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9647A -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원격작동 및 해제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원격작동 및 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9647A
KR20060009647A KR1020040058311A KR20040058311A KR20060009647A KR 20060009647 A KR20060009647 A KR 20060009647A KR 1020040058311 A KR1020040058311 A KR 1020040058311A KR 20040058311 A KR20040058311 A KR 20040058311A KR 20060009647 A KR20060009647 A KR 20060009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vernor
elevator
wire cable
piece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4080B1 (ko
Inventor
이창희
이정후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8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080B1/ko
Publication of KR20060009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원격작동 및 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엘레베이터가 일정속도로 작동하도록 속도를 제어하는 조속기의 검사와 보수를 위하여 기술자가 직접 승강로 내부에 들어가서 작업하게 되어 발생하는 작업의 위험성과 불편함을 해소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프레임상에 주륜이 중심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주륜이 정해진 속도 이상으로 과속될 경우 복수의 진자의 운동에 의해 상기 주륜에 권취된 로프를 구속시키도록 작동되는 로프고정체로 구성되는 조속기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의 일측면에 힌지로 결합되어 제1 와이어케이블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 와이어케이블을 당겼을 때 소정각도 상기 주륜의 중심축에 인접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편과, 상기 회전편을 복귀하도록 작용하는 제1 복귀스프링과, 상시 회전편의 끝단에 형성되어 회전편의 움직임에 따라 관통되게 절개된 가이드홈의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작동편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와이어프레임을 당겼을 때 조속기의 작동을 시키도록 하는 작동장치와; 상기 조속기의 작동장치가 장착된 타측면에 형성되어 제2 와이어케이블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2 와이어케이블을 당겼을 때 조속기 스위치를 복귀시키도록 하는 복귀편과, 상기 작동장치를 작동 후 승강기를 하강시킴으로 작동위치로 이동된 역회전방지핀을 승강기가 상승할 때 다시 복귀시키는 멈춤쇠이송편으로 구성되는 해제장치와;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케이블의 타측 끝단이 각각 연결되되 끝단에는 중앙에 걸림홀이 형성된 고리가 형성되어 장착되고, 일측에 상 기 고리의 걸림홀에 상응하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타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에 연결된 고리를 당기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작동레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원격작동 및 해제장치{THE AUTOMATIC CONTROLER AND THE RELEASING EQUIPMENT FOR ELEVATOR GOVERN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작동레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11 : 역회전방지핀
2 : 주륜
21 : 중심축
3 : 로프고정체
4 : 작동장치
41 : 회전편 42 : 복귀스프링
43 : 작동편 44 : 힌지
45 : 가이드홀
5 : 해제장치
51 : 복귀편 52 : 멈춤쇠이송편
6 : 작동레버
61 : 제1 와이어케이블 62 : 제2 와이어케이블
63 : 걸림홀 64 : 고리
65 : 돌출부 66 : 손잡이부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원격작동 및 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엘리베이터의 조속기를 유지 보수하기 위하여 승강로 내부에 들어가서 작업을 해야하는 위험성과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원격으로 조속기를 작동하고 해제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원격작동 및 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높은 고층의 건물에 사람과 물건을 운송하는 용도로 오래전 부터 개발 발전해왔으나 수직으로 연결되고 밀폐된 승강로 내부를 작동하는 엘리베이터는 그 편리한 만큼 사고시 바로 사망사고와 연결될 정도로 위험하다.
이에 엘리베이터는 수많은 안전장치를 두어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고 있으며 가장 기초적이고 대표적인 장치는 조속기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조속기는 엘리베이터의 승하강 속도를 케이블을 통하여 감지하여 규정속도 이상이 되었을 경우 가속이 되지않게 하고 나아가 비상정지를 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나 유압용 엘리베이터 등과 같이 별도의 기계실이 없는 경우에는 조속기는 승강로 내부에 설치하게 되는데 승강로 내의 상부에 설치 할 경우 승강로 벽에 구멍을 내어 점검구를 개설하여야 하고 점검구를 개설하지 않거나 승강로 내의 피트에 조속기를 설치할 경우 유지점검을 위하여 작업자는 승강로 내부에 들어가서 조속기를 작동하고 해제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승강로 내부에서의 작업은 추락 등에 의한 많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밀폐되어 있는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으로 작업 시간이 길어지고 또한 작업의 난이도 또한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작업자가 조속기의 유지와 보수를 위하여 승강로 내부에 들어가서 작업을 해야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데 있다.
