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0918A -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조절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조절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0918A
KR20060010918A KR1020040059516A KR20040059516A KR20060010918A KR 20060010918 A KR20060010918 A KR 20060010918A KR 1020040059516 A KR1020040059516 A KR 1020040059516A KR 20040059516 A KR20040059516 A KR 20040059516A KR 20060010918 A KR20060010918 A KR 20060010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pruritus
rash
present
plan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0197B1 (ko
Inventor
오세군
Original Assignee
오세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군 filed Critical 오세군
Priority to KR1020040059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197B1/ko
Publication of KR20060010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0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1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연고(ointment) 등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인체에 안전한 천연 식물인 금송, 명아주, 지부자, 용규, 마치현 및 고삼 등으로부터 얻은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배합한 것으로서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 피부염, 두드러기 등의 피부면역관련 질환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심한 가려움증(소양증)과 발진 등 증상의 피부면역상태를 조절, 개선하여 전술한 피부면역질환의 치유 또는 개선에 유효한 효과를 갖는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조절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 피부염, 두드러기 등의 피부면역관련 질환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심한 가려움증(소양증)과 발진 등 증상의 피부면역상태를 조절, 개선하여 전술한 피부면역질환의 치유 또는 개선에 유효한 효과를 갖기 위하여 종래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인체에 안전한 천연의 금송, 명아주, 지부자, 용규. 마치현 및 고삼을 건조 약재를 기준하여 일정 함량비로 혼합하여 에탄올 같은 극성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화장료의 제형에 따라 일정 함량 함유하는 것으로서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조절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효과를 임상적으로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조상물은 피부면역조절을 유도하여 가려움,피부 발진을 동반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기저귀 발진등을 포함하는 피부발진, 피부소양증등의 개선에 있어서 종래 처방의 피부 외용 제 조성물에 비해 우수한 치유 효과를 가진다.
소양증, 알레르기, 두드러기, 면역질환, 금송, 명아주, 지부자, 용규, 마치현, 고삼

Description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조절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Compositions of ointments controlling skin immune system containing specific herbal extract complex}
