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996B1 -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996B1
KR970000996B1 KR1019940029340A KR19940029340A KR970000996B1 KR 970000996 B1 KR970000996 B1 KR 970000996B1 KR 1019940029340 A KR1019940029340 A KR 1019940029340A KR 19940029340 A KR19940029340 A KR 19940029340A KR 970000996 B1 KR970000996 B1 KR 970000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governor
cage
latch lever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9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495A (ko
Inventor
박성규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29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996B1/ko
Publication of KR960017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9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2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means of linearly-movable w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케이지에 비상정지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개략도.
제2도는 종래의 조속기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로써,
2a도는 케이지가 정상적으로 운행될때의 상태도.
2b도는 케이지가 이상과속으로 하강될 때 조속기가 동작된 상태도.
제3도는 종래의 비상정지수단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3a도는 케이지가 정상적으로 운행될때의 상태도.
3b도는 케이지가 이상과속으로 하강될 때 조속기가 동작된 상태도.
제4도는 종래 장치에서 쐐기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조속기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로써,
5a도는 케이지가 정상적으로 운행될때의 상태도.
5b도는 케이지가 이상과속으로 하강될 때 조속기가 동작된 상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비상정지수단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6a도는 케이지가 정상적으로 운행될때의 상태도.
6b도는 케이지가 이상과속으로 하강될 때 조속기가 동작된 상태도.
제7도는 본 발명에서 쐐기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지 9 : 조속기로프
11 : 프레임 14 : 로울러
19 : 가이드레일 20 : 조속기풀리
22 : 진자 23 : 조속기프레임
28a,28b : 쐐기 29,30 : 상,하부히치로드
31,32 : 제1,2홀더 33a,33b : 연결바
34 : 레버 35,39 : 제1,2래치레버
36,37 : 제1,2레버 38 : 제2지지편
41 : 걸림레버 42 : 회동편
44 : 인장스프링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 설치되어 케이지가 규정속도의 140% 이상으로 동작될 때 케이지의 운행을 중단시키는 비상정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가 하강시는 물론 상승시에도 이상과속운행이 발생된 경우 케이지의 운행을 중단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첨부도면 제1도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케이지에 비상정지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개략도로써, 케이지(1)의 상단에 일단이 고정된 로프(2)의 다른 일단이 기계실(3)내에 설치된 권상모터(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4)에 감겨진 다음 균형추(5)에 고정되어 있어 권상모터가 구동함에 따라 케이지는 케이지와 균형추의 발란스에 의해 균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승,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에서는 케이지의 운행시 케이지가 이상과속운행을 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계실(3)내에 케이지가 이상과속운행을 할 경우 이를 검출하여 작동하는 조속기(6)를 설치하고 승강로(7)의 하부에는 풀리(8)를 설치하여 이들 사이에 조속기로프(9)를 감아 케이지(1)와 고정되게 연결하는데, 이때 케이지(1)에는 조속기(6)가 작동하므로 인해 연동하여 케이지(1)의 운행을 중단시키는 비상정지수단(10)이 구비된다.
첨부도면 제3도는 종래의 비상정지수단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케이지(1)의 일측에 고정된 프레임(11)의 내부에 쐐기(Wedge)(12)가 고정된 히치로드(Hitch)(13)가 위치되어 있고 상기 쐐기의 일측에는 쐐기의 이동이 원활해지도록 로울러(14)가 내장된 홀더(15)가 프레임(11)에 보울트(16)와 너트(17)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로울러는 스프링(18)으로 탄력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히치로드(13)는 조속기로프(9)의 일단과 고정되고 쐐기(12)는 가이드레일(19)과 접속 분리되면서 케이지의 운행을 제어하게 된다.
