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9078A - 교통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통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9078A
KR20060019078A KR1020040067545A KR20040067545A KR20060019078A KR 20060019078 A KR20060019078 A KR 20060019078A KR 1020040067545 A KR1020040067545 A KR 1020040067545A KR 20040067545 A KR20040067545 A KR 20040067545A KR 20060019078 A KR20060019078 A KR 20060019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detection
vehicle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순현
Original Assignee
렉스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렉스젠(주) filed Critical 렉스젠(주)
Priority to KR1020040067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9078A/ko
Publication of KR20060019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0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의 흐름을 저해하는 다양한 불법 차량을 무인으로 검출하여 단속이 가능케 함으로서, 교통 위반 차량으로 인한 교통사고의 예방과 교통의 원할 한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교통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의 차선에 정해진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 여부 및/또는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의 감지신호가 발생한 위치에 해당되는 방향으로 회전과 줌기능을 갖추고, 해당 위치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감지 횟수연산, 거리연산, 감지위치에 따른 카메라의 촬영위치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제공한다. 따라서 차선위반의 상황을 최소의 장비로서 원거리, 다지점, 다용도의 감시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감지센서, 프리셋, 차선위반

Description

교통 감시 시스템{traffic condition system}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감시 시스템을 통해 불법 유턴차량의 단속 실시 예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감시 시스템을 통해 교차로 차선위반차량 단속시스템의 실시 예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감시 시스템을 통해 정지선 위반차량 단속시스템의 실시 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감지센서부 200 : 교통신호 제어기
300 : 제어부 400 : 카메라부
500 : 전송 및 저장 장치부 600 : 중앙서버부
700 : 차량
본 발명은 교통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선위반 차량 의 감시 및 단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회구조가 복잡해지고 다양해짐에 따라 개인의 활동영역도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한편, 신속한 움직임이 요구됨에 따라, 이를 원활히 하기 위해 자동차의 이용이 증가하게 되었다.
요즘은 사회, 경제 규모가 확대, 고도화됨에 따라 차량 및 교통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대도시에는 심각한 교통문제로까지 직면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많은 자동차가 각종 도로를 주행하다 보면 불법 유(u)턴 및 차선위반 차량 등으로 인해 교통사고가 발생되어 인명 및 재상상의 피해가 발생되게 된다.
또한, 이런 교통사고의 발생시 그때의 상황을 정확히 알 수가 없게 되어 당사자간 과실여부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교통사고를 처리하게 됨으로 인한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되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 사고 다발지역 또는 상습적 교통 위반지역에 인력을 배치하여 인력을 통한 단속을 수행하여 왔다.
그리고 최근에는 도로교통에 관련된 위반차량을 무인화하여 단속하는 시스템으로 무인속도위반단속시스템, 신호위반단속시스템, 정지선 위반단속시스템 등이 보편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카메라가 고정 설치되어 주로 노면에 설치된 루프코일의 감지신호 또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속도의 계산 그리고 신호등제어기를 이용한 위반을 단속하고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교통신호제어기의 출력신호와 연산을 수행하 여 속도위반여부와 신호위반, 정지선 위반 상태를 감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교통 감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사고 다발지역 또는 상습적 교통 위반지역에 인력을 배치하여 인력을 통한 단속을 수행하는 경우, 교통위반에 관한 단속인력은 늘어가는 차량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게 현실이다. 따라서, 한정된 단속인력으로 모든 교통 상황을 감시하기에는 큰 무리가 있다.
