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8632A -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8632A
KR20060008632A KR1020040057380A KR20040057380A KR20060008632A KR 20060008632 A KR20060008632 A KR 20060008632A KR 1020040057380 A KR1020040057380 A KR 1020040057380A KR 20040057380 A KR20040057380 A KR 20040057380A KR 20060008632 A KR20060008632 A KR 20060008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tournament
grade
gamers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8731B1 (ko
Inventor
엄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위즈
Priority to KR1020040057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731B1/ko
Publication of KR20060008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2Cards; Special shapes of c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9Incentive being awarded or redeemed in connection with the playing of a video g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게임서버, 데이터베이스 및 하나 이상의 게이머 단말기 및 그들을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온라인 고스톱 게임 방법으로서, 상기 게임서버는 (a) 게이머 단말기로부터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게이머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참가비 지급 신호가 있는지 확인하는 제1단계와, (b) 소정 참가비를 지급한 게이머 단말기로부터 최초 등급 또는 진입 가능 등급에 포함된 게임 채널 및 게임방으로의 접속요청을 접수하는 제2단계와, (c) 동일한 게임 등급에 속하는 다른 게이머 단말기와 해당 게이머 단말기를 연결하여 1판 이상의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을 수행하도록 하고,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 종료 후 승패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d) 상기 (c)단계에서 승리한 게이머를 상위 등급 채널 및 게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패배한 게이머를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에서 종료시키는 제4단계와, (e) 매 등급에서 승리한 게이머의 요청에 따라, 정해진 최고 등급(N)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c) 및 (d)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온라인 게임에 토너먼트 방식을 도입하고, 소액의 참가비만을 지급하여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에 참여할 수 있고, 높은 등급에 오른 경우 많은 보상금액을 지급받을 수 있어서 게임의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다.
고스톱, 온라인, 토너먼트, 보상금액

Description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Tournament Go-Stop Game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토너먼트 방식의 고스톱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서버의 기능별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을 수행하는 전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의 수행에서 게이머에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게임서버 200 : 게이머 단말기
300 : 컴퓨터 네트워크망 110 : 사용자 DB
120 : 게임 DB 130 : 데이터 송수신부
140 : 등급 관리부 150 : 채널 관리부
160 : 게임 진행부 170 : 보상금액 정산부
본 발명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더 상세하게는 매 등급마다 동일한 등급내에 속하는 타인과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을 수행하도록 하고 승자만 다음 등급으로 진출시키며, 소정의 목표 등급에 도달하는 게이머에게 소정의 보상을 할 수 있는 게임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Contents) 서비스, 예컨대, 채팅, 동호회, 게임, 쇼핑몰 등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들 중에서도 특히, 게임 서비스 분야는 수요층의 확산으로 인해 서비스의 개발 속도 및 보급 속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게임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무료로 제공되던 게임 서비스들도 유료 서비스로 전환되는 사례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렇게,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게임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급격한 증가와 게임 서비스의 유료화가 진전됨에 따라 각 포털 사이트(Portal Site)와 온라인 게임 서비스 업체들은 다양한 종류의 게임, 특히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실시간으로 다른 게이머와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소위 "네트워크 게임"을 개발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유무선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종류의 웹기반(Web-based) 온라인 게임 중에서도 '고스톱(GO-STOP)'이라고 불리는 일종의 카드(화투) 게임은 다른 어떠한 온라인 게임보다도 많은 이용자를 많이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는 오프라인 상에서의 "고스톱"을 서버-클라이언트 구조의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 구현한 것으로, 게임방식, 룰 및 화투패의 형상은 오프라인에서 통용되고 있는 고스톱의 그것을 그대로 차용하거나, 게임의 재미를 위하여 몇 가지 게임의 규칙을 수정하거나 추가하여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은 게임서버와 인터넷을 통하여 게임서버에 접속한 하나 이상의 게이머 단말기를 이용하는 것으로, 게이머는 게이머 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 서버에 접속한 후 특정(레벨) 채널에 접속하고, 해당 채널 내에 개설되어 있는 게임방에 접속하거나 자신의 게임방을 만들어 다른 게이머가 접속하기를 기다린 후, 게임에 필요한 수의 게이머가 접속되면 게임서버는 2인 또는 3인의 게이머에게 정해진 수의 화투패를 분배하고, 매 턴(Turn; 고스톱에서 모든 사용자가 한번의 패를 내는 단위를 의미)마다 게이머가 선택한 화투패를 처리하고 정해진 룰에 따른 점수를 계산한다.
화투패의 처리라 함은 한 기회마다 사용자가 내는 화투패를 깔린 화투패 들과 비교하여 동일한 종류인 해당 두 개의 화투패를 해당 게이머가 소유하도록 하고, 마찬가지로 넘긴 화투패와 동일한 종류의 깔린 화투패가 있는 경우 두 개의 화투패를 해당 게이머의 소유로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해진 룰이라 함은 "피"라 불리우는 종류의 패를 10장 이상 모은 게이머는 그 때부터 "피" 한 장당 1점씩 부여하고, "띠" 또는 "십짜리" 화투패를 각각 5장 이상 모은 게이머는 그 때부터 "띠" 또는 "십짜리" 화투패 한 장당 1점씩을 부여하며, 3개 이상의 "광"이란 패에 대해서 점수를 부여하는 등의 기본적인 규칙을 포함한다. 물론, "청단, 초단, 홍단(3점)", "고도리(5점)" 등과 같이 정해진 복수의 화투패를 모은 게이머에게 정해진 점수를 부여하는 규칙과, "뻑", "판쓸이" 등의 부가 규칙 등이 있다.
이러한 룰에 따라 특정한 게이머가 정해진 기준 점수(2명 게임인 경우 7점, 3명 게임인 경우 3점)를 넘는 경우, 게임서버는 해당 게이머에게 게임을 더 진행할지(고; Go), 종료할지(스톱; Stop)를 결정하게 하며, 게임이 종료된 경우에 게임에 진 게이머로부터 "점수ㅧ점당 금액"에 해당되는 금액을 이긴 게이머에게 제공하도록 한다.
