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0187U - 숯불 바비큐 장치 - Google Patents

숯불 바비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0187U
KR20060000187U KR2020060030942U KR20060030942U KR20060000187U KR 20060000187 U KR20060000187 U KR 20060000187U KR 2020060030942 U KR2020060030942 U KR 2020060030942U KR 20060030942 U KR20060030942 U KR 20060030942U KR 20060000187 U KR20060000187 U KR 200600001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barbecue
meat
fir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9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권
Original Assignee
조명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권 filed Critical 조명권
Priority to KR2020060030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0187U/ko
Publication of KR200600001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18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31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a fire box movable between different positions, e.g. horizontal, vertical, inclin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고기와 숯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고기의 두께나 익는 정도에 따라 숯불의 화기를 편리하고 화기의 조절 폭이 넓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고기의 측방향에 숯불을 배치하여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이 하부로 낙하하는 경우에도 숯불 위로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숯불의 화기가 저하되거나 연기에 의해 고기에 그을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숯불 바비큐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숯불 바비큐 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구이실을 가지는 바비큐본체와, 상기 바비큐본체의 상부 중앙의 길이방향 양쪽 벽면에 고정한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에 양끝단이 지지되어 수평으로 설치되고 고기를 넣은 망체를 걸어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걸이봉과, 상기 걸이봉에 걸린 망체를 중심으로 하여 바비큐본체의 폭방향 양쪽에 배치되는 화덕받침대와, 상기 화덕받침대를 망체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화기조절기구와, 상기 바비큐본체 중앙의 길이방향 양쪽 벽면에 각각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고기를 넣은 망체의 회전봉 양끝단이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회전부재와, 상기 한쪽의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숯불 바비큐 장치 {A device for charcoal berbecu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 바비큐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숯불 바비큐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 바비큐 장치의 선반 지지동작을 나타낸 요부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바비큐본체 11 : 구이실
12 : 걸이봉 13 : 받침부재
14 : 화덕받침대 20 : 화기조절기구
21 : 가이드레일 22 : 가이드브라켓
23 : 래크 24 : 회전축
25 : 피니언 26 : 핸들
28 : 회전부재 29 : 회전구동기구
30 : 선반 34 : 기름받이
본 고안은 숯불 바비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굽고자 하는 고기의 두께 또는 익은 상태에 따라 숯불과 고기의 사이 거리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화기를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고기로부터 낙하하는 기름이 숯불 위로 떨어지지 않도록 고기의 측방향에서 화기를 제공하는 숯불 바비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숯불 바비큐 장치는, 열원으로서 화덕내에 숯불을 넣어 사용하고 있으며, 통상 숯불은 고기의 하부에 위치하여 밑에서 위로 화기를 제공하고, 고기는 망체내에 넣어 숯불 위에 걸어 놓거나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켜 균일하게 익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의 숯불 바비큐 장치는, 고기와 숯불의 거리가 항상 일정하므로 숯불의 화기가 항상 일정하게 제공된다. 따라서 고기의 두께나 익은 상태에 따라 화기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숯불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거나, 화덕내에서 숯불의 일부를 빼내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지만,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방식은 화기의 조절 폭이 작아 효율적이지 못하며, 숯불을 일부 제거하는 방식은 매우 번거롭고 수고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또한 숯불이 고기의 하부에 위치한 것이므로, 고기가 구워지면서 발생하는 기름이 하부로 낙하하는 경우, 숯불 위에 떨어지게 된다. 이로써 기름에 의해 숯불의 화기가 저하되어 고기가 잘 익지 않게 됨은 물론, 기름이 타면서 연기를 발생 하여 고기에 그을음을 유발하게 된다. 