둘째, 첫 번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무인속도위반단속시스템을 시작으로 한 무인화 또는 장비를 통한 단속시스템은 영상기록장치의 발전과 DATA전송기술의 발달을 통해 더욱 가속화되고는 있지만, 정지선 위반, 불법 주. 정차, 불법 유(u)턴 및 쓰레기 불법투기 등 다양한 교통 감시에는 현재의 시스템으로는 감시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교통의 흐름을 저해하는 다양한 불법 차량을 무인으로 검출하여 단속이 가능케 함으로서, 교통 위반 차량으로 인한 교통사고의 예방과 교통의 원할 한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교통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에 인력에 의해 단속하던 방법을 자동화하여 단속의 효율을 높이고, 운전자 스스로가 법규를 준수토록 유도함으로서 교통소통의 효율을 높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전선 침범이나 불법유턴을 예방하기 위하여 설 치하는 차선 규제봉의 설치나 유지에 드는 비용을 절감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선위반의 상황을 최소의 장비로서 원거리, 다지점, 다용도의 감시가 가능한 교통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의 차선에 정해진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 여부 및/또는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의 감지신호가 발생한 위치에 해당되는 방향으로 회전과 줌기능을 갖추고, 해당 위치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감지 횟수연산, 거리연산, 감지위치에 따른 카메라의 촬영위치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통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도로에 형성된 교통 신호제어기를 통해 신호등 상태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신호 위반 차량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에 시간, 차량의 위치정보 및 감지정보 그리고 신호등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하여 저장하는 전송 및 저장 장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감지센서부는 노면에 설치되어 차량의 무게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빔의 차단으로 차량의 진행을 감지하는 빔 센서와 그리고 차단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을 검지하는 거리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는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통해 촬영 위치를 해당 방향으로 방향 회전과 줌(zoom)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감시 시스템의 다른 특징은 도로의 차선에 정해진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 여부 및/또는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와, 상기 감지센서부가 위치하는 인접하는 도로 주변에 위치하여 해당 도로의 신호등 상태를 체크하는 교통 신호제어기와, 상기 감지센서부의 감지신호가 발생한 위치에 해당되는 방향으로 회전 기능을 갖추고, 해당 위치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교통 신호제어기의 신호의 상태를 수신하여 위반 차량을 선별하고,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감지 횟수연산, 거리연산, 감지위치에 따른 카메라의 촬영위치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에 시간과 차량의 위치정보 및 감지정보, 그리고 상기 교통 신호제어기에서 체크된 신호등 상태 정보를 더하여 저장하고 이를 외부 센터에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전송하는 전송 및 저장 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으로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감시 시스템은 도 1과 같이, 감지센서부(100)와, 교통신호제어기(200)와, 제어부(300)와, 카메라부(400)와, 전송및저장 장치부(500)와, 중앙서버부(6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부(100)는 도로의 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1~n) 설치되어 차선에 또는 차선유도를 위한 유도차선 또는 차량의 진입을 불허하는 차선에 설치된다. 그리고 사용되는 센서의 종류로는 차량의 무게에 의한 압력으로 감지가 가능한 센서, 또는 빔의 진행을 차단함으로써 감지를 하는 센서 등이 사용된다.
또한 단속의 대상이 신호등의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신호등의 상태의 인출이 가능한 교통신호제어기(200)와 연계되어 교통신호제어기(200)를 통해 신호등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300)는 단속의 필요에 따라 상기 교통신호제어기(200)에서 제공되는 신호등 정보를 수신하여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감지센서부(100)에서 수신된 센서 감지신호의 전송 및 전송 후 리셋 기능, 감지횟수연산, 거리연산 그리고 감지위치에 따른 카메라의 촬영위치정보를 설정 및 제어하게 된다.
즉, 노면에 설치된 각각의 센서(1~n)는 노면을 지나는 자동차등의 움직임을 통해 감지신호를 받아서 제어부(300)에 전송을 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특정 센서감지신호가 감지된 설치된 지점(1~n)의 프리셋 위치와 설정을 카메라부(400)에 전송한다.
그리고 기 설정된 제어부(300)의 설정값에 따라서 상기 카메라부(400) 방향회전과 줌 기능을 하며 카메라의 방향과 줌렌즈의 초점이 맞도록 센서가 설치된 지점(1~n)과 대응하여 최적의 영상의 획득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카메라부(400)의 촬영된 영상은 전송 및 저장 장치부(500)에 저장되고, 다시 상기 전송 및 저장 장치부는 이 촬영된 영상 또는 촬영 영상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중앙서버부(600)로 전송하게 된다.