고스톱 한 판이 종료되면 해당 게이머 들에게 다시 게임을 할지 여부를 묻고, 동의한 경우 다시 게임을 수행한다. 물론, 게이머는 해당 게임방에서 나와 다른 게임방에 접속함으로써 다른 게이머들과 새로운 판을 시작할 수도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일반적인(즉, 오프라인과 동일한 규칙) 룰에 의한 온라인 고스톱 게임의 흥미를 배가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새로운 룰이 도입되고 있으며, "미션" 개념도 그 중 하나이다. "미션"이란 매 판마다 게임서버가 복수의 패를 모으도록 하는 "미션"을 무작위로 제공하고, 그 판에서 "미션 화투패"를 모두 모은 게이머에게 소정의 추가 보상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온라인 "미션" 고스톱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의 제400,833 호 특허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또한, 게이머의 종류에 따라 레벨(초보, 중급, 고급, 고수 등)을 부여하고, 승수가 많아지거나 획득 금액이 많은 게이머들의 레벨을 순차적으로 올리도록 하는 레벨 제도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레벨 제도에서는 특정 레벨의 게이머는 동일한 레벨의 게이머들만 모여있는 채널로만 접속할 수 있고, 점당 금액(예를 들어, 초급은 점당 500, 중급은 점당 1000 등)도 레벨에 따라 차등되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은 오프라인에서와 같이 "매 판"마다 점수계산과 금액 정산이 이루어지므로 게임이 다소 지루할 수 있다. 또한, 레벨 제도가 있기는 하지만 레벨을 올리기 위해서는 수많은 게임을 수행하여 승률을 높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어서 큰 흥미를 유발할 수 없다.
또한, 종래 방식에 의한 온라인 고스톱 게임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한 판에 수백점이 넘는 점수가 나서 한 번에 너무 많은 금액을 잃거나 자신이 가진 금액의 전부를 잃을 수 있다는 문제점(소위 "올인"의 문제점), 상대 게이머가 자신의 금액을 많이 획득한 후 계속 경기하고자 하는 요청에도 불구하고 게임을 더 이상 진행하지 않는 문제점(소위 "먹튀"의 문제점), 마이너스 금액으로 내려가지 않는다는 약점을 악용한 금액이 얼마 없는 게이머와 게임을 하여 너무 많은 금액을 잃는 문제점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오프라인 상에서의 고스톱 게임에서도 나타나는 것이고 카드 게임의 특성상 어쩔 수 없이 나타나는 것이지만, 서로 대면하지 않는 온라인 게임에서는 그 특성상에서는 더 자주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선의의 피해자가 다수 생 기는 경우 공정한 온라인 게임을 진행하는데 방해가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정해진 금액을 참가비로 제공한 후 목표(최고) 등급까지 매등급마다 토너먼트 방식으로 고스톱 게임을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전술한 종래의 온라인 고스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컴퓨터 네트워크 고스톱 게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는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너먼트 등급을 최초 등급에서 목표등급까지 복수개 할당하고, 게이머로 하여금 최초 등급 또는 진입가능 등급에서 정해진 참가비를 지급하도록 하며, 게이머는 자신과 동일한 등급에 포함된 다른 게이머와 1판 이상의 게임을 하여 승리하는 경우 다음 등급으로 진행하도록 하고 패배하는 게이머는 최초 등급으로 강등시키는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에서 매 등급마다 정해진 보상금액을 지급하도록 하되, 최고 등급(목표등급)에 도달한 게이머에게는 정해진 최고 보상금액을 지급하며, 매 등급에서 승리한 게이머로 하여금 다음 등급으로 진행하는 대신 그 때까지의 보상금액을 중간 정산하고 최초 등급으로 강등시키는 컴퓨터 네트워크 고스톱 게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컴퓨터 네트워크 고스톱 게임을 제공하되, 게이머가 최고등급에 도달하기 이전에 중간 정산 하는 경우 소정의 금액(딜러비)를 차감한 금액을 해당 게이머에게 제공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고스톱 게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게임서버, 데이터베이스 및 하나 이상의 게이머 단말기 및 그들을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온라인 고스톱 게임 방법으로서, 상기 게임서버는 (a) 게이머 단말기로부터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게이머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참가비 지급 신호가 있는지 확인하는 제1단계와, (b) 소정 참가비를 지급한 게이머 단말기로부터 최초 등급 또는 진입 가능 등급에 포함된 게임 채널 및 게임방으로의 접속요청을 접수하는 제2단계와, (c) 동일한 게임 등급에 속하는 다른 게이머 단말기와 해당 게이머 단말기를 연결하여 1판 이상의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을 수행하도록 하고,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 종료 후 승패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d) 상기 (c)단계에서 승리한 게이머를 상위 등급 채널 및 게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패배한 게이머를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에서 종료시키는 제4단계와, (e) 매 등급에서 승리한 게이머의 요청에 따라, 정해진 최고 등급(N)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c) 및 (d)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승리한 게이머가 현재 등급(n)에서의 중간 정산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d) 및 (e) 단계 대신 현재 등급에 해당되는 보상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산출 하여 해당 게이머에게 지급할 수 있다. (중간 정산 단계) 또한, 최고 등급에 오른 게이머에게는 소정의 최고 보상금액을 제공한다.
여기서 현재 등급 n이란 최초 등급(1등급)에서 시작하여 n-1번의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을 승리함으로써 도달한 등급을 의미한다. 즉, 2등급이란 1 등급내에서 다른 게이머와 1 판 이상의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에서 승리한 경우 주어진다.
