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0760A -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0760A
KR20060000760A KR1020040049724A KR20040049724A KR20060000760A KR 20060000760 A KR20060000760 A KR 20060000760A KR 1020040049724 A KR1020040049724 A KR 1020040049724A KR 20040049724 A KR20040049724 A KR 20040049724A KR 20060000760 A KR20060000760 A KR 20060000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organic electroluminescent
transparent
substrate
encap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3674B1 (ko
Inventor
최동수
권장혁
박진우
송승용
이종혁
조윤형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9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674B1/ko
Priority to US11/167,927 priority patent/US7955717B2/en
Priority to CN2005101098366A priority patent/CN1738497B/zh
Priority to JP2005190174A priority patent/JP4564413B2/ja
Publication of KR20060000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includ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26Top e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Sheet including cover or casing
    • Y10T428/239Complete cover or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8Alkali metal or alkaline earth metal or compound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제1전극층, 제2전극층 및 상기 제1전극층과 상기 제2전극층 사이에 개재된 유기 발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유기 전계 발광부; 상기 유기 전계 발광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판과 밀봉되는 봉지기판; 상기 봉지기판 중 유기 전계 발광부를 향한 일면에 점착층, 투명 고분자층 및 투명 흡습층으로 이루어진 봉지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투명 흡습층은 부착 방법을 이용하여 봉지기판에 제공되므로,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견고한 밀봉 구조를 가져 수명 특성이 우수하며, 봉지 기판의 하면에 투명 흡습층을 구비하여 광취출 효율 또한 우수하다.

Description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An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수명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휘도 특성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작동시킨지 984시간 후의 픽셀 화상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기판 11... 봉지기판
12... 유기 전계 발광부 13... 봉지층
14... 실런트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기로는 부착 방법을 이용하여 구비된 투명 흡습층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수분의 침투에 의하여 열화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봉지 구조가 요구된다.
종래에는 금속 캔(can)이나 글래스를 홈을 가지도록 캡(cap) 형태로 가공을 하여 그 홈에 수분의 흡수를 위한 건습제를 파우더 형태로 탑재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건습제를 탑재하는 방식은 공정이 복잡하여 재료 및 공정단가가 상승하고, 전체적인 기판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봉지에 이용되는 기판이 투명하지 않아 전면 발광에 이용될 수 없다. 그리고 금속 캔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구조적으로 견고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에칭된 글래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외부 충격에 의하여 쉽게 손상된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 9-148066호는 유기 화합물로 된 유기 발광 재료층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전극간에 놓인 구조를 갖는 적층체와, 이러한 적층체를 외기와 차단하는 기밀성 용기와, 기밀성 용기 내에 배치된 알칼리 금속 산화물, 알칼리 금속 산화물과 같은 건조수단을 갖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상기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는 그 기밀성 용기의 형상으로 인해 표시 장치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진다. 또한 건조수단이 수분을 흡착한 후 고체 상태를 유지한다고 하더라도 불투명하여 전면발광에 적용할 수는 없다. 그리고 상술한 대로 공정이 복잡하여 그 재료비와 공정단가가 상승할 수 있다.
