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2106A - 누설전류 감소를 위한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누설전류 감소를 위한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2106A
KR20050122106A KR1020040047266A KR20040047266A KR20050122106A KR 20050122106 A KR20050122106 A KR 20050122106A KR 1020040047266 A KR1020040047266 A KR 1020040047266A KR 20040047266 A KR20040047266 A KR 20040047266A KR 20050122106 A KR20050122106 A KR 20050122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s
memory device
switching
memory
memory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1687B1 (ko
Inventor
박상일
이상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40047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1687B1/ko
Priority to US11/158,492 priority patent/US7193926B2/en
Priority to TW094120774A priority patent/TWI290720B/zh
Priority to CNA2005100879005A priority patent/CN1747057A/zh
Publication of KR20050122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2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6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2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with means for avoiding parasitic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70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 G11C29/78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 G11C29/83Masking faults in memories by using spares or by reconfiguring using programmable devices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Landscapes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설전류 감소를 위한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리 장치가 대기모드일 경우, 워드라인(word line)과 비트라인(bit line) 사이의 브리지(bridge)에 의해 발생하는 누설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누설전류 감소를 위한 메모리 장치는 복수개의 메모리 셀에 의해 형성된 N(N은 1, 2, 3, … 의 값을 갖는 자연수)개의 메모리 셀 블럭; 상기 N개의 메모리 셀 블럭에 각각 대응하는 N+1개의 센스 앰프 블럭; 상기 N개의 메모리 셀 블럭과 상기 N+1개의 센스 앰프 블럭을 각각 연결하는 2N개의 스위칭 블럭; 상기 2N개의 스위칭 블럭을 각각 제어하는 N개의 제어기를 구비하며, 메모리 장치가 대기모드일 경우, 상기 N개의 제어기는 상기 2N개의 스위칭 블럭을 턴오프시키고, 메모리 장치가 동작모드일 경우, 상기 N개의 제어기는 상기 2N개의 스위칭 블럭 중 선택적으로 스위칭 블럭을 턴온시킨다.

Description

누설전류 감소를 위한 메모리 장치{A memory device for reducing the leakage current}
본 발명은 누설전류 감소를 위한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리 장치가 대기모드일 경우, 워드라인(word line)과 비트라인(bit line) 사이의 브리지(bridge)에 의해 발생하는 누설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장치가 고집적화됨에 따라 메모리 셀의 면적이 감소하고, 그에 따라 패턴의 크기도 작아져 워드라인과 비트라인 사이에 브리지가 발생할 확률도 증가한다. 메모리 장치는 통상적으로 리던던트 셀(redundant cell)을 구비하여, 워드라인과 비트라인의 브리지 등에 의해 발생한 불량 메모리 셀은 리던던트 작업을 통해 리던던트 셀로 대체된다. 그러나, 워드라인과 비트라인의 브리지에 의한 불량 셀을 리던던트 셀로 대체 하더라도 메모리 장치의 대기모드에서 워드라인과 비트라인 사이의 브리지에 의해 누설전류가 흐르므로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메모리 장치에서 워드라인과 비트라인 사이에 브리지가 발생한 경우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셀 블럭(111, 112, 113, 114), 센스 앰프 블럭(121, 122, 123, 124, 125), 스위칭 블럭(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제어기(171, 172, 173, 174)를 구비한다.
이하, 메모리 장치가 동작모드일 경우와 대기모드일 경우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메모리 장치가 동작모드일 경우, 매트릭스 형태의 메모리 셀(미도시)을 지정하기 위해 로우 어드레스(row address)와 칼럼 어드레스(columm address)가 워드라인(WL1, WL2, WL3, WL4)과 비트라인(BL1, /BL1, BL2, /BL2, BL3, /BL3, BL4, /BL4)을 통해 메모리 셀로 인가되고, 동시에 인에이블신호(ACT)가 제어기(171, 172, 173, 174)에 인가된다. 그러면, 제어기(171, 172, 173, 174)는 제어신호 (BIS1, BIS2, BIS3, BIS4)를 스위칭 블럭(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에 인가한다. 일예로 4개의 메모리 셀 블럭(111, 112, 113, 114) 중 하나의 메모리 셀 블럭(112)을 선택할 경우, 4개의 제어신호(BIS1, BIS2, BIS3, BIS4) 중 제어신호(BIS2)만 로우 레벨이 되어 8개의 스위칭 블럭(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중 2개의 스위칭 블럭(142, 145)만 턴오프된다. 그 결과 센스 앰프 블럭(122, 123)은 선택하고자 하는 메모리 셀 블럭(112)과 연결된다. 연결된 센스 앰프 블럭(122, 123)의 센스 앰프(128, 129, 130, 131)는 메모리 셀 블럭(112) 내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감지하게 된다.
