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9500A -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9500A
KR20060019500A KR1020050134487A KR20050134487A KR20060019500A KR 20060019500 A KR20060019500 A KR 20060019500A KR 1020050134487 A KR1020050134487 A KR 1020050134487A KR 20050134487 A KR20050134487 A KR 20050134487A KR 20060019500 A KR20060019500 A KR 20060019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ide nozzle
vehicle
car wash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4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6387B1 (ko
Inventor
김용배
Original Assignee
한림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림기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19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3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42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with reciprocating saw blades, e.g. with cutting edges at the distal end of the saw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31Special drive shafts, e.g. flexible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59Surgical rasps, files, planes, or 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44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using fluid other than turbine drive fluid
    • A61B2017/1651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using fluid other than turbine drive fluid f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44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using fluid other than turbine drive fluid
    • A61B2017/1653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using fluid other than turbine drive fluid for lubr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5Auxiliary appliance with suction drainag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형태로 형성된 세차기 본체에 설치되는 자동 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양 측면 각각에 소정 높이로 설치된 주사이드노즐; 상기 주사이드노즐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보조사이드노즐;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되, 상기 주사이드노즐 및 상기 보조사이드노즐 각각에 대응하여 별개로 형성되며,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는 블로워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자동세차기, 측면건조장치

Description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SIDE DRY APPARATUS OF CAR WASH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형식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워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식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변형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형식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가 도시된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변형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부호의 설명
1 ; 문형식 세차기 본체
1A ; 세척파트 1B ; 건조파트
20, 20': 블로워장치 220: 주사이노즐
230 : 보조사이드노즐 320: 제 1 사이드노즐
330 : 제 2 사이드노즐 340 ; 보조사이드노즐
420 ; 제 1 사이드노즐 430 ; 제 2 사이드노즐
440 ; 보조사이드노즐
본 발명은 자동 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세정차량의 측면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차량의 측면에 형성된 물기를 제거하는, 자동세차기의 측면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세차기는 자동차의 외부를 자동으로 세척하여 주는 기기로, 근래에 들어서면서 생활의 편리성으로 인해 운전자 스스로 외부 세차를 하는 경우가 거의 없고, 대부분 세차장에서 자동 세차기를 이용하여 외부 세차를 수행하고 있는 실정에 있으므로 자동세차기의 수요가 날로 증가되는 추세에 있고, 이에 발맞추어 관련 기술 또한 급속도로 발달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 세차기는 터널식 세차기와 문형식 세차기로 구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터널식 자동 세차기는 차량의 세차에 사용되는 각 기구들이 세차기의 긴 본체를 이루는 각 프레임에 차례로 설치되어 있어, 콘베이어와 같은 이동수단에 의해 차량이 본체 내부를 이동하는 동안 세차 기구들이 차례대로 동작하여 차량의 세차를 진행하는 구조이다. 터널식 세차기는 세차기를 이루는 각 기구들이 복수개의 프레임상에 형성되어, 세차가 진행되는 동안 전 공정에 의해 후 공정이 방해받지 않고, 별도의 기능성 장치의 부착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입출차공간이 충분히 확 보되어야 하고, 세차기의 각 부분이 별개의 설치되는 바, 설치공간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터널식 자동 세차기의 이러한 문제점, 즉, 설치에 있어서 넓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 설치 운용가능하도록 개발된 것이 문형식 자동 세차기로서, 문형식 자동 세차기는 전체적으로 '∩' 형태로 형성된 세차기 본체 프레임에, 세차에 사용되는 각 기구들이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는 차량의 전후로 이동하면서 차량의 세차가 진행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터널식 및 문형식 자동 세차기는 내부 구조를 세차진행 측면에서 살펴보면, 크게 세척 파트와 건조파트로 구분가능한 데, 세척파트는 세척수와 세척액을 분사하는 분사수단들과 차량의 상면 및 측면으로 위치한 복수개의 브러시가 구비되어, 세척액과 세척수가 분사되면서 복수개의 브러시가 차량의 상면 및 측면을 상대이동하면서 차량을 세척하는 파트이다. 건조파트는 차량의 상면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톱노즐과, 차량의 측면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사이드노즐을 구비하여, 세척이 완료된 차량의 측면에 형성된 물기를 제거하는 파트이다.