본 발명은 종래의 연고(ointment) 등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인체에 안전한 천연 식물인 금송, 명아주, 지부자, 용규, 마치현 및 고삼 등으로부터 얻은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배합한 것으로서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 피부염, 두드러기 등의 피부면역관련 질환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심한 가려움증(소양증)과 발진 등 증상의 피부면역상태를 조절, 개선하여 전술한 피부면역질환의 치유 또는 개선에 유효한 효과를 갖는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조절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피부염, 두드러기 등과 관계가 있는 알레르기와 가려움 증상들은 주로 면역 글로블린E(IgE) 항체가 매개하는 제1형 알레르기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1형 알레르기에 대한 면역반응 중 가장 심각한 형태인 아토피성 피부염은 심함 가려움증(소양감)을 가지는 재발성의 만성 피부염으로 종전에는 유아기에 주로 발생하여 태열이라고도 하였으며 주로 유전적 으로나 잦은 샤워 등 생활 습관에 의해 각질층내의 세라마이드(ceramides)의 함량이 감소됨에 따라 발생하는 것으로서 각질층의 수분유지기능이 떨어짐에 따라 피부가 건조되어 각질이 쉽게 일어나며, 피부 장벽(skin barrier) 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자극유발물질(또는 allergen)이 각질층내로 침입하여 자극을 유발시키고 정상피부에서는 침입하기 어려운 항원 단백질이 침입함에 따라 피부 알레르기 등이 용이하게 발생하여 견디기 힘들만큼의 소양증 증상을 나타내기도 하는 것이다. 또한 환경오염 등에 의한 공기매개성 알레르기의 원인물질(allergen)의 증가와 건성 피부를 형성시키는 조건의 증가 등으로 인해 최근 수십년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유병율이 증가하고 있다. 즉, 주변환경에 접하는 집먼지 진드기, 동물의 털, 꽃가루, 음식물 등과 같은 단백 항원에 대한 피부반응검사를 수행했을 때, 수분 내지 수시간내에 아나필락시성 쇼크, 두드러기와 혈과부종, 호흡곤란, 코막힘과 콧물, 재채기, 결막충혈, 및 부종,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즉시형 반응을 피부, 호흡기, 눈 및 장 점막에 잘 일으키고 이러한 특성들은 가족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가진다. 임상학적으로 아토피성 피부염은 환자의 연령에 따라 비교적 특징적인 피부병변과 분포양상을 보여 이를 생후 2내지3개월부터 2세까지의 유아기, 3세이후 사춘기 전까지의 소아기, 사춘기 및 성인기 등의 3가지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아토피 피부의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크게 네 가지로 밝혀져 있는데, 첫째는 유전적 원인에 의한 것으로 피부보호기능을 담당하는 피부 보호막인 세포막의 인지질과 각질세포간의 결합물질인 세포간지질을 구성하는 필수지방산인 감마-리놀레인산(γ-linoleic acid;GLA)이 부족한 상태로 인해 피부 보호막을 단단하게 만들지 못하므로 피부표면의 수분이 쉽게 소실되고 외부자극에 의해 쉽게 알러지가 발생한다는 것이며, 둘째로 환경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현대인의 주거환경의 변화로 아파트생활이 보편화되면서 생활환경이 건조한 상태로 변화됨에 따라 세계적으로 아토피 피부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수분 보유력이 저하되고 피부보호기능이 상실되어 적은 자극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알러지가 발생한다는 것이고, 세째는 활성산소에 의한 것으로 활성산소에 의해 과산화지질이 생성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아토피 피부가 발생한다는 것, 네째로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에 감염되어 발생한다는 것으로서 이러한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관계하여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은 넓게는 피부면역반응의 일종으로 해석되고 있고 이러한 피부면역반응은 피부내의 표피조직에 있는 랑겔한스 세포가 그 역할을 한다. 이 세포는 말초적 위치에서 항원제공세포(antigen presenting cell)로서 기능을 한다. 즉, T림프구에 대한 항원을 제조 및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항원의 제공은 랑겔한스 세포에 의해 발현되는 주요 조직적 합성복합체의 제2부류 분자들과 CD4+ 림프구의 T수용체 사이의 상호작용을 포함한다. 면역 감작의 초기단계 동안에 항원은 랑겔한스 세포의 표면에 있는 복합체인 HLA-DR-면역원성 펩티드와 CD4+ 림프구의 T수용체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일어난다. 혼합림프상피배양물(MLEC)은 물질로 처리하거나 또는 처리함 없이 항원을 제공하는 동종성 상피세포에 의하여 유도된 림프구의 증식을 측정함으로써 피부의 면역학적 평형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의 면역조절 성질을 측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의 모델이 될 수 있다. 항 알레르기 활성은 각질화 세포(Keratinocyte)와 대식세포상에서 확인된다. 