도 많았다.
이는 단순한 작업성 저하 문제가 아니라 이앙작업 자체를 그르치게 하는 중대 문제로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남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앙작업기부에 대한 합리적 제어체계를 갖춤에 따라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 승용이앙기를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합리적 제어체계 확립을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단순한 구조 개선만을 추구하지 않고, 개선된 구조에 맞는 새로운 개념의 이앙작업기부 제어 프로그램 개발에도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이 갖는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합리적 제어체계 확립 및 그에 따른 작업성 향상에 더하여, 엔진 회전수가 아닌 실제 주행속도를 기초로 한 정확한 이앙작업기부 제어가 가능한 승용이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승강레버 기능과 요동레버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HST변속레버에 합체화하는 한편, 자동/수동 선택스위치를 체택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용이앙기는, 상기 HST변속레버 상단의 조작뭉치상에 이앙작업기부 제어용 버튼(button)과 선긋기 마커 제어용 버튼을 각각 구비하는 한편, 운전석 부근에 별도의 자동/수동 선택스위치를 구비한 특징이 있다.
또한, HST변속레버 하단부에는 당해 변속레버의 위치, 즉 주행변속 상태를 감지하여 자동제어장치로 알려주는 감지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자동" 또는 "수동"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작업자의 실수 또는 기계고장 등으로 인하여 일정시간 이상의 버튼 조작이 지속될 경우 상기 이앙작업기부의 승, 하강을 자동 정지시키는 일종의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승용이앙기는, 상기 HST변속레버 상단의 조작뭉치상에 이앙작업기부 제어용 버튼만을 구비하는 한편, 운전석 부근에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은 별도의 자동/수동 선택스위치를 구비한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선긋기 마커 제어용 버튼은 HST변속레버 이외의 부위, 예를 들면, 운전석 전방의 패널 또는 주행갑판상의 적정 부위에 배치된 구조이다.
기본적 작업방식면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선긋기 마커 제어 부분은 별론으로 함)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승용이앙기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승용이앙기를 측면도로 나타낸 도 3 과 그 평면도인 도 4 에 따르면, 운전석(120) 좌측 전방으로 배치된 상기 HST변속레버(180) 이외에는 아무런 레버를 갖지 아니하며, 운전석 전방의 패널(150)상에 자동/수동 선택스위치(170)가 구비된 형태의 매우 단순한 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HST변속레버(180) 상단의 조작뭉치 부분을 평면도로 나타낸 도 5 에 따르면, 조작뭉치(180-a) 상단 표면상에는 상하 좌우로 4 개의 작은 버튼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들 중 상하로 배치된 2 개의 버튼은 상기 이앙작업기부 제어용 버튼(a, b)인 반면, 좌우로 배치된 다른 2 개의 버튼은 상기 선긋기 마커 제어용 버튼(c, d)이다.
즉, HST변속레버(180)를 조작함으로써 승용이앙기(2) 자체의 주행속도를 조절해 나가는 동시에, 상기 조작뭉치(180-a)상의 4 개 버튼(a, b, c, d)을 선택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상기 이앙작업기부(200)의 상승 및 하강은 물론 상기 선긋기 마커(240)의 펼침까지를 때맞춰 적절히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HST변속레버(180)상에다 본래의 주행제어 기능은 물론 상기 이앙작업기부(200) 및 선긋기 마커(240)에 대한 제어기능까지 구비함에 따라, 작업자는 하나의 레버 조작에만 신경을 쓰면 되므로, 바쁜 가운데 여러 가지 레버를 동시에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랐던 종래에 비하여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도 6(a) 내지 6(c) 는 본 발명 실시예의 승용이앙기에 있어 그 이앙작업기부에 대한 제어 로직(logic)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flowchart) 이다.
상기 제어로직은 통상 계기판 또는 운전석 하방에 장착되는 자동제어장치 내부의 마이크로 컴퓨터에 입력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현된다.
