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5392A - 차량의 시트벨트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트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5392A
KR20060025392A KR1020040074180A KR20040074180A KR20060025392A KR 20060025392 A KR20060025392 A KR 20060025392A KR 1020040074180 A KR1020040074180 A KR 1020040074180A KR 20040074180 A KR20040074180 A KR 20040074180A KR 20060025392 A KR20060025392 A KR 20060025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vehicle
fixed
ring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6008B1 (ko
Inventor
박득원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4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6008B1/ko
Priority to US10/990,554 priority patent/US7481451B2/en
Publication of KR20060025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1Packaging straps or envelopes for 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1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the inflatable member formed as a belt or harness or combined with a belt or harness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2/023Three-point seat belt systems comprising two side lower and one side upper 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60R22/14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incorporating enlarged restraint areas, e.g. vests, nets, crash pads, optionally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7Horizontally or transvers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8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by automatic or remote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2/201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 B60R22/202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the slider comprising spring-actuated locking means
    • B60R22/203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the slider comprising spring-actuated locking means the locking means being movably mounted on the sli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벨트는 탑승자를 감싸 시트에 안착시키는 웨빙과; 상기 웨빙에 고정되고,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충돌의 충격량에 따라 각기 다른 고압의 가스를 분출시키는 듀얼 인플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에어벨트와; 상기 웨빙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웨빙을 권입하는 리트랙터와; 상기 웨빙의 타단이 고정되는 디링과; 차량의 센터필러에 고정되어 상기 디링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트벨트는 상기 높이조절장치에 의해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에어벨트에 듀얼 인플레이터가 사용됨으로서 차량이 충돌에 따른 충격량에 따라 적합한 가스의 양을 분출시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시트벨트{Seat belt of automobi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벨트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의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 20 : 웨빙
30 : 리트랙터 40 : 텅
50 : 버클 60 : 디링
70 : 에어벨트 72 : 인플레이터
74 : 백 76 : 튜브
80 : 센터필러 92 : 이동부재
94 : 고정부재 96 : 걸림부재
98 : 스프링 102 : 샤프트
102a : 나사산 104 : 이너하우징
104a : 나사산 106 : 아우터하우징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듀얼 인플레이터가 적용된 에어벨트가 차량의 충돌 시에도 분리되거나 손상되지 않고 작동되게 하는 차량의 시트벨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시트벨트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는 차량의 충돌 또는 전복 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시트 벨트(seat belt)가 설치되고, 최근에는 상기 시트벨트에 에어벨트(7)를 설치하여 차량의 충돌 시 전개되도록 함으로서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한다.
그래서 종래 차량의 시트벨트는 탑승자의 몸을 감싸 시트에 안착시키는 웨빙(webbing, 1)과, 상기 웨빙(1)을 팽팽하게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웨빙(1)을 권입하는 리트랙터(2)와, 차량의 실내에 고정되는 버클(4)과, 상기 웨빙(1)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버클(4)과 결합되는 텅(tongue, 5)과, 상기 웨빙(1)에 고정되어 차량의 충돌 시 전개되는 에어벨트(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트랙터(2)는 차량의 센터필러(6)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웨빙(1)의 일단은 상기 리트랙터(2)에 고정되며, 상기 리트랙터(2)에 의해 상기 웨빙(1)이 권입된다. 더불어 상기 리트랙터(2)는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웨빙(1)이 급격히 권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탑승자를 시트에 안착시킨다.
상기 에어벨트(7)는 차량의 충돌 시 차량에 설치된 전자제어유닛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에어벨트(7)는 상기 웨빙(1)에 고정되는 백(7a)과, 상기 백(7a)에 고압의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7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플레이터(7b)는 차량의 센터필러(6)에 설치되고, 상기 인플레이터(7b)와 상기 백(7a) 사이에는 커넥터(7c)가 구비되어 상기 인플레이터(7c)에서 분출되는 가스를 상기 백(7a)에 유입시킨다.
