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0338A -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0338A
KR20060010338A KR1020040058997A KR20040058997A KR20060010338A KR 20060010338 A KR20060010338 A KR 20060010338A KR 1020040058997 A KR1020040058997 A KR 1020040058997A KR 20040058997 A KR20040058997 A KR 20040058997A KR 20060010338 A KR20060010338 A KR 20060010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box
housing
protrusion
rotor
c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1816B1 (ko
Inventor
김인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8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816B1/ko
Publication of KR20060010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0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52Other locks for chests, boxes, trunks, baskets, travelling bag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푸쉬 보턴형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를 단순화하고 작동감을 유연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글로브 박스 하우징(21)과 글로브 박스 커버(22) 사이의 공간부(C)에 설치하고, 전방의 대향위치에 지지공(31)(31')을, 후방 상면에 통공(32)을 형성한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에 삽입하는 로터본체(41)의 전단에 상기 지지공(31)(31')에 삽입 지지하는 돌기(42)(42')를 형성하고, 로터본체(41)의 대향위치에 경사상 가이드 홈(43)(43')을 형성하며, 로터본체(41)의 후단 편심위치에 제어돌기(44)를 형성한 로터(40)와; 상기 하우징(30)에 노브본체(51)를 직선운동할 수 있게 삽입하고, 노브본체(51)의 후방에 가이드 바(52)를 형성하여 코일 스프링(53)과 함께 로터본체(41)에 삽입함과 동시에 가이드 바(52)의 대향위치에 상기 경사상 가이드 홈(43)(43')에 삽입되는 회전돌기(54)(54')를 형성하여 노브본체(51)의 직진운동에 의하여 로터(40)를 회전시키는 노브(50)와; 캐치본체(61)에 걸림돌기(62)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62)를 하우징(30)의 후방에 걸림돌기(62)가 통공(32)의 내면 주위에 지지되게 코일 스프링(63)과 함께 수직으로 삽입하여 돌출시에 크래쉬 패드 메인 패널(11)에 걸림하고, 상기 걸림돌기(62)에 지지홈(64)을 형성하여 상기 제어돌기(44)에 삽입 지지한 캐치(60)로 구성한 것이다.
글로브 박스 커버, 하우징, 통공, 로터, 돌기, 경사상 가이드 홈, 제어돌기, 노브, 가이드 바, 회전돌기, 캐치, 걸림돌기

Description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 {GLOVE BOX LOCK MECHANISM FOR AUTOMOBI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잠금해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2 : 글로브 박스 커버 30 : 하우징 32 : 통공
40 : 로터 42, 42' : 돌기
43, 43' : 경사상 가이드 홈 44 : 제어돌기 50 : 노브
52 : 가이드 바 54, 54' : 회전돌기 60 : 캐치
62 : 걸림돌기
본 발명은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푸쉬 보턴형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의 크래쉬 패드의 동승자석(조수석) 전방에 설치 하는 글로브 박스는 하방을 로워 브라켓에 힌지 결합하고, 상방 중앙에는 래치를 설치하여 크래쉬 패드에 설치한 스트라이커에 잠그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래치는 글로브 박스의 상방 일측에 로크 부설 노브를 설치하여 상기 노브와 래치를 로드 등으로 연결하여 상기 노브에 의하여 로드를 조작함으로써 스트라이커에 잠긴 래치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하고, 상기 로크는 열쇠에 의하여 잠금위치로 조작하면 노브의 구속에서 해제됨으로써 래치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열쇠 없이는 글로브 박스를 열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는 현재 출원인의 자동차에 실시하고 있으며, 