특이 그을음은 인체에 유해한 발암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건강상 매우 좋지 않으므로 숯불 바비큐를 기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고기와 숯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고기의 두께나 익는 정도에 따라 숯불의 화기를 편리하고 화기의 조절 폭이 넓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고기의 측방향에 숯불을 배치하여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이 하부로 낙하하는 경우에도 숯불 위로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숯불의 화기가 저하되거나 연기에 의해 고기에 그을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숯불 바비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된 구이실을 가지는 바비큐본체와, 상기 바비큐본체의 상부 중앙의 길이방향 양쪽 벽면에 고정한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에 양끝단이 지지되어 수평으로 설치되고 고기를 넣은 망체를 걸어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걸이봉과, 상기 걸이봉에 걸린 망체를 중심으로 하여 바비큐본체의 폭방향 양쪽에 배치되는 화덕받침대와, 상기 화덕받침대를 망체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화기조절기구를 포함하는 숯불 바비큐 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바비큐본체 중앙의 길이방향 양쪽 벽면에 각각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고 고기를 넣은 망체의 회전봉 양끝단이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회전부재와, 상기 한쪽의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기구를 더욱 포함하는 숯불 바비큐 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바비큐본체의 폭방향 양쪽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바비큐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선반을 더욱 포함하는 숯불 바비큐 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바비큐본체의 바닥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기름받이를 길게 설치하고, 이 기름받이는 바비큐본체로부터 착탈가능하게 구성한 숯불 바비큐 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화기조절기구는, 상기 바비큐본체의 내벽면에 양단이 고정되어 화덕받침대를 망체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복수개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화덕받침대에 고정되어 가이드레일에 안내되는 가이드브라켓과, 화덕받침대에 고정되어 가이드레일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래크와, 상기 가이드레일에 회전지지된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래크에 이맞물림된 피니언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고정되고 바비큐본체의 외부에 설치된 핸들을 더욱 구비한 숯불 바비큐 장치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숯불 바비큐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평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A선 및 B-B선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숯불 바비큐 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구이실(11)을 가지는 바비큐본체(10)를 구비한다.
상기 바비큐본체(10)의 구이실(11) 중앙 상부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기를 넣는 망체(1)를 걸기 위한 걸이봉(12)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이 걸이봉(12)의 양끝단은 바비큐본체(10)의 길이방향 양쪽 벽면에 고정한 U자 형상의 받침부재(13)에 의해 걸림 유지된다.
상기 걸이봉(12)에 걸린 망체(1)내의 고기를 굽기 위하여 화기를 제공하는 화덕(2)은 상기 망체(1)를 중심으로 하여 폭방향의 양쪽에 배치된 화덕받침대(14)위에 올려진다. 따라서 고기의 양측방향에서 화기를 제공하여 균일하게 구울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화덕받침대(14)는 화기조절기구(20)에 의해 망체(1)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화기조절기구(20)는, 상기 화덕받침대(14)를 망체(1)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시키는 방향(바비큐본체(10)의 폭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바비큐본체(10)의 내벽면에 양단을 고정시킨 복수개의 가이드레일(21)을 화덕받침대(14) 하부에 배치하고,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덕받침대(14)의 저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레일(21)에 안내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브라켓(22)을 고정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이드레일(21) 및 가이드브라켓(22)을 이용하여 화덕받침대(14)를 바비큐본체(1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화덕(2)과 고기 사이를 접근 또는 이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화기조절기구(20)는 상기의 구성과 함께, 화덕받침대(14) 저면에 가이드레일(21)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래크(23)를 고정하고, 상기 가이드레 일(21)에 회전지지된 회전축(24)에 피니언(25)을 고정하여 상기 래크(23)에 이 맞물림시키며, 상기 회전축(24)의 일단은 바비큐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어 핸들(26)과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바비큐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된 