이러한 자동 세차기를 이용하여 차량을 세차함에 있어서, 세차 후 차량의 표면에 물기가 남아 있는 경우, 먼지가 차량의 표면에 남아있는 물방울에 흡착되어 차량이 다시 더러워지기 쉽기 때문에, 차량 표면에 형성된 물방울 최소화하는 것이 세차기의 세차 성능 및 운전자의 세차 만족감을 결정하는 결정적인 인자가 된다.
그러나, 근래에는 세차기의 주요 피세정차량인 승용차의 개념이 소형차량에서 다양한 크기의 레저용 차량의 확대됨에 따라, 차량의 높이가 증가되고, 차량의 폭도 커짐에 따라 종래의 소형차량(차량의 높이가 레저용 차량보다 낮은 차량을 지시함)을 기준으로 제작된 자동세차기로는 레저용 차량의 측면에 형성된 물기를 제대로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레저용 차량 운전자의 세차 만족감을 저하시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레저용 차량에 맞추어 사이드노즐의 길이를 증대시키는 방안이 고려되었으나, 사이드노즐의 크기를 증대시키는 경우, 사이드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압을 감소시키는 바, 차량 측면에 형성된 물기를 제대로 제거할 수 없어, 종래에 세차 만족감을 가지던 소형 차량의 운전자조차 세차만족감을 느낄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이드노즐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워 모터의 용량을 증대시키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으나, 모터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모터제작 기술에 관한 것으로 기술적 한계를 가질 뿐만 아니라, 특히 문형식 자동세차기의 현장설치조건등을 고려할 때 적절한 대안이 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소형 차량의 운전자가 가지던 세차 만족감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레저용 차량의 측면 건조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방안이 여러 가지 강구된 바, 그중 한 가지 방법은 종래의 사이드노즐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사이드노즐의 분사방향을 조절가능하게 하여, 피세정 차량이 소형 차량인 경우 종래의 방식대로 건조하고, 피세정차량이 레저용 차량인 경우 노즐의 분사각을 조절하여 종래의 사이드노즐이 커버할 수 없는 레저용 차량의 측면 상측 부분을 향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사이드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분산됨으로 인해 차 량 측면에 충돌하는 공기압을 감소시켜, 레저용 차량의 측면에 형성된 물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었다.
또한, 터널식 자동세차기의 경우에도 측면건조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사이드노즐이 1 세트(양 측면 각각으로 1 사이드노즐 갖는 구조)인 구조에 2 세트인 방안(양 측면 각각으로 2 사이드 노즐을 갖는 구조)이 강구되었으나, 사이드노즐을 추가하는 것만으로는 소형차량보다 높은 차량 즉, 레저용 차량의 측면에 형성된 물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사이드노즐 및 보조사이드노즐을 통해 차량 높이에 맞게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자동세차기의 운용전력을 최소화하면서도 소형차량 및 레저용 차량의 측면에 형성된 물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문형식 자동세차기의 측면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드노즐의 길이변경에 의한 공기 분사압 감소를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차량의 종류에 관계없이 차량 측면에 형성된 물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터널식 자동세차기의 측면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형태로 형성된 세차기 본체에 설치되는 자동세차의 측면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양 측면 각각에 소정높이로 설치되는 주사이드노즐과, 상기 주사이드노즐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보조사이드노즐, 및 상기 본체내에 장착되되, 상기 주사이드노즐 및 보조사이드노즐 각각에 대응하여 별개로 형성되며,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는 블로워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자동 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터널식 자동 세차기에 있어서, 피세정차량이 통과하는 통로에 형성된 프레임의 내측 양 측면 각각에, 레저용 차량의 진행 높이에 맞추어 배치된 제 1 사이드노즐; 및 상기 제 1 사이드노즐의 후방으로 설치되되, 소형 차량의 상단 높이에 맞추어 배치된 제 2 사이드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식 자동 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문형태로 