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183A -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183A
KR20160054183A KR1020140153426A KR20140153426A KR20160054183A KR 20160054183 A KR20160054183 A KR 20160054183A KR 1020140153426 A KR1020140153426 A KR 1020140153426A KR 20140153426 A KR20140153426 A KR 20140153426A KR 20160054183 A KR20160054183 A KR 20160054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vehicle
camera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6444B1 (ko
Inventor
윤여환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53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444B1/ko
Publication of KR20160054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는, 적어도 2개 차로 이상을 관찰하며, 해당 차로들을 주행하는 차량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영상취득부와; 지주 내부 일측에 함체부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을 위한 개폐도어를 구비하며, 상부 일측에 영상취득부와 연결되는 암(arm)를 형성하는 지주부와; 상기 개폐도어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레일 위에서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함체부와; 상기 함체부에 실장되며, 상기 영상취득부를 제어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는 한 대의 카메라로 2개 차로 이상을 촬영하여 차량번호, 차종, 통과시간 또는 통과지점의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집하고, 소형화 지주 삽입형 함체를 형성하여 오염, 방수 또는 방진으로부터 제어모듈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유지보수 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OAD-SIDE AUTOMATIC NUMBER PLATE RECOGNITION OF MULTI-LANE}
본 발명은 차량번호 인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차량번호인식장치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1의 (a)는 차량번호인식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차량번호인식장치(AVI: Automatic Vehicle Identification)는 차량검지기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번호 정보 및 지점 교통정보(예: 교통량 속도, 차종, 도로 점유율)를 통제 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지점 교통정보와 구간 통행시간 정보를 동시에 획득한다.
도1의 (b)는 DSRC 교통정보수집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DSRC 교통정보수집시스템(DSR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은 하이패스 단말기를 탑재한 차량이 노측정보수집장치(RSE: Road Side Equipment)가 설치된 구간을 통과할 때, 하이패스 단말기(OBU: On Board Unit)와 노측정보수집장치 사이의 무선통신을 통해 하이패스 단말기 ID를 수집하는 방식으로 노측정보수집장치를 통해 수집된 하이패스 단말기의 통과시각과 노측정보수집장치 사이의 거리를 통해 구간 교통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는 통제 서버로 제공하여 구간교통정보를 가공한다.
그러나, 상기 차량번호인식장치는 차로별 각각 한 대의 카메라와 야간에 번호판 판독을 위해 카메라부에 내장 또는 외부에 부착되는 조명장치(예: 스트로브)를 설치하여야 하며, 왕복 4차로 기준 1회 점검시 총 4대의 카메라와 조명장치 그리고 2대의 제어기를 점검하기 때문에 유지보수에 대한 사용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DSRC 교통정보수집시스템은 상기 차량번호인식장치와 같이 지점이 아닌 안테나 수신부 영역을 검지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수집 정보에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차량번호인식장치는 차로별 각각 한 대의 카메라로 구성되기 때문에 카메라를 점검시 각 차로별 카메라를 모두 점검하여야 하며, DSRC 교통정보수집시스템은 안테나 수신부 영역을 검지함에 따라 수집 정보의 오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긴 암(arm)으로 인한 구조적 위험성과 지주부 외관에 돌출된 대형 함체로 인한 충돌사고 위험이 따른다.
따라서, 별도의 암 구조물에 차로별로 카메라를 설치하는 종래의 차량번호인식장치와 달리 다차로 차량 번호 인식이 가능한 카메라로 구성되는 차량번호인식장치와 지주부 내부에 수납되는 소형 함체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다차로 차량 번호판 인식이 가능한 카메라를 노측에 부착하고, 함체부와 제어모듈을 지주부 내부에 수납하는 노측 설치식 구간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는 한 대의 카메라로 2개 차로 이상을 촬영하여 차량번호, 차종, 통과시간, 통과지점 또는 도로교통량의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집하고, 소형화 지주 삽입형 함체를 형성하여 제어모듈을 수납하기 때문에 외부 오염으로부터 방수 또는 방진 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유지보수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차량번호인식장치에 관한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취득부의 블록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의 블록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 삽입형 함체부의 구성도.