그런데, 종래 차량의 시트벨트는 상기 백(7a)과 상기 인플레이터(7b)가 커넥터(7c)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차량의 충돌 시 상기 백(7a)과 상기 인플레이터(7b) 사이에 위치되는 부분에 큰 충격이 작용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종래 시트벨트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에어벨트(7)가 작동하기 전에 상기 연결부분이 큰 충격 하중에 의해 손상되어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더불어 종래 시트벨트는 차량의 충돌 시 상기 백(7a)과 연결되기 위해 실내 측으로 돌출된 커넥터(7c)와 탑승자가 충돌하여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충돌 시 큰 충격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파손의 위험이 적을 뿐만 아니라 탑승자와 부딪히지 않도록 설치되어 탑승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는 차량의 시트벨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벨트는 탑승자를 감싸 시트에 안착시키는 웨빙과; 상기 웨빙에 고정되고,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충돌의 충격량에 따라 각기 다른 고압의 가스를 분출시키는 듀얼 인플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에어벨트와; 상기 웨빙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웨빙을 권입하는 리트랙터와; 상기 웨빙의 타단이 고정되는 디링과; 차량의 센터필러에 고정되어 상기 디링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벨트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의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벨트는 시트(10)에 착석한 탑승자를 시트(10)에 안착시켜 차량의 충돌 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시트벨트는 탑승자를 감싸는 웨빙(20)과, 상기 웨빙(20)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웨빙(20)을 권입하는 리트랙터(30)와, 상기 웨빙(20)이 관통되어 상기 웨빙(20)을 따라 이동되는 텅(40)과, 상기 텅(40)이 삽입 장착되는 버클(50)과, 상기 웨빙(20)의 타단이 고정되는 디링(60)과, 상기 디링(60)이 설치되어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상기 디링(60)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와, 상기 웨빙(20)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 시 급속히 전개되어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에어벨트(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트랙터(30)는 차량의 센터필러(12)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웨빙(20)은 상기 센터필러(12)를 관통하여 권/출입된다. 여기서 상기 리트랙터(30)는 상기 웨빙(20)에 소정 장력이 유지되도록 상기 웨빙(20)을 권입하는 장치이고,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웨빙(20)이 급격히 권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겸한다.
상기 웨빙(20)에는 차량의 충돌 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벨트(70)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벨트(70)는 차량의 전자제어유닛(미도시)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고압의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72)와, 상기 웨빙(20)에 접힘된 채로 고정되는 백(74)과, 상기 인플레이터(72)에서 발생된 고압의 가스를 상기 백(74)으로 안내하는 튜브(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플레이터(72)는 상기 전자제어유닛에 의해 감지된 충돌신호를 전달받아 고압의 가스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가스는 상기 튜브를 통해 상기 백(74) 에 공급되며, 상기 백(74)은 상기 고압 가스에 의해 급격히 전개됨으로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킨다.
특히 상기 인플레이터(72)는 듀얼 인플레이터로서, 차량의 충돌 시 임팩트 센서를 통해 측정된 충격량에 따라 각기 다른 양의 가스를 분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듀얼 인플레이터는 가스 발생제가 2개소로 구분되어 설치되고, 각 가스 발생제는 70%와 30%의 가스를 분출시키며, 상기 임팩트 센서를 통해 측정된 충격량이 소정 치 보다 작을 경우 상기 듀얼 인플레이터는 70%의 가스만을 분출시키고, 측정된 충격량이 소정 치 이상일 경우 100%의 가스를 분출시킨다. 이와 같이 충돌 시 각기 다른 양의 가스를 분출시킬 경우 상기 백(74)의 전개 과정에서 팽창되는 상기 백(74)에 의해 탑승자가 받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플레이터(72)는 차량의 센터필러(80)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인플레이터(72)는 연질의 튜브(76)를 통해 발생된 가스를 상기 백(74)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백(74)은 상기 웨빙(20)에 고정되되 외측에는 상기 웨빙(20)과 같은 재질로 덮여지고, 상기 백(74)의 외측에 위치되는 커버웨빙(22)은 바느질에 의해 상기 디링(60) 측 웨빙(20) 및 상기 리트랙터(30) 측 웨빙(20)과 결합된다. 그래서 차량의 충돌 시 상기 백(74)은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급속히 팽창되고, 상기 팽창되는 백(74)의 압력에 의해 상기 커버웨빙(22)의 바느질 부분을 찢으며 탑승자에게로 전개된다.