형성되어 세척파트와 건조파트가 구비된 세차기 본체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자동세차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파트의 내측 양 측면 각각에, 레저용 차량의 진행 높이에 맞추어 배치된 제 1 사이드노즐; 및 상기 제 1 사이드노즐의 후방으로 설치되되, 소형 차량의 상단 높이에 맞추어 배치된 제 2 사이드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가 설치된 문형식 자동세차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문형식 자동세차기는 터널식 자동세차기에 비해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어 운용가능한 것을 장점으로 하는 바, 세차기 본체의 길이가 증대되는 경우 설치공간이 증대되어 문형식 자동세차기 자체의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결과가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차기 자체의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소형차량 및 레저용 차량의 측면에 형성된 물기를 제거 가능하므로 문형식 자동세차기에 더욱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상면의 곡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차량의 상면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도록 톱노즐(10)이 설치되는 대략 ∩형상의 세차기 본체(1)의 측면 각각으로 제1블로워장치(20) 및 제2블로워장치(20')를 구비한다. 제1블로워장치(20)의 주사이드노즐(220) 및 제2블로워장치(20')의 보조사이드노즐(230)이 상하로 세차기 본체(1)의 측면 내측으로 설치되어 각각 제1블로워모터(28-1) 및 제2블로워모터(28'-1)의 구동력에 의해 고압의 공기를 제공받는다.
문형식 자동 세차기는 세차에 필요한 각 기구들이 설치된 세차기 본체(1)가 이동하면서 피세정차량을 세차한다.
제1블로워장치(20)의 주사이드노즐(220)은 ∩형상의 세차기 본체(1)의 내측으로 양 측면 각각에 소정높이로 소형차량의 높이에 맞게 설치되어 주사이드노즐(220)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의 공기가 소형차량의 측면에 충돌하면서 물기를 제거, 건조시킨다. 제1블로워장치(20)의 주사이드노즐(220)은 소형차량의 높이에 맞추어 설치되므로 레저용 차량이 문형식 자동 세차기 내부를 상대이동하는 경우에 소형차량의 높이보다 상측 부분에 대해서는 물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 이러한 부분의 측면 건조성능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주사이드노즐(220)의 상측으로 제2블로워장치(20')의 보조사이드노즐(230)이 설치된다.
제2블로워장치(20')의 보조사이드노즐(230)은 주사이드노즐(220)의 상측으로 위치하여, 주사이드노즐(220)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의 공기로 제거할 수 없었던 레저용 차량의 측면 상측부분에 형성된 물기를 제거할 수 있게 구성된다. 주사이드노 즐(220)의 상단 및 보조사이드노즐(230)의 하단이 근접하여 배치되어 레저용 차량의 측면 전체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가능하게 되는 바, 주사이드노즐(220)과 보조사이드노즐(230)은 본체(1) 측면으로 동일라인 상에 주사이드노즐(220)의 상단과 보조사이드노즐(230)의 하단이 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서로 작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도 무방하며, 끝단 즉, 주사이드노즐(220)의 상단과 보조사이드노즐(230)의 하단이 서로 측면으로 접하여 공기분사 측면에서 보면 서로 중첩되는 부분을 가져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소형차량의 측면 건조를 달성하는 주사이드노즐(220)을 구비한 제1블로워장치(20)와 주사이드노즐(220)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소정 높이를 초과하는 부분 즉, 레저용 차량의 측면 상측 부분의 측면 건조를 달성하는 보조사이드노즐을 구비한 제2블로워장치(20')를 구비하여, 피세정차량의 종류에 맞게 측면 건조를 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동일 목적내의 이러한 변형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단순한 설계변경 정도로써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당연히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사이드노즐(220) 및 보조사이드노즐(230) 각각에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는 제1 및 제2블로워장치(20, 20')는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 세차기 본체(1)에 장착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로워장치(20) 및 제2블로워장치(20')는 각각의 