이렇게 전송된 촬영 영상 또는 촬영 영상정보를 중앙서버부(600)는 원격지의 단속시스템의 설정과 실시간 상황의 체크, 백업, 출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감시 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감시 시스템을 통해 불법 유턴차량의 단속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감시 시스템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이, 노면의 중앙선에 설치되어 중앙선을 따라 빔의 주사를 하며, 빔의 차단여부를 감지하고, 차단지점의 거리의 산출이 가능한 복수개의 감지센서(100a, 100b)와, 중앙선을 침범하여 불법으로 유(u)턴을 시도하려는 차량(700a) 및 이미 불법 유턴을 시도한 차량(700b)과, 카메라부(400)로 구성된다.
이때, 유턴을 시도한 차량(700b)의 전륜과 상기 차량(700b)과 가장 인접되어 있는 감지센서(100a)와의 거리를 A1이라 하고, 차량(700b) 후륜과 상기 차량(700b)과 가장 인접되어 있는 감지센서(100a)와의 거리를 A2라 정의하면 다음 수학식 1과 같은 수식을 정의할 수 있다.
A1 - A2 = B
상기 수학식 1의 연산을 수행하여 산출된 B의 값으로 불법으로 유턴을 시도 한 차량의 방향을 알 수 있게 된다.
즉, B의 값이 음(-)의 값을 가지게 되는 경우는 유턴이라기 보다는 중앙선 침범 또는 불법 좌회전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B의 값이 양(+)의 값을 가지게 되는 경우는 불법 유턴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A1 및 A2 각각의 값을 이용하여 위치가 파악되는 감지센서(100a)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현재 자동차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자동차의 방향(B)과 거리가 정해지면 제어부(300)는 기 설정된 프리셋의 설정값에 따라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카메라부(400)를 제어하고, 카메라부(400)는 해당 위치로 회전하며 줌 기능 및 초점이 맞도록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여 차량의 뒷면을 촬영을 하게 된다.
이렇게 촬영된 영상은 전송 및 저장 장치부(500)서 시간과 위치정보, 감지정보를 더하여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촬영된 영상 또는 촬영 영상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중앙서버부(60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앙서버부(600)는 원격지의 단속시스템의 설정과 실시간 상황의 체크, 백업, 출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감지센서(100a, 100b)는 센서에서 발생된 빔의 차단으로 차선위반을 검지하는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감시 시스템을 통해 교차로 차선위반차량 단속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감시 시스템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같이, 교차로의 노면에 설치된 차량의 무게에 의한 압력을 감지수단으로 작동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감지센서(100c, 100d)와, 2차로에서 불법으로 좌회전을 시도하는 차량(700)과, 카메라부(400)와, 교차로에 설치된 신호제어기(200)로 구성된다.
이때, 노면의 감지센서(100c, 100d)는 차선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므로 2차로에서 차량(700)이 직진을 하는 경우에는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감지센서(100d)는 감지되고 세로 방향으로의 감지센서(100c)는 감지되지 않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의 감지센서(100c)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진행 차량이 적법한 통행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어부(300)에서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2차로에서 차량(700)이 좌회전을 시도하게 되면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 감지센서(100d)뿐만 아니라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 감지센서(100c)까지도 감지하게 될 것이고, 이 경우 불법 좌회전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어부(300)에서 판단하게 된다. 이때 단속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교통 신호제어기(200)와 연동하여 운영함으로서, 상기 교통 신호제어기(200)를 통해 현 시점의 신호등 정보를 제공받아 제어부에서 불법 상황을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도 있다.
이렇게 불법 좌회전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는 위치가 정해져 있는 감지센서(100c, 100d)를 통해 기 설정된 프리셋의 설정값에 따라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카메라부(400)를 제어하고, 카메라부(400)는 해당 위치로 회전하며 줌 기 능 및 초점이 맞도록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여 차량의 뒷면을 촬영을 하게 된다.