대식세포는 그것이 국소적인 염증반응 뿐만 아니라 그것들의 항원을 제공하는 능력 및 국소적인 면역성을 조절하는 대다수의 싸이토카인을 생성하는 능력을 통해서 면역반응까지도 조절하는 피부의 수준에서도 존재하는 세포이기 때문에 특히 유익한 세포이다. 이들 대식세포는 또한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세포들(단핵세포,호중구,에오신 호성 백혈구 및 T림프구)을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서, 관심의 대상인 조직의 비특이적 방어력을 증가시킬수 있는 순환 시스템과 관련하여 포함된다. 또 최근에는 이러한 피부면역학적으로 뿐만 아니라 피부장벽분야 연구의 진보로 아토피피부가 피부장벽의 부실에 의한 피부내 수분의 손실에 따른 피부건조증이 아토피 피부염의 중요한 병태로서 인식되어졌다. 아토피 피부염환자의 피부는 정상인에 비하여 피부의 최외각층인 각질층의 각질세포들 사이를 채우고 있는 세라마이드(ceramide)의 양이 저하되어 보호기능을 하는 지질층막을 형성치 못하기 때문에 피부내 수분을 유지하고 외부로부터 피부를 보호해주는 피부장벽기능에 문제가 있다. 피부장벽 부실로 인한 건조피부가 되면 외부의 자극원이나 알러지 원인물질의 피부내 침투가 용이하여 표피내에 존재하는 케라티노사이트에 반응하여 염증반응 관련 싸이토카인(예를 들면 TNE-alpha, Interleukin-1)등을 생성케 유도하여비알러지성 염증반응과 습진이 일어나거나 피부면역세포인 랑겔한스세포에 반응하여 항원-항체반응까지 유도되어 혈청증 IgE라는 항체의 양이 증가하고 피부에 담마진(두드러기, Utricaria)을 형성시키는데 피부장벽이 부실한 사람의 경우는 가려움 때문에 긁음으로써 습진화 될 수 있다. 최근에는 IgE가 직접 습진반응을 일으킬 수도 있다고 알려졌다. 즉 알러젠(집먼지,진드기등)과 IgE의 항원-항체반응이 비만세 포에서 사이토카인을 생성. 방출케 하고 림프구와 호산구의 침윤을 수반한 습진반응을 일으킨다. 현재 이러한 아토피 피부를 개선하기위해서는 피부장벽을 복구하는 세라마이드, 필수지방산과 콜레스테롤의 지질복합체를 도포 등의 방법으로 적용하거나(한국특허공개2000-0044622) 가려움을 예방키 위한 항히스타민제의 경구복용, 항염증등을 위한 스테로이드제제의 적용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필수지방산인 감마리놀렌산의 복용 및 적용(에포감, 한독약품, 한국 특허공개2000-004633), 피부면역 상태개선을 위한 올리고당(한국 특허공개2000-0029754), 은행잎추출물(한국 특허 공개1999-0076619) 등의 적용 등이 특허로 나와 있으나 아토피 피부의 궁극적 개선은 부실해진 피부장벽의 복구를 기본으로 하는 바, 이에 관련된 연구는 상기한 바와 같이 많은 진보가 있어 지금은 공지의 사실로 세라마이드(ceramides)를 포함하는 지질 복합체를 아토피 피부 혹은 피부염등으로 인하여 부실해진 피부의 치료제로서 이용되고 있지만 보다 근본적인 접근은 심한 가려움증(소양증)과 발진 등 증상을 더불어 개선하는 면역적 조절이라 할 수 있다. 아토피나 피부염환자의 면역 상태를 조절하지 않고는 지속적인 가려움을 동반한 알레르기적 반응은 피부상태를 또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면역조절제로 사용되느 의약품은 Cyclosporin, FK506등이 이용되고 있으나 아토피등의 피부국소적 치료제로는 비용등의 한계로 인하여 이용되지 못하고 있고 피부외용제로서 하이드로코티손 (hydrocortisone)과 같은 스테로이드 제품이 여전히 대부분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아토피 피부의 예방과 치료에 있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효과적인 측면이나 피부안전성 측면에 있어서 아직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아토피 피부용 외용제에 사용되는 스테로이드제의 사용은 표피의 성장억제나 부작용 등의 역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우레아 퍼록사이드 등은 피부의 자극성과 또다른 접촉성 피부염의 우려가, 항히스타민제와 같은 항생물질은 내균성의 발생과 광과민 작용의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공지의 상기생, 합환피, 창이자, 맥아, 쑥 등 종래의 단독 식물 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에 유효한 화장료 조성물은 심한 소양증상(가려움증)이 효과적으로 해소되지 않아 계속 손으로 긁어대므로 증세의 악화가 줄어들지 않는 등 그 효능에 있어서 미미하거나 유효한 효과는 인정하지만 민감한 아토피 피부에 대해서는 경우에 따라 알레르기 과민반응을 보이는 경우도 있어 그 사용 범위가 다소 한정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세라마이드(ceramides)에 의한 피부 장벽의 보습 물질 강화로는 아토피 피부의 가려움증을 해소하기엔 역부족이다. 