전면 발광 방식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투명 흡습 특성을 갖는 봉지층을 개발하면서 이와 관련된 공정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까지 개발된 투명 흡습 특성을 갖는 봉지층의 예를 보면, 액상 타입의 투명 흡습재를 글래스 캡(glass cap)에 채운 후, 이를 소성하여 코팅막을 형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투명 흡습제의 도포 과정에서는 필연적으로 주변부가 오염될 수 있고, 도포된 투명 흡습제의 소성 과정에서는 용제 등의 아웃개싱(outgasing)이 유발될 수 있는 바, 이는 실런트와 봉지기판 간의 결합력 약화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견고한 밀봉 구조를 달성하지 못하여 결국 소자의 수명 특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투명 흡습층을 구비하면서도 견고한 밀봉 구조를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
제1전극층, 제2전극층 및 상기 제1전극층과 상기 제2전극층 사이에 개재된 유기 발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유기 전계 발광부;
상기 유기 전계 발광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판과 밀봉되는 봉지기판;
상기 봉지기판 중 유기 전계 발광부를 향한 일면에 점착층, 투명 고분자층 및 투명 흡습층으로 이루어진 봉지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이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점착층, 투명 고분자층 및 투명 흡습층으로 이루어진 봉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봉지기판에 상기 봉지층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봉지층이 부착된 봉지기판 및 제1전극층, 제2전극층 및 상기 제1전극층과 상기 제2전극층의 사이에 개재된 유기 발광부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부가 형성된 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 실런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봉지기판과 유기 전계 발광부가 형성된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봉지기판을 통한 광취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투명 흡습층을 구비하되, 상기 투명 흡습층을 부착 방법을 이용하여 봉지기판에 제공함으로써, 투명 흡습층 형성용 조성물을 봉지기판에 직접 도포하는 과정 또는 도포된 투명 흡습층 형성용 조성물을 소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봉지기판 단부 오염 현상 및 용제의 아웃개싱 현상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견고한 밀봉 구조를 가져 수명 특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투명 흡습층을 구비함으로써 봉지기판을 통한 광취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을 따르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기판(10)의 일면 상부에 디스플레이 영역을 형성하는 유기 전계 발광부(12)가 배치된다. 상기 유기 전계 발광부(12)는 제1전극층, 제2전극층 및 제1전극층과 제2전극층 사이에 개재된 유기 발광부로 이루어진다.(미도시) 유기 발광부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유기 발광층과 제1전극층 사이에는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유기 발광층과 제2전극 사이에는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기 전계 발광부(12)와 기판(10) 사이에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및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등을 구비하는 TFT층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미도시) 즉,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수동 구동형(PM) 유기 전계 발광 소자뿐만 아니라, 능동 구동형(AM) 유기 전계 발광 소자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층 및 제2전극층은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적어도 봉지기판(11)을 통한 광취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2전극층은 예를 들면, ITO 또는 초박막 금속층과 같은 투명 전극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지기판(11)은 광취출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물질, 예를 들면 글라스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지기판(11) 중 유기 전계 발광부(12)를 향하는 일면에는 점착층(13a), 투명 고분자층(13b) 및 투명 흡습층(13c)으로 이루어진 봉지층(13)이 구비된다.
먼저, 봉지층(13)을 이루는 점착층(13a)은 투명 흡습층(13c)를 포함하는 봉 지층(13)을 봉지기판(11)의 일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점착층(13a)을 이루는 물질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로서, 아크릴계 접착제, 비닐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요소계 접착제, 페놀계 접착제, 크레졸계 접착제, 알키드계 접착제, 클로로프렌,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미드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기능성 접착제인 순간 접착제, 핫 멜트(Hot melt adhesive) 또는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 PSA)등도 사용가능하다.
이 중, 아크릴계 접착제는 예를 들면,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비닐아세테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인산, 푸말산 및 이타콘산 등과 같은 단량체 중 1 이상의 단량체로 이루어진 중합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크릴계 접착제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등이 포함된다. 한편, 비닐계 접착제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프티랄, 폴리비닐에테르, 폴리비닐알콜 등이 포함된다.
봉지층(13) 중 점착층(13a)의 하면에는 투명 고분자층(13b)이 구비된다. 투명 고분자층(13b)을 이루는 물질은 봉지기판(11)을 통한 광취출을 고려하여 광투과 특성이 우수한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 흡습층(13c) 및 점착층(13a) 과의 접촉을 고려하여 내화학성을 갖추어야 하며, 투명 흡습층(13c) 형성시 필요한 소성 단계 또는 증착 단계를 고려하여 내열성도 갖춘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물질로는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폴리카보네이트계 고분자, 폴리스티렌계 고분자, 아크릴계 고분자, 에폭시계 고분자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고분자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디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 테레프탈레이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삼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상기 중합체를 이루는 단량체 중 2 이상의 단량체로 이루어진 중합체 등이 포함된다. 이 중,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고분자층(13b)은 시판되는 고분자 필름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예를 들면 에폭시계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경화시켜 얻을 수도 있다.
