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1586A - 자동차의 차양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차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1586A
KR20050121586A KR1020040046758A KR20040046758A KR20050121586A KR 20050121586 A KR20050121586 A KR 20050121586A KR 1020040046758 A KR1020040046758 A KR 1020040046758A KR 20040046758 A KR20040046758 A KR 20040046758A KR 20050121586 A KR20050121586 A KR 20050121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unshade
top cover
groo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김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수 filed Critical 김민수
Priority to KR1020040046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21586A/ko
Publication of KR20050121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58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4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for covering at least the roof of the vehicle, e.g. for covering the whol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방에 유리창이 설치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탑 커버 상측에는 자동차의 폭 방향 양측에 일정한 높이를 갖고 한 쌍의 고정수단이 장착되며; 상기 고정수단에는 선택적으로 이동되며 자동차의 차창 상측에 위치되거나 자동차의 탑 커버 상측 면과 떨어지며 평행에 가까운 형상으로 배치되는 차양수단이 구비된다.
따라서, 자동차를 오랜 시간동안 옥외에 주차했을 경우 유리창을 통하여 조사되는 태양광에 의해 자동차의 내부온도가 급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자동차가 주행 중 유리창을 통하여 내부가 투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프라이버시를 보호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차양장치{Handle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자동차를 오랜 시간동안 옥외에 주차했을 경우 유리창을 통하여 조사되는 태양광에 의해 자동차의 내부온도가 급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자동차가 주행 중 유리창을 통하여 내부가 투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의 차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급속한 경제 및 산업발전에 따라 생활수준이 급상승하며 자동차는 이미 사치품이 아니라 생활 필수품이 되다시피 널리 보급되고 있다.
물론, 자동차는 기능과 목적 그리고 품질에 따라 가격차이도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이다.
한편 여러 종류의 자동차들이 다수 제안되고 있지만 모든 자동차들은 근본적으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사방으로 투명한 유리창이 배열된다.
상기와 같은 유리창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조물이지만 투명한 구조적인 특성에 의해 예를 들어 프라이버시를 침해당할 수 도 있고, 또한 투명한 유리창을 통하여 조사되는 태양 광에 의해 내부 온도가 급상승하는 요인이 된다.
즉, 전자의 경우 차체의 높이가 높은 승합차나 화물차의 운전석 등에서는 내부가 들여다보이는 공간이 될 수도 있고, 후자의 경우 차량을 오랜 시간동안 주차했을 경우 유리창을 통하여 차량의 내부로 들어오는 태양 광에 의해 차내의 온도가 상온의 온도보다 무려 5배 이상으로 상승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다양한 종류의 차량 그리고 차량 및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각종 기능을 갖는 액세서리 등이 다수 제안되고 있지만, 상기와 같이 유리창을 장착할 수밖에 없는 차량의 구조 그리고 그와 같은 유리창의 특성에 의해 파생되는 프라이버시 침해 및 차량의 내부 온도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 아직 제안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또 겨울철에 차량을 옥외에 주차할 경우에는 차창에 성애가 생성되어 제거 또는 제상 후 운전을 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우천 중에 운전을 할 경우 물론 와이퍼가 동작되지만 강하게 흘러내리는 많은 량의 빗물을 와이퍼가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여 운전시야를 방해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자동차의 유리창에 의해 파생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를 오랜 시간동안 옥외에 주차했을 경우 유리창을 통하여 조사되는 태양광에 의해 자동차의 내부온도가 급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차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가 주행 중 유리창을 통하여 내부가 투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자동차의 