블로워모터(28-1,28'-1)을 구비하여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므로, 주사이드노즐(220) 및 보조사이드노즐(230)을 통한 고압 공기의 분사가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보조사이드노즐(230)은 주사이드노즐(220)로 커버되지 않는 레저용 차량의 측면 높이를 커버하게되므로, 주사이드노즐(220)보다 노즐의 길이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사이드노즐(230)이 주사이드노즐(220)과 동일한 공기압으로 공기를 분사하더라도 제2블로워장치(20')는 제1블로워장치(20)보다 크기 자체가 작기 때문에 문형식 자동세차기의 전체적인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세차기 본체(1)에 설치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보조사이드노즐(230) 및 이에 고압공기를 제공하는 블로워장치(20')에 의해 세차기 전체의 크기는 거의 증가되지 않는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워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는 제1블로워장치(20) 및 제2블로워장치(20')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워장치(20, 20')는 주름관 형태의 댐퍼호스가 형성되지 않고, 내부에서 발생한 고압의 공기가 직접적으로 배출가능한 일체형 타입의 블로워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일체형 타입의 블로워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세차기의 본체의 크기를 증대시키지 않으면서 복수개의 블로워장치를 장착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 진다 도면을 참조하면, 블로워 하우징(21)의 일측으로 공기유출구(22a)를 구비한 노즐(22)이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내부에 임펠러(25)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임펠러장착부(23)가 형성된다. 임펠러장착부(23)의 일측면으로는 공기 유입구(26)가 형성되며, 타 측면으로는 임펠러(25)와 별도의 동력전달 수단없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임펠러(25)를 회동시키는 블로워모터(28)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블로워모터(28) 즉, 제1블로워모터(28-1) 및 제2블로 워모터(28'-1)는 자동 세차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PLC(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PLC가 블로워모터(28-1,28'-1)를 각각 제어함으로써 주사이드노즐(220) 및 보조사이드노즐(230)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각각 제어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차기 본체 내부를 상대이동하면서 진입하는 진입차량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는 높이감지센서(미도시)를 구비한다.
높이감지센서는 PLC에 감지정보를 전달하는 바, PLC는 검지된 차량의 높이 정보를 입력받아 진입차량이 소형차량 즉, 소정높이 이하인 차량인 경우에는 주사이드노즐(220)이 형성된 제1블로워장치(20)의 제1블로워모터(28-1)만을 작동시켜, 주사이드노즐(220)을 통해서만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차량 측면에 형성된 물기를 제거한다.
또한 피세정차량이 레저용 차량인 경우, 높이감지센서에 의해 소정높이를 초과하는 레저용 차량이 진입한 것을 인식한 PLC 는 주사이드노즐(220)이 형성된 제1블로워장치(20)의 블로워모터(28-1)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보조사이드노즐(230)이 형성된 제2블로워장치(20')의 제2블로워모터(28-2)를 함께 작동시켜, 레저용 차량의 측면 전체에 걸쳐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차량 측면의 물기를 제거한다.
본 발명에서는 피세정차량의 운전자가 세차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입력부에 자기 차량에 관한 높이 정보 즉, 소형차량인지 레저용차량인지를 선택 입력하게 하여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PLC 가 제1블로워장치(20) 및 제2블로워장치(2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PLC 제어에 의해 차량의 높이에 따라, 작동하는 블로워모 터의 수 및 공기가 분사되는 노즐의 수가 달라지게 된다. 즉, 진입차량이 소형차량이면 제1블로워장치(20)의 제1블로워모터(28-1)만이 동작하여 주사이드노즐(220)을 통해서만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고, 진입차량이 소형차량 높이를 초과하는 레저용 차량이면 제2블로워장치(20')의 제2블로워모터(28'-1)가 제1블로워모터(28-1)와 함께 동작하여 주사이드노즐(220) 및 보조사이드노즐(230)을 통해 고압의 공기가 분사된다.