또한 조속기 점검구를 개설 할 수 없는 구조를 가지는 건물에서 별도의 점검구를 개설하지 않고도 조속기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 조속기의 유지 보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상에 주륜이 중심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주륜이 정해진 속도 이상으로 과속될 경우 복수의 진자의 운동에 의해 상기 주륜에 권취된 로프를 구속시키도록 작동되는 로프고정체로 구성되는 조속기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의 일측면에 힌지로 결합되어 제1 와이어케이블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 와이어케이블을 당겼을 때 소정각 도 상기 주륜의 중심축에 인접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편과, 상기 회전편을 복귀하도록 작용하는 제1 복귀스프링과, 상시 회전편의 끝단에 형성되어 회전편의 움직임에 따라 관통되게 절개된 가이드홈의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작동편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와이어프레임을 당겼을 때 조속기의 작동을 해제시키도록 하는 작동장치와; 상기 조속기의 작동장치가 장착된 타측면에 형성되어 제2 와이어케이블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2 와이어케이블을 당겼을 때 조속기 스위치를 복귀시키도록 하는 복귀편과, 상기 작동장치를 작동 후 승강기를 하강시킴으로 작동위치로 이동된 역회전방지핀을 승강기가 상승할 때 다시 복귀시키는 멈춤쇠이송편으로 구성되는 해제장치와;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케이블의 타측 끝단이 각각 연결되되 끝단에는 중앙에 걸림홀이 형성된 고리가 형성되어 장착되고, 일측에 상기 고리의 걸림홀에 상응하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타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에 연결된 고리를 당기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작동레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 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면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원격작동 및 해제장치는, 프레임(1)상에 주륜(2)이 중심축(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주륜(2)이 정해진 속도 이상으로 과속될 경우 복수의 진자의 운동에 의해 상기 주륜(2)에 권취된 로프를 구속시키도록 작동되는 로프고정체(3)로 구성되는 조속기에 적용된다.
먼저, 참조부호 4는 상기 조속기의 일측면에 힌지(44)로 결합되어 제1 와이어케이블(61)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 와이어케이블(61)을 당겼을 때 소정각도 상기 주륜(2)의 중심축(21)에 인접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편(41)과, 상기 회전편(41)을 복귀하도록 작용하는 제1 복귀스프링(42)과, 상기 회전편(41)의 끝단에 형성되어 회전편(41)의 움직임에 따라 관통되게 절개된 가이드홈(45)의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작동편(43)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와이어프레임(61)을 당겼을 때 조속기의 작동을 시키도록 하는 작동장치(4)를 나타내었다.
상기 조속기는 엘리베이터가 하강시에 로프를 잡아 비상정지할 수 있도록 해야하는데 이러한 가상 하강상황을 만들기 위해서 조속기의 작동을 시켜 하강상황를 만든다음 다시 제작동시켜 조속기의 정상작동 여부를 확인해야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와이어프레임(61)은 조속기와 떨어진 외부로 연결되어 외부에서 상기 제1 와이어프레임(61)을 당기어 작동편(43)에 의하여 내부 조속기의 작동을 하도록 하여 외부에서 원격으로 조속기의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별도의 동작이 없어도 당겼던 제1 와이어프레임(61)을 놓으면 제1 복귀스프링(42)에 의하여 자동으로 작동편(43)은 정상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면사시도로서, 참조부호 5는 상기 조속기의 작동장치(4)가 장착된 타측면에 형성되어 제2 와이어케이블(62)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2 와이어케이블(62)을 당겼을 때 조속기 스위치를 복귀시키 도록 하는 복귀편(51)과, 상기 작동장치(4)를 작동 후 승강기를 하강시킴으로 작동위치로 이동된 역회전방지핀(11)을 승강기가 상승할 때 다시 복귀시키는 멈춤쇠이송편(52)으로 구성되는 해제장치(5)를 나타내었다.