상기 봉지층(13) 중 투명 고분자층(13b)의 하면에는 투명 흡습층(13c)이 구비된다. 상기 투명 흡습층(13c)은 봉지기판(11)과 기판(10)에 의하여 마련된 공간의 수분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흡습층(13c)의 일 구현예는 투명 나노다공성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투명 나노다공성막은 고상의 입자상이 경질 응집체(hard agglomerate)를 형성하지 않아야 하며, 이들 고상의 미립자의 사이즈가 분산 안정화된 졸내에서 레일리 산란(Reyleigh scattering)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를 갖고 있어 투명성을 확보하고 헤이즈가 없어야 한다. 여기에서 "레일리 산란"이란 단파장 영역에서의 산란으로 인하여 코팅막이 검은색 배경에서 볼 때 푸르스름한 색을 나타내는 현상을 지칭한다. 이러한 코팅막의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졸을 구성하는 다공성 입자의 평균 직경은 100nm 이하이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7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nm이어야 한다. 또한 코팅후 형성된 기공의 평균직경도 상술한 바와 같이 100nm 이하이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7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nm이어야 한다.
상기 투명 나노다공성막을 이루는 나노 사이즈의 다공성 입자는 평균입경이 100nm 이하, 특히 20 내지 100nm인 알칼리 금속 산화물, 알칼리토류 금속 산화물, 금속 할로겐화물, 금속 황산염 및 금속 과염소산염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한다.
상기 알칼리 금속 산화물의 예로는 산화리튬(Li2O), 산화나트륨(Na2O) 또는 산화칼륨(K2O)이 있고, 상기 알칼리토류 금속 산화물의 예로는, 산화바륨(BaO), 산화칼슘(CaO), 또는 산화마그네슘(MgO)이 있고, 상기 금속 황산염의 예로는 황산리튬(Li2SO4), 황산나트륨(Na2SO4), 황산칼슘(CaSO4 ), 황산마그네슘(MgSO4), 황산코발트(CoSO4), 황산갈륨(Ga2(SO4)3), 황산티탄(Ti(SO 4)2),또는 황산니켈(NiSO4)이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 할로겐화물의 예로는 염화칼슘(CaCl2), 염화마그네슘(MgCl2), 염화스토론튬(SrCl2), 염화이트륨(YCl2), 염화구리(CuCl 2), 불 화세슘(CsF), 불화탄탈륨(TaF5), 불화니오븀(NbF5), 브롬화리튬(LiBr), 브롬화칼슘(CaBr3), 브롬화세륨(CeBr4), 브롬화셀레늄(SeBr2), 브롬화바나듐(VBr 2), 브롬화마그네슘(MgBr2), 요오드화 바륨(BaI2) 또는 요오드화 마그네슘(MgI2 )이 있고, 상기 금속 과염소산염의 예로는 과염소산바륨(Ba(ClO4)2) 또는 과염소산 마그네슘(Mg(ClO4)2)이 있다.
상기 투명 흡습층(13c)의 두께는 50㎛ 내지 100㎛일 수 있다. 투명 흡습층(13c)의 두께가 50㎛ 미만인 경우에는 수분 흡수 효과가 미미하고, 투명 흡습층(13c)의 두께가 1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생산 단가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점착층(13a), 투명 고분자층(13b) 및 투명 흡습층(13c)로 이루어진 봉지층(13)은 95% 이상의 투광율을 달성할 수 있다. 이로써, 봉지기판(11)의 외부로 광취출되는 경우, 봉지층(13)에 의한 광취출율 저하 현상은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얻을 수 있다.