진입가능 등급은 최초 등급(1 등급) 이외에 하나 이상의 등급(n)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각 진입가능 등급(n)에서의 참가비는 "최초 등급 참가비ㅧ2n-1"로 정하여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정 등급에서 고스톱 게임을 승리한 후 상위 등급으로 올라가 게임하지 않고 게임서버와 접속을 끊는 경우에는, 다음 로그인 시 해당 게이머의 등급을 확인한 후 해당되는 등급의 채널 및 게임방으로 자동 접속하도록 한다.
또한, 한 게이머가 하루 동안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에 참여할 수 있는 횟수를 제한하거나, 토너먼트에서 패한 게이머로 하여금 정해진 기간(예를 들면, 1시간) 동안 다시 토너먼트 게임에 참여할 수 없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제한은 게이머로 하여금 신중하게 토너먼트 게임에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한꺼번에 너무 많은 금액을 잃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매 등급에서의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은 동일 등급의 다른 게이머와 고스톱 게임 2판을 수행하여 승리한 판의 점수가 높은 게이머를 승자로 하는 "2판 점수제 방식"과, 복수판의 고스톱 게임을 수행하한 후 총 획득한 점수를 합산하여 승자를 결정하는 "총 점수 합산제 방식"과, 3판 이상(홀수판)의 고스톱 게임을 수행하여 많은 판을 승리한 게이머를 승자로 하는 "홀수판 다승 방식" 중 하나 이상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토너먼트 온라인 고스톱 게임 시스템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수의 게이머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는 게임서버로서, (a) 상기 게이머 신상정보와 등급정보 및 현재 보유 금액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DB와, 게임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게임 DB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b) 상기 게이머 단말기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이터송수신부와, (c)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 요청한 게이머의 등급을 확인하거나 등급을 부여하고, 각 게이머의 게임 진행에 따른 등급을 관리하는 등급 관리부와, (d) 상기 등급별 채널생성/관리와 채널 내에 포함되는 다수의 게임방을 생성/관리하는 채널관리부와, (e) 특정 등급의 한 게임방에 접속된 게이머 단말기 사이에서 해당 등급에서의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을 수행하며, 게임 종료 후 상기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의 승자를 판별하고, 승리한 게이머에게는 상위 등급의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을 진행하도록 하고, 패한 게이머는 해당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을 종료시키는 게임진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 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토너먼트 방식의 고스톱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토너먼트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게임서버(100)와, 게임정보 및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사용자 DB; 110, 게임 DB; 120)와, 하나 이상의 게이머 단말기(200) 및 게이머 단말기와 게임서버를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망(30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게임서버(100) 게이머로부터의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 요청을 접수하고, 소정의 참가비를 받은 후 해당 게이머를 해당 등급의 채널에 접속시킨다. 또한, 게이머가 해당 등급에서 게임방을 생성하거나 이미 생성된 게임방에 입장하는 경우 해당되는 다른 게이머와 1판 이상의 고스톱 게임을 수행하도록 하며, 게임이 종료된 경우 승리한 게이머는 상위 등급의 채널로 자동 승격시키고, 패배한 게이머는 해당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을 종료시킨다. 즉, 패배한 게이머는 최초 단계로 돌아가 새로이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에 참여하여야 한다.
또한, 게임서버는 특정 게이머가 최고 등급에서의 게임에서 최종 승리한 경우 정해진 보상 금액을 지급하고, 특정 등급(최초 등급은 제외)에서 보상금의 중간 정산을 요청하는 경우 해당 등급에서의 보상금 중 소정비율의 딜러비를 차감한 잔액을 해당 게이머에게 지급한다.
이러한 게임서버의 세부적인 기능 및 세부 구성요소는 도 2를 참고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기능의 게임서버(100)는 유무선 인터넷망에 배치되는 웹서버(Web Server) 또는 왑서버(WAP Serv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웹서버 또는 왑서버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게이머 단말기)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웹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웹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상기 웹서버상에서 동작하는 본 발명에 의한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을 위한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게임서버(10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다수의 게이머 단말기(200)는 유무선 인터넷, 컴퓨터 통신 등을 이용하여 상기 게임서버(1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한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일반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등과 같은 컴퓨터 시스템뿐 아니라,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헨 드헬드 PC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게이머 단말기에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게임서버에 접속하고, 소정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게임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브라우저는 일반 PC의 경우에는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인터넷 익스플로어가 될 수 있으며, PDA 등과 같은 무선통신 기기인 경우에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브라우저, ME(Mobile Explorer)와 같은 무선인터넷 브라우저 등이 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임서버(100)와, 데이터베이스(110, 120) 및 게이머 단말기(130) 등을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망(300)은 유무선 인터넷망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유무선 인터넷망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또한, 무선인터넷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등과 같은 무선인터넷 프로토콜 및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게이머 단말기와, 게임서버 사이의 데이터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기지국제어기(BSC), 이동교환국(MSC)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이외에 이동통신망을 유선 인터넷망과 연결하는 망간 연동장치(IWF) 및 WAP 게이트웨이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게임서버는 왑서버(WAP Server)와 같이 무선인터넷 프로토콜에 적합한 형태로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게임서버(100)의 기능별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게임서버는 게이머 신상정보와 등급정보 및 현재 보유 금액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DB(110)와, 게임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게임 DB(120)와, 게이머 단말기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이터송수신부(130),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 요청한 게이머에게 등급을 부여하고, 각 게이머의 게임 진행에 따른 등급을 관리하는 등급 관리부(140)와, 등급별 채널생성/관리와 채널 내에 포함되는 다수의 게임방을 생성/관리하는 채널관리부(150)와, 한 게임방에 접속된 게이머 단말기 사이에서 고스톱 게임을 수행하는 게임진행부(160)와, 특정 등급 또는 최고 등급에 도달한 게이머의 요청에 따라 해당 등급에서의 지급금액을 정산하는 보상 금액 정산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송수신부(130)는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접속된 게이머 단말기(200)로부터 게이머의 로그인 정보와, 토너먼트 고스톱 요청신호, 참가비 지급신호를 수신하여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으로의 참가를 유도한다. 그 이후, 해당 게이머가 선택한 채널/게임방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게임방에서 다른 게이머와 고스톱 게임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하며, 게임 도중에는 각 게이머 단말기로부터의 게임 정보(예를들면, 매 턴마다의 내는 화투패 정보 등)를 수신하고, 게임진행부로부터 생성된 게임정보(예를 들면, 뒤집은 화투패 정보와 그의 처리 결과 등)를 해당 게이머 단말기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즉, 데이터 송수신부는 여러 게이머 단말기(200) 와 게임 서버(100) 사이의 모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사용자 DB(110)에는 각 게이머의 신상정보(ID, 이름, 비밀번호 등)와 함께 해당 게이머의 승리/패배 정보, 토너먼트 고스톱에서의 현재 등급정보, 보유 금액 정보 등이 적절하게 코딩(Coding) 되어 저장되어 있다.