차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예를 들어 겨울철에 차량을 옥외에 주차할 경우에는 차창에 직접 성애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차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천 중에 운전을 할 경우 빗물이 차창으로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운전시야를 확보하는 자동차의 차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사방에 유리창이 설치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탑 커버 상측에는 자동차의 폭 방향 양측에 일정한 높이를 갖고 한 쌍의 고정수단이 장착되며; 상기 고정수단에는 선택적으로 이동되며 자동차의 차창 상측에 위치되거나 자동차의 탑 커버 상측 면과 떨어지며 평행에 가까운 형상으로 배치되는 차양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양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의 구성을 효과적으로 구현시키기 위한 기술수단은,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탑 커버의 상측 면에 대해 체결부재에 의해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의 구성을 효과적으로 구현시키기 위한 기술수단은,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탑 커버의 상측 면에 대해 접착부재에 의해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의 구성을 효과적으로 구현시키기 위한 기술수단은,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탑 커버의 상측 면에 대해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 면에 마주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슬라이드 홈; 상기 슬라이드 홈의 일단 부와 인접된 일 측에서 분기되며 일단 부 의 슬라이드 홈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원 형상으로 원호를 갖는 반원형 홈으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의 구성을 효과적으로 구현시키기 위한 기술수단은, 상기 반원형 홈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함몰된 반구 형상의 걸림 홈이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의 구성을 효과적으로 구현시키기 위한 기술수단은, 상기 차양수단은 판재, 상기 판재의 일 단부에 돌출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 홈에 끼워지는 중심돌기, 및 상기 중심돌기와 이격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반원형 홈으로 위치 이동되는 위치 설정돌기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의 구성을 효과적으로 구현시키기 위한 기술수단은, 상기 판재는 빛이 투과되는 합성수지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의 구성을 효과적으로 구현시키기 위한 기술수단은, 상기 판재는 테두리 등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강을 위한 금속이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의 구성을 효과적으로 구현시키기 위한 기술수단은, 상기 중심돌기와 상기 위치 설정돌기는 그 단부가 반구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의 구성을 효과적으로 구현시키기 위한 기술수단은, 상기 중심돌기와 상기 위치 설정돌기는 그 단부가 반구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의 구성을 효과적으로 구현시키기 위한 기술수단은, 상기 중심돌기와 상기 위치 설정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판재의 양측 단부에 고정되며 분리 가능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홈에서 구름 접촉되거나 상기 걸림 홈에서 걸림 지지되는 볼이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일부 노출되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의 구성을 효과적으로 구현시키기 위한 기술수단은, 상기 판재의 타 단부는 공기의 흐름 저항을 받지 않도록 일 단부가 만곡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사양장치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과 차양수단이 구비된 측면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차양장치는 사방에 유리창이 설치된 자동차(C)의 탑 커버(100) 상측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서는 자동차의 차양장치는 자동차의 폭 방향 양측에 일정한 높이를 갖고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수단(10)과, 상기 고정수단(10)에 장착되며 선택적으로 위치가 이동되어 자동차의 차창 상측에 위치되거나 자동차의 탑 커버(100) 상측 면과 떨어지며 평행에 가까운 형상으로 배치되는 차양수단(20)으로 구비된다.
본 실시 예의 구성을 효과적으로 구현시키기 위한 기술수단으로, 상기 고정수단(10)은 상기 탑 커버(100)의 상측 면에 대해 체결부재(11)에 의해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탑 커버(100)의 상측 면에 대해 접착부재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다.