첨부도면 제2도는 종래의 조속기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로써, 조속기로프(9)가 감겨진 조속기풀리(20)에 케이지(1)가 규정속도 이상으로 운행될 때 스프링(도시는 생략함)을 인장시키면서 이동하여 제어반의 주전원을 차단하는 캠(21)을 구동시키는 진자(22)가 설치되어 있고 조속기프레임(23)상에는 진자에 의해 이동하여 조속기(24)사이에서 조속기로프(9)를 구속하는 래치레버(25)가 스프링(26)으로 탄력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래치레버(25)에는 조속기폴리(20)내로 위치되어 진자(22)에 의해 회동하면서 래치레버(25)를 회동시키는 레버(27)가 힌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3도와 같은 비상정지수단을 케이지(1)에 장착한 상태에서 케이지(1)가 규정속도 이상으로 하강하면 조속기풀리(20)에 설치된 진자(22)가 원심력에 의해 스프링을 인장시키면서 확장된 상태로 조속기풀리와 함께 회전되므로 진자(22)가 원심력에 의해 스프링을 인장시키면서 확장된 상태로 조속기풀리와 함께 회전되므로 진자(22)가 캠(21)을 동작시켜 제어반의 주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같이 확장된 진자(22)가 캠(21)을 쳐 제어반의 주전원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조속기풀리(20)가 계속해서 회전하면 진자(22)가 제3a도와 같이 조속기풀리(20)의 내측으로 노출되어 있던 레버(27)를 치게되므로 상기 레버와 힌지 결합되어 있던 래치레버(25)는 (b)와 같이 스프링(26)을 압축시키면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조속기로프(9)를 조속기(24)사이에서 물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 조속기풀리(20)에 감겨진 조속기로프(9)의 이동이 중단되면 상대적으로 조속기로프(9)는 상승하는 것과 같이 되므로 조속기로프(9)의 끝단에 히치로드(13)로 연결된 쐐기(12)가 제3a도와 같이 가이드레일(19)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조속기로프(9)에 의해 상부로 당겨져 (b)와 같이 가이드레일(19)과 접속하게 되므로 케이지(1)의 하강이 중단된다.
이때 쐐기(12)의 상승은 로울러(14)에 의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지고, 쐐기(12)가 가이드레일(19)과 접속할 때 발생되는 충격은 스프링(18)이 흡수하게 된다.
첨부도면 제4도는 쐐기(12)의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비상정지장치는 케이지가 규정속도 이상으로 하강시에는 기계실에 설치된 조속기가 이를 검출하여 케이지의 하강을 중단시키게 되지만, 케이지가 규정속도 이상으로 상승시에는 조속기가 이를 검출하여 제어반의 주전원을 차단시키더라도 비상정지장치가 작동되지 않아 가속도에 의해 상승되는 케이지를 중단시키지 못하게 되므로 케이지가 승강로 천정과 충돌하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케이지가 규정속도 이상으로 하강시는 물론 상승시에도 이를 검출하여 케이지의 운행을 중단시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조속기풀리에 진자를 설치하고 조속기프레임에는 진자가 제1레버에 접속함에 따라 회동하여 조속기로프를 구속하는 제1래치레버를 설치함과 동시에 케이지에 고정된 프레임에는 쐐기가 고정된 상부히치로드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쐐기의 일측으로는 제1홀더를 설치하여 케이지의 과속하강시 쐐기가 가이드레일과 접속, 케이지의 운행을 중단시키도록 된 것에 있어서, 제1레버의 일측으로 조속기풀리의 역회전에 따라 진자에 의해 회동되는 제2레버를 설치하고 조속기프레임의 하부에는 케이지의 과속상승시 제2지지편 사이에서 조속기로프를 구속하는 제2래치레버를 복귀수단에 의해 복원되게 설치하여 제2레버의 회동에 따라 구속수단으로부터 제2래치레버의 구속이 해제되도록 함과 동시에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히치로드는 쐐기의 일측으로는 로울러가 내장된 제2홀더를 설치하여서 된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5도 내지 제7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비상정지수단을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제7도는 본 발명에서 쐐기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써, 본 발명은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플레임(11)내에 케이지(1)의 과속 승,하강시 반대방향으로 승,하강하는 쐐기(28a)(28b)가 분할 형성되어 각각 상,하부히치로드(29)(30)에 고정되어 일측의 쐐기(28a)는 제 1 홀더(31)에 가이드되어 가이드레일(19)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다른 일측의 쐐기(28b)는 프레임(11)의 하방에 설치된 제 2 홀더(32)에 가이드되어 가이드레일(19)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쐐기(28a)(28b)는 케이지의 과속 승,하강시 연동수단에 의해 상호 반대방향으로 승,하강하는데, 이때 각 쐐기는 제1,2홀더(31)(32)에 설치된 로울러(14)에 안내되어 