도6은 도어 개폐에 따른 함체부의 각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의 영상 정보에 관한 예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방법에 관한 순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는,
적어도 2개 차로 이상을 관찰하며, 해당 차로들을 주행하는 차량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영상취득부와; 지주 내부 일측에 함체부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을 위한 개폐도어를 구비하며, 상부 일측에 영상취득부와 연결되는 암(arm)를 형성하는 지주부와; 상기 개폐도어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레일 위에서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함체부와; 상기 함체부에 실장되며, 상기 영상취득부를 제어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취득부는 적어도 2개 차로 이상의 특정영역에 대해 해당영역을 주행하는 차량들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피사체의 상이 카메라의 CCD에 맺히도록 입사광을 전달하고, 취득되는 영상의 크기를 일정한 범위 내에서 확대 또는 축소하여 영상을 취득하도록 차량의 촬영영역 범위를 조정하는 렌즈부와; 적외선 영역의 빛을 이용하여 양질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조명부와; 상기 카메라부 및 렌즈부를 보호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촬영영역을 원격제어에 의해 상, 하, 좌 또는 우로 조정하여 촬영하도록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조정하는 팬/틸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취득부는 상기 특정영역내에서 주행하는 차량들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부와; 상기 촬영된 영상의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부는 고해상도 카메라 또는 CCD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명부는 조도센서의 조도 정보 및 환경적응형 조리개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고, 주변 밝기 값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취득부는 1대의 카메라로 2개 차로 차량들에 대한 차량번호, 차종, 차량속도, 차량통과시간, 차량통과지점 및 도로교통량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주부는 상기 개폐도어에 센서를 구비하여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영상취득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제공받아 저장 및 압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영상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교통정보센터의 서버로 제공하는 통신부와; 상기 영상취득부, 제어부 및 통신부에 일정한 규정전압을 공급하도록 자동으로 전압을 조정하고, 환경 감시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부와; 악천후 또는 외부 주변 환경에 의한 과전류의 유입을 막아 시스템이 안정하게 운영되도록 장비를 보호하는 서지보호기와; 낙뢰, 임펄스성 노이즈 또는 침수와 같은 외부 주변 환경에 의한 과전류가 유입될 경우, 자동으로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누전차단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교통정보센터의 서버는 상기 촬영된 차량의 윤곽 분석, 차종 분석, 번호판의 수평변환, 번호판의 기울기 조정, 빛과 그림자 성분 제거 및 번호판 영역 확대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여 번호판의 문자인식률을 극대화하고, 손실된 문자 영역을 다수 인식 정보 통계로 인식/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교통정보센터의 서버는 정주행, 역주행, 차선변경 또는 가로지르기와 같은 차량 주행 형태에 관계없이 촬영된 영상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의 지주 삽입형 함체부에 있어서,
함체의 상부와 하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제1 가이드판과 제2 가이드판을 형성하는 가이드판과;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판 일측과 타측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좌우방향 회전을 위한 회전축을 구비하는 이동부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수평회전하며, 제어모듈을 수납하는 함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판은 지주부 내부에 수납되도록 상기 제1 가이드판과 제2 가이드판 일측에 힌지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함체는 내부의 열을 방출하고,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도록 방열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방법은,
영상취득부가 적어도 2개 차로 이상을 관찰하며, 해당 차로들을 주행하는 차량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단계와; 제어부가 상기 영상취득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제공받아 저장 및 압축하는 단계와; 통신부가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영상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교통정보센터의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10)는 영상취득부(100), 지주부(200), 함체부(300) 및 제어모듈(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영상취득부(100)는 적어도 2개 차로 이상을 관찰하고, 해당 차로들을 주행하는 차량을 실시간으로 촬영한다.