반면, 메모리 장치가 대기모드일 경우, 워드라인(WL1, WL2, WL3, WL4)은 접지 레벨인 Vss 레벨을 유지하게 되고, 비트라인((BL1, /BL1, BL2, /BL2, BL3, /BL3, BL4, /BL4)은 Vcc/2 레벨을 유지한다. 그리고, 인에이블신호(ACT)에 의해 제어기 (171, 172, 173, 174)는 하이 레벨의 제어신호(BIS1, BIS2, BIS3, BIS4)를 스위칭 블럭(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에 인가하여 모든 스위칭 블럭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을 턴온시킨다. 즉, 메모리 셀 블럭 (111, 112, 113, 114)과 센스 앰프 블럭(121, 122, 123, 124, 125)은 연결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워드라인(WL2)과 비트라인(BL3) 사이에 브리지(181)가 발생하면 스위칭 블럭(144)이 턴온 상태이므로 워드라인과 비트라인의 전압 차에 의해 비트라인에서 워드라인으로 누설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러한 전류는 메모리 장치가 대기모드에서 누설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전력을 소모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저전력화를 추구하는 메모리 장치에서 이러한 전력소모는 더욱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스위칭 블럭과 제어기와의 연결관계를 개선시킴으로써 메모리 장치가 대기모드에서 누설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누설전류 감소를 위한 메모리 장치는 복수개의 메모리 셀에 의해 형성된 N(N은 1, 2, 3, … 의 값을 갖는 자연수)개의 메모리 셀 블럭; 상기 N개의 메모리 셀 블럭에 각각 대응하는 N+1개의 센스 앰프 블럭; 상기 N개의 메모리 셀 블럭과 상기 N+1개의 센스 앰프 블럭을 각각 연결하는 2N개의 스위칭 블럭; 상기 2N개의 스위칭 블럭을 각각 제어하는 N개의 제어기를 구비하며, 메모리 장치가 대기모드일 경우, 상기 N개의 제어기는 상기 2N개의 스위칭 블럭을 턴오프시키고, 메모리 장치가 동작모드일 경우, 상기 N개의 제어기는 상기 2N개의 스위칭 블럭 중 선택적으로 스위칭 블럭을 턴온시킨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누설전류 감소를 위한 메모리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셀 블럭(211, 212, 213, 214), 센스 앰프 블럭(221, 222, 223, 224, 225), 스위칭 블럭(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제어기(271, 272, 273, 274)를 구비한다.
메모리 셀 블럭(211, 212, 213, 214) 내에는 복수개의 메모리 셀(미도시)을 포함하며, 메모리 셀은 각각 대응하는 워드라인(WL1, WL2, WL3, WL4)에 의해 연결된다.
센스 앰프 블럭(221, 222, 223, 224, 225)은 메모리 장치가 동작모드일 경우 센스 앰프 블럭(221, 222, 223, 224, 225) 내에 존재하는 센스 앰프(226, 227, 228, 229, 230. 231)를 통해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감지한다.
스위칭 블럭(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은 메모리 셀 블럭(211, 212, 213, 214)과 센스 앰프 블럭(221, 222, 223, 224, 225)을 연결하며 제어기(271, 272, 273, 274)의 출력신호(BIS1, BIS2, BIS3, BIS4)에 의해 턴온/턴오프 된다. 또한, 메모리 셀(211, 212, 213, 214), 센스 앰프 블럭(221, 222, 223, 224, 225)과 스위칭 블럭(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은 비트라인(BL1, /BL1, BL2, /BL2, BL3, /BL3, BL4, /BL4)에 의해 연결된다.
제어기(271, 272, 273, 274)는 인에이블신호(ACT)를 수신하여 제어신호 (BIS1, BIS2, BIS3, BIS4)를 출력하고, 출력된 제어신호(BIS1, BIS2, BIS3, BIS4) 인버터(IN1, IN2, IN3, IN4)를 거쳐 반전되어 스위칭 블럭(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으로 전달된다.