그외에 일반적인 아토피 피부용 제품에 들어가 있는 계면활성제, 향료, 알코올 등은 보호 능력이 약한 아토피 피부에는 쉽게 흡수되어 가려움증을 오히려 촉진하고 악화시킬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부면역조절을 통한 가려움증을 해소해야하는 보다 근본적인 대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장기간 사용해도 인체 안전성이 높은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한방 의학에서 사용되고 있으면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잡초 성격의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이 소양증, 피부발진, 알레르기 등에 대해 유효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 다. 또한 본 발명의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이 그 특정 식물들의 단일 추출물에 비해 소양증, 피부발진, 알레르기 등에 대해 보다 유효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되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조절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공지의 세라마이드를 첨가함으로써 아토피의 원인과 증상으로 알려져 있는 각질층의 세포간지질의 감소에 따른 각질층의 수분유지기능 저하와 피부 건조, 피부장벽(skin barrier) 기능 저하에 대해 보습 및 보호 기능을 강화시킬 수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하여 이들 식물추출물을 종래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함유함으로써 심한 가려움증이나 발진 등을 동반하는 아토피 피부에 유효한 효과를 갖는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조절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개발하게 된 바 이를 본 발명의 실시예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 피부염, 두드러기 등의 피부면역관련 질환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심한 가려움증(소양증)과 발진 등 증상의 피부면역상태를 조절, 개선하여 전술한 피부면역질환의 치유 또는 개선에 유효한 효과를 갖기 위하여 종래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에 인체에 안전한 천연의 금송, 명아주, 지부자, 용규. 마치현 및 고삼을 건조 약재를 기준하여 일정 함량비로 혼합하여 에탄올 같은 극성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화장료의 제형에 따라 일정 함량 함유하는 것으로서 구성된 것이다.
이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려움증, 발진이나 알레르기 해소를 위한 피부면역조절용 피부외용제 조성물과 관련하여 과거에는 가려움을 예방키 위한 항 히스타민제의 경구복용, 항 염증용 스테로이드 제제의 적용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필수지방산인 감마리놀렌산의 복용 및 적용, 피부면역상태 개선을 위한 올리고당, 은행잎추출물 등의 적용이 이용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안정성과 실효성을 지닌 피부면역조절 성분의 개발과 함께 피부면역체계와 그 조절에 관한 오랜 기간 동안의 메카니즘 연구의 결과에 따라 소양증, 발진, 알레르기 발생 메카니즘의 문제를 다각적인 방향으로 다루도록 화장료 조성을 구성하였기에 보다 탁월한 항소양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본 발명의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조절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에서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각 식물들에 대해 피부면역조절을 통한 항소양 기능과 연관된 알려진 사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금송은 겉씨식물의 구과목, 낙우송과의 상록침엽 교목으로서 한국(대전 이남),·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높이 15∼40m, 지름 1.5m의 크기로 나무껍질은 얇고 짙은 붉은빛을 띠는 갈색이다. 어린 가지에 비늘조각 같은 잎이 드문드문 붙는다. 잎은 줄 모양이며 2개가 합해져서 두껍다. 나비 3mm 정도이며 윤기가 나는 짙은 녹색이고, 끝이 파이며 양면 가운데에 얕은 홈이 있다. 열매는 구과로 10월에 익는다. 길이 8∼12cm이고 달걀 모양 타원형이고 곧게 서며, 열매조각은 납작하고 둥글다. 종자는 길이 1.2cm 정도로 날개가 있다. 재목은 물에 견디는 힘이 강하여 건축재·가구재 등으로 쓴다. 금송이라는 이름은 일본에서 잘못 붙인 한자이름에서 비롯하였다.
명아주(항학초)는 집주변 공터에서 흔히 자생하는 명아주는 그 깨끗하고 어 린 잎을 따서 모아 살짝 데쳐 나물로 먹기도 하는데 약간 푸석한 느낌을 주는 별미이다. 성분과 작용으로서 로이신, 베타인, 트리고넬린 등의 아미노산, 지방산 팔미틴산, 올레이산, 리놀산 등과 비타민 A, B, C를 함유하고 있다. 히스테리, 신경쇠약, 간장 질환에도 달여서 마신다. 그리고 종창, 류마티스, 가려움증 등에 달인 물로 찜질하거나 씻는다.