상기 영상취득부(100)는 레이저 트리거 또는 루프센서를 사용하여 차량(또는 물체)를 인식하는 종래의 차량번호인식장치와 달리 고해상도 HD카메라로 취득한 동영상을 분석(Image Processing)하기 때문에 별도의 레이저 트리거 또는 루프센서가 필요하지 않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트리거(trigger)는 비정현파와 그 밖의 특수 파형 발진기에 가하여 그 발진기 특유의 파형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기동 신호를 말한다.
또한, 상기 루프센서(loopsensor)는 일반적으로 차량을 감지하기 위해 바닥에 커다란 루프 서치 코일(loop search coil)을 매설하고 차량이 통과할 때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으로부터 차량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상기 지주부(200)는 지주 내부 일측에 함체부(300)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을 위한 개폐도어(21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지주부(200)는 상부 일측에 영상취득부(100)와 연결되는 암(arm)(미도시)을 형성한다.
상기 함체부(300)는 개폐도어(210)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된 레일(310)을 따라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함체부(300)는 상기 레일(310) 위에서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어모듈(400)은 상기 함체부(300)에 실장되며, 상기 영상취득부(100)를 제어하고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400)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취득부(100)에서 촬영한 차량 영상을 교통정보센터의 서버(500)로 제공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10)는 상기 영상취득부(100)에서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적어도 2개 차로의 차량정보를 수집하고, 차량번호판 판독을 동영상 분석 방식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차량 인식을 위한 레이저 트리거나 루프센서가 필요하지 않아 카메라의 구조가 단순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카메라 점검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주부(200) 내부에 함체부(300)와 제어모듈(400)이 실장됨에 따라 함체부(300)와 제어모듈(400)을 소형화 할 수 있으며, 오염, 방수 또는 방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취득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취득부(100)는 카메라부(110), 렌즈부(120), 조명부(130), 하우징부(140), 팬/틸트부(150), 속도부(160) 및 시간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부(110)는 적어도 2개 차로 이상의 특정영역에 대해 해당영역을 주행하는 차량들을 실시간으로 촬영한다.
상기 카메라부(110)는 고해상도 카메라 또는 CCD 카메라(charge-coupled device camera)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CD 카메라는 디지털 카메라의 하나로, 전하 결합 소자(CCD)를 사용하여 영상을 전기 신호를 변환함으로써 디지털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기억 매체에 저장하는 장치를 말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110)는 주간 또는 야간에 차량 번호판 인식이 양호하도록 안티블루밍(antiblooming) 기능을 수행하고, 자동셔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110)는 취득한 차량영상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GiGE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모듈의 제어부로 전송한다.
상기 렌즈부(120)는 피사체의 상이 카메라의 CCD에 맺히도록 입사광을 전달하고, 취득되는 영상의 크기를 일정한 범위 내에서 확대 또는 축소하여 영상을 취득하도록 차량의 촬영영역 범위를 조정한다.
상기 조명부(130)는 야간 또는 악천후의 날씨에 양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적외선 영역의 빛을 이용한다.
이때, 상기 조명부(130)는 순간적으로 밝게 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촬영이 가능하도록 조명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130)는 조도센서의 조도 정보 및 환경적응형 조리개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주변 밝기 값을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140)는 상기 카메라부, 렌즈부, 및 조명부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천후 옥외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140)는 카메라부(110), 렌즈부(120) 및 조명부(130)의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고려한 구조이며, 외부 온도변화에 자동 동작할 수 있도록 팬을 장착할 수 있다.
상기 팬/틸트부(150)는 상기 촬영영역을 원격제어에 의해 상, 하, 좌 또는 우방향으로 조정하여 촬영하도록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조정한다.
상기 속도부(160)는 상기 특정영역내에서 주행하는 차량들의 속도를 감지한다.