핸들(26)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화덕(2)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고기구울 때 화기를 조절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24)은 베어링(27)으로 회전 지지시켜 핸들(26)의 조작시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화덕받침대(14)를 4개 배치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바비큐본체(10)의 사이즈에 따라 적합한 수로 설계 변경하여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걸이봉(12)의 아래쪽에 고기를 회전시키면서 구울 수 있도록 회전봉(4)을 가지는 망체(3)가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체(3)의 회전봉(4) 양끝단이 끼워 넣어지는 삽입구멍(28a)이 구비된 회전부재(28)를 바비큐본체(10)의 길이방향 양쪽 벽면에 각각 회전 자유롭게 설치한 것으로, 회전봉(4)과 회전부재(28)의 끼워맞춤구조는 끼워지는 부분의 단면을 각각 사각형상으로 형성하여 회전부재(28)의 회전이 회전봉(4)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회전봉(4)의 일단을 먼저 한쪽의 회전부재(28)의 삽입구멍(28a)에 깊이 삽입시킨 후, 다시 약간 빼면서 다른 끝단을 다른쪽 회전부재(28)의 삽입구멍(28a)에 끼워 넣는 것에 의해 회전봉(4)의 양끝단이 걸림유지 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며, 한쪽의 회전부재(28)에는 고정나사(28b)를 관통시켜 회전봉(4)을 고정함으로써 회전봉(4)이 회전부재(28)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쪽의 회전부재(28)는 회전구동기구(29)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회전구동기구(29)는, 회전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전동모터(29a)와, 상기 전동모터(29a)의 회전운동을 회전부재(28)에 전달하기 위한 체인(29b) 및 스프로킷휘일(29c,29d)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바비큐본체(10)의 폭방향 양쪽 상단에 선반(30)이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선반(30)은 바비큐본체(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선반(30)의 개폐구조는, 선반(30)의 양측면에 가이드구멍(30a)을 형성하고, 바비큐본체(10)의 양측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구멍(30a)에 끼워지는 가이드핀(30b)을 구비하여 선반(30)이 가이드핀(30b)에 안내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바비큐본체(1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선반(30)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봉(31)이 바비큐본체(10)에 구비된 것으로, 이 지지봉(31)의 일단은 선반(30)의 가이드구멍(30a)에 끼워지는 고리부(31a)로 형성되고, 타단은 바비큐본체(10)에 고정된 회전지지브라켓(32)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지지봉(31)의 타단과 회전지지브라켓(32) 사이에는 스프링(33)이 탄력 설치되어 고리부(31a)가 가이드구멍(30a)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바비큐본체(10)의 바닥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기름받이(34)가 길게 설치되어 있고, 이 기름받이(34)의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걸림턱(34a)을 바비큐본체(10)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절곡부(35)에 걸림유지시키는 것에 의해 기름받이(34)의 손잡이(34b)를 잡아당겨 바비큐본체(10)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착탈시킬 수 있는 구성이며, 도면중, 미설명부호 36은 구이실(11)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유통구멍이고, 37은 바비큐본체(10)를 지지하는 다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선반(30)을 개방한 상태에서 화덕받침대(14)에 숯불이 넣어진 화덕(2)을 올려놓고, 고기를 넣은 망체가 고정식인 경우, 고정식 망체(1)를 걸이봉(12)에 걸어 구울 수 있다. 또한 망체가 회전식인 경우, 망체(3)의 회전봉(4) 양끝단을 양쪽 회전부재(28)의 삽입구멍(28a)에 끼워 배치한 후, 회전구동기구(29)의 전동모터(29a)를 구동시키게 되면, 체인(29b) 및 스프로킷휘일(29c,29d)에 의해 회전력이 회전부재(28)에 전달되어 회전부재(28)가 회전하므로 망체(3)내의 고기를 균일하게 구울 수 있다.
이때, 바비큐할 고기의 두께 또는 고기가 익은 상태에 따라 화기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바비큐본체(10)의 바깥쪽 측벽에 구비된 핸들(26)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축(24)과 함께 피니언(25)이 회전되고, 이 피니언(25)에 이 맞물림된 래크(23)는 피니언(25)의 회전방향에 따라 직선왕복운동하게 되므로,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화덕받침대(14)의 저면에 고정된 복수개의 가이드브라켓(22)이 가이드레일(21)에 안내되어 화덕받침대(14)를 망체(1,3)에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화덕받침대(14)를 이동시켜 화덕(2)을 망체(1,3)에 근접시킬수록 화기가 점점 세지고, 화덕(2)을 망체(1,3)에서 멀리 이격시킬수록 화기가 약해지므로 화기의 조절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지고, 화덕받침대(14)의 이동거리를 길게 구성하는 경우, 화기의 조절범위도 폭 넓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30)이 바비큐본체(10)의 상부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30)의 가이드구멍(30a)이 가이드핀(30b)에 안내되어 선반(30)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개폐가능하게 된다.