지부자(대싸리)는 그 씨를 받아 화단이나 공터에 뿌려 놓으면 예쁘게 잘 자라며, 예로부터 대사리는 전초 그대로나 씨(지부자)를 모아 약으로 사용해왔으며, 고서에는 "지부자는 성한하고 소양 가려움증을 제거하며 방광열을 없앤다. 약효가 가장 광범위하다."고 한다. 전초에 탄닌3%, 플라보노이드, 쿠마린, 사포닌 등이 있고 열매에는 트리테르펜 배당체와 20%의 기름이 있다. 간세포 보호작용, 리담작용, 글리코겐 축적작용, 항 지간 작용, 항염증, 이뇨작용이 있고 간담의 질병에 전초를 달여서 사용한다.
용규(까마중)는 용규의 검은색 열매는 지난 세대의 어린 시절, 밖에서 뛰어놀다가 풀밭에서 만나는 주전부리이기도 했다. 고서에 "용규감한, 열수를 물리치고, 절박 손상을 고치고 소변을 통리하게 한다."라고 되어 있다. 스테로이드 알칼로이드(솔라닌, 솔라니틴 등)와 미량의 아트로핀, 니코틴, 플라보노이드, 루틴, 아스파라긴, 솔라구스틴, 타닌, 시토스테린, 사포닌(리오스게닌), 유기산 등이 있다. 전초 달임액은 장티프스균, 포도알구균, 녹농균, 적리균, 대장균, 진균에 억제작용이 있다. 항염작용이 있고, 혈당 낮춤 작용이 있다. 알칼로이드는 히스타민을 분해하여 기침멎이, 가래삭힘작용, 항 알레르기 작용이 있다. 또 전초 달임액 은 방부제, 종처, 습진, 버짐 등의 피부염과 상처난 데 바른다.
마치현은 민간요법으로 부종이나 염증과 같은 피부 트러블에 사용되어져 왔으며, 화장품에서는 항염증, 항알러지제로 쓰인다. 마치현은 indomethacin과 견줄만한 항염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삼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한국·일본·중국·시베리아 등지의 양지 바른 풀밭에 서식하며 높이 80∼100cm의 크기로 도둑놈의지팡이·너삼·뱀의정자나무라고도 한다. 녹색이지만 어릴 때는 검은빛을 띤다. 줄기는 곧고 잎은 어긋나며 홀수깃꼴겹잎이다. 잎자루가 길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열매는 협과로 염주 모양이다. 짧은 대가 있으며 길이 7∼8cm로 9∼10월에 익는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말린 것을 고삼이라 하는데, 맛이 쓰고 인삼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신경통·간염·황달·치질 등에 처방한다. 민간에서는 줄기나 잎을 달여서 살충제로 쓰기도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식물들의 배합 중량비는 건조 약재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
금송; 60∼120g, 명아주; 60∼120g, 지부자; 60∼120g,
용규; 30∼60g, 마치현; 30∼60g, 고삼; 60∼120g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약재들은 종래의 동결건조 방법으로 건조시키고 미세분말화한 후 추출하는데 이에 이용되는 추출 용매는 정제수와 글리세린(Glycerin),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등과 같은 폴리올류(Polyols)의 혼합 용액이며, 추출 방법은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 능한데,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의한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은 건조된 혼합 분말에 5∼10배량의 상기 추출 용매를 가하여 1∼7일간 실온에서 침적 추출하거나 1기압하 50∼60℃에서 1∼5시간 가온 추출하여 얻는다. 한편, 상기 각 식물들의 단일 추출물도 동일한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조절용 조성물을 피부에 바르는 외용제의 형태로 하는 경우, 피부 외용제 중의 식물추출 혼합물의 배합량은 전체의 0.05∼50.0 중량%, 특히 0.1∼10.0 중량%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피부면역조절용 피부 외용제은 상기(上記)한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 외에도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피부 외용제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각종 