봉지층(13)이 구비된 봉지기판(11)과 유기 전계 발광부(12)가 구비된 기판(10)은 실런트(14)를 통하여 결합되어 밀봉 구조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점착층, 투명 고분자층 및 투명 흡습층으로 이루어진 봉지층 형성 단계; 봉지기판에 상기 봉지층의 부착 단계; 상기 봉지층이 부착된 봉지기판 및 제1전극층, 제2전극층 및 상기 제1전극층 과 상기 제2전극층의 사이에 개재된 유기 발광부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부가 형성된 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실런트 제공 단계; 상기 봉지기판과 유기 전계 발광부가 적층된 기판의 합착 단계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점착층, 투명 고분자층 및 투명 흡습층으로 이루어진 봉지층 형성 단계는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은 고분자로 이루어진 투명 고분자층을 준비한 다음, 투명 고분자층의 일면에 투명 흡습층을 형성하고 상기 투명 고분자층 중 상기 투명 흡습층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일면에 점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 고분자층의 일면에 투명 흡습층을 형성하는 방법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먼저 나노 사이즈의 다공성 입자를 용매 및 산과 혼합하여 얻은 졸(sol) 상태의 투명 흡습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투명 흡습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된 나노 사이즈의 다공성 입자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투명 흡습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된 용매는 상기 다공성 입자를 분산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다 사용가능하며, 구체적인 예로서,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부탄올, 이소프로판올. 메틸에틸케톤, 순수,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PGM), 이소프로필셀룰로오즈(IPC), 메틸렌 클로라이드(MC), 에틸렌 카보네이트(E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며, 그 함량은 다공성 산화물 입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60 내지 99 중량부이다. 상기 투명 흡습층 형성용 조성울에 포함된 산은 산은 선택적 성분으로서, 이를 부가하면 분산성이 개선되는 잇점이 있다. 산의 예로서 질산, 염산, 황산, 아세트산 등을 이용한다. 그리고 산의 함량은 다공성 산화물 입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준비된 투명 흡습층 형성용 조성물을 투명 고분자층에 스핀코팅법 또는 캐스팅법에 따라 도포한다. 이 후, 용매 제거를 위한 소성 단계를 거친다. 소성 단계의 온도, 압력 및 시간은 사용한 용매의 종류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일예로서, 건조오븐에서 약 2분간 건조시킨 다음 상기 결과물을 약 250℃에서 30분간 열처리하여 소성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투명 고분자층의 일면에 투명 흡습층을 형성하는 방법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증착법을 이용한다. 증착법으로는 통상적인 증착법, 예를 들면 스퍼터링법, 진공열증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증착시 투명 고분자층이 손상되지 않도록 증착 조건을 조절하여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투명 흡습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증착원으로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류 금속 분말을 이용한다. 상기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류 금속의 구체적인 예에는 Li, Na, K, Ba, Ca, Mg, Co, Ga, Ti, Ni, Sr, Y, Cu, Cs, Ta, Nb, Ce, Se 또는 V 등이 있다. 한편, 증착 기체로는 산소 가스, 할로겐 가스(예를 들면, 플루오르 가스, 염소 가스, 브롬 가스 및 요오드 가스 등임)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투명 고분자층의 일면에 투명 흡습층을 형성한 다음, 투명 고분자층 중 투명 흡습층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일면에 점착층을 형성한다. 상기 점착층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접착제를 투명 고분자층의 일면에 도포하여 형성된다. 이로써, 점착층, 투명 고분자층 및 투명 흡습층으로 이루어진 부착가능한 봉지층이 형 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부착가능한 봉지층을 봉지기판 중 유기 전계 발광부를 향한 일면에 부착시킨다. 봉지기판은 에칭된 글래스 캡(glass cap)일 수 있으며, 봉지기판에 봉지층을 부착시키기 위하여 봉지층의 점착층을 이루는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가압 또는 가열 등과 같은 소정의 공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이 후, 봉지층이 구비된 봉지기판과 제1전극, 제2전극 및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의 사이에 유기 발광부를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부가 형성된 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 실런트를 제공하고, 이들을 합착한다. 상기 실런트로는 열경화성 수지 또는 UV 경화 수지를 사용하며, 이의 비제한적인 예로서,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합착 공정은 감압조건(예를 들어, 600 내지 650 torr)에서 가압하여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결과물에 UV를 조사하여 실런트의 1차 경화과정을 실시한 후, 열처리하여 실런트를 열경화시키기 위한 2차 경화(보강 경화) 과정을 실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열처리온도는 100℃ 이하로서 60 내지 80℃ 범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탄올 95g에 질산을 부가하여 pH 2 정도로 조절한 다음, 여기에 CaO 분말 5g을 넣은 뒤 3시간 이상 교반하여 졸 상태의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졸 상태의 혼합물을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필름에 도포하고, 이를 180rpm으로 120초간 스핀코팅한 뒤 미증발 용매의 제거를 위하여 건조오븐에서 약 2분간 건조시켰다. 상기 결과물을 약 100℃의 진공 오븐에서 6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투명 나노다공성 CaO 막(두께: 50㎛)을 형성하였다.