이하, 메모리 장치가 동작모드일 경우와 대기모드일 경우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메모리 장치가 동작모드일 경우, 매트릭스 형태의 메모리 셀(미도시)을 지정하기 위해 로우 어드레스(row address)와 칼럼 어드레스(columm address)가 워드라인(WL1, WL2, WL3, WL4)과 비트라인(BL1, /BL1, BL2, /BL2, BL3, /BL3, BL4, /BL4)을 통해 메모리 셀로 인가되고, 동시에 인에이블신호(ACT)가 제어기(271, 272, 273, 274)에 인가된다. 그러면, 제어기(271, 272, 273, 274)는 제어신호 (BIS1, BIS2, BIS3, BIS4)를 스위칭 블럭(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에 인가한다. 일예로 4개의 메모리 셀 블럭(211, 212, 213, 214) 중 하나의 메모리 셀 블럭(212)을 선택할 경우, 4개의 제어신호(BIS1, BIS2, BIS3, BIS4) 중 제어신호(BIS2)만 로우 레벨이 되고, 제어신호(BIS2)는 인버터(IN2)에 의해 반전되어 스위칭 블럭(243, 244)에 인가된다. 그 결과 8개의 스위칭 블럭(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중 2개의 스위칭 블럭(243, 244)만 턴온된다. 그러면, 센스 앰프 블럭(222, 223)은 선택하고자 하는 메모리 셀 블럭(212)과 연결된다. 연결된 센스 앰프 블럭(222, 223)의 센스 앰프(226, 227, 228, 229)는 메모리 셀 블럭(212) 내 메모리 셀의 데이터를 감지한다.
반면, 메모리 장치가 대기모드일 경우, 워드라인(WL1, WL2, WL3, WL4)은 접지 레벨인 Vss 레벨을 유지하게 되고, 비트라인((BL1, /BL1, BL2, /BL2, BL3, /BL3, BL4, /BL4)은 Vcc/2 레벨을 유지한다. 그리고, 인에이블신호(ACT)에 의해 제어기(271, 272, 273, 274)는 하이 레벨의 제어신호(BIS1, BIS2, BIS3, BIS4)를 출력한다. 제어신호(BIS1, BIS2, BIS3, BIS4)는 인버터(IN1, IN2, IN3, IN4)에 의해 반전되어 스위칭 블럭(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에 인가된다. 그 결과, 모든 스위칭 블럭(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은 턴오프된다. 즉, 메모리 셀 블럭(211, 212, 213, 214)과 센스 앰프 블럭(221, 222, 223, 224, 225)은 턴오프 상태가 된다. 그래서 워드라인(WL2)과 비트라인(BL3) 사이에 브리지(281)가 발생하여도 스위칭 블럭(244)이 턴오프 상태이므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다음, 종래의 메모리 장치와 본 발명의 메모리 장치를 비교한 후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장치의 우수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메모리 장치에서 메모리 장치가 대기모드일 경우 스위칭 블럭은 턴온된다. 그래서 워드라인과 비트라인 사이에 브리지가 발생하면 워드라인과 비트라인의 전압차에 의해 누설전류가 흘러 전력을 소모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장치에서 메모리 장치가 대기모드일 경우 스위칭 블럭은 턴오프된다. 그래서 워드라인과 비트라인 사이에 브리지가 발생하여도 턴오프된 스위칭 블럭에 의해 누설전류는 흐르지 않으므로 전력 소모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사용할 경우, 워드라인과 비트라인 사이에 브리지가 발생하여도 메모리 장치가 대기모드에서도 누설전류 흐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메모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 112, 113, 114, 211, 212, 213, 214 : 메모리 셀 블럭
121, 122, 123, 124, 125, 211, 212, 213, 214, 215 : 센스 앰프 블럭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 스위칭 블럭
171, 172, 173, 174, 271, 272, 273, 274 : 제어기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 센스 앰프
181, 281 : 브리지

Claims (4)

  1. 누설전류 감소를 위한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메모리 셀에 의해 형성된 N(N은 1, 2, 3, … 의 값을 갖는 자연수)개의 메모리 셀 블럭;
    상기 N개의 메모리 셀 블럭에 각각 대응하는 N+1개의 센스 앰프 블럭;
    상기 N개의 메모리 셀 블럭과 상기 N+1개의 센스 앰프 블럭을 각각 연결하는 2N개의 스위칭 블럭;
    상기 2N개의 스위칭 블럭을 각각 제어하는 N개의 제어기를 구비하며,
    메모리 장치가 대기모드일 경우, 상기 N개의 제어기는 상기 2N개의 스위칭 블럭을 턴오프시키고,
    메모리 장치가 동작모드일 경우, 상기 N개의 제어기는 상기 2N개의 스위칭 블럭 중 선택적으로 스위칭 블럭을 턴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전류 감소를 위한 메모리 장치.
  2. 상기 1 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메모리 셀 블럭과 일대일 대응하는 N개의 워드라인은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 셀을 연결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메모리 셀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비트 라인은 상기 N개의 메모리 셀 블럭, 상기 2N개의 스위칭 블럭, 상기 N+1개의 센스 앰프 블럭을 연결시키고,
    상기 N개의 제어기 중 임의의 i번째(i는 1, 2, …, N의 값을 갖는 상수) 제어기는 상기 N개의 스위칭 블럭 중 2i-1번째 스위칭 블럭과 2i번째 스위칭 블럭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감소를 위한 메모리 장치.