이해의 편의를 돕고자, 플로우챠트상의 "스위치" 또는 "센서" 등이 의미하는 바를 우선 설명한다.
"상승 스위치"는 상기 HST변속레버상의 이앙작업기부 제어용 버튼(a, b) 중 윗쪽 버튼(a)에 연결된 스위치로서, 이 스위치가 접속되면 상기 이앙작업기부는 상승하게 된다. (이하, 상기 윗쪽 버튼(a)의 조작을 "상승 스위치"의 접속으로 표현함)
"하강 스위치"는 상기 HST변속레버상의 이앙작업기부 제어용 버튼(a, b) 중 아랫쪽 버튼(b)에 연결된 스위치로서, 이 스위치가 접속되면 상기 이앙작업기부는 하강하게 된다. (이하, 상기 아랫쪽 버튼(b)의 조작을 "하강 스위치"의 접속으로 표현함)
"플로트센서"는 이앙작업기부 하단의 상기 플로트에 인접 배치된 센서로서, 플로트가 지면과 접촉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플로트센서로부터의 신호값이 설정값에 이르렀다는 것은 플로트를 포함한 이앙작업기부가 지면에 닿았음을 나타낸다.
"상한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주행본체부 후방의 후륜팬더에 인접 배치된 스위치로서, 상기 이앙작업기부의 상한위치 도달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이 스위치가 접속되었다고 하는 것은 이앙작업기부가 상한위치까지 상승했음을 나타낸다.
"HST레버센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HST변속레버 하단부에 구비된 주행변속 감지수단으로서, 승용이앙기 자체의 주행변속 상태를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데, 이앙작업기부의 승강 제어와 관련하여서는 전진주행 또는 후진주행 여부를 상기 자동제어장치로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하, 각각의 플로우챠트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 는 하강제어 로직에 관한 플로우챠트로서, 이앙작업기부의 하강 동작을 제어하는 각 단계를 나타낸다.
플로우챠트상의 「자동/수동 선택스위치 "ON"?」 단계는 상기 이앙작업기부 제어모드상의 "자동" 또는 "수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로서, "예"인 경우는 상기 이앙작업기부에 대한 제어모드가 "자동"인 반면, "아니오"인 경우는 그 제어모드가 "수동"이다.
플로우챠트상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자동/수동 선택스위치가 "자동"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하강" 스위치를 누르면, 이앙작업기부는 하강 솔 레노이드(solenoid)에의 통전과 함께 상기 플로트센서가 설정값에 이를 때까지(물 속 진흙 표면에 닿을 때까지) 하강을 계속하게 된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상기 "하강" 스위치를 일정시간(플로우챠트상에서는 "5초"로 예시했음) 이상 누르면, 이앙작업기부가 단순 하강하는 것이 아니라 하강 동작과 함께 이앙클러치가 연결되는 결과, 이앙작업기부가 지면에 닿음과 동시에 바로 이앙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본 발명상의 특징 중 하나로서, 작업자의 신속한 작업개시 의지를 매우 효과적으로 실현시켜 주는 바람직한 제어 형태라 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실수 또는 기계고장 등으로 인하여 "하강" 스위치가 일정시간(플로우챠트상에서는 "5초"로 예시했음) 이상 접속되면, 상기 자동제어장치는 하강 솔레노이드에의 통전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더 이상의 이앙작업기부 하강을 정지시킨다.
플로우챠트상으로 오른쪽에 나타낸 수동제어모드의 경우, 직업자가 "하강" 스위치를 놓을 때까지 상기 이앙작업기부는 하강을 계속하게 된다.
상기 수동제어모드에 있어서는, 이앙작업기부가 물 속 진흙 표면과 접촉했음애도 불구하고 하강 솔레노이드가 계속 작동하게 되더라도 승용이앙기의 파손을 초래하지는 않는 점 등을 고려하여, 상기 자동제어모드 하에서와 같이 하강 솔레노이드에의 통전 상태를 강제 해제하지는 않는다.
