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4063A - 콜라겐을 함유하는 떡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콜라겐을 함유하는 떡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4063A
KR20060024063A KR1020040072901A KR20040072901A KR20060024063A KR 20060024063 A KR20060024063 A KR 20060024063A KR 1020040072901 A KR1020040072901 A KR 1020040072901A KR 20040072901 A KR20040072901 A KR 20040072901A KR 20060024063 A KR20060024063 A KR 20060024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rice
rice cake
sugar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숙
Original Assignee
김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숙 filed Critical 김희숙
Priority to KR1020040072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4063A/ko
Publication of KR20060024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06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떡을 제조함에 있어서, 떡가루는 찹쌀가루 또는 멥쌀가루 85∼90%, 설탕 8∼13%, 소금 0.8∼1.3%, 콜라겐 0.7∼1%의 비율로 혼합시키고, 떡 제조용 소는 팥 45∼55%, 호두 13∼16%, 대추속살 13∼15%, 잣 2∼3%, 꿀 2∼3%, 소금 0.5∼0.8%, 설탕 13∼16% 및 콜라겐 0.7∼1%의 비율로 혼합하여 소를 만든 다음 종래의 제조공정으로 콜라겐을 함유하는 떡을 제조함으로서 맛이 담백하고 부드러워 어린이나 청소년들도 편하게 먹을 수 있으며, 특히 떡에 함유되는 콜라겐에는 비타민C 및 칼슘이 함유되어 있어 성장기의 어린이들의 성장을 촉진하고, 콜라겐과 칼슘이 뼈를 강화하여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등의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우리나라 전통요리인 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떡, 전통요리, 콜라겐, 칼슘,

