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8414A -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8414A
KR20060018414A KR1020040066772A KR20040066772A KR20060018414A KR 20060018414 A KR20060018414 A KR 20060018414A KR 1020040066772 A KR1020040066772 A KR 1020040066772A KR 20040066772 A KR20040066772 A KR 20040066772A KR 20060018414 A KR20060018414 A KR 20060018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module
module
side bracket
mounting structur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8873B1 (ko
Inventor
진요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6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8873B1/ko
Publication of KR20060018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4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 B60Q1/044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uilt into the vehicle body, e.g. 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f the headlamps on the vehicle body the housing being fastened onto the vehicle body using means other than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소정 거리 떨어져 평행하도록 프론트 엔드 모듈에 구비되고 중심선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관통구멍(24)이 각각 형성된 메인벽(22A)(22B)으로 이루어진 모듈측 브래킷(20)과, 상기 관통구멍(24)의 내경 크기보다 큰 외경 크기를 갖도록 헤드램프에 구비된 본체부(32)에 상기 관통구멍(24)으로 끼워지는 연장부(34)가 형성되며 이 연장부(34)에는 상기 메인벽(22A)(22B)의 사이에 위치되면서 다른 부위보다 외경 크기가 작은 소경부(36)가 형성된 램프측 브래킷(30)과, 상기 메인벽(22A)(22B)의 사이로 끼워지며 상기 소경부(36)가 삽입되는 절개홈(42)이 형성되고 그 절개홈(42)의 내측에 스토퍼(43)가 돌출 형성되며 외력을 가하기 위한 손잡이(46)를 갖는 고정브래킷(40)을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램프의 장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정비작업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자동차, FEM, 헤드램프, 마운팅, 브래킷

Description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Head lamp mounting structure for front end module of a vehicle}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2는 종래 기술의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에 사용되는 모듈측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
도3은 종래 기술의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에 사용되는 램프측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요부인 모듈측 브래킷을 나타낸 상세도;
도6은 본 발명의 요부인 램프측 브래킷을 나타낸 상세도;
도7은 본 발명의 요부인 고정브래킷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론트 엔드 모듈 20 : 모듈측 브래킷
22A, 22B : 메인벽 23 : 연결벽
24 : 관통구멍 26 : 손잡이 수용홈
28 : 돌기 수용홈 30 : 램프측 브래킷
32 : 본체부 34 : 연장부
36 : 소졍부 40 : 고정브래킷
41, 44 : 경사면 42 : 절개홈
43 : 스토퍼 46 : 손잡이
48 : 돌기
본 발명은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의 장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정비작업성이 우수한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은 자동차의 차체를 이루는 전방 부위를 모듈화한 것으로, 대개 좌우측 헤드램프 서포트패널과, 상기 좌우측 헤드램프 서포트패널 사이에 연결되는 라이에이더 어퍼패널과, 상기 좌우측 헤드램프 서포트패널의 하측에 범퍼 서포트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범퍼 서포트에는 라디에이터 로워패널이 용접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범퍼 서포트에는 고정브라켓을 개재하여 범퍼 조립체가 볼트 고정되고, 상기 라디에이터 로워패널과 상기 라디에이터 어퍼패널 사이에는 쿨링모듈 및 헤드램프를 설치하여 이들 각 부품을 하나의 몸체로 모듈화시키며, 이렇게 모듈화된 몸체가 볼트체결로 프론트 패널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프론트 엔드 모듈은 차체에 조립되는 공정이 단순화되고 경량화가 실현되는 우수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그 프론트 엔드 모듈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내구성 및 교환의 용이성까지 만족하는 것은 아니며, 특히 헤드램프의 경우, 그 헤드램프의 마운팅 구조가 내구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점 및 헤드램프의 정비를 위한 작업 공간이 협소하고 공구의 사용이 곤란하여 정비 작업이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을 갖는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고, 도2 및 도3은 모듈측 브래킷 및 램프측 브래킷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프론트 엔드 모듈(1)에 형성된 모듈측 브래킷(2)에, 헤드램프(3)에 형성된 램프측 브래킷(4)이 끼워지는 구조를 보인다.