또 상기 고정수단(10)은 상기 탑 커버(100)의 상측 면에 대해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12)와, 상기 고정부재(12)의 내측 면에 마주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부재(12)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슬라이드 홈(13)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홈(13)의 일단 부와 인접된 일 측에서 분기되며 일단 부 의 슬라이드 홈(13)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원 형상으로 원호를 갖는 반원형 홈(14)으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의 구성을 효과적으로 구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반원형 홈(14)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함몰된 반구 형상의 걸림 홈(15)이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12)는 자동차의 상측에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길게 장착될 수도 있지만, 도 3과 같이 길이를 짧게 형성한 후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때에는 슬라이드 홈(13)은 설치되지 않아도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의 구성을 효과적으로 구현시키기 위한 차양수단의 기술적 구성은 판재(21), 상기 판재(21)의 양측 일 단부에 돌출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 홈에 끼워지는 중심돌기(22) 및 상기 중심돌기(22)와 이격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반원형 홈(14)으로 위치 이동되는 위치 설정돌기(23)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판재(21)는 빛이 투과되는 합성수지로 구비될 수 있지만,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테두리 등은 금속 보강밴드로 마감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 예의 구성을 효과적으로 구현시키기 위한 기술수단은, 상기 중심돌기(22)와 상기 위치 설정돌기(23)는 그 단부가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반구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도 4와 같이 본 실시 예의 구성을 효과적으로 구현시키기 위한 기술수단은, 상기 중심돌기(22)와 상기 위치 설정돌기(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판재(21)의 양측 단부에 분리 가능한 통(26)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홈(13)에서 구름 접촉되거나 상기 걸림 홈(15)에서 걸림 지지되는 볼(24)이 탄성부재(25)에 의해 탄력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일부 노출되도록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중심돌기(22)와 위치 설정돌기(23)는 후술하는 자동차의 주행 시 또는 자동차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시 사용되고 그에 따라 중심돌기(22)와 위치 설정돌기(23) 부분이 가장 큰 힘을 부여받게 되므로 가능하면 재질이 강한 금속 또는 강화 플라스틱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판재(21)의 타 단부는 공기의 흐름 저항을 받지 않도록 일 단부가 만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이 처음 설치된 상태는 도 2 내지 도 4의 실선과 같은 상태이다.
즉, 이 상태는 고정부재(12)에 장착된 판재(21)는 자동차의 탑 커버(100) 상측에 위치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는 차양수단(20)의 기능을 하는 판재(21)는 자동차(C)의 탑 커버(100)에 위치된 상태에서 자동차가 정상적으로 주행하거나 또는 주차상태라 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태는 중심돌기(22)와 위치 설정돌기(23)는 각각 슬라이드 홈(13)의 수평선상에 위치된 상태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판재(21)의 위치를 이동시켜 차양수단의 기능을 할 때에는 도 1 내지 도 3,4와 같이 판재(21)를 일 측으로 이동시킨 후, 즉 판재(21)의 양측에 구비된 중심돌기(22)와 위치 설정돌기(23)를 슬라이드 홈(13)의 일 단부 까지 이동시킨 후 상측으로 밀어 젖히게되면 판재(21)에 구비된 위치 설정돌기(23)는 반원형 홈(14)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이때 사용자는 반원형 홈(14)의 내측에 배열된 각각의 걸림홈(15)에 위치 설정돌기(23)를 고정시킴으로써 판재(21)의 각도를 조절하며 사용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위치 설정돌기(23)를 별도로 제작된 통체(26)의 내부에 탄성부재(25)를 배치하고 그 탄성부재(25)의 상측에 외부로 일부 노출되는 볼(24)을 장착하게되면 롤링되는 볼(24)과, 그 볼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2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걸림홈(25)의 위치를 설정할 때마다 "딸깍""딸깍" 소리를 발생하며 효과적으로 판재(2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햇빛이 유리창을 통하여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판재(21)는 도 1 또는 도 3,4와 같이 차창을 향해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고속으로 주행하는 고속도로에서는 공기의 저항을 받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이때에는 도 5와 같이 판재의 선단부가 공기의 저항을 줄이도록 자유단인 끝단부가 곡면을 갖고 형성된 구조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한편, 지금까지는 본 발명이 적용된 차양장치가 승용차에 적용된 것에 대하여 한정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화물차 또는 승합차 등에도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때에는 장착 대상이 되는 차량의 구조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그 형상도 변경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 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를 오랜 시간동안 옥외에 주차했을 경우 유리창을 통하여 자동차의 내부온도가 급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자동차가 주행 중 유리창을 통하여 내부가 투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본 발명은 겨울철에 차량을 옥외에 주차할 경우에는 차창에 성애가 생성되어 제거 또는 제상 후 운전을 해야하는 번거로웠던 문제점도 해결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천 중에 운전을 할 경우 차창을 통하여 빗물이 직접 와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전시야를 충분히 확보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일반적인 자동차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제1 구성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제2 구성 예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제1 구성 예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제3 구성 예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고정수단 11;체결부재