Description

콜라겐을 함유하는 떡 및 그 제조방법{Rice cake having collagen and making method of it's}
본 발명은 콜라겐을 함유하는 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예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먹는 떡에 인체에 유익한 콜라겐을 함유하는 떡과 그 떡을 제공하기 위한 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우리 고유의 먹거리인 떡은 그 종류도 많고 제조방법도 다양하지만 서민들은 단순히 배를 채우기 위하여 떡을 만들어 먹었고, 일부 상류층은 여러 가지 맛과 멋을 더하는 떡을 선호하고 있었다.
예를 들면 멥쌀가루에 꿀과 황설탕을 섞어 물을 내린 뒤 고명을 얹어 찌는 꿀편은 그 제조방법으로 멥쌀가루에 황설탕ㆍ물ㆍ소금을 끓여 식힌 물을 붓고 꿀을 넣어 촉촉할 정도로 섞어 손으로 비벼 체에 내린다. 잣과 채 썬 대추ㆍ밤ㆍ석이(石耳)를 고명으로 준비하여 떡가루를 깐 위에 얹고 백편과 같이 켜켜로 놓은 뒤 위에 보자기를 씌우고 뚜껑을 덮고, 시루를 솥 위에 올려놓은 뒤에 김이 새지 않도록 그 사이를 밀가루 반죽으로 만든 시룻번을 두르고 푹 찐다.
또한, 궁중에서 기쁜 일이 있을 때에 쓰이기도 했던 두텁떡은 찹쌀가루에 간 장ㆍ꿀ㆍ물을 섞고 비벼가며 체에 내리고, 팥(푸른 팥)은 물에 불려 껍질을 벗기고 시루에 쪄 식기 전에 어레미에 내린 다음 솥이나 두꺼운 냄비에 기름을 두르고 간장ㆍ설탕을 넣어 볶아서 식은 다음 다시 어레미에 내린다. 밤과 대추는 5mm 정도로 네모나게 썰고, 잣은 깨끗이 닦아두고 호두는 속껍질을 벗겨 작게 쪼개어 둔다. 시루에 무거리 팥고물을 깔고 멥쌀가루를 한 켜 놓은 뒤 팥고물을 충분히 얹은 다음 찹쌀가루를 군데군데 붙지 않도록 한 수저씩 떠놓고, 그 위에 밤ㆍ대추ㆍ잣ㆍ호두와 완자 등을 놓고 보이지 않을 정도로 찹쌀가루로 덮은 뒤 팥고물을 충분히 얹고, 봉우리 사이사이로 3∼4켜 안쳐서 쪄내는 것으로 작업 공정이 까다롭고 손이 많이 가지만 맛이 좋고 먹기에 간편한 떡이다.
그 외에도 흑백편, 백편, 승검초편, 약식 등 여러 가지 떡이 존재하며 각각의 독특한 맛과 향과 색상을 지니고 있지만, 서양의 피자나 햄버거 등에 맛들인 청소년들의 입맛을 맞추지는 못하고 있었으며, 특히 건강에 지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 현대인들의 기호를 만족시키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떡이 가지는 단점을 보완하여 어린이로부터 노약자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편하게 먹을 수 있고, 어린이의 성장을 돕고, 노약자들의 뼈를 튼튼히 하여 골다공증 등을 예방할 수 있는 떡을 제공하여 우리 전통음식의 맛을 살리면서 국민 건강에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건강에 도움을 주는 떡을 냉동하였다가 어린이의 귀가 시간이나 성인들의 간식시간에 맞추어 미리 꺼내놓아 자연 해동해서 먹을 수 있는 영양간식을 제 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떡의 재료로 쓰이는 떡가루와 소에 칼슘이 함유된 콜라겐을 첨가시킴으로서 영양간식용 떡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하에 상세히 설명하며 모든 %는 중량%이다.
떡에 있어서, 떡가루는 쌀가루가 85∼90%, 설탕 8∼13%, 소금 0.8∼1.3%, 콜라겐 0.7∼1%의 비율로 혼합시켜 되며, 떡 제조용 소에는 팥 45∼55%, 호두 13∼16%, 대추속살 13∼15%, 잣 2∼3%, 꿀 2∼3%, 소금 0.5∼0.8%, 설탕 13∼16% 및 콜라겐 0.7∼1%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떡이다.
상기에서 쌀가루는 떡의 종류 및 필요에 따라 찹쌀가루나 멥쌀가루를 사용할 수 있으며, 쌀가루는 다른 혼합물을 고려하여 85∼90%로 하며, 설탕이 8% 미만이면 떡의 단맛이 적고, 13%를 초과하면 너무 달기 때문에 떡 고유의 맛을 상실할 수 있는 것이며, 같은 이유로 소금이 0.8% 미만이면 떡이 싱겁게 되고, 1.3%를 초과하면 너무 짜게 되는 것이며, 콜라겐은 비타민C가 2∼4%, 칼슘분말이 6∼8% 함유된 해조 콜라겐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러한 콜라겐의 함량이 0.7% 미만이면 피부 미용이나 뼈를 강화하는 기능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1%를 초과하면 떡의 제조가 어렵고 가격 상승의 요인만 될 뿐 그 기능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것이다.
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떡고물용 팥이 주성분이 되며 이에 호두, 대추속살, 잣, 꿀, 소금, 설탕 및 콜라겐을 상기 비율로 잘 혼합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 호두 는 속껍질을 벗겨 작게 쪼개어 씹힐 정도로 하며 그 함량이 13% 미만이면 호두 맛을 감지하기 어려우며, 16%를 초과하면 맛이 강하여 다른 성분의 맛을 느끼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대추속살과 잣의 함량도 호두와 같은 이유로 각각 13∼15% 및 2∼3%가 가장 적정하였다.
또한, 소금의 양은 소의 특성상 쌀가루보다는 약간 싱거워야 하기 때문에 그 양을 줄이는 것이 좋으며, 같은 이유로 소의 단맛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떡가루에서보다는 설탕의 함량을 약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겸하여 콜라겐을 함유하는 떡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떡의 제조 공정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조 공정과 유사한 것이므로 가급적 생략하고 각 재료의 함량과 혼합공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떡가루 제조
떡가루는 떡의 종류 및 목적에 따라 찹쌀가루 또는 멥쌀가루 85∼90%, 설탕 8∼13%, 소금 0.8∼1.3%, 콜라겐 0.7∼1%의 비율로 혼합시킨다.
혼합은 손으로 고르게 섞은 다음 체에 2∼3회 내리면 더욱 균일하게 혼합되는 것이며, 그 함유량의 범위는 상기한 바와 같다.
소의 제조
떡 제조용 소는 팥 45∼55%, 호두 13∼16%, 대추속살 13∼15%, 잣 2∼3%, 꿀 2∼3%, 소금 0.5∼0.8%, 설탕 13∼16% 및 콜라겐 0.7∼1%의 비율로 혼합하여 소를 만든다.
소의 제조에서 각 재료의 함량이유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팥은 물에 불려 쪄서 식기 전에 어레미에 내려 껍질부는 무거리 팥고물로 이용하고, 속 앙금과 호두, 대추속살, 잣, 설탕 및 소금을 고르게 섞어 혼합물을 만들고, 꿀에 콜라겐을 고르게 희석하여 혼합물과 다시 고르게 섞어줌으로써 원하는 소를 만든다.
상기에서 콜라겐은 반드시 꿀에 먼저 희석하여 소의 재료와 혼합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렇지 않으면 소를 반죽할 때 그 재료들이 서로 엉켜서 콜라겐이 소에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기타
상기한 바와 같이 팥의 껍질은 무거리로 이용하고, 대추 껍질(대추 피)은 잘게 썰어서 통깨 등과 함께 고명으로 이용하도록 하며, 대추씨는 고온에서 삶아서 그 우러나는 물을 약식에 사용하면 약식의 소스와 같은 역할을 하면서 약식의 색깔을 대추색이 나게 하는 것으로 이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떡가루와 소의 제조 및 무거리 팥고물 고명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명이나 소에는 기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호두, 잣 등 유사한 재료도 추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떡가루와 소를 만들어 두텁떡, 흑찰콩떡, 흑백편, 약식, 인절미, 이바지떡 등 여러 가지 떡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 떡은 맛이 담백하고 부드러워 어린이나 청소년들도 편하게 먹을 수 있으며, 특히 떡에 함유되는 콜라겐에는 비타민C 및 칼슘이 함유되어 있어 성장기의 어린이들의 성장을 촉진 하고, 콜라겐과 칼슘이 뼈를 강화하여 골다공증을 예방하며, 콜라겐은 항-엘라스타제(anti- elastase) 활성을 갖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 피부 주름 생성의 원인물질인 엘라스틴(elastin)을 분해하여 얼굴 등의 피부주름 생성원인을 제거하여 미용에도 좋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고급 전통 떡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3)