이러한 구성은 레저용 차량의 건조성능을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문형식 자동 세차기의 운용경비의 측면에서도 큰 장점이 있다. 즉, 차량에 관계없이 항시적으로 주사이드노즐(220) 및 보조사이드노즐(230)을 통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경우에, 보조사이드노즐(230)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 공기를 형성하기 위해 블로워장치(20')의 모터가 항상 블로워장치(20)의 모터와 함께 구동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바, 소형차량인 경우 보조사이드노즐(230)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의 공기는 차량 측면에 형성된 물기제거에 큰 도움이 되지 않고 불필요한 낭비가 되는 바, 문형식 자동세차기의 설치운용 능력이 시간당 15대 내지 20대인 것을 감안하고, 피세정차량이 레저용 차량보다 높이가 낮은 소형차량이 많은 것을 감안할 때, 전력낭비가 매우 크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레저용 차량의 측면건조를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차기 운용경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 장치가 설치된 문형식 자동 세차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세차 대기 중인 차량이 자동 세차기의 시작 위치로 진입하면서, 운전자는 차량 진입측에 위치한 조작 판넬에서 세차코스 등의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과정을 완료후 세차기가 가동되면, 문형식 세차기가 차량측으로 이동하면서 세차기 본체에 설치된 브러시가 작동하기 시작하고, 감지센서들에 의해 차량의 위치정보 및 차량의 높이, 폭 길이등과 같은 세척에 필요한 정보가 감지되어 PLC 로 전송되어 PLC 가 전체 차량의 세척과정을 제어하면서 세척이 완료된다.
세척이 완료된 후 건조과정이 진행되는 데, PLC 는 높이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차량 높이 정보를 사전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메모리에 입력된 차량높이와 관한 기준치와 대비하여 차량높이가 소정높이 이하(즉, 소형차량)이면, 차량의 상면으로는 톱노즐(10)을 차량의 상면 곡면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고, 측면으로는 주사이드노즐(220)이 형성된 제1블로워장치(20)의 제1블로워모터(28-1)만을 작동시켜 주사이드노즐(220)을 통해서만 고압의 공기를 차량 측면으로 분사하여 건조과정을 진행한다.
감지된 차량 높이가 소정높이를 초과하는 경우(즉, 레저용 차량인 경우), 주사이드노즐(220)이 형성된 제1블로워장치(20)의 제1블로워모터(28-1)뿐만 아니라 보조사이드노즐(230)이 형성된 제2블로워장치(20')의 제2블로워모터(28'-1)도 함께 작동시켜 주사이드노즐(220) 및 보조사이드노즐(230) 통해 고압의 공기를 불어내어 측면 건조과정을 진행한다. 상기 과정에 따라 건조과정이 완료되면, 세차가 종료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식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가 도시되어 있 다. 도면을 참조하면, 피세정차량이 통과하는 통로에 형성된 프레임(31, 32)의 내측 양 측면 각각에 소정 길이를 가진 2개의 사이드노즐(320,330)이 각각 설치되는 데, 제1사이드노즐(320)은 그 상단이 레저용 차량(80)의 진행 높이에 맞추어 배치 설치되고, 그 측면 후방으로 제1사이드노즐(320)과 엇갈린 높이로 소형 차량(90)의 상단 높이에 맞추어 제2사이드노즐(330)이 배치 설치된다. 이때 제1사이드노즐(320) 및 제2사이드노즐(330)은 별개의 블로워모터 즉, 제1사이드노즐에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는 제1블로워모터, 제2사이드노즐에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는 제2블로워모터에 의해 고압의 공기를 제공받는다.