상기 선반(30)을 완전히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지지봉(31)의 고리부(31a)를 가이드구멍(30a)쪽으로 회전시켜 스프링(33)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실선상태와 같이 잡아당긴 후, 고리부(31a)를 가이드구멍(30a)에 일치시킴과 동시에, 놓으면 압축된 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부(31a)가 가이드구멍(30a)에 삽입되므로 도 4에서와 같이 선반(30)이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고리부(31a)가 가이드구멍(30a)으로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고기가 구워지면서 발생하는 기름이 하부로 낙하하게 되면, 하부의 기름받이(34)로 떨어지게 되고, 기름받이(34)는 손잡이(34b)를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바비큐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므로, 후에 기름의 제거 및 청소가 가능하고, 특히 본 고안은 화덕(2)이 망체(1,3)의 양측에 배치되어 낙하하는 기름이 숯불로 떨어지지 않게 되므로, 연기의 발생 및 화기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연기로 인해 고기에 그을음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숯불 바비큐 장치에 의하면, 고기와 숯불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화덕이 놓여지는 화덕받침대가 이동가능하게 됨에 따라 고기의 두께나 익는 정도에 따라 숯불의 화기의 강약을 매우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고, 강약의 조절범위도 폭 넓게 설정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숯불이 고기의 측방향에 배치되어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이 하부로 낙하하여도 숯불 위로 떨어지지 않게 됨에 따라 숯불의 화기가 저하되는 일이 없고, 연기의 발생으로 고기에 그을음이 생기는 것이 방지되어 인체에 해로운 발암물질을 섭취할 염려가 없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상부가 개방된 구이실(11)을 가지는 바비큐본체(10)와,
    상기 바비큐본체(10)의 상부 중앙의 길이방향 양쪽 벽면에 고정한 받침부재(13)와,
    상기 받침부재(13)에 양끝단이 지지되어 수평으로 설치되고 고기를 넣은 망체(1)를 걸어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걸이봉(12)과,
    상기 걸이봉(12)에 걸린 망체(1)를 중심으로 하여 바비큐본체(10)의 폭방향 양쪽에 배치되는 화덕받침대(14)와,
    상기 화덕받침대(14)를 망체(1)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화기조절기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바비큐 장치.
KR2020060030942U 2006-12-04 2006-12-04 숯불 바비큐 장치 KR200600001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942U KR20060000187U (ko) 2006-12-04 2006-12-04 숯불 바비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942U KR20060000187U (ko) 2006-12-04 2006-12-04 숯불 바비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187U true KR20060000187U (ko) 2006-12-28

Family

ID=41784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942U KR20060000187U (ko) 2006-12-04 2006-12-04 숯불 바비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018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780B1 (ko) * 2008-11-17 2011-03-03 최종수 고기 구이기
WO2017099447A1 (ko) * 2015-12-07 2017-06-15 윤종섭 바비큐 장치
KR200491098Y1 (ko) * 2019-06-17 2020-02-19 진청쇄 직립식 무연 숯불구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780B1 (ko) * 2008-11-17 2011-03-03 최종수 고기 구이기
WO2017099447A1 (ko) * 2015-12-07 2017-06-15 윤종섭 바비큐 장치
KR200491098Y1 (ko) * 2019-06-17 2020-02-19 진청쇄 직립식 무연 숯불구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5528B1 (en)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US8418685B2 (en) Barbecue grill with variably positioned food basket
KR101541644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100489006B1 (ko) 석쇠 그릴 장치
KR101368138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20060000187U (ko) 숯불 바비큐 장치
KR101269786B1 (ko) 숯불구이기
JP4873350B2 (ja) 回転式の炭火焼き板
KR20070047541A (ko)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용 고기 거치대
KR100719475B1 (ko)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
KR101334913B1 (ko) 자동 숯불구이장치
KR100843323B1 (ko) 회전식 바베큐 장치
KR20100090673A (ko) 야외 구이기용 꽂이 회전장치
KR101241174B1 (ko) 바비큐 구이기
KR20190139560A (ko) 기름에 의한 위험요소 방지와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구워지는 꼬치구이기
KR101430885B1 (ko)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KR20050118089A (ko) 회전식 숯불구이기
KR100586732B1 (ko) 구이기
KR100883608B1 (ko) 고기구이 장치
KR100610271B1 (ko) 회전식 숯불 구이기
KR200382983Y1 (ko) 회전식 숯불구이기
KR19980073219A (ko) 식탁설치용 바베큐 구이기
KR200250036Y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회전식 자동구이장치
KR200288496Y1 (ko) 숯불 구이기
KR200411291Y1 (ko) 바베큐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