그리고, 상기 모듈측 브래킷(2)은 원호 형상의 홈(5)을 갖고 상기 램프측 브래킷(4)은 상기 홈(5)에 탄력적으로 끼워 결합되는 원호 형상의 돌기(6)를 가지며, 이러한 구조는 헤드램프의 탈거를 용이하게 하여 정비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는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헤드램프를 탈거하는 것으로, 프론트 엔드 모듈이 점차 복잡해지고 컴팩트해짐으로써 공구를 삽입하여 헤드램프를 탈거하기 위한 작업 공간이 매우 협소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헤드램프의 탈거 작업이 매우 곤란한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게다가, 상기한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는 험로 주행시 진동에 의한 마찰력으로 브래킷이 마모되면서 헐거워져 내구성에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헤드램프의 장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헤드램프를 쉽게 탈거할 수 있어 정비작업성이 우수하도록 된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소정 거리 떨어져 평행하도록 프론트 엔드 모듈에 구비되고 중심선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관통구멍이 각각 형성된 메인벽으로 이루어진 모듈측 브래킷과, 상기 관통구멍의 내경 크기보다 큰 외경 크기를 갖도록 헤드램프에 구비된 본체부에 상기 관통구멍으로 끼워지는 연장부가 형성되며 이 연장부에는 상기 메인벽의 사이에 위치되면서 다른 부위보다 외경 크기가 작은 소경부가 형성된 램프측 브래킷과, 상기 메인벽의 사이로 끼워지며 상기 소경부가 삽입되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그 절개홈의 내측에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며 외력을 가하기 위한 손잡이를 갖는 고정브래킷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로서, 프론트 엔드 모듈(10)에 구비된 모듈측 브래킷(20)과, 이 모듈측 브래킷(20)에 끼워지도록 헤드램프(미도시됨)에 구비된 램프측 브래킷(30) 및 상기 램프측 브래킷(30)이 모듈측 브래킷(20)에 끼워진 후 이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브래킷(40)을 갖는다.
상기 모듈측 브래킷(20)은 도5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것처럼, 소정 거리 떨어져 서로 평행하도록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10)에 고정되는 한 쌍의 본체벽(22A)(22B)을 가지며, 이 본체벽(22A)(22B)에는 중심선이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관통구멍(24)이 각각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벽(22A)(22B)에는 프론트 엔드 모듈(10)에서 가장 먼 쪽의 끝단에 연결벽(23)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모듈측 브래킷(20)의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의 'U'자형으로 구비되어 그 개방된 부위가 프론트 엔드 모듈(10)에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램프측 브래킷(30)은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10)의 관통구멍(24)을 통해 끼워지는 원통 형상을 갖는다.
이를 도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램프측 브래킷(30)은 상기 관통구멍(24)의 직경보다 큰 크기의 외경 크기를 갖는 본체부(32)와, 상기 본체부(32)의 끝단에서 소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관통구멍(24)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크기의 외경 크기를 갖는 끼움부(3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끼움부(34)의 길이는 상기 본체벽(32A)(32B)의 관통구멍(24)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그 끼움부(34)의 일측과 타측이 모두 관통구멍 (24)에 끼워질 수 있도록 설정되며, 상기 끼움부(34)의 중앙 부위, 즉 상기 본체벽(32A)(32B)의 사이에 위치되는 부위에는 그 끼움부(34)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 크기를 갖는 소경부(3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경부(36)의 길이는 본체벽(32A)(32B) 사이의 거리의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된 것이 좋다.