상기 투명 나노다공성 CaO 박막이 형성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필름의 다른 일면에 아크릴계 접착제를 20㎛ 두께로 도포하여 부착가능한 필름형 투명 CaO 흡습층을 형성하였다. 이 후, 상기 부착가능한 필름형 투명 CaO 흡습층을 소다 유리로 이루어진 봉지 기판의 에칭된 활성화 영역에 부착하였다.
이어서, 상기 투명 CaO 흡습층이 구비된 봉지 기판 및 제1전극, 유기막 및 제2전극이 형성된 유리 기판 중 적어도 일측에 실런트인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였다. 이어서, 상기 두 기판 내부를 약 600 torr로 감압하고 3kg의 압력을 가압한 후, 1차로 UV 300초 동안 조사하여 1차 경화과정을 실시하였다.
그 후, 약 80℃에서 1시간동안 열처리하여 2차 경화를 실시하여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완성하였다. 이를 소자 1이라고 한다.
실시예 2
먼저, Ca 분말로 Ca 증착원을 준비하고, 투명 고분자층으로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필름을 준비하였다. 이 후, Ca 증착원, 상기 Ca 증착원을 탑재할 수 있는 열증발원, 투명 고분자층 홀더 및 상기 투명 고분자층 홀더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회전 쉐프트를 구비한 진공 챔버를 준비하였다. 상기 열증발 소스로는 헬리시스(Helisys, ANS 사 제품)를 사용하였다. 상기 Ca 증착원에 대향되도록 배치된 기판 홀더에 상기 준비된 투명 고분자층을 탑재한 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 와 같은 조건 하에서 상기 진공 챔버를 작동시켜 50㎛의 CaO층을 투명 고분자층 일면에 형성하였다:
기본 압력 1.0 x 10-7 torr
가스 유량 산소 유량 - 2sccm
열증발원 텅스텐 보트
열증발원 작동 조건 200A
증착 각도 90°
기판 RPM 4.5
기판 온도 80℃
증착 속도 5Å/sec
상기 CaO 박막이 형성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필름의 다른 일면에 아크릴계 접착제를 20㎛ 두께로 도포하여 부착가능한 필름형 투명 CaO 흡습층을 형성하였다. 이 후, 상기 부착가능한 필름형 투명 CaO 흡습층을 소다 유리로 이루어진 봉지 기판의 에칭된 활성화 영역에 부착하였다.
이어서, 상기 투명 CaO 흡습층이 구비된 봉지 기판 및 제1전극, 유기막 및 제2전극이 형성된 유리 기판 중 적어도 일측에 실런트인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였다. 이어서, 상기 두 기판 내부를 약 600 torr로 감압하고 3kg의 압력을 가압한 후, 1차로 UV 300초 동안 조사하여 1차 경화과정을 실시하였다.
그 후, 약 80℃에서 1시간동안 열처리하여 2차 경화를 실시하여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완성하였다. 이를 소자 2라고 한다.
평가예 1 - 광투과율 평가
상기 소자 1 및 2를 작동시켜 봉지기판을 통한 광투과율을 평가하였다. 광투과율 평가는 MCPD7000(PHOTAL, OTSUKA ELECTRONICS) 하에서 작동시켜 측정하였 다. 그 결과, 소자 1 및 2 모두 95% 이상의 광투과율을 나타내었다.