원활한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연동수단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각 쐐기(28a)(28b)의 하부에 연결바(33a)(33b)를 고정하고 상기 각 연결바의 끝단에는 힌지(G)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레버(34)를 연결하여 일측의 쐐기가 상승하거나, 하강함에 따라 다른 일측의 쐐기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하부히치로드(30)와, 쐐기(28b)에 고정된 연결바(33b)를 각각 형성하여 이들을 별도의 부재 또는 직접고정한 다음 이들의 연결부상에 레버(34)를 고정하여도 되지만, 구조의 단순화 및 작업성을 고려하여 하부히치로드(30)와 연결바(33b)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들의 중간부위에 레버(34)를 회동 가능하게 핀으로 결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케이지의 비상정지수단을 동작시키도록 케이지의 과속 승,하강을 검출하는 조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조속기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로써, 케이지(1)의 과속하강시 조속기로프(9)의 정지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진자(22)의 확장으로 회동하여 제1래치래버(35)를 이동시키는 제1레버(36)의 일측으로 조속기풀리(20)의 역방향회전시 진자(22)에 의해 회동되도록 제2레버(37)가 조속기풀리의 내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고 조속기프레임(23)의 하방에는 상기 제2레버(37)의 회동에 따라 제2지지편(38)사이에서 조속기로프(9)를 구속하는 제2레치레버(39)가 스프링(40)으로 탄력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래치레버(39)는 통상의 상태(케이지가 정상속도로 운행시)에서 구속수단에 의해 제2지지편(38)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제2레버(37)가 진자(22)에 의해 회동하여 구속수단으로부터 제2래치레버(39)의 구속을 해제시키면 상기 제2래치레버는 복귀수단에 의해 제2지지편(38)과 접속되어 조속기로프(9)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속수단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2레버(37)에 걸림레버(41)를 일체로 형성하고 조속기프레임(23)상에는 한쌍의 걸림홈(42a)(42b)이 형성된 회동편(42)을 힌지결합하여 통상의 상태에서 걸림레버(41)의 일단을 걸림홈(42a)에 끼우고 회동편(42)의 다른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42b)은 제2래치레버(39)에 고정된 핀(43)에 끼워 상기 제2레치레버(39)가 제2지지편(38)과 이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구속수단의 해제에 따라 제2래치레버(39)를 제2지지편(38)측으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으로 인장스프링(44)을 사용하여 상기 인장스프링의 일단을 제2레치레버(39)에 고정하고 다른 일단은 조속기프레임(23)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속수단과 복귀수단의 다른 실시예로 조속기프레임에 제2레버(37)의 회동으로 동작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로드는 제2래치레버에 고정하여 상기 제2레버가 회동함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가 동작하여 제2래치레버를 제2지지편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6a도 및 제7a도의 상,하부히치로드(29)(30)에 고정된 한쌍의 쐐기(28a)(28b)가 가이드레일(19)에서 이격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케이지(1)가 정상적으로 운행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는 제5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레버(36)(37)가 조속기풀리(20)의 내부로 노출되어 있어 제1,2레치레버(35)(39)가 제1,2지지편(24)(39)에서 이격되므로 조속기풀리(20)의 회전에 따라 조속기로프(9)가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케이지(1)가 규정속도 이상으로 하강하면 조속기로프의 정지수단인 조속기가 동작하게 된다.
즉, 제5a도와 같은 상태에서 케이지가 규정속도 이상으로 하강하면 조속기풀리(20)또한 규정속도 이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조속기풀리에 설치된 진자(22)가 원심력에 의해 확장되면서 캠(21)을 동작시켜 제어반의 전원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조속기풀리(20)의 내부로 노출된 제1레버(36)를 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레버(36)와 연결된 제2래치레버(35)가 스프링(26)을 압축시키면서 회동하여 제1지지편(24)사이에서 조속기로프(9)를 눌러주게 되므로 조속기로프의 이동이 중단된다.