그리고 상기 디링(60)에는 상기 웨빙(20)의 타단이 고정되고, 상기 디링(60)은 차량의 센터필러(80)에 설치된 높이조절장치에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디링(60)이 고정된 이동부재(92)를 고정부재(94)에 걸림시킴으로서 상기 디링(60)의 높이를 조절한다.
그래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센터필러(80)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부재(92)가 걸림되는 고정부재(94)와, 상기 고정부재(94)에 걸림되도록 걸림부재(96)가 설치된 이동부재(92)와, 상기 걸림부재(96)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인 스프링(9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디링(60)은 상기 이동부재(92)에 볼트(91)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볼트(9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 시 상기 디링(60)이 회전되면서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킨다.
상기 고정부재(94)는 체결수단인 볼트(91)에 의해 상기 센터필러(80)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94)에는 상기 걸림부재(96)가 걸려 지지되는 홈(9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96)는 상기 이동부재(92)에 삽입되어 상기 홈(94a)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걸림부재(96)가 삽입된 부분에는 스프링(98)이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재(96)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96)에는 손잡이(97)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92)는 상기 고정부재(94)의 양측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94)를 따라 이동된다.
그래서 탑승자가 상기 디링(60)의 높낮이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97)를 잡아당길 경우 상기 걸림부재(96)는 상기 홈(94a)에서 빠져나오고, 상기 이동부재(92)는 상기 고정부재(94)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디링(6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는 마찰력에 의해 링(60)을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센터필러(80)에 고정되는 샤프트(102)와, 상기 샤프트(102)를 따라 이동되는 이너 하우징(104)과, 상기 이너 하우징(104)을 감싸 상기 이너 하우징(104)이 상기 샤프트(102)를 따라 이동하도록 외력을 제공하는 아우터 하우징(106)과, 상기 이너 하우징(104)과 상기 아우터 하우징(106) 사이에 배치되어 마찰을 최소화시키는 베어링(10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102)의 양단은 브래킷(101)을 통해 상기 센터필러(80)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10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102a)이 형성된다.
상기 이너 하우징(104)의 내측면에는 상기 샤프트(102)의 나사산(102a)과 치합되는 나사산(10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링(60)은 볼트(91)에 의해 상기 아우터 하우징(106)에 고정되되 제 1 실시예와 같이 상기 디링(60)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래서 제 2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탑승자가 상기 디링(6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디링(60)을 잡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아우터 하우징(106)을 통해 상기 이너 하우 징(104)에 전달된 힘은 상기 이너 하우징(104)의 나사산(104a)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나사산(104a)에 전달된 힘은 상기 샤프트(102)의 축방향과 상기 나사산(104a)의 경사각에 의해 발생되는 분력에 의해 상기 이너 하우징(104)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되는 이너 하우징(104)에 의해 상기 아우터 하우징(106)은 상기 샤프트(102)의 축방향으로 서서히 이동된다. 이후 탑승자가 상기 아우터 하우징(106)에 가하는 힘을 제거할 경우 상기 이너 하우징(102)은 마찰력에 의해 상기 샤프트(102)에 정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의 사용과정을 도 2 또는 도 3을 중심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탑승자가 시트(10)에 착석 한 후 상기 텅(40)을 상기 버클(50)에 결합시킴으로서 시트벨트를 착용하게 되고, 이때 상기 탑승자가 착용한 웨빙(20)은 탑승자의 어깨 및 복부를 감싸게 된다.