상기 시간부(170)는 상기 촬영된 영상의 실시간 정보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상기 영상취득부(100)의 카메라부(110), 렌즈부(120), 조명부(130), 하우징부(140), 팬/틸트부(150), 속도부(160) 및 시간부(17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간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취득부(100)는 1대의 카메라로 적어도 2개 차로 차량들에 대한 차량번호, 차종, 차량속도, 차량통과시간, 차량통과지점 및 도로교통량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제어모듈(400)은 제어부(410), 통신부(420), 전원부(430), 서지보호기(440) 및 누전차단기(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영상취득부(100)의 카메라부(110)에서 촬영한 영상을 제공받고, 그 제공받은 정보를 저장 및 압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10)는 통신부(420)의 상태를 감시 및 제어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모듈 방식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420)는 상기 제어부(410)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교통정보센터의 서버(500)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410)와 통신부(420)는 수집된 교통 데이터를 교통정보센터의 서버(500)의 요구에 의해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교통 데이터의 처리주기 및 전송주기를 변경 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430)는 상기 영상취득부(100), 제어부(410) 및 통신부(420)에 일정한 규정전압을 공급하도록 자동으로 전압을 조정한다.
이때, 상기 전원부(430)는 입력전압 또는 부하의 변동에 따른 출력전압의 편차를 없애고, 출력전압이 항상 일정한 규정전압을 유지하도록 하며, 입력 또는 출력 전압상태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430)는 환경감시 기능 즉, 이상전류를 감지하기 위해 누전 감지 및 과전류 차단 회로를 내장할 수 있다.
상기 서지보호기(440)는 악천후 날씨 또는 외부 주변 환경에 의한 과전류의 유입을 막고, 시스템이 안정하게 운영되도록 장비를 보호한다.
또한, 상기 서지보호기(440)는 내장형 LED 표시 기능을 통해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누전차단기(450)는 낙뢰, 임펄스성 노이즈 또는 침수와 같은 외부 주변 환경에 의한 과전류가 유입될 경우, 자동으로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 삽입형 함체부의 구성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부(300)는 가이드판(310), 레일(320), 이동부(330) 및 함체(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판(310)은 함체(340)의 상부와 하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제1 가이드판(311)과 제2 가이드판(3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310)은 지주부(200) 내부에 수납되도록 상기 제1 가이드판(311)과 제2 가이드판(312) 일측에 힌지축(313)을 구비한다.
상기 레일(320)은 상기 제1 가이드판(311)과 제2 가이드판(312)의 일측과 타측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이동부(330)는 상기 레일(32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함체(340)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을 구비한다.
상기 함체(340)는 상기 이동부(330)에 결합되어 수평회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모듈(400)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층구조로 이루어진 바디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함체(340)는 내부의 열을 방출하고,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도록 방열팬(미도시)을 구비한다.
도6은 도어개폐에 따른 함체부의 각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6의 (a)는 상기 지주부(200)와 지주부(200) 일측에 형성된 도어(210)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어(210)는 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도어(210)의 개방/폐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6의 (b)는 상기 지주부(200) 내부에 수납(또는 삽입)된 함체부(300)를 나타낸 것이다.
도6의 (c)는 상기 도어(210)를 개방하여 지주부(200) 내부에 수납된 함체부(300)를 나타낸 것이다.
도6의 (d)는 상기 함체부(300)에 연결된 가이드판(310)을 확장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6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판(310)은 상기 함체부(300)의 상부과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확장 형성된다.