이와같이 하강하던 조속기로프(9)의 이동이 중단되면 상대적으로 조속기로프(9)는 상승하는 것과 같이 되므로 상부히치로드(29)가 상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상부히치로드에 연결되어 제6a도 및 제7a도와 같이 가이드레일(19)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쐐기(28a)를 상부로 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제6b도 및 제7b도와 같이 상부히치로드(29)에 고정된 쐐기(28a)가 제1홀더(31)에 안내되어 가이드레일(19)과 접속된다.
이와같이 일측의 쐐기(28a)가 상승하면 상기 쐐기에 고정된 연결바(33a)는 다른 일측의 쐐기(28b)에 고정된 연결바(33b)와 레버(34)로 연결되어 이들의 상호 연동되므로 다른 일측의 쐐기(28b)는 상부히치로드(29)에 고정된 쐐기(28a)와 반대로 하강하여 제2홀더(32)에 안내도어 가이드레일(19)과 접속되므로 케이지(1)의 하강이 중단된다.
이때 쐐기(28a)(28b)의 승,하강은 로울러(14)에 의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지고, 쐐기가 가이드레일(19)과 접속할 때 발생되는 충격은 스프링(18)(40)이 흡수하게 된다.
첨부도면 제7도는 쐐기(28a)(28b)의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한편, 이와는 반대로 제5a도와 같은 상태에서 케이지가 규정속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조속기풀리(20) 또한 케이지의 하강시와는 반대방향으로 규정속도 이상 회전하게 되므로 조속기풀리에 설치된 진자(22)가 원심력에 의해 확장되면서 캠(21)을 동작시켜 제어반의 전원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조속기풀리(20)의 내부로 노출된 제2레버(37)를 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레버(37)와 연결된 걸림레버(41)의 끝단이 회동편(42)의 걸림홈(42a)에 끼워져 있어 상기 걸림레버가 회동편(42)과 함께 회동하게 되므로 회동편(42)의 다른 일측의 걸림홈(42b)이 제2래치레버(39)에 고정된 핀(43)으로부터 빠져나와 제2레치레버의 구속을 해제하게 되므로 상기 제2래치레버는 인장스프링(44)의 복원력에 의해 스프링(40)을 압축시키면서 제2지지편(38)으로 회동하여 제2지지편(38)사이에서 조속기로프(9)를 눌러주게 되므로 조속기로프의 이동이 중단된다.
이와같이 상승하던 조속기로프(9)의 이동이 중단되면 상대적으로 조속기로프(9)는 하강하는 것과 같이 되므로 하부히치로드(30)가 하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부히치로드에 연결되어 제6a도 및 제7a도와 같이 가이드레일(19)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쐐기(28b)를 하방으로 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제6b도 및 제7b도와 같이 하부히치로드(30)에 고정된 쐐기(28b)가 제2홀더(32)에 안내되어 가이드레일(19)과 접속된다.
이와같이 일측의 쐐기(28b)가 하강하면 상기 쐐기에 고정된 연결바(33b)는 다른 일측의 쐐기(28a)에 고정된 연결바(33a)와 레버(34)로 연결되어 이들이 상호 연동되므로 다른 일측의 쐐기(28a)는 하부히치로드(30)에 고정된 쐐기(28b)와 반대로 상승하여 제1홀더(31)에 안내되어 가이드레일(19)과 접속되므로 케이지(1)의 상승이 중단되고, 이에 따라 케이지가 승강로 천정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동작시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쐐기(28a)(28b)가 로울러(14)에 의해 더욱 원활히 이동하여 가이드레일(19)과 접속하면서 케이지의 운행을 중단시키고, 쐐기가 가이드레일(19)과 접속할 때 발생되는 충격은 스프링(18)(40)이 흡수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분할 형성된 쐐기가 상호 엇갈리게 설치되어 조속기로프 정지수단이 케이지의 과속 승,하강을 검출함에 따라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이드레일과 접속하여 케이지의 운행을 중단시키게 되므로 케이지의 상승시 케이지가 승강로 천정과 충돌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6)

  1. 분할 형성되어 각각 상,하부히지로드(29)(30)와 고정되며, 케이지(1)의 과속 승,하강시 서로 연동하면서 반대방향으로 승,하강하는 쐐기(28a)(28b)와, 케이지의 과속 승,하강시 쐐기를 반대방향으로 연동되게 이동시키는 연동수단과, 상기 쐐기의 외측으로 위치되게 프레임(11)에 고정되어 승,하강하는 쐐기를 가이드레일(19)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홀더(31) 및 제2홀더(32)와, 케이지의 과속 승,하강시 이를 검출하여 조속기로프(9)의 이동을 중단시키는 조속기로프 정지수단으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 쐐기(28a)(28b)의 하부에 연결바(33a)(33b)를 고정하고 상기 연결바는 현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레버(34)로 연결하여서 된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하부히치로드(30)와 연결바(33b)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들의 중간 부위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레버(34)를 핀으로 결합하여서 된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속기로프 정지수단으로 조속기풀리(20)의 내측으로 설치되어 