  3. 상기 1 항에 있어서,
    메모리 장치가 상기 N개의 메모리 셀 블럭 중 k(k는 1, 2, …, N의 값을 갖는 상수)번째 메모리 셀 블럭을 선택하는 동작모드일 경우, 상기 N개의 제어기 중 k번째 제어기에 의해 상기 2N개의 스위칭 블럭 중 2k-1번째 스위칭 블럭과 2k번째 스위칭 블럭만 턴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감소를 위한 메모리 장치.
  4. 누설전류 감소를 위한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제 1 비트라인은 메모리 셀과 스위칭 수단을 연결시키고,
    제 2 비트라인은 상기 스위칭 수단과 센스 앰프를 연결시키며,
    메모리 장치가 동작모드일 경우, 상기 스위칭 수단은 턴온되어 상기 제 1 비트라인과 상기 제 2 비트라인은 연결되고,
    메모리 장치가 대기모두일 경우, 상기 스위칭 수단은 턴오프되어 상기 제 1 비트라인과 상기 제 2 비트라인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전류 감소를 위한 메모리 장치.
KR1020040047266A 2004-06-23 2004-06-23 누설전류 감소를 위한 메모리 장치 KR100541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266A KR100541687B1 (ko) 2004-06-23 2004-06-23 누설전류 감소를 위한 메모리 장치
US11/158,492 US7193926B2 (en) 2004-06-23 2005-06-22 Memory device for reducing leakage current
TW094120774A TWI290720B (en) 2004-06-23 2005-06-22 Memory device for reducing leakage current
CNA2005100879005A CN1747057A (zh) 2004-06-23 2005-06-23 用于减小泄漏电流的存储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266A KR100541687B1 (ko) 2004-06-23 2004-06-23 누설전류 감소를 위한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2106A true KR20050122106A (ko) 2005-12-28
KR100541687B1 KR100541687B1 (ko) 2006-01-12

Family

ID=3616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266A KR100541687B1 (ko) 2004-06-23 2004-06-23 누설전류 감소를 위한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93926B2 (ko)
KR (1) KR100541687B1 (ko)
CN (1) CN1747057A (ko)
TW (1) TWI29072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641B1 (ko) * 2006-12-26 2012-12-2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전류저감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4260B2 (ja) * 2007-05-28 2009-11-11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US7813209B2 (en) * 2008-10-01 2010-10-12 Nanya Technology Corp.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volatile memory and relate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8539A (en) * 1994-09-29 1996-06-18 Micron Semiconductor, Inc. High speed global row redundancy system
JP3223877B2 (ja) * 1998-03-27 2001-10-29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JP3296319B2 (ja) * 1999-03-02 2002-06-24 日本電気株式会社 ワード線駆動回路及び半導体記憶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641B1 (ko) * 2006-12-26 2012-12-2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전류저감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1687B1 (ko) 2006-01-12
TWI290720B (en) 2007-12-01
US7193926B2 (en) 2007-03-20
CN1747057A (zh) 2006-03-15
US20050286335A1 (en) 2005-12-29
TW200608411A (en) 200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4872B1 (ko) 정규 메모리 셀 어레이와 동시에 억세스가능한 용장 메모리 셀 컬럼을 갖고 있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KR0158484B1 (ko)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의 행리던던씨
KR100867562B1 (ko) 메모리 장치 내의 멀티플렉스된 중복 구조를 위한 회로 및 방법
KR920009059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병렬 테스트 방법
JPH06275095A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冗長アドレス書込方法
US5706231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redundant memory cell
JP2005085349A (ja) 半導体記憶装置
US5124949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a redundant memory cell array
JP4646608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468315B1 (ko) 리페어 회로
KR100541687B1 (ko) 누설전류 감소를 위한 메모리 장치
KR20020011848A (ko) 반도체 기억 장치
KR20040082636A (ko) 대기 전류 불량의 판별 기능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00019078A (ko) 개선된 웨이퍼 번인 테스트 스킴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JPS6138560B2 (ko)
US5926421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with spare column decoder
JP2001210100A (ja) 半導体記憶装置
KR20020002913A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리던던시 장치
KR100314649B1 (ko) 플래쉬메모리장치의센싱회로
KR100357182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던던시 회로
JP3277539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454251B1 (ko) 메모리 테스트 시간을 줄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3719902B2 (ja) メモリ回路
KR19990055116A (ko) 고속 액세스가 가능한 리던던시 구조를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장치
JP3836315B2 (ja) 半導体メモリ集積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