열쇠 없이는 글로브 박스를 개방할 수 없음으로 도난방지 효과는 있으나, 래치와 로크 부설 노브를 일정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각각 설치하여 로드로 연결하고, 또한 스트라이커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할 뿐 아니라 상기 스트라이커는 통상적으로 카울 크로스 바에 브라켓을 설치하여 그 자유단에 설치하는 것임으로 구조 및 그 결합수단이 복잡하여 무게가 무겁고 원가 상승요인이 되고 있으며, 또한 노브와 노크가 글로브 박스 커버에 길게 노출되어 있어 외관도 아름답지 못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한 원가 상승 요인 등의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한 푸쉬 보턴형 글로브 박스 잠금장치를 제안하여 실용신안 등록 제 120010 호(1998. 3. 27 등록)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바, 상기 잠금장치는 사각형으로 형성하여 그 선단이 테이퍼지고 중앙에 걸림쇠가 탄력 설치된 키뭉치가 장착되는 슬라이더와, 보턴이 일체로 구성된 푸쉬 보턴과; 상기 슬라이더 선단의 전후 직진운동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좌우 직선운동하여 스트라이커를 제어할 수 있는 2개의 가 동핀과; 상기 푸쉬 보턴이 전후 이동가능하게 탄력 설치되고 상기 걸림쇠가 걸릴 수 있는 걸림턱이 내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가동핀이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하우징으로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등록 실용신안은 역시 스트라이커를 구비하여야 함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보턴을 눌러 슬라이더를 전후 직진시키면 그 선단에 지지된 가동핀이 좌우 직선운동하도록 되어 있음으로 작동감이 유연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어 실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선등록 실용신안의 문제점을 시정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작동감을 유연하게 한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글로브 박스 하우징과 글로브 박스 커버 사이의 공간부에 설치하고, 전방의 대향위치에 지지공을, 후방 상면에 통공을 형성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하는 로터본체의 전단에 상기 지지공에 삽입 지지하는 돌기를 형성하고, 로터본체의 대향위치에 경사상 가이드 홈을 형성하며, 로터본체의 후단 편심위치에 제어돌기를 형성한 로터와; 상기 하우징에 노브본체를 직선운동할 수 있게 삽입하고, 노브본체의 후방에 가이드 바를 형성하여 코일 스프링과 함께 로터본체에 삽입함과 동시에 가이드 바의 대향위치에 상기 경사상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회전돌기를 형성하여 노브본체의 직진운동에 의하여 로터를 회전시키는 노브와; 캐치본체에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를 하우징의 후방에 걸림돌기가 통공의 내면 주위에 지지되게 코일 스프링과 함께 수직으로 삽입하여 돌출시에 크래쉬 패드 메인 패널에 걸림하고, 상기 걸림돌기에 지지홈을 형성하여 상기 제어돌기에 삽입 지지한 캐치로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의 요부 분해사시도로서, 10은 크래쉬 패드이고, 20은 글로브 박스이며, 상기 글로브 박스(20)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한 글로브 박스 하우징(21)의 외면에 글로브 박스 커버(22)를 공간부(C)(이 공간부의 하부에는 동승자석 탑승자의 무릎이 전방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볼스터가 설치됨)가 형성되게 결합하여 크래쉬 패드 메인 패널(11)에 형성한 삽입홈(12)에 삽입하여 그 하방을 로워 브라켓(미도시)에 힌지 결합한 것이다.
30은 하우징으로서, 상기 하우징(30)은 후방이 폐쇄된 중공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전방의 대향위치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길이의 지지공(31)(31')을 형성하고, 후방 상면에 통공(32)을 형성하여 상기 공간부(C)에 설치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30)을 공간부(C)에 설치할 때 전단부에 걸림턱(33)을, 후방에 브라켓(34)을 형성하여 걸림턱(33)을 글로브 박스 커버(22)의 상방 중앙에 형성한 삽입공(23)을 통하여 삽입하여서 걸림턱(33)을 삽입공(23) 주위에 지지한 후 글로브 박스 하우징(21) 측에서 상기 브라켓(34)에 스크류(35)를 체결함으로써 하우징(30)의 설치를 간편하게 하고 단순화한 것이다.