  1. 떡에 있어서, 떡가루는 쌀가루가 85∼90%, 설탕 8∼13%, 소금 0.8∼1.3%, 콜라겐 0.7∼1%의 비율로 함유되고, 떡 제조용 소에는 팥 45∼55%, 호두 13∼16%, 대추속살 13∼15%, 잣 2∼3%, 꿀 2∼3%, 소금 0.5∼0.8%, 설탕 13∼16% 및 콜라겐 0.7∼1%의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떡.
  2. 떡을 제조함에 있어서, 떡가루는 찹쌀가루 또는 멥쌀가루 85∼90%, 설탕 8∼13%, 소금 0.8∼1.3%, 콜라겐 0.7∼1%의 비율로 혼합시키고, 떡 제조용 소는 팥 45∼55%, 호두 13∼16%, 대추속살 13∼15%, 잣 2∼3%, 꿀 2∼3%, 소금 0.5∼0.8%, 설탕 13∼16% 및 콜라겐 0.7∼1%의 비율로 혼합하여 소를 만든 다음 종래의 제조공정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떡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소의 제조시에는 콜라겐을 꿀에 먼저 희석하여 소의 재료와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라겐을 함유하는 떡의 제조방법.
KR1020040072901A 2004-09-13 2004-09-13 콜라겐을 함유하는 떡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24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901A KR20060024063A (ko) 2004-09-13 2004-09-13 콜라겐을 함유하는 떡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901A KR20060024063A (ko) 2004-09-13 2004-09-13 콜라겐을 함유하는 떡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063A true KR20060024063A (ko) 2006-03-16

Family

ID=3713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901A KR20060024063A (ko) 2004-09-13 2004-09-13 콜라겐을 함유하는 떡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40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5305A (zh) * 2012-03-23 2013-09-25 尹载胜 含有鱼鳞胶原蛋白及可食用植物提取物的年糕组合物及面条组合物
KR101536058B1 (ko) * 2013-10-25 2015-07-10 유영길 대추를 이용한 떡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5305A (zh) * 2012-03-23 2013-09-25 尹载胜 含有鱼鳞胶原蛋白及可食用植物提取物的年糕组合物及面条组合物
KR101536058B1 (ko) * 2013-10-25 2015-07-10 유영길 대추를 이용한 떡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6959B1 (ko) 오징어와 소고기를 혼합한 육포스틱 제조방법
JPH01502476A (ja) サツマイモ、カサバ、食用アルム、アマランス、ヤマノイモ、ハスより製造される粉、パン、ミルクなどの製品類
KR100381731B1 (ko) 다색 칼국수의 제조방법
KR20160007835A (ko) 두부과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60024063A (ko) 콜라겐을 함유하는 떡 및 그 제조방법
KR100381732B1 (ko) 유색 칼국수의 제조방법
KR101320377B1 (ko) 기능성 인절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21744B1 (ko) 콩 분말과 두부가 함유된 건강 햄버거
KR100448661B1 (ko) 미나리 쌀국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32308B1 (ko) 고구마를 이용한 쌈장 및 그 제조방법
JP2841163B2 (ja) 雑穀ブレンド米
KR102582078B1 (ko) 게걸무를 이용한 만두 제조방법
KR20160006969A (ko) 미나리가 함유된 쌀돈까스
KR100404652B1 (ko) 새알심 수제비 제조방법
KR102647810B1 (ko) 유채 전복전의 제조방법
KR102242393B1 (ko) 버섯과 생감자를 이용한 부꾸미 제조방법
CN106722015A (zh) 带馅面食及其制作方法
JP2007135584A (ja) 冷凍豆腐うど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78732B1 (ko) 순두부로 반죽하는 국수의 제조방법
CN106879680A (zh) 一种鳕鱼肉夹馍的制作方法
KR100597082B1 (ko) 미꾸라지를 주재료로 한 빈대떡의 제조방법
KR20210145600A (ko) 블랙푸드인 검정콩을 이용한 소스 제조 방법
CN109170593A (zh) 一种非油炸马铃薯饵块及其制备方法
KR20190117160A (ko) 녹차 치즈 떡갈비의 제조방법
CN109090182A (zh) 一种兔肉松土豆饼的配方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