물론, 상기 자동제어모드 하에서와 같이, "하강" 스위치가 일정시간(예를 들면, "5초") 이상 접속될 경우 하강 솔레노이드에의 통전 상태를 강제 해제시키는 형태의 제어 로직이라도 무방하다.
도 6(b) 는 상승제어 로직에 관한 플로우챠트로서, 이앙작업기부의 상승 동작을 제어하는 각 단계를 나타낸다.
플로우챠트상의 「자동/수동 선택스위치 "ON"?」 단계가 갖는 의미는 상기 도 5(a) 의 하강제어 로직에서와 같다.
플로우챠트상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자동/수동 선택스위치가 "자동"으로 눌려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상승" 스위치를 조작하면, 이앙작업기부는 상승 솔레노이드에의 통전과 함께 후륜팬더상의 상기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속될 때까지 상승을 계속하게 된다.
한편, 이앙작업기부를 상승시킴에 있어서는, 먼저 이앙클러치를 끊음으로써 이앙작업기부로의 동력전달을 완전 차단시킨다.
그에 따라, 일종의 표시기로서의 기능을 갖는 이앙클러치 램프(lamp)가 점등됨은 물론이다.
상기 하강제어 로직의 경우와 같이, 작업자의 실수 또는 고장 등으로 인하여 "상승" 스위치가 일정시간(플로우챠트상에서는 "5초"로 예시했음) 이상 접속되면, 상기 자동제어장치는 상승 솔레노이드에의 통전 상태를 강제 해제함으로써 더 이상의 이앙작업기부 상승을 정지시킨다.
플로우챠트상으로 왼쪽에 나타낸 수동제어모드의 경우 역시 상기 자동제어모드의 경우와 같은데, 이는 제어모드의 자동, 수동 여부에 관계없이 이앙작업기부의 과도한 상승으로 인한 심각한 승용이앙기 파손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승제어 로직에 있어 자동제어모드와 수동제어모드 사이의 차이점은, 상기 이앙작업기부의 상승한계를 자동제어모드의 경우 상기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인식하는 반면, 수동제어모드의 경우 이를 작업자의 판단에 맡긴다는 점이다.
도 6(c) 는 후진 상승제어 로직에 관한 플로우챠트로서, 주행본체부 후진시의 이앙작업기부 상승 동작을 제어하는 각 단계를 나타낸다.
플로우챠트상의 「자동/수동 선택스위치 "ON"?」 단계가 갖는 의미는 상기 도 6(a) 및 6(b) 의 상승제어 및 하강제어 로직에서와 같다.
플로우챠트상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자동/수동 선택스위치가 "자동"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HST변속레버를 후진위치로 놓으면, 경보음이 울림과 동시에, 이앙작업기부는 상승 솔레노이드에의 통전과 함께 후륜팬더상의 상기 상한 리미트 스위치가 접속될 때까지 상승하게 된다.
즉, 주행본체부의 후진으로 인하여 이앙작업기부가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HST변속레버가 후진위치에 놓여짐과 동시에 이앙작업기부 전체를 상승시킨다.
그러나, 승용이앙기를 후진시키면서 상기 플로트로써 물 속 진흙 표면을 고르는 등의 특수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등도 있으므로, 그러한 때를 대비하여, 상기 자동/수동 선택스위치가 "수동"으로 접속된 상태, 즉 수동제어모드 하에서는 주행본체부 후진시에도 경보음 출력 및 이앙작업기부 상승이 일어나지 않도록 했다.