게임 DB(120)에는 고스톱 게임과 관련된 정보, 예를 들면, 매 화투패의 식별코드와, 점수 계산에 필요한 정보, 미션정보 등이 코딩(Coding)되어 저장되어 있다.
등급관리부(140)는 게이머가 처음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을 요청하고 기본 참가비를 내는 경우에는 해당 게이머에게 최초 등급(1등급 또는 일반등급)을 부여하고, 게임 진행에 따라 특정 등급 채널의 게임에서 승리한 경우 해당 게이머의 등급정보를 증가하도록 DB를 갱신/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게이머가 추가 참가비를 지급하는 경우 최초 등급이 아닌 진입가능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본참가비에 소정의 참가비 가중치(22=4배)를 곱한 추가 참가비를 지급하는 경우 최초 등급(1등급)보다 2단계 높은 제3등급인 진입 가능 등급을 부여받는 것과 같다. 즉, 진입가능 등급이 n등급인 경우 참가비 가중치는 2n-1로 주어지도록 한다.
또한, 보유금액, 승수 등의 정보를 기초로 게이머의 레벨을 "초보", "중수", "고수"등으로 구분하고, 각 레벨별로 별도의 토너먼트 게임을 진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을 채택하는 이유로는 실력이 우수한 게이머가 토너먼트에서 항상 승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실력이 낮은 "초보" 레벨의 게이머들끼리 별도로 토너먼트를 진행시키는 등과 같이 게임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 때, 각 레벨별로 참가비를 다르게 책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등급관리부는 접속된 게이머를 식별한 후 DB를 검색하여 현재의 토너먼트 등급을 확인한 후 후술할 채널 관리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한다.
채널 관리부(150)는 등급관리부로부터 전달받은 해당 게이머의 현재 토너먼트 등급별로 게임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통로역할을 하는 다수의 채널(Channel)을 생성하여 채널 리스트를 접속한 게이머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면, 최초 등급(1등급)에는 20개의 채널을 형성하고 위의 등급으로 갈수록 채널 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채널(Channel)은 다수의 게이머가 게임서버에 접속할 경우에 부하를 분산처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나의 채널에는 약 200여명의 게이머가 동시 접속할 수 있는 정도의 접속용량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 <표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채널종류(최초 등급에서 10등급까지)와 채널 수 및 채널 입장 조건이 표시되어 있다.
Figure 112004032644254-PAT00001
상기 표의 실시예에서는 최초 등급(1등급)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참가비 10만원을 지급하도록 하고, 3등급 및 5등급을 각각 진입가능 등급으로 별도로 규정하고 있으며, 게이머가 최초 등급이 아닌 3등급 또는 5등급에서 토너먼트를 시작하려 하는 경우에는 각각 40만원(최초 등급으로의 참가비 10만원ㅧ참가비 가중치 4) 및 160만원(10만원ㅧ참가비 가중치 16)의 추가 참가비를 지급하여야 한다. 물론, 2등급 채널 및 4등급 채널에서 각각 게임을 승리한 경우에도 추가 금액 지급 없이 3등급 및 5등급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채널 관리부(150)는 하나의 채널에 복수 개의 게임방을 생성/관리하는 기능도 보유한다. 각 게임방의 정보에는 현재 접속하여 게임을 하고 있는 게이머 정보와, 참관중인 참관 게이머 정보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채널 관리부(150)는 각 토너먼트 등급마다 부여된 다양한 게임의 채널(Channel) 목록 및 각 채널에 속해 있는 게임방의 목록을 저장하고 있으며, 특정 게이머가 선택한 채널/게임방으로 해당 게이머 단말기를 접속시킨 후 후술할 게임 진행부로 하여금 게임을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게임진행부(160)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 게이머 단말기 사이에서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을 수행하는 것으로 통상의 고스톱 게임 진행부와 유사하게 구현된다. 즉, 두 게이머가 정해지면 각 게이머에게 10장의 화투패를 분배하고 8장의 화투패(깔린 패)를 바닥에 개방하며, 나머지 화투패를 뒤집어 쌓아 둠으로써 게임을 시작한다. 선(先)을 가진 게이머 단말기로부터 "내는 화투패" 선택정보를 수신하면 선택된 내는 화투패를 바닥에 개방하고 뒤집어 쌓아 둔 패에서 한 장의 화투패를 개방하여 바닥에 내려 놓는다. 물론, 각 화투패 처리에서 같은 종류(월약)의 패가 있는 경우 해당되는 두 화투패를 해당 게이머 소유로 한다. 두 게이머가 전술한 일련의 화투패 처리(화투패 내기+화투패 뒤집기)를 수행하는 것을 "턴(Turn)"이라 표현한다.