이때 상기 착용된 시트벨트가 불완전하게 착용되는 경우 탑승자는 상기 디링(60)에 설치된 높이조절장치를 통해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서 보다 편리하게 시트벨트를 착용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이 충돌 또는 전복 등의 사고를 당할 경우 차량의 전자제어유닛(미도시)은 임팩트센서를 통해 충격량을 감지 한 후 상기 충격량이 소정 크기 이상일 경우 상기 인플레이터(72)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에어벨트(70)를 작동시킨다.
그래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인플레이터(72)는 상기 튜브(76)를 통해 상기 백(74)에 고압의 가스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백(74)은 공급받은 가스에 의해 급속히 전개되면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킨다.
더불어 상기 디링(60)은 상기 차량의 충돌 시 상기 볼트(91)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웨빙(20)에 가해지는 하중을 저감시키고, 상기 백(74)에 연결된 튜브(76)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충격이 가해질 경우 이동되는 상기 커버웨빙(22)에 따라 휘어지면서 상기 백(74)과 상기 인플레이터(72)를 연결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시트벨트는 웨빙이 고정되는 디링에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되어 탑승자의 체격에 따라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충돌 시에도 인플레이터와 백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시트벨트는 듀얼 인플레이터가 사용됨으로서 차량이 충돌에 따른 충격량에 따라 적합한 가스의 양을 분출시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시트벨트는 백의 외측을 웨빙으로 감싼 후 디링과 리트랙터 측에 연결시키기 때문에 종래 백을 감싸는 플라스틱 재질이 아니어서 탑승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시트벨트는 디링이 센터필러 측에 밀착되어 설 치되어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차량의 충돌 시 탑승자와의 접촉을 억제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2)

  1. 탑승자를 감싸 시트에 안착시키는 웨빙과;
    상기 웨빙에 고정되고, 차량의 충돌 시 상기 충돌의 충격량에 따라 각기 다른 고압의 가스를 분출시키는 듀얼 인플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에어벨트와;
    상기 웨빙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웨빙을 권입하는 리트랙터와;
    상기 웨빙의 타단이 고정되는 디링과;
    차량의 센터필러에 고정되어 상기 디링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벨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의 외측에는 상기 웨빙과 동일한 재질의 커버웨빙이 설치되고, 상기 커버웨빙은 상기 디링 및 상기 리트랙터와 연결된 웨빙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벨트.
KR1020040074180A 2004-09-16 2004-09-16 차량의 시트벨트 KR100616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180A KR100616008B1 (ko) 2004-09-16 2004-09-16 차량의 시트벨트
US10/990,554 US7481451B2 (en) 2004-09-16 2004-11-18 Seat belt of vehicle with air bel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180A KR100616008B1 (ko) 2004-09-16 2004-09-16 차량의 시트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392A true KR20060025392A (ko) 2006-03-21
KR100616008B1 KR100616008B1 (ko) 2006-08-28

Family

ID=36033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180A KR100616008B1 (ko) 2004-09-16 2004-09-16 차량의 시트벨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81451B2 (ko)
KR (1) KR1006160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5312B2 (ja) * 2005-10-07 2011-12-14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とアンカとの接続体及びエアベルト装置
JP2007137181A (ja) * 2005-11-16 2007-06-07 Takata Corp エアベルト装置
US7677598B1 (en) * 2009-04-01 2010-03-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side airbag and inflatable belt
JP4924667B2 (ja) * 2009-07-13 2012-04-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拘束装置
DE102010044566A1 (de) * 2010-09-07 2012-03-08 Autoliv Development Ab Sicherheitsgurteinrichtung mit einer Vorrichtung zum Aufblasen eines wenigstens zweilagigen aufblasbaren Sicherheitsgurtes für ein Kraftfahrzeug
CN103507747A (zh) * 2012-06-27 2014-01-1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安全带
CN103507743A (zh) * 2012-06-27 2014-01-15 深圳市比亚迪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安全带
JP6298730B2 (ja) * 2014-07-01 2018-03-2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エアベルト装置
US9434339B2 (en) * 2014-08-27 2016-09-06 Autoliv Asp, Inc. Inflatable seat belt with a tethered gas delivery fill tube