도6의 (e)는 상기 확장된 가이드판(310)의 레일(320)을 따라 함체(340)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판(310)이 전측방향으로 확장 형성되는 경우, 상기 지주부(200) 내부에 수납되어 있던 상기 함체(340)가 레일(320)을 따라 전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6의 (f)는 상기 함체(340)의 좌우 수평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6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340)가 전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회전축에 의해 함체(340)는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함체부(300)는 지주부(200)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가이드판(310) 및 레일(320)이 확장 형성됨은 물론 이동부(330)가 회전 가능함에 따라 작업자가 함체(340)에 수납된 제어모듈(400)을 보다 용이하게 설치하고, 유지 보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부(300)는 특수 고무패킹으로 처리하여 외부의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고, 먼지 필터(dust filter)를 장착하여 외부 먼지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400)은 함체부(300)와 지주부(200)의 내부에 수납됨에 따라 2중 잠금구조로 형성되며, 외부의 오염으로부터 방수 또는 방진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의 영상 정보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7의 (a)는 노측에 설치된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10)가 2개 차로의 차량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7의 (b)는 도7의 (a)에서 수집된 차량정보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통정보센터의 서버(500)는 실시간으로 촬영된 2개 차로들의 차량 정보를 다음과 같이 추출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교통정보센터의 서버(500)는 상기 촬영된 차량의 윤곽 분석, 차종 분석, 번호판의 수평변환, 번호판의 기울기 조정, 빛과 그림자 성분 제거 및 번호판 영역 확대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여 번호판의 문자인식률을 극대화하여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통정보센터의 서버(500)는 상기 촬영된 차량번호의 손실된 문자 영역을 다수 인식 정보 통계로 인식/보정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통정보센터의 서버(500)는 정주행, 역주행, 차선변경 또는 가로지르기와 같은 차량 주행 형태에 관계없이 촬영된 영상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교통정보센터의 서버(500)는 차량이 촬영된 시간, 장소, 차량번호, 차량종류, 차량속도 또는 도로교통량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방법은 상기 영상취득부(100)에서 적어도 2개 차로 이상을 관찰하여, 해당 차로들을 주행하는 차량을 실시간으로 촬영한다(S10).
이후, 상기 제어부(410)가 상기 영상취득부(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제공받아 저장 및 압축한다(S20).
이후, 상기 통신부(420)가 상기 제어부(410)에 저장된 영상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교통정보센터의 서버(500)로 제공한다(S30).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100 : 영상취득부 110 : 카메라부
120 : 렌즈부 130 : 조명부
140 : 하우징부 150 : 팬/틸트부
160 : 속도부 170 : 시간부
200 : 지주부 210 : 도어
300 : 함체부 310 : 가이드판
311 : 제1 가이드판 312 : 제2 가이드판
313 : 힌지축 320 : 레일
330 : 이동부 340 : 함체
400 : 제어모듈 410 : 제어부
420 : 통신부 430 : 전원부
440 : 서지보호기 450 : 누전차단기
500 : 교통정보센터 서버

Claims (21)

  1. 적어도 2개 차로 이상을 관찰하며, 해당 차로들을 주행하는 차량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영상취득부와;
    지주 내부 일측에 함체부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을 위한 개폐도어를 구비하며, 상부 일측에 영상취득부와 연결되는 암(arm)를 형성하는 지주부와;
    상기 개폐도어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레일 위에서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함체부와;
    상기 함체부에 실장되며, 상기 영상취득부를 제어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취득부는
    적어도 2개 차로 이상의 특정영역에 대해 해당영역을 주행하는 차량들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피사체의 상이 카메라의 CCD에 맺히도록 입사광을 전달하고, 취득되는 영상의 크기를 일정한 범위 내에서 확대 또는 축소하여 영상을 취득하도록 차량의 촬영영역 범위를 조정하는 렌즈부와;
    적외선 영역의 빛을 이용하여 양질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조명부와;
    상기 카메라부 및 렌즈부를 보호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촬영영역을 원격제어에 의해 상, 하, 좌 또는 우로 조정하여 촬영하도록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조정하는 팬/틸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취득부는
    상기 특정영역내에서 주행하는 차량들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부와;
    상기 촬영된 영상의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고해상도 카메라 또는 CCD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조도센서의 조도 정보 및 환경적응형 조리개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고, 주변 밝기 값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취득부는