성분, 예를 들면 수용성 성분, 분말 성분, 유분,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도조절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향료, 색소 등을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아토피피부 치료제에 많이 사용되어온 세라마이드(Ceramides) 등 보습제 또는 지질(Lipids) 성분이나 하이드로코티손(Hydrocortisone) 등의 스테로이드 (Steroids), 레티닐 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 등의 비타민A 유도체 또는/및 토코페롤(Tocopherol), 기타 식물추출물 등을 공지의 레시틴(lecithin)을 이용하여 리포좀(liposome) 형태로 만들거나 N-스테아로일-파이토스핑고신(N-stearoyl-phytosphingosine)에 포접시켜 병용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형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되, 종래의 일반적인 제형인 크림에서부터 로션타입, 화장수타입, 팩타입 등 뿐만 아니라, 비 누, 세안폼과 같은 세안료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식물들은 오래 전부터 동양에서는 민간 요법 또는 한방에서 사용해 오던 재료로서 일정 함유량 내에서 피부 외용제로 사용시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확인되어 있어서,피부 및 점막에 대한 자극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의 제조 방법을 실시예1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 본 발명에 사용되는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의 제조 방법
건조약재 기준으로 금송을 분쇄한 것 100g, 명아주를 분쇄한 것 100g, 지부자를 분쇄한 것 100g, 용규를 분쇄한 것 50g, 마치현을 분쇄한 것 50g, 고삼을 분쇄한 것 100g 등을 부틸렌 글리콜과 정제수를 각각 1:3으로 혼합한 용액 4,000㎖에 가하여 50∼60℃에서 10일간 침적하고 이를 여과, 농축하여 추출물 1,510g의 농축물을 얻었다.
한편, 상기 각 식물들의 단일 추출물의 제조 방법도 실시예1과 동일한데 실시예2∼7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2> - 본 발명에 사용된 금송의 단일 추출물의 제조 방법
건조약재 기준으로 금송을 분쇄한 것 500g을 부틸렌 글리콜과 정제수를 각각 1:3으로 혼합한 용액 4,000㎖에 가하여 50∼60℃에서 10일간 침적하고 이를 여과, 농축하여 추출물 1,550g의 농축물을 얻었다.
<실시예3> - 본 발명에 사용된 명아주의 단일 추출물의 제조 방법
건조약재 기준으로 명아주를 분쇄한 것 500g을 부틸렌 글리콜과 정제수를 각각 1:3으로 혼합한 용액 4,000㎖에 가하여 50∼60℃에서 10일간 침적하고 이를 여과, 농축하여 추출물 1,480g의 농축물을 얻었다.
<실시예4> - 본 발명에 사용된 지부자의 단일 추출물의 제조 방법
건조약재 기준으로 지부자를 분쇄한 것 500g을 부틸렌 글리콜과 정제수를 각각 1:3으로 혼합한 용액 4,000㎖에 가하여 50∼60℃에서 10일간 침적하고 이를 여과, 농축하여 추출물 1,520g의 농축물을 얻었다.
<실시예5> - 본 발명에 사용된 용규의 단일 추출물의 제조 방법
건조약재 기준으로 용규를 분쇄한 것 500g을 부틸렌 글리콜과 정제수를 각각 1:3으로 혼합한 용액 4,000㎖에 가하여 50∼60℃에서 10일간 침적하고 이를 여과, 농축하여 추출물 1,510g의 농축물을 얻었다.
<실시예6> - 본 발명에 사용된 마치현의 단일 추출물의 제조 방법
건조약재 기준으로 마치현을 분쇄한 것 500g을 부틸렌 글리콜과 정제수를 각각 1:3으로 혼합한 용액 4,000㎖에 가하여 50∼60℃에서 10일간 침적하고 이를 여과, 농축하여 추출물 1,450g의 농축물을 얻었다.
<실시예7> - 본 발명에 사용된 고삼의 단일 추출물의 제조 방법
건조약재 기준으로 고삼을 분쇄한 것 500g을 부틸렌 글리콜과 정제수를 각각 1:3으로 혼합한 용액 4,000㎖에 가하여 50∼60℃에서 10일간 침적하고 이를 여과, 농축하여 추출물 1,490g의 농축물을 얻었다.