US9346430B2 (en) * 2014-09-11 2016-05-24 Autoliv Asp, Inc. Inflatable seatbelt
JP6287723B2 (ja) * 2014-09-19 2018-03-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ベルト装置
US9278663B1 (en) * 2014-12-17 2016-03-0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Inflatable restraints for removable vehicle components
EP3599135B1 (en) * 2018-07-27 2021-03-03 Volvo Car Corporation A restraining system for a vehicle
CN109435891A (zh) * 2018-11-12 2019-03-08 太湖县和顺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防尘汽车安全带
DE102019216705B4 (de) * 2019-10-30 2022-02-03 Autoliv Development Ab Gurtbringer und Fahrzeugsitz mit einem Gurtbring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0329A (en) * 1973-01-10 1976-07-20 Allied Chemical Corporation Inflatable band restraint stitching
US4306735A (en) * 1976-11-30 1981-12-22 Allied Chemical Corporation Safety belt clamp apparatus, occupant restraint system and method
US4521034A (en) * 1978-06-08 1985-06-04 Takata Corporation Lockable moving belt anchor for passive vehicle occupant restraint belt systems
JP3057115B2 (ja) * 1991-10-21 2000-06-26 タカタ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JP3057116B2 (ja) * 1991-10-21 2000-06-26 タカタ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US5288104A (en) * 1992-11-09 1994-02-22 Johnny Chen Buffering safe device in vehicles
JP3833753B2 (ja) * 1996-10-15 2006-10-18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US6419263B1 (en) * 1998-05-11 2002-07-16 The B. F. Goodrich Company Seatbelt system having seamless inflatable member
JPH1178775A (ja) * 1997-09-02 1999-03-23 Takata Kk エアベルト装置
US5984350A (en) * 1997-09-22 1999-11-16 Am-Safe, Inc. Vehicle safety system
JP4161482B2 (ja) * 1999-10-07 2008-10-08 タカタ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JP3945100B2 (ja) * 1999-11-05 2007-07-1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及びエアベルト装置
US6581961B1 (en) * 1999-12-17 2003-06-24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eactivation of second stage of air bag inflator
JP4530556B2 (ja) * 2001-03-02 2010-08-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乗員保護装置
JP4734737B2 (ja) * 2001-03-07 2011-07-27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及びエアベルト装置
US7237799B2 (en) * 2004-06-01 2007-07-03 Autoliv Asp, Inc Seat bel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55158A1 (en) 2006-03-16
US7481451B2 (en) 2009-01-27
KR100616008B1 (ko) 2006-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5641B2 (en) Inflatable seat belt system
CN107284391B (zh) 乘员保护装置
US9346430B2 (en) Inflatable seatbelt
EP1640223B1 (en) Occupant protection system
US7883106B2 (en) Inflatable seat belt including a thorax airbag
KR100616008B1 (ko) 차량의 시트벨트
US7905514B2 (en) Motor vehicle safety restraint system
US6709010B2 (en) Rear tether retractor for an inflatable cushion
JPH05112200A (ja)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JP4986808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20120175937A1 (en) Seat belt retractor and pretensioner
US20070235999A1 (en) Vehicle seat belt apparatus
JP2010105544A (ja) 乗員拘束装置
JP6751581B2 (ja) 乗員保護装置
US7004498B2 (en) Compact tethering system and method for an inflatable curtain
JP4946444B2 (ja) 乗員保護装置
US11590922B2 (en) Occupant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seat including external tethering
JP2000025546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6371457B2 (ja) 乗員保護装置
KR100629632B1 (ko) 차량의 시트벨트
JP7254757B2 (ja) 乗員拘束装置
KR100622421B1 (ko) 차량의 시트벨트
US11472368B2 (en) Occupant crash protection and vehicle seat
KR102316656B1 (ko) 차량용 안전벨트
JP6744114B2 (ja) 乗員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