제 2 사이드노즐(330)은 제 1 사이드노즐(320)과 대략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소형차량의 측면 높이에 맞추어 설계된 대략 동일한 길이의 제1사이드노즐 및 제2사이드노즐을 본 발명에 따라 서로 엇갈린 높이로 배치하는 경우, 노즐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인 차량의 표면에 충돌하는 공기의 분사압을 감소시켜 기존의 소형 차량의 세차에 확보된 건조성능 마저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레저용 차량(80)과 같이 차량의 높이가 소형차량(90) 보다 높은 차량의 측면 건조를 달성할 수 있어 차종에 관계없이 차량의 측면에 형성된 물기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널식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에서 제2사이드노즐(330)의 상측에 보조사이드노즐(340)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이 보조사이드노즐은(340)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위치하는 제2사이드노즐(330)의 노즐에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는 제2블로워모터와 독립된 제3블로워모터에 의해 고압의 공기를 제공받는다.
이와 같이 제2사이드노즐(330)에 보조사이드노즐(340)을 더 설치하게 되면, 레저용 차량(80)의 건조과정중에 제1사이드노즐(320)에 의해 고압의 공기가 토출되어 차량 측면의 건조가 실시되는 상태에서 레저용 차량(80)의 상단측 차체 측면을 재차 건조할 수 있게 되어 건조성능이 향상된다.
도 5및 도 6은 본 발명의 문형식 자동세차기에 적용되는 측면건조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문형식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세차기 본체(1)를 구성하는 세척파트(1A)와 건조파트(1B)가 분리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파트가 별개로 구동가능하도록 구동원(미도시)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건조장치는 건조파트(1B)의 내측 양 측면 각각에 레저용 차량(80)의 진행 높이에 맞추어 제 1 사이드노즐(420)이 배치되어 있고, 그 후방에 엇갈린 높이로 소형 차량(90)의 높이에 맞추어 제 2 사이드노즐(430)이 배치되어 있다. 제1사이드노즐(420)과 제2사이드노즐(430)과 대략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사이드노즐(420) 및 제2사이드노즐(430)에는 각각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는 블로워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즉, 제1사이드노즐(420) 및 제2사이드노즐(430)에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는 제1블로워모터 및 제2블로워모터의 동작에 의해 각각 별개로 고압의 공기를 제공받는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세차기 본체 프레임 측면에 제1사이드노즐 및 제2사 이드노즐이 형성된 제1및 제2블로워장치가 서로 교차되게 설치된다. 즉, 소형 차량의 높이에 맞추어 본체 프레임의 측면에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설치된 제2사이드노즐(430)에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는 제2블로워모터가 본체 프레임의 측면 상측으로 설치되고, 레저용 차량의 상단 높이에 맞추어 본체 프레임의 측면에 상대적으로 상측으로 설치된 제1사이드노즐(420)에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는 제1블로워모터(420)가 본체 프레임의 측면 하측으로 설치되어 블로워모터의 설치 공간의 간섭문제를 해결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 장치가 설치된 문형식 자동 세차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세차 대기 중인 차량이 세차 개시 위치로 진입하면서, 운전자는 차량 진입측에 위치한 조작 판넬에서 세차코스 등의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다. 상기 과정을 완료후 세차기가 가동되면, 문형식 세차기 본체(1)중 세척파트(1A)가 먼저 차량측으로 이동하면서 세척파트에 설치된 브러시가 작동하기 시작하고, 감지센서들에 의해 차량의 위치정보 및 차량의 높이, 폭 길이등과 같은 세척에 필요한 정보가 감지되어 PLC 로 전송되어 PLC 가 전체 차량의 세척과정을 제어하면서 세척이 완료된다.
세척이 완료된 후 건조과정이 진행되는 데, 이때, 본 발명에 의한 문형식 자동 세차기는 세차기 본체(1)를 구성하는 세척파트(1A)와 건조파트(1B)가 분리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파트(1A)가 이동된 후에 소정의 시간차 또는 거리차를 두고 건조파트(1B)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차량측으로 이동되는 건조파트(1B)에 의해 PLC에 의해 감지되어지는 차량의 종류가 레저용 차량(80)인 경우에는 제 1 사이드노즐(420)을 통해서 공기가 분사되어 차체의 측면 건조가 실시된다. 또는, PLC 에 의해 감지되는 차량의 종류가 소형 차량(90)인 경우에는 제 2 사이드노즐(430)을 통해 공기가 분사되어 차체의 건조가 실시된다.