또한 <실시예1∼7>의 본 발명의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 조절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처방예8,9)과 각 식물들의 단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처방예2∼7), 그리고 종래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대조용; 처방예1)을 표1을 통해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그리고 이들 피부 외용제들은 유성성분과 수성성분을 75℃로 각각 가열한 다음 크림제조용 혼합기에서 균질화용 믹서(homogenizer)를 이용하여 유화시킨 다음 탈기, 여과, 냉각하여 처방예 1∼9의 크림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원료명 처방예1 처방예2 처방예3 처방예4 처방예5 처방예6 처방예7 처방예8 처방예9
스테아린산 2.0 2.0 2.0 2.0 2.0 2.0 2.0 2.0 2.0
스테아릴 알코올 3.0 3.0 3.0 3.0 3.0 3.0 3.0 3.0 3.0
1,3부틸렌 글리콜 5.0 5.0 5.0 5.0 5.0 5.0 5.0 5.0 5.0
모노스테아린산글리콜 4.0 4.0 4.0 4.0 4.0 4.0 4.0 4.0 4.0
수산화칼륨 0.1 0.1 0.1 0.1 0.1 0.1 0.1 0.1 0.1
정제수 79.9 77.0 77.0 77.0 77.0 77.0 77.0 77.0 75.9
세라마이드 - - - - - - - - 2.0
레시틴 5.0 5.0 5.0 5.0 5.0 5.0 5.0 5.0 5.0
콜레스테롤 1.0 1.0 1.0 1.0 1.0 1.0 1.0 1.0 1.0
실시예1의 추출물 - - - - - - - 2.0 2.0
실시예2의 추출물 - 2.0 - - - - - -
실시예3의 추출물 - - 2.0 - - - - - -
실시예4의 추출물 - - - 2.0 - - - - -
실시예5의 추출물 - - - - 2.0 - - - -
실시예6의 추출물 - - - - - 2.0 - - -
실시예7의 추출물 - - - - - - 2.0 - -
실험예.1: 아토피 피부의 소양증의 개선효과 시험.
처방예 1∼9에서 제조한 크림 조성물에 대한 아토피성 피부염의 소양증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6세에서 18세까지의 난치성 아토피환자 40명에게 무처치군, 처방예 1∼9군 등으로 10개 그룹으로 분류하여 한 그룹당 4명씩 4주간 적용하고 피검자에게 다음 기준으로 평가를 하게 한뒤 이를 평균하였다. 이 평가에서 평균 3.5점 이상이 되어야 아토피성 피부염의 가려움증 해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의 표2에 나타내었다.
1점:매우 호전되었다. 2점:완화된 것이 확실히 느껴진다. 3점:약간 완화된 것 같으나 잘 느껴지지 않는다. 4점:효과없다. 5점:더욱 심해졌다
<아토피 피부의 소양증 개선 여부의 임상효과>
처방예1 처방예2 처방예3 처방예4 처방예5 처방예6 처방예7 처방예8 처방예9
5일후 32.3 26.5 28.4 27.6 28.2 26.8 27.8 24.8 23.2
10일후 30.7 23.1 25.7 24.4 25.6 23.4 24.9 20.5 19.4
20일후 31.5 23.6 26.1 24.9 26.3 24.1 25.1 21.2 17.9
위의 실험에서 실시예1의 본 발명에 사용되는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과 또한 이것에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크림 조성물이 대조용인 종래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나 각 식물들의 단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보다 탁월하게 좋은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이의 결과를 좀더 확실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알레르기 피부를 가진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피부 소양증의 개선 효과 측정을 피부면역조절 기능을 평가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실험예.2)
실험예2; 알레르기성 피부의 소양증의 개선효과 시험.
처방예 1∼9에서 제조한 크림 조성물에 대한 알레르기성 피부의 소양증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15세에서 30세까지의 알레르기성 피부환자 40명에게 무처치군, 처방예 1∼9군 등으로 10개 그룹으로 분류하여 한 그룹당 4명씩 4주간 적용하고 피검자에게 다음 기준으로 평가를 하게 한뒤 이를 평균하였다. 이 평가에서 평균 3.5점 이상이 되어야 아토피성 피부염의 가려움증 해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의 표2에 나타내었다.