상기에서, 끼움부(34)의 선단 가장자리 부위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관통구멍(24)으로 보다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램프측 브래킷(30)은 본체부(32)의 끝단이 미도시된 헤드램프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브래킷(40)은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10)의 본체벽(32A)(32B) 사이로 끼워지는 사각판재 형상을 갖는다. 물론, 이 고정브래킷(40)의 두께는 상기 본체벽(32A)(32B)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고, 폭은 프론트 엔드 모듈(10)과 연결벽(23)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이를 도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브래킷(40)에는 본체벽(32A)(32B) 사이로 끼워지는 부분의 끝단부터 시작하여 대략의 중앙 부위까지 절개된 절개홈(42)이 형성되며, 이 절개홈(42)의 폭은 상기 램프측 브래킷(30)의 소경부(36)의 외경 크기와 동일한 정도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개홈(42)에는 본체벽(32A)(32B) 사이로 끼워지는 부분의 끝단부터 시작하여 소정 부위까지 그 폭이 점차 감소되게 하는 경사면(44)이 형성되며, 그 경사면(44)과 절개홈(42)의 경계 부위에는 내측으로 약간 돌출된 스토 퍼(43)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경사면(44)은 절개홈(42)을 이루는 양측 표면에 모두 형성되거나, 어느 일측 표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래킷(40)의 전체적인 폭은 본체벽(32A)(32B) 사이로 끼워지는 부분의 끝단부터 시작하여 소정 부위까지 그 폭이 점차 커지게 하는 경사면(41)이 형성되며, 이 경사면(41)은 양측 표면에 모두 형성되거나 일측 표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래킷(40)에는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10)에 접하는 부위에 본체벽(32A)(32B)으로 끼워지는 부분의 반대 쪽 단부로부터 프론트 엔드 모듈(10) 쪽으로 돌출되는 삼각형 모양의 돌기(48)가 형성되며, 이 돌기(48)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홈(28)이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10)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기(48)의 뾰족한 부위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고정브래킷(40)에는 좌우 양측의 어느 일측 표면에 본체벽(32A)(32B)으로 끼워지는 부분의 반대 쪽 끝단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의 손잡이(46)가 형성되며, 이 손잡이(46)를 수용하는 손잡이 수용홈(26)이 상기 본체벽(22A)에 형성된다.
상기에서 램프측 브래킷(30)의 소경부(36)가 고정브래킷(40)의 절개홈(42) 내측으로 끼워질 때 스토퍼(43)가 형성된 부분을 통해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램프측 브래킷(30)의 소경부(36)가 모듈측 브래킷(20)의 본체벽(22A)(22B) 사이에 위치되도록, 프론트 엔드 모듈(10)에 구비된 모듈측 브래킷(20)의 관통구멍(24)을 통해 램프측 브래킷(30)이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모듈측 브래킷(20)의 본체벽(22A)(22B) 사이로 고정브래킷(40)이 끼워짐으로써 램프측 브래킷(30)의 소경부(36)가 고정브래킷(40)의 절개홈(42)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고정브래킷(40)의 절개홈(42)에 의해 램프측 브래킷(30)이 모듈측 브래킷(20)에서 빠져 분리되는 것이 방지할 뿐만 아니라, 그 절개홈(42)에 형성된 스토퍼(43)는 고정브래킷(40)이 모듈측 브래킷(20)에서 빠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램프측 브래킷(30)을 모듈측 브래킷(20)에서 분리시키려면 고정브래킷(40)에 형성된 손잡이(46)를 모듈측 브래킷(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면 고정브래킷(40)이 모듈측 브래킷(20)에서 분리되며, 이 상태에서 램프측 브래킷(30)을 모듈측 브래킷(20)에서 분리시키는 간단한 작업으로 램프측 브래킷(30)의 분리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에 의하면,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해드램프를 쉽게 탈거 가능하여 정비작업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게다가, 램프측 브래킷이 고정브래킷을 매개로 모듈측 브래킷에 견고하게 장착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갖는다.