12;고정부재 13;슬라이드 홈
14;반원형 홈 15;걸림 홈
20;차양수단 21;판재
22;중심돌기 23;위치 설정돌기
24;볼 25;탄성부재
26;통체 100;탑 커버
"C";자동차

Claims (12)

  1. 사방에 유리창이 설치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탑 커버 상측에는 자동차의 폭 방향 양측에 일정한 높이를 갖고 한 쌍의 고정수단이 장착되며;
    상기 고정수단에는 선택적으로 이동되며 자동차의 차창 상측에 위치되거나 자동차의 탑 커버 상측 면과 떨어지며 평행에 가까운 형상으로 배치되는 차양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탑 커버의 상측 면에 대해 체결부재에 의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양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탑 커버의 상측 면에 대해 접착부재에 의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양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탑 커버의 상측 면에 대해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 면에 마주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슬라이드 홈;
    상기 슬라이드 홈의 일단 부와 인접된 일 측에서 분기되며 일단 부 의 슬라이드 홈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원 형상으로 원호를 갖는 반원형 홈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양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원형 홈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함몰된 반구 형상의 걸림 홈이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양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수단은 판재,
    상기 판재의 일 단부에 돌출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 홈에 끼워지는 중심돌기, 및
    상기 중심돌기와 이격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반원형 홈으로 위치 이동되는 위치 설정돌기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양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빛이 투과되는 합성수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양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테두리 등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강을 위한 금속이 배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차양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돌기와 상기 위치 설정돌기는 그 단부가 반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양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돌기와 상기 위치 설정돌기는 그 단부가 반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차양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돌기와 상기 위치 설정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판재의 양측 단부에 고정되며 분리 가능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홈에서 구름 접촉되거나 상기 걸림 홈에서 걸림 지지되는 볼이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일부 노출되도록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차양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타 단부는 공기의 흐름 저항을 받지 않도록 일 단부가 만곡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차양장치.
KR1020040046758A 2004-06-22 2004-06-22 자동차의 차양장치 KR200501215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758A KR20050121586A (ko) 2004-06-22 2004-06-22 자동차의 차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758A KR20050121586A (ko) 2004-06-22 2004-06-22 자동차의 차양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661U Division KR200361187Y1 (ko) 2004-06-22 2004-06-22 자동차의 차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586A true KR20050121586A (ko) 2005-12-27

Family

ID=37293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758A KR20050121586A (ko) 2004-06-22 2004-06-22 자동차의 차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215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5623B2 (en) Retractable visor for an automobile windshield
KR100612704B1 (ko) 자동차용 미러유니트
KR200361187Y1 (ko) 자동차의 차양장치
KR20050121586A (ko) 자동차의 차양장치
JPH08198151A (ja) 自動車用バックバイザー
KR100472652B1 (ko) 자동차의 선 바이저
KR200162130Y1 (ko) 빗물제거부재가 설치된 웨더스트립
JP3043141U (ja) 自動車用収納サンバイザー及び防霜バイザー
KR100401710B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KR200252482Y1 (ko) 차체측면 관찰용 선바이저
KR200292460Y1 (ko) 자동차용 썬바이저 컬러필름
KR200342863Y1 (ko) 빗물 차단형 백미러
US20170151861A1 (en) Automobile sunshade
KR900007633Y1 (ko) 자동차 백미러용 방우커버
FR2883352B1 (fr) Dispositif permettant un montage etanche d'un essuie-vitre et essuie-vitre pour un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KR200366712Y1 (ko) 자동차 아웃사이드 백미러의 빗물차단장치
KR200391988Y1 (ko) 미러표면 습기제거용 아웃사이드미러 구조
EP2878490B1 (en) Protection element for a vehicle body
JPH04297355A (ja) 車両のワイパ−装置
KR200258954Y1 (ko) 자동차용 보조 선 바이저
KR200215625Y1 (ko) 자동차용 룸 미러
KR0151762B1 (ko) 프런트 도어글라스의 와이퍼장치
JP3101282U (ja) 自動車の窓用カバー
CA2135097A1 (en) Sun visor
KR20000003872U (ko) 자동차 윈드실드의 빗물흐름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