이렇게 촬영된 영상은 전송 및 저장 장치부(500)서 시간과 위치정보, 감지정보를 더하여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촬영된 영상 또는 촬영 영상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중앙서버부(60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앙서버부(600)는 원격지의 단속시스템의 설정과 실시간 상황의 체크, 백업, 출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감지센서(100c, 100d)는 차량의 무게에 의한 압력을 감지수단으로 차선위반여부를 검지하는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감시 시스템을 통해 정지선 위반차량 단속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감시 시스템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와 같이, 교차로의 노면에 설치된 차량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다수의 감지센서(100e, 100f)와, 2차로에서 불법으로 좌회전을 시도하는 차량(700)과, 카메라부(400)와, 교차로에 설치된 신호제어기(200)로 구성된다.
이때, 노면의 감지센서(100c, 100d)는 정지선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교통 신호제어기(200)의 신호에 따라서 진행이 금지된 차선의 감지센서를 스캔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300)는 상기 교통 신호제어기(200)에서 제공되는 신호등 정보를 토대로 교차로 진입 금지 차선을 검출하고, 이어 상기 검출된 진입 금지 차선에 진입하는 차량 중 진행이 금지된 차선에 위치하는 감지센서에서 스캔이 감지되 면 이때 정지선 위반 차량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상기 교통 신호제어기(200)에서 제공되는 신호등 정보를 토대로 교차로 진입 금지 차선이 아닌 경우에는 해당 차선에 위치하는 감지센서에서 스캔이 감지되더라도 이는 정지선 위반 차량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이 신호는 무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금지된 차선에 진입하는 정지선 위반 차량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300)는 위치가 정해져 있는 감지센서(100e, 100f)를 통해 기 설정된 프리셋의 설정값에 따라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카메라부(400)를 제어하고, 카메라부(400)는 해당 위치로 회전하며 줌 기능 및 초점이 맞도록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여 차량의 뒷면을 촬영을 하게 된다.
이렇게 촬영된 영상은 전송 및 저장 장치부(500)서 시간과 위치정보, 감지정보를 더하여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촬영된 영상 또는 촬영 영상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중앙서버부(60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앙서버부(600)는 원격지의 단속시스템의 설정과 실시간 상황의 체크, 백업, 출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감지센서(100e, 100f)는 차단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을 검지하는 거리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 감시 시스템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차선위반의 상황을 최소의 장비로서 원거리, 다지점, 다용도의 감시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부족한 단속인력을 보강하고, 명백한 근거를 제시함으로서 상습적인 위반자를 근절하여, 준법 운전자를 보호하며, 궁극적으로는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Claims (6)

  1. 도로의 차선에 정해진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 여부 및/또는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의 감지신호가 발생한 위치에 해당되는 방향으로 회전과 줌 기능을 갖추고, 해당 위치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감지 횟수연산, 거리연산, 감지위치에 따른 카메라의 촬영위치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감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도로에 형성된 교통 신호제어기를 통해 신호등 상태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신호 위반 차량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감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에 시간, 차량의 위치정보 및 감지정보 그리고 신호등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하여 저장하는 전송 및 저장 장치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토 감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부는 노면에 설치되어 차량의 무게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빔의 차단으로 차량의 진행을 감지하는 빔 센서와 그리고 차단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을 검지하는 거리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감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통해 촬영 위치를 해당 방향으로 방향회전과 줌(zoom)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감시 시스템.