평가예 2 - 휘도 특성 평가
상기 소자 1 및 2의 수명 특성을 평가하였다. 도 2는 소자 1 및 2의 시간에 따른 휘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는 종래 배면 발광형 게터를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휘도 특성도 비교예로서 나타내었다. 상기 소자 1 및 2는 900시간이 경과하여도 휘도 감소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비교예는 600시간 경과 후에는 휘도가 반감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로써, 본 발명을 따르는 소자 1 및 2는 장기간 경과 후에도 휘도 저하가 발견되지 않는 등, 휘도 안정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평가예 3 - 수명 특성 평가
상기 소자 1에 대하여 수명 특성을 평가하였다. 수명 특성은 소자 1을 70℃의 온도 및 90%의 습도 하에 둔 다음 다크 스팟의 발생을 평가함으로써 수행되었다. 도 3a는 초기 소자 1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수명 특성 평가한지 984 시간 경과 후 소자 1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984시간 경과 후 소자 1의 픽셀 화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3b에 따르면, 984시간 경과 후에도 소자 1에는 신규 다크 스팟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발생한 다크 스팟은 그 크기 10㎛ 이하에 불과하여 매우 작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984시간 경과 후의 소자 1의 픽셀 화상을 나타낸 도 4로부터도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을 따르는 소자 1의 흡습층은 장기간 경화 후에도 우수한 흡습 능력을 가져, 이를 채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고수명을 가짐을 알 수 잇다.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투명 흡습층은 부착 방법을 이용하여 봉지기판에 제공되는 바, 투명 흡습층을 봉지기판에 직접 도포하여 제공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봉지기판 단부 오염 현상 및 아웃개싱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보다 견고한 밀봉구조를 가져 수명 특성이 향상되며, 봉지기판을 통한 광취출 효율도 우수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5)

  1. 기판;
    제1전극층, 제2전극층 및 상기 제1전극층과 상기 제2전극층 사이에 개재된 유기 발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유기 전계 발광부;
    상기 유기 전계 발광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기판과 밀봉되는 봉지기판;
    상기 봉지기판 중 유기 전계 발광부를 향한 일면에 점착층, 투명 고분자층 및 투명 흡습층으로 이루어진 봉지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계 접착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고분자층은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폴리카보네이트계 고분자, 폴리스티렌계 고분자 또는 아크릴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흡습층은 나노 사이즈의 다공성 입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사이즈의 다공성 입자는 평균입경이 100nm 이하인 알칼리 금속 산화물, 알칼리토류 금속 산화물, 금속 할로겐화물, 금속 황산염 및 금속 과염소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6. 점착층, 투명 고분자층 및 투명 흡습층으로 이루어진 봉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봉지기판에 상기 봉지층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봉지층이 부착된 봉지기판 및 제1전극층, 제2전극층 및 상기 제1전극층과 상기 제2전극층의 사이에 개재된 유기 발광부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부가 형성된 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 실런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봉지기판과 유기 전계 발광부가 형성된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층 형성 단계가 투명 고분자층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투명 고분자층의 일면에 투명 흡습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 고분자층 중 상기 투명 흡습층이 형성되지 않은 일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흡습층 형성 단계가 나노 사이즈의 다공성 입자를 용매 및 산과 혼합하여 얻은 졸(sol) 상태의 투명 흡습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투명 흡습층 형성용 조성물을 상기 투명 고분자층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 고분자층에 도포된 투명 흡습층 형성용 조성물을 소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사이즈의 다공성 입자는 평균입경이 100nm 이하인 알칼리 금속 산화물, 알칼리토류 금속 산화물, 금속 할로겐화물, 금속 황산염 및 금속 과염소산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프로판올. 메틸에틸케톤, 순수,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PGM), 이소프로필셀룰로오즈(IPC), 메틸렌 클로라이드(MC), 에틸렌 카보네이트(E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산은 질산, 질산, 염산, 황산, 아세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졸 상태의 투명 흡습층 형성용 조성물 중 용매의 함량은 나노 사이즈의 다공성 입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60 내지 99 중량부이고, 산의 함량은 나노사이즈의 다공성 입자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흡습층 형성 단계를 증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가 열경화성 수지 또는 UV 경화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기판과 상기 기판의 합착 단계를 감압, UV 조사 및 열경화 공정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40049724A 2004-06-29 2004-06-29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83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724A KR100683674B1 (ko) 2004-06-29 2004-06-29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167,927 US7955717B2 (en) 2004-06-29 2005-06-28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N2005101098366A CN1738497B (zh) 2004-06-29 2005-06-29 有机电致发光装置及其制备方法
JP2005190174A JP4564413B2 (ja) 2004-06-29 2005-06-29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9724A KR100683674B1 (ko) 2004-06-29 2004-06-29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760A true KR20060000760A (ko) 2006-01-06
KR100683674B1 KR100683674B1 (ko) 2007-02-20

Family

ID=36081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724A KR100683674B1 (ko) 2004-06-29 2004-06-29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55717B2 (ko)
JP (1) JP4564413B2 (ko)
KR (1) KR100683674B1 (ko)
CN (1) CN1738497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651B1 (ko) * 2011-12-30 2013-01-21 한국과학기술원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16523A (ko) * 2019-02-01 2019-0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461255B2 (en) 2011-06-10 2019-10-29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7517A (ja) * 2006-01-24 2007-08-09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接着性封止組成物、封止フィルム及び有機el素子