케이지의 과속 하강시 진자(22)에 의해 작동하는 제1레버(35)와, 상기 제1레버의 일측에 설치되어 케이지의 과속상승시 자4동하는 제2레버(37)와, 조속기프레임(23)의 하방에 스프링(40)으로 탄력 설치되어 제2레버의 회도에 따라 제2지지편(38)사이에서 조속기로프(9)를 구속하는제2래치레버(39)와, 상기 제2래치레버를 통상의 상태에서 조속기로프와 이격되도록 구속하며 제2레버의 회동에 따라 제2레치레버(39)와, 상기 제2래치레버를 통상의 상태에서 조속기로프와 이격되도록 구속하며 제2레버의 회동에 따라 제2래치래버의 구속을 해제하는 구속수단과, 상기 구속수단의 해제에 따라 제2래치레버를 조속기로프 측으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으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구속수단으로 제2레버(37)에 걸림레버(41)를 일체로 형성하고 조속기프레임(23)상에는 한쌍의 걸림홈(42a)(42b)이 형성된 회동편(42)을 힌지결합하여 제2래치레버(39)가 복귀수단으로 복귀되도록 조속기로프(9)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걸림레버(41)의 일단을 회동편(42)에 형성된 일측의 걸림홈(42b)에 끼워서 된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복귀수단으로 인장스프링(44)의 일단을 제2래치레버(39)에 고정하고 다른 일단은 조속기프레임(23)에 고정하여서 된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KR1019940029340A 1994-11-09 1994-11-09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KR970000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9340A KR970000996B1 (ko) 1994-11-09 1994-11-09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9340A KR970000996B1 (ko) 1994-11-09 1994-11-09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495A KR960017495A (ko) 1996-06-17
KR970000996B1 true KR970000996B1 (ko) 1997-01-25

Family

ID=1939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9340A KR970000996B1 (ko) 1994-11-09 1994-11-09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9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092B1 (ko) * 2001-05-09 2005-01-2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KR100644080B1 (ko) * 2004-07-26 2006-11-1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원격작동 및 해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495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2276B1 (ko) 엘레베이터 장치
CA2467673C (en) Lift installation with a buffer for creating a zone of protection in a lift installation and a method of creating a zone of protection
CN101472825A (zh) 确保检查中的电梯井道顶部或底部最小空间的安全装置及具有这种安全装置的电梯
CA1067838A (en) Elevator system
JPH08208149A (ja) エレベータの安全ブレーキ
JP4566351B2 (ja) エレベータかごの非常止め装置
EP1454867B1 (en) Elevator speed governor
KR970000996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정지장치
US7137484B2 (en) Safety system for restraining movement of elevator car when car doors are open
JP2002120979A (ja) エレベータの調速装置
KR101190236B1 (ko)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조속기
US7073632B2 (en) Safety system for restraining movement of elevator car when car doors are open
EP1086921B1 (en) Safety device of elevator
KR100716863B1 (ko) 상하 양방향 비상정지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JP2003226477A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停止装置
JP2002255466A (ja) エレベータのかごの非常停止装置
EP1577248B1 (en) Elevator apparatus and speed adjusting rope
KR100854739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KR200200007Y1 (ko) 상하 양방향 비상정지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KR200408244Y1 (ko) 건축용 승강기의 수동식 안전장치
EP1663837B1 (en) Elevator safety gear arrangement
KR900003146Y1 (ko) 엘리베이터의 직접식 조속기
US7334664B2 (en) Device for storing goods
CN218844164U (zh) 一种带有定位机构的防火卷帘门
JP7340025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