다시 말하자면, 적어도 수동제어모드 하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상황별로 이앙장치부 상승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했다.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승용이앙기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의 이앙기는 기본적 구조 및 작업 방식면에서 상기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나, 상기 선긋기 마커 제어용 버튼을 HST변속레버 상단의 조작뭉치가 아닌 기타의 부위에 배치한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석 전방 계기판상에 버튼 형태로 배치할 수도 있고, 또는 작업자가 발로써 조작할 수 있도록 주행갑판상의 적정 위치에 배치해도 무방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2 실시에의 경우에 있어서는, HST변속레버 상단의 조작뭉치 부분에 이앙작업기부 제어용 버튼만 구비되어 있다.
어떤 배치 형태이든, 종래의 승강레버 기능과 요동레버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HST변속레버상에 합체화한 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본취지에 부합되는 것이라 하겠다.
여기서, 본 발명이 갖는 또 다른 하나의 목적으로 앞서 언급한 바 있는 정확한 이앙작업기부 제어를 위한 특징적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다시 도 5 를 참조하면, HST변속레버(180) 하단부에 구비된 앞서 언급한 바의 주행변속 감지수단은 주행본체부 프레임(frame)(F) 상에 나사 또는 볼트 체결된 가변저항기(R)와, 이 가변저항기(R)의 회전중심축에 결합된 저항기 측 링크(link)(R-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HST변속레버(180)는, 그 상단부를 이루는 상기 조작뭉치(180-a) 하방으로 연장된 환봉 형태의 레버(180-b)와, 이 레버(180-b)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저항기 측 링크(R-a)와 상호 연결된 레버 측 링크(180-c)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HST변속레버(180)는 지지점(P)을 중심축으로 하여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선회하기 때문에(화살표 참조), 상기 레버 측 링크(180-c)와 저항기 측 링크(R-a) 사이의 상호 연결점(p) 위치는 가변적이다.
즉, 상기 HST변속레버(180)를 도면상 실선으로 나타낸 최고 전진주행 위치로부터 시계방향(화살표 참조)으로 당기면, 변속레버 하단부의 레버 측 링크(180-c)는 시계방향, 레버 측 링크(180-c)와 연결된 저항기 측 링크(R-a)는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선회하고, 그에 따라 상기 상호 연결점(p)은 p'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작업자의 변속레버 조작으로 인한 상기 HST변속레버(180)의 선회각도 변화, 즉 주행변속 상태 변화는 2 개의 링크(180-c, R-a)를 통하여 상기 가변저항기(R) 측 저항값 변화로 이어지며, 가변저항기(R) 측의 이러한 저항값 변화는 자동제어장치로 보내진다.
저항값 변화 형태로 감지된 실제 주행속도를 근거로 하여 상기 자동제어장치는 이앙작업기부 제어 과정 중에 있어서의 플로트 경사각 반영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이앙작업기부를 제어함에 있어 플로트의 경사각과 실제 주행속도를 반영하는 것은 승용이앙기 관련 기술분야의 공지기술로서, 주행중 수면저항 등으로 인해 형성된 플로트 경사각과 이때의 실제 주행속도를 적절히 보완 내지 조합하여 제어에 반영함으로써 이앙작업기부 제어상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그런데, 종래구조의 승용이앙기에 있어서는, 엔진 회전속도를 실제 주행속도로 보고, 이를 근거로 이앙작업기부 제어를 행함으로써 제어 정확성 면에서 근본적 인 문제가 있었다.
이와는 반대로, 본 발명의 승용이앙기에 있어서의 주행변속 감지수단은, 주행속도를 직접 결정짓는 HST변속레버(180) 하단부에 구비됨으로써 정확한 이앙작업기부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도면부호(180-d)로 나타낸 별도의 판재 역시 HST변속레버(180)와 함께 선회하지만, 당해 변속레버를 일정 변속상태로 고정,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할 뿐, 상기 주행변속 감지와는 무관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은 본 발명 실시예의 승용이앙기에 있어서의 전체적 제어체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앞서 언급한 바의 자동제어장치, 즉 중앙제어장치(300)를 중심으로 그 입력 측에는 자동/수동 선택스위치(301), 상한 리미트 스위치(302), HST레버센서(303) 및 플로트감지센서(304)가 배치되는 한편, 그 출력 측에는 이앙클러치 릴레이(350), 마커 릴레이(좌, 우)(351) 및 상승/하강 솔레노이드(352)가 각각 배치되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자동/수동 선택스위치(301)의 경우, 일련번호 붙임에 있어 구성요소간의 관련성을 감안하여 "301"을 붙였을 뿐, 앞서 언급한 바의 자동/수동 선택스위치(170)와 동일하다.