40은 로터로서, 상기 로터(40)는 로터본체(41)를 후방이 막힌 중공원통형으 로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30)에 삽입하고, 로터본체(41)의 전단에 돌기(42)(42')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공(31)(31')에 삽입 지지하여 정위치에서 회전운동할 수 있게 하며, 또한 로터본체(41)의 대향위치에는 경사상 가이드 홈(43)(43')을 형성함과 동시에 후단의 편심위치에 제어돌기(44)를 형성한 것이다.
50은 노브로서, 상기 노브(50)는 노브본체(51)와 노브본체(51)의 후방에 일체로 가이드 바(52)를 형성하여 노브본체(51)는 상기 하우징(30)에 삽입함과 동시에 가이드 바(52)는 코일 스프링(53)과 함께 상기 로터본체(41)에 삽입하고, 가이드 바(52)의 대향위치에 회전돌기(54)(54')를 형성하여 상기 경사상 가이드 홈(43)(43')에 삽입 지지하여서, 노브본체(51)를 푸쉬할 때 직진운동하면서 회전돌기(54)(54')가 가이드 홈(43)(43')을 따라 후진하면서 상기 로터(40)를 회전운동하며, 상기 로터(40)가 회전하면서 그 후단의 편심위치에 형성한 제어돌기(44)가 후술하는 캐치(60)를 하강운동 시키도록 한 것이다.
상기 노브본체(51)에 가이드 돌기(55)를 형성하고, 하우징(30)의 상기 가이드 돌기(55) 대응위치에 가이드 홈(56)을 형성하여 가이드 돌기(55)를 가이드 홈(56)에 삽입함으로써 노브(50)의 직진운동을 양호하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바(52)의 후방에 코일 스프링(53)을 삽입할 때 가이드 바(52)에 스프링 수납홈(57)을 형성하여 코일 스프링(53)의 일단을 삽입 지지함으로써 코일 스프링(53)의 압축 또는 인장시에 그 탄성을 균일하고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60은 캐치로서, 상기 캐치(60)는 캐치본체(61)의 하방에 걸림돌기(62)를 형 성하여 상기 걸림돌기(62)를 하우징(30)의 후방에 걸림돌기(62)가 통공(32)의 내면주위에 지지되게 코일 스프링(63)과 함께 수직으로 삽입하여 돌출시에 상단이 크래쉬 패트 메인 패널(11)에 형성한 삽입홈(12)의 내면 주위에 걸림되게 하고 하강시 글로브 박스(20)의 상단과 수평을 유지토록하며, 상기 걸림돌기(62)에 지지홈(64)을 형성하여 상기 제어돌기(44)에 삽입 지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캐치본체(61)의 단면적은 상기 통공(32)보다 조금 작게 형성하여 제어돌기(44)의 회전운동을 캐치(60)의 승강운동으로 변환할 때 캐치(60)의 승강을 원활하게 한 것이다.
상기 캐치본체(61)의 걸림돌기(62)를 하우징(30)에 코일 스프링(63)과 함께 삽입할 때 캐치본체(61)의 하방에 스프링 수납홈(64')을 형성하여 스프링 수납홈(64')에 코일 스프링(63)의 일단을 삽입 지지함으로써 코일 스프링(63)의 압축 또는 인장시 그 탄성을 양호하게 유지함으로써 캐치(60)의 돌출 및 하강을 양호하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캐치본체(61)의 상단에 캐치본체(61)와 직각방향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면을 호상으로 형성한 지지돌기(65)를 형성하여 지지돌기(65)의 선단이 크래쉬 패드 메인 패널(11)의 삽입홈(12) 주위에 선접촉 상태로 접촉되게 함으로써 글로브 박스(20)의 안정된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잠금해제시에 작동력을 작게한 것이다.