매 턴마다 게임진행부(160)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 게이머의 획득점수를 산출하고, 필요한 경우 기준 점수인 7점 이상이 된 게이머에게 해당 판을 계속 진행할 지(고; Go) 또는 진행을 중단할지(스톱; Stop)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게임 진행부(160)는 통상의 고스톱 게임 서버가 계속해서 판을 진행하는 것과 달리, 해당 등급에서 두 게이머 중 승자를 가리기 위하여 몇 가지 특유한 게임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첫 번째로 "2판 점수제 방식"이다. 즉, 두 게이머가 서로 선을 한 번씩 가지고 두 판의 게임을 수행하되, 승리한 판의 점수가 큰 게이머를 해당 등급에서의 최종 승자로 결정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게이머 A, B가 2등급에서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을 한다고 가정하고, 첫 번째 판은 A가 선을 보유하고 게임을 한 결과 A가 8점을 획득하였고, 두 번째 판은 B가 선을 보유하고 게임을 하여 B가 10점을 획득하였다고 할 때, 승리한 판의 점수가 더 큰 B를 2등급에서의 토너먼트 승자로 결정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 방식으로는 "점수 총 합산제" 방식이다. 즉, 2 판의 게임을 하면서 각 게이머가 획득한 총 점수를 합산하여 최종 승자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위와 같은 예에서, B는 첫 번째 판에서 지면서 점수를 획득하지 못하였고, A는 두 번째 판에서 졌으나 5점의 점수를 획득한 경우, 전술한 "2판 점수제" 방식에서는 B가 최종 승자이었으나, "점수 총 합산제" 방식에 의하면 B가 두 판에서 획득한 총 점수는 10점이고, A의 두판 획득 점수는 13점이므로 A를 최종 승자로 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홀수판 다승제" 방식이다. 즉, 홀수판의 게임을 진행한 후 많은 게임을 이긴 게이머를 최종 승자로 결정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한 등급에서 두 게이머가 3판의 고스톱 게임을 하게 한 후 2판을 먼저 승리하는 게이머를 최종 승자로 하는 것이다.
또한,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는 고스톱 게임의 각종 규칙, 예를 들면 "뻑", "판쓸이", "따닥", "광박", "피박" 등의 룰이 그대로 적용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한 제400,833호 등록특허에 개시되어 있는 미션기능을 채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고스톱 게임룰은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게임진행부는 매 등급에서의 고스톱 게임에서 승패가 결정되면, 그 게임 결과를 양 게이머 단말기로 전송/출력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 때, 승리한 게이머 단말기로 제공되는 게임결과에는 현재 등급(또는 승수)정보와, 현재까지의 보상금액 정보 이외에 상위 등급으로 진행할지 아니면 보상금액을 중간 정산할지 묻는 안내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임진행부(160)는 승리한 게이머가 상위 등급으로의 진행을 요청하는 경우 채널 관리부와 연동하여 상위 등급의 채널/게임방 정보를 전송하고, 위에서와 같은 과정으로 게이머의 선택에 따라 상위등급에서의 토너먼트 게임을 반복 수행한다.
보상 금액 정산부(170)는 게이머의 요청에 따라 현재 등급에서 게이머에게 주어질 보상금액을 산출하여 지급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최초 참가비 10만원을 지급한 후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을 시작한 후 매 등급의 채널에서 승리(n-1회의 토너먼트 게임 승리 회수)함으로써 n 등급까지 상승한 경우, 참가비ㅧ2n-1 또는 참가비ㅧ2승수와 같이 최초 등급 참가비에 소정의 등급 가중치가 곱해진 보상금을 지급받도록 한다. 또한, 10승 채널의 게임에서 승리함으로써 최고 등급(11등급)에 오른 게이머에게는 총 10번의 토너먼트 게임에서 승리하였으므로 10만원ㅧ210 = 1,024,000,000원의 보상금을 지급하게 된다.
또한, 보상 금액 정산부(170)는 최고 등급까지 오르지 않더라도 중간 등급에서도 보상금액을 중간 정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최고 등급이 아닌 등급에서 중간 정산을 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금액을 소위 "딜러비"로 차감한 보상금액을 지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딜러비"의 비율은 게임 서버 관리자가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는 20%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승 채널에서 승리함으로써 7등급에 오를 수 있는 게이머로부터 중간 정산 요청이 있는 경우, 640만원(10만원ㅧ26)에서 20%의 딜러비로 128만원을 차감한 나머지 잔액인 512만원을 중산 정산 금액으로 지급하는 것이 그 예이다.
아래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등급별 중간 정산된 보상금액을 도시하는 것으로, 최초 등급(1등급)에서는 중간정산이 불가능하고, 각 단계에서는 20%의 딜러비를 차감한 보상금액을 지급한다. 물론, 최고 등급인 10등급의 토너먼트 게임에서 승리한 게이머(최종 승자)에게는 딜러비 차감없이 보상금액 전액을 지급한다.
Figure 112004032644254-PAT00002
※ 참고 : 최초 등급 참가비는 10만원
이렇게 중간 정산시 소정의 딜러비를 차감하는 것은, 관리자가 소정의 수익을 가지기 위한 목적도 있으나, 게임을 중간에 중지하는 것을 방지하여 최고 등급까지 오르고자 하는 의욕을 고취시킴으로써, 토너먼트 게임이라는 취지를 달성하는 효과가 있다.
보상금액 정산부(170)는 이러한 보상금액 데이터를 기초로 DB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보유금액 데이터를 갱신하며, 최고 등급에 올라 보상금 전액을 지급받았거나 중간 정산을 한 게이머의 등급 정보는 다시 최초 등급으로 갱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DB를 제어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게임서버의 각 구성요소 들은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 소정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소프트웨어로 작성되어 게임 서버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전술한 기능을 가지는 한 구현 형식에는 제한이 없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을 수행하는 전체 흐름도를 도시한다.
게이머는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 서버에 접속한 후 자신의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로그인한다(S310). 게임서버는 로그인된 게이머의 토너먼트 등급 정보를 사용자 DB를 검색하여 확인하고(S311), 해당되는 등급의 게임 채널/게임방 리스트를 게이머 단말기로 전송/출력한다(S313). 이 때, 접속한 게이머가 최초로 또는 새로이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을 수행하려는 게이머인 경우, 게임서버는 소정의 참가비를 지급하라는 안내메시지를 게이머 단말기로 전송하고(S312), 지급된 참가비에 따라 해당되는 최초 등급 또는 진입 가능 등급의 채널 리스트를 전송/출력한다(S313).