JP2008021480A (ja) * 2006-07-12 2008-01-31 Canon Inc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0826011B1 (ko) * 2006-10-24 2008-04-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소자
KR101436770B1 (ko) * 2008-04-24 2014-09-0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기판
KR101086880B1 (ko) * 2009-05-28 2011-11-24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게터층을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제조방법
EP2273579A1 (en) * 2009-07-10 2011-01-12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A method of encapsulating a flexible optoelectronic multi-layered structure
US9924323B2 (en) * 2016-08-19 2018-03-20 Futurewe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acilitating return of a mobile device
KR102334411B1 (ko) * 2017-07-25 2021-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9405A (en) * 1989-01-26 1993-02-23 Sharp Kabushiki Kaisha Thin film electroluminescent panel
JPH09148066A (ja) 1995-11-24 1997-06-06 Pioneer Electron Corp 有機el素子
JP3432233B2 (ja) 1997-04-17 2003-08-04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防湿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3904523B2 (ja) * 1997-04-17 2007-04-11 株式会社クレハ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73766A (ja) 1998-09-30 2000-06-23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JP2001035659A (ja) 1999-07-15 2001-02-09 Nec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ト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26682B2 (ja) 2000-03-28 2010-08-18 日東電工株式会社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4223211B2 (ja) 2000-11-14 2009-02-1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の作製方法
US7178927B2 (en) * 2000-11-14 2007-02-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drying agent
JP2002280166A (ja) 2001-01-12 2002-09-27 Japan Gore Tex Inc 有機el素子
AU2002305393A1 (en) * 2001-05-04 2002-11-18 General Atomics O2 and h2o barrier material
JP2003017243A (ja) * 2001-07-04 2003-01-17 Nisshin Steel Co Ltd 有機el素子用封止部材
JP2003163077A (ja) * 2001-11-27 2003-06-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有機el素子とその製造方法
JP2003163078A (ja) * 2001-11-28 2003-06-06 Hitachi Ltd 表示装置
JP2003217828A (ja) 2002-01-22 2003-07-31 Seiko Epson Corp 封止用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表示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2003338366A (ja) * 2002-05-21 2003-11-28 Seiko Instruments Inc El装置、el装置の製造方法、及びel表示装置
JP2004047387A (ja) * 2002-07-15 2004-02-12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有機多色発光表示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079208A (ja) 2002-08-09 2004-03-11 Senyo Shoji Kk 有機el素子封止用ガラス部材及び前記ガラス部材を用いた有機elパネル
JP4178887B2 (ja) * 2002-09-04 2008-11-12 凸版印刷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4185341B2 (ja) * 2002-09-25 2008-11-2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多層バリア膜構造、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パネル及び製造方法
JP2004335208A (ja) * 2003-05-06 2004-11-25 Sumitomo Electric Ind Ltd El素子およびel素子用封止フィルム
US7868343B2 (en) * 2004-04-06 2011-01-11 Cree, Inc. Light-emitting devices having multiple encapsulation layers with at least one of the encapsulation layers including nanoparticl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KR100626005B1 (ko) * 2004-06-09 2006-09-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61255B2 (en) 2011-06-10 2019-10-29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10636971B2 (en) 2011-06-10 2020-04-2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11349077B2 (en) 2011-06-10 2022-05-3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11600778B2 (en) 2011-06-10 2023-03-0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11980084B2 (en) 2011-06-10 2024-05-0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1218651B1 (ko) * 2011-12-30 2013-01-21 한국과학기술원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16523A (ko) * 2019-02-01 2019-0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03139A1 (en) 2006-01-05
KR100683674B1 (ko) 2007-02-20
CN1738497A (zh) 2006-02-22
CN1738497B (zh) 2010-04-21
US7955717B2 (en) 2011-06-07
JP2006019289A (ja) 2006-01-19
JP4564413B2 (ja) 201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4413B2 (ja)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8052499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086881B1 (ko) 광투과성 게터층을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368829B2 (ja)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70328B1 (ko) 유기 발광 표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060132034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00041298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37129B1 (ko) 유기 발광 표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544126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182434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투명 흡습막 형성용 조성물의제조방법
KR100977702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009413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61086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70380B1 (ko) 흡습층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