    1대의 카메라로 2개 차로 차량들에 대한 차량번호, 차종, 차량속도, 차량통과시간, 차량통과지점 및 도로교통량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는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도어에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영상취득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제공받아 저장 및 압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영상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교통정보센터의 서버로 제공하는 통신부와;
    상기 영상취득부, 제어부 및 통신부에 일정한 규정전압을 공급하도록 자동으로 전압을 조정하고, 환경 감시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부와;
    악천후 또는 외부 주변 환경에 의한 과전류의 유입을 막아 시스템이 안정하게 운영되도록 장비를 보호하는 서지보호기와;
    낙뢰, 임펄스성 노이즈 또는 침수와 같은 외부 주변 환경에 의한 과전류가 유입될 경우, 자동으로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누전차단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센터의 서버는
    상기 촬영된 차량의 윤곽 분석, 차종 분석, 번호판의 수평변환, 번호판의 기울기 조정, 빛과 그림자 성분 제거 및 번호판 영역 확대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여 번호판의 문자인식률을 극대화하고, 손실된 문자 영역을 다수 인식 정보 통계로 인식/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센터의 서버는
    정주행, 역주행, 차선변경 또는 가로지르기와 같은 차량 주행 형태에 관계없이 촬영된 영상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11.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의 지주 삽입형 함체부에 있어서,
    함체의 상부와 하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제1 가이드판과 제2 가이드판을 형성하는 가이드판과;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판 일측과 타측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좌우방향 회전을 위한 회전축을 구비하는 이동부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수평회전하며, 제어모듈을 수납하는 함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삽입형 함체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지주부 내부에 수납되도록 상기 제1 가이드판과 제2 가이드판 일측에 힌지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삽입형 함체부.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내부의 열을 방출하고,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도록 방열팬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삽입형 함체부.
  14. 영상취득부가 적어도 2개 차로 이상을 관찰하며, 해당 차로들을 주행하는 차량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단계와;
    제어부가 상기 영상취득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제공받아 저장 및 압축하는 단계와;
    통신부가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영상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교통정보센터의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들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단계는
    카메라부가 적어도 2개 차로 이상의 특정영역에 대해 해당영역을 주행하는 차량들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단계와;
    렌즈부가 피사체의 상이 카메라의 CCD에 맺히도록 입사광을 전달하고, 취득되는 영상의 크기를 일정한 범위 내에서 확대 또는 축소하여 영상을 취득하도록 차량의 촬영영역 범위를 조정하는 단계와;
    조명부가 적외선 영역의 빛을 이용하여 양질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단계와;
    팬/틸트부가 상기 촬영영역을 원격제어에 의해 상, 하, 좌 또는 우로 조정하여 촬영하도록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들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영역내에서 주행하는 차량들의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영상의 시간을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고해상도 카메라 또는 CCD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조도센서의 조도 정보 및 환경적응형 조리개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고, 주변 밝기 값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들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단계는
    1대의 카메라로 2개 차로 차량들에 대한 차량번호, 차종, 차량속도, 차량통과시간, 차량통과지점 및 도로교통량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센터의 서버는
    상기 촬영된 차량의 윤곽 분석, 차종 분석, 번호판의 수평변환, 번호판의 기울기 조정, 빛과 그림자 성분 제거 및 번호판 영역 확대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여 번호판의 문자인식률을 극대화하고, 손실된 문자 영역을 다수 인식 정보 통계로 인식/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정보센터의 서버는
    정주행, 역주행, 차선변경 또는 가로지르기와 같은 차량 주행 형태에 관계없이 촬영된 영상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방법.