또한 상기 캐치본체(61)의 하방 양측에 지지편(66)(66')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하우징(30)의 통공(32) 양측에 통공(32)과 연통되는 수직안내홈(67)(67')을 형 성하여 지지편(66)(66')을 수직안내홈(67)(67')에 삽입 지지함으로써 캐치(60)가 수직으로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글로브 박스(20)가 잠겨진 상태에서는 노브본체(51)는 하우징(30)의 전단과 대략 일치되는 위치에 있고, 로터(40)의 후단에 형성한 제어돌기(44)는 로터(40)의 축선보다 상방에 위치되며, 캐치(60)는 코일 스프링(63)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걸림돌기(62)가 통공(32)의 내면 주위에 지지되어 지지돌기(65)가 크래쉬 패드 메인 패널(11)에 형성한 삽입홈(12)의 내면 주위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글로브 박스(20)가 잠겨진 상태에서 글로브 박스(20)의 잠금을 해제하려고 할 때에는 노브본체(51)를 푸쉬하여 직진시키면 가이드 바(52)가 코일 스프링(53)을 압축하면서 후진함과 동시에 회전돌기(54)(54')에 경사상 가이드 홈(43)(43')이 삽입 지지된 로터(40)가 회전하여 제어돌기(44)가 회전함으로써 제어돌기(44)에 지지홈(64)이 삽입 지지된 캐치(60)가 수직으로 하강하여 지지돌기(65)가 크래쉬 패드 메인 패널(11)에서 걸림해제되고, 글로브 박스(20)는 그 자중에 의하여 열리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글로브 박스(20)가 열리면 노브(50)는 가이드 바(52)의 후단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53)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돌출되고, 로터(40)는 상기 잠금해제시와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어돌기(44)도 로터(40)의 축선보다 상방으로 위치되어 도 2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열려있던 글로브 박스(20)를 닫으면 삽입홈(12)에 캐치(60)의 상단에 형성한 지지돌기(65)가 접촉함으로 캐치(60)가 코일 스프링(63)을 압축하면서 하강하면서 닫치고, 글로브 박스(20)가 완전히 닫치면 캐치(60)에서 외력이 제거되어 캐치(60)는 코일 스프링(63)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돌출되어 크래쉬 패드 메인 패널(11)의 삽입홈(12) 주위에 걸림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하우징, 로터, 노브 및 캐치로 구성하고, 종래의 스트라이커를 생략하면서 캐치를 직접 크래쉬 패드 메인 패널에 잠그도록 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함과 동시에 플라스틱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원가를 절감하고 경량화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노브의 푸쉬에 의하여 로터를 회전하고, 로터의 회전운동을 캐치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작동감이 유연하고, 소음의 발생도 없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1. 글로브 박스 하우징과 글로브 박스 커버 사이의 공간부에 설치하고, 전방의 대향위치에 지지공을, 후방 상면에 통공을 형성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하는 로터본체의 전단에 상기 지지공에 삽입 지지하는 돌기를 형성하고, 로터본체의 대향위치에 경사상 가이드 홈을 형성하며, 로터본체의 후단 편심위치에 제어돌기를 형성한 로터와; 상기 하우징에 노브본체를 직선운동할 수 있게 삽입하고, 노브본체의 후방에 가이드 바를 형성하여 코일 스프링과 함께 로터본체에 삽입함과 동시에 가이드 바의 대향위치에 상기 경사상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회전돌기를 형성하여 노브본체의 직진운동에 의하여 로터를 회전시키는 노브와; 캐치본체에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를 하우징의 후방에 걸림돌기가 통공의 내면 주위에 지지되게 코일 스프링과 함께 수직으로 삽입하여 돌출시에 크래쉬 패드 메인 패널에 걸림하고, 상기 걸림돌기에 지지홈을 형성하여 상기 제어돌기에 삽입 지지한 캐치로 구성한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전단부에 걸림턱을, 후방에 브라켓을 형성하여 걸림턱을 글로브 박스 커버의 상방 중앙에 형성한 삽입공을 통하여 삽입하여서 걸림턱을 삽입공 주위에 지지한 후 글로브 박스 하우징 측에서 상기 브라켓에 스크류를 체결한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노브본체에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고, 하우징의 상기 가이드 돌기 대응위치에 가이드 홈을 형성하여 가이드 돌기를 가이드 홈에 삽입한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 바에 스프링 수납홈을 형성하여 코일 스프링의 일단을 삽입 지지한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캐치본체의 상단에 캐치본체와 직각방향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면을 호상으로 형성한 지지돌기를 형성하여 지지돌기의 선단이 크래쉬 패드 메인 패널의 삽입홈 주위에 선접촉 상태로 접촉되게한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캐치본체의 하방 양측에 지지편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하우징의 통공 양측에 통공과 연통되는 수직안내홈을 형성하여 지지편을 수직안내홈에 삽입 지지한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