또한, 레저용 차량(80)의 건조시에 제 1 사이드노즐(420)과 제 2 사이드노즐(430)에서 동시에 공기가 분사되어 건조공정을 진행할 수 있는데, 이처럼 제 1 사이드노즐과 제 2 사이드노즐에서 동시에 공기가 분사되는 경우에는 제 1 사이드노즐(420)에 대하여 후방 하측에 제 2 사이드노즐(430)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사이드노즐(420)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먼저 차량 측면에서 제거되어 차체의 후방으로 쏠리는 물기가 제 2 사이드노즐(430)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차체의 후방으로 쓸려가면서 완전히 제거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 자동세차기 측면건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변형례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사이드노즐(430)의 상측에 제1사이드노즐(420)의 상단 높이에 해당되는 높이를 갖는 보조사이드노즐(440)을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보조사이드노즐(440)은 독립된 블로워모터의 동작에 의해 고압의 공기를 제공받는다.
이와 같이 보조사이드노즐(440)이 추가로 설치된 상태에서는 제1사이드노즐(420)에 의해 1차로 레저용 차량(90)의 측면 건조동작이 실시되고, 연속해서 제2사이드노즐(430)에 의하여 제1사이드노즐(420)에 의해 건조되지 않은 차량의 측면부위를 건조시킴과 아울러 제2사이드노즐(430)의 상측에 구비된 보조사이드노즐(440)에 의해서 레저용 차량(90)의 상단측의 측면 건조가 재차 실시되어 특히 레저용 차 량의 건조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보조사이드노즐은 제1사이드노즐(420)의 하측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의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利點)이 있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노즐의 길이가 증대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사이드노즐 분사압의 감소문제를 해결하면서도, 소형차량 및 레저용 차량의 측면건조를 달성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세차기의 본체 크기를 증대시키지 않으면서도, 레저용 차량의 측면 건조를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높이에 적합하게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노즐의 수가 달라짐 즉, 블로워장치 작동 블로워모터 수가 달라짐으로, 불필요한 운용전력의 낭비를 막으면서 소형 차량 및 레저용 차량의 측면건조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문형태로 형성된 세차기 본체를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는 자동 세차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양 측면 각각에 소정 높이로 설치된 주사이드노즐;
    상기 주사이드노즐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보조사이드노즐;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되, 상기 주사이드노즐 및 상기 보조사이드노즐 각각에 대응하여 별개로 형성되며,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는 블로워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내로 상대이동하는 진입차량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는 높이감지센서; 및
    상기 높이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입력받아 진입차량의 높이가 소정높이 이하이면 상기 주사이드노즐을 통해서만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고, 진입차량의 높이가 소정높이를 초과하면 상기 주사이드노즐 및 상기 보조사이드노즐을 통해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PLC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
  3. 터널식 자동 세차기에 있어서,
    피세정차량이 통과하는 통로에 형성된 프레임의 내측 양 측면 각각에, 레저용 차량의 진행 높이에 맞추어 배치된 제 1 사이드노즐; 및
    상기 제 1 사이드노즐의 후방으로 설치되되, 소형 차량의 상단 높이에 맞추어 배치된 제 2 사이드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이드 노즐의 상측에 보조 사이드노즐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
  5. 문형태로 형성되어 세척파트와 건조파트가 구비된 세차기 본체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자동세차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파트의 내측 양 측면 각각에, 레저용 차량의 진행 높이에 맞추어 배치된 제 1 사이드노즐; 및
    상기 제 1 사이드노즐의 후방으로 설치되되, 소형 차량의 상단 높이에 맞추어 배치된 제 2 사이드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이드노즐의 상측에 보조 사이드노즐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이드노즐 및 제 2 사이드노즐이 설치되는 건조파트는 세차기 본체에서 세척파트와 분리형성되어 별개로 구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노즐 및 제2사이드노즐이 각각 형성된 각 블로워장치는,