Claims (3)

  1. 소정 거리 떨어져 평행하도록 프론트 엔드 모듈에 구비되고 중심선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관통구멍(24)이 각각 형성된 메인벽(22A)(22B)으로 이루어진 모듈측 브래킷(20)과,
    상기 관통구멍(24)의 내경 크기보다 큰 외경 크기를 갖도록 헤드램프에 구비된 본체부(32)에 상기 관통구멍(24)으로 끼워지는 연장부(34)가 형성되며 이 연장부(34)에는 상기 메인벽(22A)(22B)의 사이에 위치되면서 다른 부위보다 외경 크기가 작은 소경부(36)가 형성된 램프측 브래킷(30)과,
    상기 메인벽(22A)(22B)의 사이로 끼워지며 상기 소경부(36)가 삽입되는 절개홈(42)이 형성되고 그 절개홈(42)의 내측에 스토퍼(43)가 돌출 형성되며 외력을 가하기 위한 손잡이(46)를 갖는 고정브래킷(40)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측 브래킷(20)은 메인벽(22A)(22B)의 끝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연결벽(23)을 가지며, 상기 고정브래킷(40)은 프론트 엔드 모듈(10) 쪽으로 돌출된 돌기(48)를 가지며,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10)에는 상기 돌기(48)가 수용되는 돌기 수용홈(28)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40)은 상기 연결벽(23)에 인접된 부위의 표면에 그 고정브래킷(40)이 메인벽(22A)(22B) 사이에 끼워지는 방향 쪽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된 경사면(41)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42)의 표면에 그 고정브래킷(40)이 메인벽(22A)(22B) 사이에 끼워지는 방향 쪽의 끝단에서 스토퍼(43)가 형성된 부위까지 상향 경사지도록 된 경사면(4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
KR1020040066772A 2004-08-24 2004-08-24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 KR100558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772A KR100558873B1 (ko) 2004-08-24 2004-08-24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772A KR100558873B1 (ko) 2004-08-24 2004-08-24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414A true KR20060018414A (ko) 2006-03-02
KR100558873B1 KR100558873B1 (ko) 2006-03-10

Family

ID=37126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772A KR100558873B1 (ko) 2004-08-24 2004-08-24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88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5093A (ko) * 2013-03-20 2014-09-30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의 조립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235B1 (ko) 2004-12-24 2011-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5093A (ko) * 2013-03-20 2014-09-30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의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8873B1 (ko) 200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02857B2 (ja) 車両用熱交換器の取付け構造
JP4231439B2 (ja) 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取付構造
KR100558873B1 (ko)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 마운팅 구조
JP2006248483A (ja) バンパの固定構造
KR101824906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JP4797512B2 (ja) 車両の前部構造
JP2008126712A (ja) 車両のバンパー取付構造
KR100506334B1 (ko) 자동차의 리어 셀프트림
JP4402924B2 (ja) ブラケット
JP2007131281A (ja) バンパの取り付け構造
CN102653255B (zh) 车辆前部结构
KR100471475B1 (ko) 자동차용 프론트엔드 모듈의 센터멤버 구조
CN210882030U (zh) 一种应用于雨刮器中的构件
CN111845952B (zh) 前围上盖板结构
KR100536606B1 (ko)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
KR101471395B1 (ko) 캐리어
KR200240839Y1 (ko) 차량 실내 램프 장착 구조
KR200339117Y1 (ko) 차량의 부속 장치 장착용 부재
KR100453857B1 (ko) 자동차의 프론트 범퍼 고정구조
KR20040033490A (ko) 차량 헤드램프 하우징의 고정구조
KR100353736B1 (ko)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글래스 장착구조
KR200195916Y1 (ko) 차량용 안개등 고정어셈블리
KR100384414B1 (ko) 로케이션 홀 구조
JP2008221928A (ja) メータユニット取付構造
KR101672033B1 (ko) 차량의 공용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