게이머 단말기로부터 채널선택 및 게임방 생성/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게임서버는 해당 게이머를 해당 게임방에 접속한 후 접속된 다른 게이머와 고스톱 게임을 수행하도록 한다(S314).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토너먼트 등급에서 승자를 가리기 위한 여러 가지 방식이 존재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2판 점수제"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즉, 게임 서버의 게임 진행부는 두 명의 게이머를 각각 선(先)으로 한 2 판 의 고스톱 게임을 수행하여, 더 많은 점수로 이긴 게이머를 해당 등급에서의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의 승자로 결정한다.
게임 서버는 승자로 결정된 게이머 단말기로 상위 등급으로 진행할지, 보상 금액을 중간에 정산할지 묻는 문의 메시지를 전송/출력한다(S315). 상위 등급으로 진행하고자 하는 요청이 있는 경우(S316) 게임서버는 해당 게이머의 등급정보를 하나 증가시키고 증가된 등급이 최고 등급인지 판별한다(S318, S319). 최고 등급이 아닌 경우에는 다시 S313 단계로 진행하여 상승된 등급에서의 채널/게임방 선택 및 게임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S316 단계에서 상위 등급으로 진행을 포기하고 중간 정산을 요청하는 경우, 게임서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딜러비를 차감한 보상금액을 산출하여 해당 게이머의 보유 금액정보에 더함으로써 보상금액을 중간 정산해 준다(S317).
또한, 게임서버는 패한 게이머 단말기로는 토너먼트에서 탈락했다는 안내메시지를 전송/출력해 주고, 해당 게이머의 토너먼트 등급을 최초 등급(1등급)으로 강등(S321)한 뒤 종료한다. 물론, 패한 게이머는 다시 S312 단계로 진행한 후 참가비를 지급하고 다시 토너먼트를 도전할 수 있다.
S319 단계에서 최고 등급으로 판별되면, 해당 게이머의 요청에 무관하게 정해진 최고 보상금을 산출하여 해당 게이머의 보유 금액정보에 더함으로써 최고 보상금을 지급한다(S320). 이 때에는 딜러비를 차감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임서버는 최고 보상금이 지급된 게이머의 등급정보를 다시 최초 등급으로 강등시키고 해당 토너먼트를 종료한다(S321).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의 수행에서 게이머에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게임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도 4a와 같은 초기화면이 도시된다. 도 4a는 최초로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에 참여하는 게이머가 접속한 화면으로서, 게임 안내를 위한 항목 이외에 도면 우측 중간에 "1억 도전 토너먼트"라는 버튼을 제공한다. 버튼 아래에는 "1승(10만원)에 도전합니다"와 같이 현재 게이머 등급과 보상금액 정보를 알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이머가 해당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해당되는 등급의 채널/게임방 리스트가 출력되고(미도시), 그 중 하나의 채널/게임방을 선택하는 경우 도 4b와 같은 게임화면이 제공된다.
도 4b는 어느 정도 진행된 게임화면으로서, 통상의 고스톱 게임화면과 전체적으로는 유사하지만 본 발명의 고유한 항목이 다수 도시되어 있으며, 아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고유한 항목 위주로 설명한다.
도 4b의 좌측 최상단에는 "[7승채널 4] 다 덤벼!!"와 같이 해당 게이머가 해당 등급에서 선택한 채널정보가 출력되어 있다. 채널 정보로는 "7승"과 같은 등급정보, "채널 4"와 같은 채널 번호, "다 덤벼"와 같은 채널(게임방) 제목 등이 포함된다.
도 4b의 게임 화면 좌측에는 해당 등급에서의 고스톱 판 중 몇 번째 판인지 표시하는 "ROUND" 표시가 출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매 등급의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 2회 이상의 고스톱 판이 수행되기 때문에 현재 판이 몇 번째 판인지 알려줄 필요가 있으며, 도면에서는 첫 번째 판(ROUND1)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선(先)이 누구인지 표시해주는 항목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매 등급에서의 공정한 게임을 위하여 이전 판의 승자가 선이 되는 것이 아니고 교대로 선을 보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b의 게임화면 좌측 상하단에는 양 게이머의 정보로서, ID, 보유금액 정보, 레벨 등이 표시되어 있으나, 그 외에 토너먼트에서 최고 등급까지 오른 회수(예를 들면, 토너먼트 우승회수 0032회 등)와 등급정보 등이 함께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임화면 우측 상단에는 "7승 도전; 1280만원"과 같이 현재의 등급을 나타내는 정보와 현재 등급을 통과하였을 때의 보상금액을 출력하는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각 게이머측에는 "집계점수 8점"과 같이 현재까지의 획득점수를 나타내는 항목이 제공되어 있다.
도 4c는 해당 등급에서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이 종료된 경우 게임결과를 출력하는 화면으로, 해당 등급의 토너먼트 게임에서 패한 게이머에게 패했다는 메시지가 출력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승리한 게이머에게는 획득점수와 함께 승리했다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위 등급으로 진행할지 아니면 중간 정산할지 묻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축하드립니다! X승에 도전하실 수 있습니다"라는 메시지와 "확인"버튼을 제공하고,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상위 채널로 이동 하도록 하는 것과 같다. 또한, 중간 정산을 위하여 "여기서 결산을 하실 경우 XXX원의 금액을 받으시고 처음부터 다시 도전을 하셔야 합니다. 그래도 중간 정산을 하시겠습니까?(딜러비 20% 차감)"과 같은 안내메시지를 출력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중간 정산을 해 준다.