이상, 본 발명 실시예의 승용이앙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본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의 구조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으로 믿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자동/수동 선택스위치를 계기판상에 배치하지 않고, HST변 속레버에 합체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상기 주행변속 감지수단을 HST변속레버 하단부에 구비하는 본 발명상의 기본구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그 세부구조는 달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앞서 분명히 한 본 발명의 기본적 취지 내지 구조를 벗어나지 한의 사소한 구조변경 등은 마땅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승강레버 기능과 요동레버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를 HST변속레버에 합체화하는 한편, 자동/수동 선택스위치를 체택함으로써,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 승용이앙기를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앞서 예를 든 특수작업 등이 아닌 통상의 이앙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자는 우선 자동/수동 선택스위치로써 자동제어모드를 선택한 다음, HST변속레버 하나만을 잡고서 그 상단의 제어용 버튼을 이리저리 조작하기만 하면 된다.
아울러, 주행변속 감지수단을 HST변속레버 하단부에 구비함으로써, 실제 주행속도를 기초로 한 정확한 이앙작업기부 제어가 가능해진다.
다수의 레버 조작으로 인한 종래의 큰 불편 내지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했다는 점만으로 보더라도, 본 발명은 승용이앙기에 있어서의 이앙작업기부 제어 수준을 한 차원 높이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Claims (6)

  1. 엔진을 포함하는 주행본체부와, 이 주행본체부와 요동 가능상태로 연결된 이앙작업기부와, 이들 주행본체부와 이앙작업기부를 포함한 이앙기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자동제어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용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본체부(100)를 구성하는 트랜스밋션 케이스 내 무단변속 장치부에 연결되어 주행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자동제어장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앙작업기부(200)와 선긋기 마커(24)를 각각 제어하는 이앙작업기부 제어용 버튼(a, b)과 선긋기 마커 제어용 버튼(c, d)을 자체 내 조작뭉치(180-a)상에 구비한 HST변속레버(180)와; 역시 상기 자동제어장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자동 또는 수동의 제어모드를 결정하는 자동/수동 선택스위치(1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2).
  2. 상기 주행본체부(100)을 구성하는 트랜스밋션 케이스 내 무단변속 장치부에 연결되어 주행속도를 제어하며, 상기 자동제어장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앙작업기부(200)를 제어하는 이앙작업기부 제어용 버튼(a, b)을 자체 내 조작뭉치(180-a)상에 구비한 HST변속레버(180)와; 역시 상기 자동제어장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자동 또는 수동의 제어모드를 결정하는 자동/수동 선택스위치(1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2).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제어장치부는, HST변속레버(180)상의 이앙작업기부 제어용 버튼(a, b) 조작에 의하여 결정되는 하강제어, 상승제어 및 후진 상승제어로 구성된 3 개 경로의 제어로직을 포함하며, 각각의 제어로직은 공히 상기 이앙작업기부 제어모드상의 "자동" 또는 "수동 "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2).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제어 로직은, 일정시간 이상의 "하강" 스위치 접속시 하강 동작과 함께 이앙클러치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2).