    블로워 하우징의 일측으로 공기유출구를 구비한 노즐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내부에 임펠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일측면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된 임펠러장착부가 형성된 상기 임펠러장착부의 타측면으로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블로워모터가 장착된 구성을 구비하며,
    상기 제2사이드노즐이 형성된 제2블로워장치는 제2블로워모터가 상기 건조파트 프레임의 측면 상측으로 위치하여, 하측으로 위치한 상기 제2사이드노즐에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사이드노즐이 형성된 제1블로워장치는 제1블로워모터가 상기 건조파트 프레임의 측면 하측으로 위치하여, 상측으로 위치한 상기 제1사이드노즐에 고압의 공기를 제공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블로워장치 및 제2블로워장치가 상기 건조파트 프레임에 서로 교차방향으 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
KR1020050134487A 2003-05-06 2005-12-29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 KR100696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573 2003-05-06
KR1020030028573A KR20030041121A (ko) 2003-05-06 2003-05-06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747A Division KR100591986B1 (ko) 2003-05-06 2004-02-02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500A true KR20060019500A (ko) 2006-03-03
KR100696387B1 KR100696387B1 (ko) 2007-03-20

Family

ID=2957963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573A KR20030041121A (ko) 2003-05-06 2003-05-06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
KR1020040006747A KR100591986B1 (ko) 2003-05-06 2004-02-02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
KR1020050134487A KR100696387B1 (ko) 2003-05-06 2005-12-29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573A KR20030041121A (ko) 2003-05-06 2003-05-06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
KR1020040006747A KR100591986B1 (ko) 2003-05-06 2004-02-02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0300411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01615A (zh) * 2022-09-15 2022-11-08 盐城雅楠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屏幕生产线的玻璃清洗机及其清洗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439B1 (ko) * 2006-08-30 2007-01-12 허옥동 자동 세차기용 송풍기
DE102017111433A1 (de) 2017-05-24 2018-11-29 Alfred Kärcher SE & Co. KG Trocknungsvorrichtung für Fahrzeuge, Fahrzeugwaschanlage und Verfahren zum Trocknen eines 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8359A (ja) * 1992-02-27 1993-09-17 Daifuku Co Ltd 洗車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01615A (zh) * 2022-09-15 2022-11-08 盐城雅楠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屏幕生产线的玻璃清洗机及其清洗方法
CN115301615B (zh) * 2022-09-15 2023-11-14 盐城雅楠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屏幕生产线的玻璃清洗机及其清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1986B1 (ko) 2006-06-23
KR20030041121A (ko) 2003-05-23
KR20040095150A (ko) 2004-11-12
KR100696387B1 (ko) 200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50553B2 (ja) 洗車機
CA2122279C (en) Method of automatically washing vehicles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0696387B1 (ko) 자동세차기의 측면건조장치
JP3991834B2 (ja) 洗車方法
JP6107736B2 (ja) 洗車機
JP2020142801A (ja) 洗車装置
JP3584081B2 (ja) 洗車装置
JP2009073357A (ja) 洗車機
CN218577704U (zh) 一种自动洗车机
JPH04121258A (ja) 洗車機
JP3954926B2 (ja) 洗車装置
JP2699699B2 (ja) 洗車機
JP3876754B2 (ja) 洗車機
KR100373869B1 (ko) 문형 세차기에서의 세차방법 및 장치
KR100729603B1 (ko) 자동세차기의 탑노즐 틸팅장치
JP4899815B2 (ja) 洗車機による洗車方法および洗車機
JP5809894B2 (ja) 洗車機の乾燥装置
JPH1148919A (ja) 洗車機の制御方法
JP6519527B2 (ja) 洗車機及び洗車方法
JP3488751B2 (ja) 洗車方法および装置
JPH11198772A (ja) 洗車装置
JP2019064590A (ja) 洗車機及び洗車方法
JPH05193458A (ja) 洗車装置
KR19990007809U (ko) 자동세차장치
JP4421402B2 (ja) 洗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