상위 등급으로 진행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해당되는 등급의 채널/게임방 리스트를 다시 제공하고, 도 4b와 같은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게임을 수행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또한, 최종 토너먼트 승자가 된 경우에는 "최종 우승자가 되신 걸 축하합니다. XXX원의 보상금액을 받으시게 됩니다"라는 안내메시지를 출력하고, 해당되는 보상금액만큼을 해당 게이머의 보유 금액 정보에 더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라인 고스톱 게임에 토너먼트 방식을 도입하여 고스톱 게임에 대한 다양성을 제공함으로써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게이머는 소액의 참가비만으로 참여하고, 승리의 대가로 등급이 올라감과 동시에 보상금액이 늘어나므로 게임에 대한 재미를 한층 더 느낄 수 있다.
또한,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에서 매 등급마다 정해진 보상금액을 지급하도록 하되, 최고 등급(목표등급)에 도달한 게이머에게는 정해진 최고 보상금액을 지급하며, 매 등급에서 승리한 게이머로 하여금 다음 등급으로 진행하는 대신 그 때까지의 보상금액을 중간 정산하고 최초 등급으로 강등시키되, 중간 정산 하는 경우 소정의 금액(딜러비)를 차감한 금액을 해당 게이머에게 제공함으로써 계속하여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에 도전하도록 유도하여 게임에 대하여 더 몰입하도록 한다.

Claims (20)

  1. 게임서버, 데이터베이스 및 하나 이상의 게이머 단말기 및 그들을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온라인 고스톱 게임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임서버는
    (a) 게이머 단말기로부터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게이머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참가비 지급 신호가 있는지 확인하는 제1단계;
    (b) 소정 참가비를 지급한 게이머 단말기로부터 최초 등급 또는 진입 가능 등급에 포함된 게임 채널 및 게임방으로의 접속요청을 접수하는 제2단계;
    (c) 동일한 게임 등급에 속하는 다른 게이머 단말기와 해당 게이머 단말기를 연결하여 1판 이상의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을 수행하도록 하고,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 종료 후 승패를 판단하는 제3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승리한 게이머를 상위 등급 채널 및 게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패배한 게이머를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에서 종료시키는 제4단계;
    (e) 매 등급에서 승리한 게이머의 요청에 따라, 정해진 최고 등급(N)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c) 및 (d)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리한 게이머가 현재 등급(n)에서 상위 등급으로 진행하는 대신 중간 정산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d) 및 (e) 단계 대신 현재 등급(n)에 해당되는 보상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산출하여 해당 게이머에게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등급(n)은 최초 등급에서 시작하여 n-1번의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에서 승리하여 도달된 등급을 의미하며, 상기 현재 등급(n)에 해당되는 보상금액은 상기 최초 등급으로의 참가비에 소정 등급 가중치를 곱한 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등급 가중치는 2n-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등급(n)은 최초 등급에서 시작하여 n-1번의 토너먼트 게임에서 승리하여 도달된 등급을 의미하며, 상기 현재 등급(n)에 해당되는 보상금액은 상기 최초 등급으로의 참가비에 소정 등급 가중치를 곱한 금액에서 소정의 비율에 해당되는 "딜러비"를 차감한 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고 등급(N)은 최초 등급(1등급)에서 시작하여 N-1번의 토너먼트 게임에서 승리하여 도달된 등급을 의미하며, 상기 최고 등급에 도달한 게이머에게는 상기 최초 등급으로의 참가비에 2N-1의 가중치를 곱한 금액을 최고 보상금액으로 지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가능 등급은 최초 등급(1등급) 이외의 n 등급이고, 해당 진입가능 등급(n등급)에 바로 참여하기 위한 상기 참가비는 최초 등급 참가비에 소정의 참가비 가중치를 곱한 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참가비 가중치는 2n-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승패의 판단은 두 게이머가 서로 선을 한 번씩 가지고 두 판의 게임을 수행하되, 승리한 판의 점수가 큰 게이머를 해당 등급의 토너먼트 게임의 승자로 결정하는 "2판 점수제 방식"과 , 다수 판의 게임을 하면서 각 게이머가 획득한 총 점수를 합산하여 최종 승자를 결정하는 "점수 총합제 방식"과, 홀수판의 게임을 진행한 후 많은 게임을 이긴 게이머를 최종 승자로 결정하는 "홀수판 다승제 방식"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패배한 게이머로 하여금 소정 기간 동안 다시 토너먼트 게임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패한 게이머로 하여금 정해진 기간동안 정해진 회수 이하의 토너먼트 게임 수행만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12.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수의 게이머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는 게임서버로서,
    (a) 상기 게이머 신상정보와 등급정보 및 현재 보유 금액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DB와, 게임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게임 DB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
    (b) 상기 게이머 단말기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이터송수신부,
    (c)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 요청한 게이머의 등급을 확인하거나 등급을 부여하고, 각 게이머의 게임 진행에 따른 등급을 관리하는 등급 관리부;
    (d) 상기 등급별 채널생성/관리와 채널 내에 포함되는 다수의 게임방을 생성/관리하는 채널관리부와,
    (e) 특정 등급의 한 게임방에 접속된 게이머 단말기 사이에서 해당 등급에서의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을 수행하며, 게임 종료 후 상기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의 승자를 판별하고, 승리한 게이머에게는 상위 등급의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을 진행하도록 하고, 패한 게이머는 해당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을 종료시키는 게임진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특정 등급(n)에 도달한 게이머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등급(n)에서의 보상금액을 중간 산출하고, 해당 중간 산출된 보상금액을 해당 게이머의 보유 금액 정보에 더하도록 상기 DB를 갱신하는 보상 금액 정산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진행부는 접속한 게이머 단말기로부터 참가비 지급신호를 수신한 후 참가비 만큼을 해당 게이머의 보유금액 정보에서 차감하도록 DB를 갱신하고,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등급(n)은 최초 등급에서 시작하여 n-1번의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에서 승리하여 도달한 등급을 의미하며, 상기 특정 등급(n)에 해당되는 보상금액은 상기 최초 등급으로의 참가비에 소정의 등급 가중치를 곱한 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등급 가중치는 2n-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시스템.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등급(n)은 최초 등급에서 시작하여 n-1번의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 에서 승리하여 도달한 등급을 의미하며, 상기 특정 등급(n)에 해당되는 보상금액은 상기 최초 등급으로의 참가비에 소정의 등급 가중치를 곱한 금액에서 소정의 비율에 해당되는 "딜러비"를 차감한 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시스템.