  5. 엔진을 포함하는 주행본체부와, 이 주행본체부와 요동 가능상태로 연결된 이앙작업기부와, 이들 주행본체부와 이앙작업기부를 포함한 이앙기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자동제어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용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본체부(100)를 구성하는 트랜스밋션 케이스 내 무단변속 장치부에 연결되어 주행속도를 제어하는 HST변속레버(180) 하단부에 주행변속 감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2).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변속 감지수단은, 주행본체부 프레임(F)상에 장착된 가변저항기(R)와, 이 가변저항기(R)의 회전중심축에 결합되며 상기 HST변속레버(180) 하단의 레버측 링크(180-c)와 연결된 저항기 측 링크(R-a)를 포함하여 구 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2).
KR1020040075790A 2004-09-22 2004-09-22 승용이앙기 KR100652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790A KR100652485B1 (ko) 2004-09-22 2004-09-22 승용이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790A KR100652485B1 (ko) 2004-09-22 2004-09-22 승용이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999A true KR20060026999A (ko) 2006-03-27
KR100652485B1 KR100652485B1 (ko) 2006-12-01

Family

ID=37138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790A KR100652485B1 (ko) 2004-09-22 2004-09-22 승용이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48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0033A (ko) 2013-10-04 2015-04-14 대동공업주식회사 유압구동식 승용이앙기
KR20150004613U (ko) 2014-06-18 2015-12-29 대동공업주식회사 승용 이앙기
CN105557103A (zh) * 2016-01-15 2016-05-11 农业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静液压驱动的高速插秧机底盘
CN113115613A (zh) * 2020-08-28 2021-07-16 丰疆智能(深圳)有限公司 带有控制面板的插秧机
JP2021108603A (ja) * 2020-01-14 2021-08-02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CN117280925A (zh) * 2023-09-18 2023-12-26 广东六力智行科技有限公司 一种插秧机控制方法、控制结构及插秧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234B1 (ko) 2007-01-02 2007-12-17 대동공업주식회사 승용 이앙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0033A (ko) 2013-10-04 2015-04-14 대동공업주식회사 유압구동식 승용이앙기
KR20150004613U (ko) 2014-06-18 2015-12-29 대동공업주식회사 승용 이앙기
CN105557103A (zh) * 2016-01-15 2016-05-11 农业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静液压驱动的高速插秧机底盘
CN105557103B (zh) * 2016-01-15 2018-01-16 农业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静液压驱动的高速插秧机底盘
JP2021108603A (ja) * 2020-01-14 2021-08-02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CN113115613A (zh) * 2020-08-28 2021-07-16 丰疆智能(深圳)有限公司 带有控制面板的插秧机
CN117280925A (zh) * 2023-09-18 2023-12-26 广东六力智行科技有限公司 一种插秧机控制方法、控制结构及插秧机
CN117280925B (zh) * 2023-09-18 2024-03-22 广东六力智行科技有限公司 一种插秧机控制方法、控制结构及插秧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2485B1 (ko) 200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234B1 (ko) 승용 이앙기
KR100652485B1 (ko) 승용이앙기
JP2017099357A (ja) 農用作業車両
JP5785723B2 (ja) 植付機
JPH0583403B2 (ko)
JP4689418B2 (ja) 作業車輌の警報装置
KR100574617B1 (ko) 승용이앙기
JP2001258333A (ja) 水田作業機
JP3685535B2 (ja) 作業機
JP2007111008A (ja) コンバイン
JP2000092930A (ja) 水田作業機
JP4872980B2 (ja) 田植機
JPH08331943A (ja) 田植機
JP3213231B2 (ja) 作業機
JP2012237213A (ja) 作業車のエンジン始動構造
JP5016283B2 (ja) 移植機
JP5404011B2 (ja) 移植機
JPH1189341A (ja) 水田作業機
JP2000344126A (ja) 作業車の信地旋回制御装置
JP2005052107A (ja) 水田作業機の昇降制御装置
JPH0444013Y2 (ko)
JPH0974838A (ja) 乗用作業機
JP2000262107A (ja) 農作業機
JP5280394B2 (ja) 移植機
JP3443211B2 (ja) 乗用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