  6. 도로의 차선에 정해진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 여부 및/또는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부와,
    상기 감지센서부가 위치하는 인접하는 도로 주변에 위치하여 해당 도로의 신호등 상태를 체크하는 교통 신호제어기와,
    상기 감지센서부의 감지신호가 발생한 위치에 해당되는 방향으로 회전 기능을 갖추고, 해당 위치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교통 신호제어기의 신호의 상태를 수신하여 위반 차량을 선별하고,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감지 횟수연산, 거리연산, 감지위치에 따른 카메라의 촬영위치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획득한 영상에 시간과 차량의 위치정보 및 감지정보, 그리고 상기 교통 신호제어기에서 체크된 신호등 상태 정보를 더하여 저장하고 이를 외부 센터에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전송하는 전송 및 저장 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 감시 시스템.
KR1020040067545A 2004-08-26 2004-08-26 교통 감시 시스템 KR20060019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545A KR20060019078A (ko) 2004-08-26 2004-08-26 교통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545A KR20060019078A (ko) 2004-08-26 2004-08-26 교통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078A true KR20060019078A (ko) 2006-03-03

Family

ID=37126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545A KR20060019078A (ko) 2004-08-26 2004-08-26 교통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907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039B1 (ko) * 2007-01-31 2007-11-26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불법유턴 차량의 감시,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43357B1 (ko) * 2010-03-23 2012-05-11 주식회사 리폼테크 교통신호 및 동영상 실시간 기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54183A (ko) * 2014-11-06 2016-05-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CN108701406A (zh) * 2016-01-21 2018-10-23 业纳遥控设备有限公司 用于操作交通监控设备的方法和装置、交通监控设备和交通监控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039B1 (ko) * 2007-01-31 2007-11-26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불법유턴 차량의 감시,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43357B1 (ko) * 2010-03-23 2012-05-11 주식회사 리폼테크 교통신호 및 동영상 실시간 기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54183A (ko) * 2014-11-06 2016-05-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CN108701406A (zh) * 2016-01-21 2018-10-23 业纳遥控设备有限公司 用于操作交通监控设备的方法和装置、交通监控设备和交通监控系统
CN108701406B (zh) * 2016-01-21 2021-10-22 业纳遥控设备有限公司 用于操作交通监控设备的方法和装置、交通监控设备和交通监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52122B (zh) 可自动进行违章取证的行车记录仪及系统
KR100863331B1 (ko) 차량속도 측정시스템 및 차량속도 측정방법
JP5659939B2 (ja) 車両検出システム、車載機およびセンター
KR101034486B1 (ko) 교차로 교통법규 위반 단속 시스템 및 방법
ES2689100T3 (es) Sistema de vigilancia del comportamiento del tráfico
JP2019159458A (ja) 交通信号制御装置、交通信号制御方法、および交通信号制御プログラム
JP2007047875A (ja) 車両挙動把握システム
CN109615866A (zh) 基于互联网的交通路况监控系统
WO2019189216A1 (ja) 交通監視装置、交通監視システム、交通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20200068776A (ko)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 자동차용 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KR101748552B1 (ko) 도로 감시용 촬영 시스템
CN108475467B (zh) 用于识别错误停泊车的方法
KR101195014B1 (ko) 차량의 통과 높이 제한을 위한 차량 단속 시스템
CN114348015A (zh) 车辆控制装置和车辆控制方法
JP5020299B2 (ja) 落下物検知システム、落下物検知方法
KR102380638B1 (ko) 차량 통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시스템 또는 방법
CN113799782A (zh) 车辆控制装置及车辆控制方法
KR100402645B1 (ko) 영상처리에 의한 교통법규위반 단속 장치와 제어 방법
KR20060019078A (ko) 교통 감시 시스템
KR20010044851A (ko) 복합 교통단속 장치와 제어 방법
KR20120090471A (ko) 영상 처리를 기반으로 한 끼어들기 단속 시스템
KR101917674B1 (ko) 주차 상태 자기 분석 검지 방법을 적용한 지능형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방법
JP2002230104A (ja) 通過車両自動計測システム及び車両交通量集計システム
KR102264403B1 (ko) 레이다를 이용한 단속구간 내의 차량 검출과 추적에 의한 차량번호인식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교통정보시스템
JP2020095512A (ja) 車両制御装置、車両、車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