1점:매우 호전되었다. 2점:완화된 것이 확실히 느껴진다. 3점:약간 완화된 같으나 잘 느껴지지 않는다. 4점:효과없다. 5점:더욱 심해졌다
<알레르기성 피부의 소양증 개선 여부의 임상효과>
처방예1 처방예2 처방예3 처방예4 처방예5 처방예6 처방예7 처방예8 처방예9
5일후 30.2 24.8 26.7 25.5 26.2 26.9 25.9 22.5 20.4
10일후 28.6 21.2 23.9 22.8 23.1 23.7 22.5 18.6 17.5
20일후 29.2 22.7 25.4 23.2 23.9 24.8 22.9 19.5 16.0
위의 실험에서도 실시예1의 본 발명에 사용되는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과 또한 이것에 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크림 조성물이 대조용인 종래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나 각 식물들의 단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보다 탁월하게 좋은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모든 결과를 두고 볼 때,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조절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효과를 임상적으로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조상물은 피부면역조절을 유도하여 가려움,피부 발진을 동반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기저귀 발진등을 포함하는 피부발진, 피부소양증등의 개선에 있어서 종래 처방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비해 우수한 치유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종래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금송, 명아주, 지부자, 용규, 마치현 및 고삼으로부터 추출한 식물추출물을 0.1 내지 10.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조절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피부면역조절용이란 아토피 피부,피부 소양증, 건선, 피부건조증, 두드러기, 피부 발적 등의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하여 의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조절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040059516A 2004-07-29 2004-07-29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억제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00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516A KR100900197B1 (ko) 2004-07-29 2004-07-29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억제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516A KR100900197B1 (ko) 2004-07-29 2004-07-29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억제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918A true KR20060010918A (ko) 2006-02-03
KR100900197B1 KR100900197B1 (ko) 2009-06-04

Family

ID=37121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516A KR100900197B1 (ko) 2004-07-29 2004-07-29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억제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01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6259A1 (en) * 2006-04-28 2007-11-08 Purimed Co., Ltd. Compositions for treating autoimmune disease containing extracts of sophora flavescens
KR101106216B1 (ko) * 2008-10-22 2012-01-19 이병수 피부염 예방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CN107233441A (zh) * 2017-07-04 2017-10-10 金云龙 一种用于治疗荨麻疹的中药制剂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1706A (zh) * 2015-04-26 2015-07-15 赵霞 一种治疗慢性荨麻疹的中药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329A (ko) * 2000-12-12 2002-06-21 성재갑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08528B1 (ko) * 2002-09-12 2005-08-17 이충우 작두콩과 금송전초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화장료 제조방법
KR20050052839A (ko) * 2003-12-01 2005-06-07 주식회사 태평양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6259A1 (en) * 2006-04-28 2007-11-08 Purimed Co., Ltd. Compositions for treating autoimmune disease containing extracts of sophora flavescens
KR101106216B1 (ko) * 2008-10-22 2012-01-19 이병수 피부염 예방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CN107233441A (zh) * 2017-07-04 2017-10-10 金云龙 一种用于治疗荨麻疹的中药制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0197B1 (ko) 200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772575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33857B1 (ko)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1471818B1 (ko)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132625A1 (ko) 약초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86982A (ko) 원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02222B1 (ko) 아토피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식물성 혼합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28385A (ko) 미담 청결안을 이용한 여드름 개선을 위한 한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037927B1 (ko) 골쇄보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0513659B1 (ko)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090084435A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87572B1 (ko)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900197B1 (ko) 특정 식물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면역억제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86975B1 (ko)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KR101891218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CN115429725B (zh) 用于抗氧化、抗炎、皮肤镇静的化妆品组合物
KR20090075950A (ko) 난치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2813A (ko)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102272237B1 (ko) 천연물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127771B1 (ko)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또는 피부진정을 위한 조성물
KR20110095765A (ko) 현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KR20060007076A (ko) 아토피 피부염, 여드름, 건선, 로사시아, 지루성 피부염 등의 피부질환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항염증 및 면역조절 효과를 보유한 천연추출물제제 bsasm
KR20090042073A (ko) 자극완화 효능을 가진 특정의 식물추출 혼합물과 이를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89667B1 (ko) 특정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