KR1020040058997A 2004-07-28 2004-07-28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 KR100561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997A KR100561816B1 (ko) 2004-07-28 2004-07-28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997A KR100561816B1 (ko) 2004-07-28 2004-07-28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338A true KR20060010338A (ko) 2006-02-02
KR100561816B1 KR100561816B1 (ko) 2006-03-17

Family

ID=37120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997A KR100561816B1 (ko) 2004-07-28 2004-07-28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81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201B1 (ko) * 2005-11-02 2007-03-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푸쉬형 듀얼 락 로드 글로브 박스
KR100798845B1 (ko) * 2006-12-07 2008-01-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트레이의 잠금장치
KR100837907B1 (ko) * 2006-10-18 2008-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레이의 잠금장치
KR100987551B1 (ko) * 2009-02-17 2010-10-12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잠금장치
WO2016098118A1 (en) * 2014-12-19 2016-06-23 Faurecia Interior Systems India Pvt. Ltd. Locking device comprising a charged resilient element arranged to unlock the locking device
KR20180068755A (ko) * 2016-12-14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트림 마운팅 구조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201B1 (ko) * 2005-11-02 2007-03-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푸쉬형 듀얼 락 로드 글로브 박스
KR100837907B1 (ko) * 2006-10-18 2008-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레이의 잠금장치
KR100798845B1 (ko) * 2006-12-07 2008-01-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트레이의 잠금장치
KR100987551B1 (ko) * 2009-02-17 2010-10-12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잠금장치
WO2016098118A1 (en) * 2014-12-19 2016-06-23 Faurecia Interior Systems India Pvt. Ltd. Locking device comprising a charged resilient element arranged to unlock the locking device
KR20180068755A (ko) * 2016-12-14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트림 마운팅 구조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1816B1 (ko) 2006-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1357B2 (en) Exterior door handle with minimum surface intrusion
JPH0543169Y2 (ko)
KR19990054536A (ko) 자동차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조립체
KR100404753B1 (ko) 승물용 테이블
KR100561816B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
CN115075667A (zh) 用于手套箱的开闭装置
KR200391927Y1 (ko) 자동차 암레스트 수납부용 락어셈블리
JP3875472B2 (ja) ドアロック装置におけるチャイルドロック機構
JP2006076344A (ja) 車両用ロック装置
JP2004036311A (ja) リッドロック装置
JP2005188242A (ja) ロック装置
KR20100008895A (ko) 글로브 박스용 잠금장치
KR200424013Y1 (ko) 도어 록
KR20100134474A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장치
JPH0312132Y2 (ko)
KR200175572Y1 (ko) 궤적형 도어아웃사이드핸들
JP3727837B2 (ja) ウインドロック装置
JPH0714061U (ja) プッシュラッチ装置
KR100876189B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
KR100318069B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오작동 방지장치
JPH05321518A (ja) 車両扉のワンモーション開閉装置
JP2559400Y2 (ja) リッドのロック装置
JP4467228B2 (ja) 収納具
KR0120010Y1 (ko)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잠금장치
KR100529171B1 (ko)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