  18. 제 12 항에 있어서,
    최고 등급(N)에 도달한 게이머가 있는 경우, 최고 보상금액을 산출하고 산출된 최고 보상금액을 해당 게이머의 보유 금액 정보에 더하도록 상기 DB를 갱신하는 보상 금액 정산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최고 등급(N)은 최초 등급(1등급)에서 시작하여 N-1번의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에서 승리하여 도달된 등급을 의미하며, 상기 최고 보상금액은 상기 최초 등급으로의 참가비에 2N-1의 가중치를 곱한 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시스템.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진행부는 두 게이머가 서로 선을 한 번씩 가지고 두 판의 게임을 수행하되, 승리한 판의 점수가 큰 게이머를 해당 등급의 토너먼트 게임의 승자로 결정하는 "2판 점수제 방식"과 , 다수 판의 게임을 하면서 각 게이머가 획득한 총 점수를 합산하여 최종 승자를 결정하는 "점수 총합제 방식"과, 홀수판의 게임을 진행한 후 많은 게임을 이긴 게이머를 최종 승자로 결정하는 "홀수판 다승제 방식" 중 하나에 의하여 상기 토너먼트 고스톱 게임의 승패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0040057380A 2004-07-22 2004-07-22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및시스템 KR101068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380A KR101068731B1 (ko) 2004-07-22 2004-07-22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및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380A KR101068731B1 (ko) 2004-07-22 2004-07-22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및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632A true KR20060008632A (ko) 2006-01-27
KR101068731B1 KR101068731B1 (ko) 2011-09-28

Family

ID=3711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380A KR101068731B1 (ko) 2004-07-22 2004-07-22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7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271B1 (ko) * 2007-05-11 2011-02-16 엔에이치엔(주) 온라인 상에서의 유저개최 토너먼트 게임 진행 시스템 및 그 진행방법
WO2012091286A1 (ko) * 2010-12-31 2012-07-05 (주)네오위즈게임즈 토너먼트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방법 및 게임서버
WO2013069912A1 (ko) * 2011-11-09 2013-05-16 ㈜네오위즈게임즈 인터넷 게임에서의 사용자 매칭 방법 및 시스템
US9196117B2 (en) 2007-05-31 2015-11-24 Nhn Entertainment Corporation Game support system and method
KR20180124605A (ko) * 2017-05-12 2018-11-21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커스텀 리그의 참가자 보상을 위한 시스템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온라인 게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183B1 (ko) * 2013-01-23 2014-12-08 (주)네오위즈게임즈 보드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091A (ko) * 2000-04-06 2001-11-07 박홍규 온라인 게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88516A (ko) * 2002-05-11 2003-11-20 주식회사 네오액트 토너먼트방식을 이용한 게임진행방법
KR20040037650A (ko) * 2002-10-29 2004-05-07 주식회사 네오위즈 인터넷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271B1 (ko) * 2007-05-11 2011-02-16 엔에이치엔(주) 온라인 상에서의 유저개최 토너먼트 게임 진행 시스템 및 그 진행방법
US9196117B2 (en) 2007-05-31 2015-11-24 Nhn Entertainment Corporation Game support system and method
WO2012091286A1 (ko) * 2010-12-31 2012-07-05 (주)네오위즈게임즈 토너먼트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방법 및 게임서버
WO2013069912A1 (ko) * 2011-11-09 2013-05-16 ㈜네오위즈게임즈 인터넷 게임에서의 사용자 매칭 방법 및 시스템
KR101360189B1 (ko) * 2011-11-09 2014-02-20 (주)네오위즈게임즈 인터넷 게임에서의 사용자 매칭 방법 및 시스템
KR20180124605A (ko) * 2017-05-12 2018-11-21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커스텀 리그의 참가자 보상을 위한 시스템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온라인 게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731B1 (ko)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9550B2 (en) Network game method and network game system
US8317598B2 (en) Handicapping and differential reward system for skill-based games
KR100742129B1 (ko) 온라인 고스톱 게임 시스템 및 고스톱 게임 제공 방법
US20020037767A1 (en) Gambling system and method through a computer network
US9333434B2 (en) Collaborative network game using player rankings
JP2018171271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ゲームシステム
JP2005500110A (ja) オンラインゲーム方法及び装置
CA25061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gaming over a computer network
KR20080012128A (ko) 오프라인 대전 상대 연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전 상대연결 방법
WO2014087540A1 (ja) オブジェクト交換システム
JP2018110896A (ja) オブジェクト交換システム
JP2007521059A (ja) トーナメント方式で進行されその勝数により賞金が決定される、オンラインゲームトーナメント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068731B1 (ko) 토너먼트 방식의 온라인 고스톱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및시스템
KR20040037650A (ko) 인터넷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145962B1 (ko) 테이블 머니를 이용한 고스톱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JP3504654B1 (ja)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サーバ、ゲームサーバ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90521B1 (ko) 빙고 미션을 이용한 고스톱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KR101178297B1 (ko) 사용자 모임 리그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970269B1 (ko) 온라인 게임 커스텀 리그의 참가자 보상 방법 및 시스템
KR100794247B1 (ko) 캐릭터 카드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 및 캐릭터 카드 추가방법
KR101375395B1 (ko) 온라인 맞고 게임에 있어서의 점수 산출 방법
JP7341697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ゲームシステム及びゲーム提供方法
KR20130055844A (ko) 게임 내 이용자 간 자동 매칭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게임 서버, 단말기 및 기록매체
KR20130089822A (ko) 온라인 대전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1023857B1 (ko) 게임 방법, 이를 위한 게임 서버 및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