KR1020140153426A 2014-11-06 2014-11-06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KR101676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426A KR101676444B1 (ko) 2014-11-06 2014-11-06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426A KR101676444B1 (ko) 2014-11-06 2014-11-06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183A true KR20160054183A (ko) 2016-05-16
KR101676444B1 KR101676444B1 (ko) 2016-11-15

Family

ID=56108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426A KR101676444B1 (ko) 2014-11-06 2014-11-06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64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140B1 (ko) * 2016-06-29 2017-04-05 주식회사 한일에스티엠 단일카메라를 이용한 다차로상의 차량검지 및 차량번호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25855A (ko) * 2019-08-28 2021-03-10 주식회사 이안씨엔티 야간에 저속도 차량에 대한 차량번호 판별장치
KR102243509B1 (ko) * 2021-02-25 2021-04-22 에스앤피글로벌주식회사 스마트 다기능 교통 관제 시스템
KR102560968B1 (ko) * 2022-12-30 2023-07-28 (주)토페스 노면상태 검지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5206A (ja) * 2002-05-31 2004-01-08 Hanshin Expressway Public Corp 道路状況撮影装置、交通管制設備及び交通管制方法
JP2006048395A (ja) * 2004-08-05 2006-02-16 Toshiba Corp 速度計測装置および速度計測方法
KR20060019078A (ko) * 2004-08-26 2006-03-03 렉스젠(주) 교통 감시 시스템
KR101322162B1 (ko) * 2013-07-09 2013-10-28 한국비전기술(주) 차량 검지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검지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5206A (ja) * 2002-05-31 2004-01-08 Hanshin Expressway Public Corp 道路状況撮影装置、交通管制設備及び交通管制方法
JP2006048395A (ja) * 2004-08-05 2006-02-16 Toshiba Corp 速度計測装置および速度計測方法
KR20060019078A (ko) * 2004-08-26 2006-03-03 렉스젠(주) 교통 감시 시스템
KR101322162B1 (ko) * 2013-07-09 2013-10-28 한국비전기술(주) 차량 검지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검지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140B1 (ko) * 2016-06-29 2017-04-05 주식회사 한일에스티엠 단일카메라를 이용한 다차로상의 차량검지 및 차량번호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25855A (ko) * 2019-08-28 2021-03-10 주식회사 이안씨엔티 야간에 저속도 차량에 대한 차량번호 판별장치
KR102243509B1 (ko) * 2021-02-25 2021-04-22 에스앤피글로벌주식회사 스마트 다기능 교통 관제 시스템
KR102560968B1 (ko) * 2022-12-30 2023-07-28 (주)토페스 노면상태 검지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6444B1 (ko) 2016-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70266B (zh) 一种智能视觉感知系统
KR100541613B1 (ko) 차량 탑재형 번호 인식장치
KR101676444B1 (ko)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US20240046689A1 (en) Road side vehicle occupancy detection system
KR101275297B1 (ko) 이동객체 추적 카메라 장치
KR101625538B1 (ko) 도시방범이 가능한 다차선 자동차 번호판 인식시스템
WO2012126272A1 (zh) 全视野闪电事件观测系统及方法
EP4145404A1 (en) Road side vehicle occupancy detection system
EP3624436A1 (en) Image collec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vehicle chassis image obtaining system
CN111163246A (zh) 高空抛坠物监测系统
JP4511750B2 (ja) 車両監視システム
KR20090035394A (ko) 위법차량 감시시스템
KR101806324B1 (ko) 다기능 감시카메라
KR20150107423A (ko) 팬틸트 일체형 감시 카메라의 영상추적 제어 시스템
KR101479178B1 (ko) 가로등을 대체할 수 있는 cctv용 지능형 카메라장치
KR100925382B1 (ko) 위법차량 감시시스템
RU2539676C2 (ru) Комплекс видеофиксации и измерения скорости движения и координат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102204015B1 (ko) 영상에 기반한 주차 차단기 및 이를 통한 차량 통제 방법
KR101146585B1 (ko) 차량검지를 통한 증거사진 촬영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방범 시스템
KR101023854B1 (ko) 스쿨존의 경보시스템
KR100964250B1 (ko) 방범용 양방향 감시 시스템
KR101056994B1 (ko) 지능형 영상 보안 시스템 및 그 보안방법
KR20110005855U (ko) 교통사고 자동 기록장치
CN217305995U (zh) 一种基于时空分析的定向车道低速车及变道车抓拍设备
KR101659825B1 (ko) 방위각 식별이 가능한 방범 촬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