즉, 제2 와이어케이블(62)을 당기면 복귀편(51)이 내측으로 이동하여 조속기 스위치가 중앙의 위치로 복귀하게되며 당긴상태에서 승강기를 상승시키면 멈춤쇠이송편(52)에 의하여 주륜(2)의 회전에 따라 역회전방지핀(11)이 정상위치로 복귀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조속기의 정상작동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규정된 검사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케이블(61, 62)은 그 길이에 따라 승강기 외부에서 원격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작동레버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참조부호 6은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케이블(61, 62)의 타측 끝단이 각각 연결되되 끝단에는 중앙에 걸림홀(63)이 형성된 고리(64)가 형성되어 장착되고, 일측에 상기 고리(64)의 걸림홀(63)에 상응하는 돌출부(65)가 각각 형성되어 타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66)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65)에 연결된 고리(64)를 당기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작동레버(6)로 구성되는 구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승강기 외벽을 뚫어 조속기를 제어하거나 또는 위함한 승강로 내부에 즐어가서 조속기의 점검을 하지않고 외부에서 조속기의 점검 및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외벽에 조족기를 제어하기 위한 통로를 만들지 않고 단지 와 이어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작은 천공된 홀만으로도 제어가 용이하게 되어 건물의 외벽을 최대한 손상시키지 않고 조속기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승강로 밖에서 조속기의 작동 및 해제를 원격으 로 할 수 있게 됨으로서 작업자가 승강로 내부에 들어가서 유지 및 보수 작업을 함으로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승강로 내부에 들어가거나 별도의 점검부를 개설하지 않고 조속기를 작동 또는 해제 할 수 있게 되어 시설비가 적게들고 건물의 손상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 외부에서 간단한 조작만으로 조속기를 작동 또는 해제 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프레임상에 주륜이 중심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주륜이 정해진 속도 이상으로 과속될 경우 복수의 진자의 운동에 의해 상기 주륜에 권취된 로프를 구속시키도록 작동되는 로프고정체로 구성되는 조속기에 있어서,
    상기 조속기의 일측면에 힌지로 결합되어 제1 와이어케이블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1 와이어케이블을 당겼을 때 소정각도 상기 주륜의 중심축에 인접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편과, 상기 회전편을 복귀하도록 작용하는 제1 복귀스프링과, 상시 회전편의 끝단에 형성되어 회전편의 움직임에 따라 관통되게 절개된 가이드홈의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작동편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와이어프레임을 당겼을 때 조속기의 작동을 시키도록 하는 작동장치와;
    상기 조속기의 작동장치가 장착된 타측면에 형성되어 제2 와이어케이블의 일측 끝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2 와이어케이블을 당겼을 때 조속기 스위치를 복귀시키도록 하는 복귀편과, 상기 작동장치를 작동 후 승강기를 하강시킴으로 작동위치로 이동된 역회전방지핀을 승강기가 상승할 때 다시 복귀시키는 멈춤쇠이송편으로 구성되는 해제장치와;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케이블의 타측 끝단이 각각 연결되되 끝단에는 중앙에 걸림홀이 형성된 고리가 형성되어 장착되고, 일측에 상기 고리의 걸림홀에 상응하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타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에 연결된 고리를 당기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는 작동레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원격작동 및 해제장치.
KR1020040058311A 2004-07-26 2004-07-26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원격작동 및 해제장치 KR100644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311A KR100644080B1 (ko) 2004-07-26 2004-07-26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원격작동 및 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311A KR100644080B1 (ko) 2004-07-26 2004-07-26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원격작동 및 해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647A true KR20060009647A (ko) 2006-02-01
KR100644080B1 KR100644080B1 (ko) 2006-11-10

Family

ID=37120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311A KR100644080B1 (ko) 2004-07-26 2004-07-26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원격작동 및 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0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584B1 (ko) * 2006-08-23 2008-06-20 (주)광덕산업 엘리베이터의 양방향 조속기
KR20210084924A (ko) * 2019-12-30 2021-07-08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조속기 작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996B1 (ko) * 1994-11-09 1997-01-25 엘지산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584B1 (ko) * 2006-08-23 2008-06-20 (주)광덕산업 엘리베이터의 양방향 조속기
KR20210084924A (ko) * 2019-12-30 2021-07-08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조속기 작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4080B1 (ko) 200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7574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3929724B2 (ja) エレベータ
EP2020396A1 (en) Speed governor for elevator
JP4868807B2 (ja) エレベータの調速機
US10906777B2 (en) Safety system for a service space within an elevator shaft
JP508299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209393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5082887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644080B1 (ko)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원격작동 및 해제장치
KR20040029816A (ko) 엘리베이터 장치의 조속기
KR100716863B1 (ko) 상하 양방향 비상정지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WO2017098557A1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開放装置
KR20120014631A (ko)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조속기
JP2005104653A (ja) エレベータ
KR100727631B1 (ko) 엘리베이터용 승강대 추락 방지장치
JP4788337B2 (ja) エレベータ用防火防煙シャッター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装置
JP5157648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KR200200007Y1 (ko) 상하 양방향 비상정지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JP2011063420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0901223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KR100420027B1 (ko) 엘리베이터 조속기용 링크구조
KR200299198Y1 (ko) 엘리베이터 장치의 조속기
WO2023126047A1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of operating elevator
KR10090122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21105192A1 (en) Brake rel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