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625Y1 - 자동차용 룸 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룸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625Y1
KR200215625Y1 KR2019980014573U KR19980014573U KR200215625Y1 KR 200215625 Y1 KR200215625 Y1 KR 200215625Y1 KR 2019980014573 U KR2019980014573 U KR 2019980014573U KR 19980014573 U KR19980014573 U KR 19980014573U KR 200215625 Y1 KR200215625 Y1 KR 2002156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room mirror
present
vehicle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5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5118U (ko
Inventor
신길선
Original Assignee
신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길선 filed Critical 신길선
Priority to KR2019980014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625Y1/ko
Publication of KR199800651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1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6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625Y1/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룸 미러(room mirror)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는 거리감이 회손되지 않고도 보다 넓은 후방 시야 및 측면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차량 실내 천정과 같이 비추어지는 것이 불필요한 부분을 줄이며 그 장착이 다양하고 안정적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는 소정의 합성수지재 프레임(10)의 전면에 거울(2)이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룸 미러에 있어서, 그 거울(2)의 가로방향 길이(L)가 3000mm 내지 4000mm이고, 상단면 곡률(R1)이 550mm 내지 650mm이며, 하단면 곡률(R2)이 750mm내지 850mm이며, 상하방향 폭(W)이 50mm 내지 75mm이며 거울면 볼록반경(R)이 1300mm 내지 1500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의 프레임의 이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인장스프링(12)에 의해 상시 상하방향으로 부세력을 받는 상하 한 쌍의 파지클립(14)(14) 및/또는 양단부(16a)(16a)가 프레임 이면에 형성된 돌기(18)에 끼워져 고정된 한 쌍의 탄성 밴드(16)(16)가 더 구비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룸 미러
본 고안은 자동차의 룸 미러(room mirror)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룸 미러는 자동차 운전자가 운전도중 고개를 돌리지 않고도 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차량 실내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구비되는 거울로서 자동차 안전운행을 위한 필수적 장비이다.
종래 자동차의 룸 미러는 다종 다양의 것이 나와 있으나 차량 외측에 붙는 사이드 미러(side mirror)와는 달리 후방 좌우측까지도 한꺼번에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대체로 가로가 긴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들에 대한 실제적인 거리감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볼록거울이 아닌 평거울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운전자에 따라서는 주행차량의 좌우측에서 진행하는 인접차량이 사각지역에 진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관측하기 위하여 차량외측에 부착된 사이드미러 및/또는 룸 미러의 일부측에 또는 차량 실내 전방 좌우측 소정의 위치에 소형의 보조볼록거울을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보조볼록거울은 일반적으로 그 크기가 작고 볼록 곡률이 커서 그 보조볼록거울에 비쳐진 피사체를 그 보조볼록거울이 부착된 사이드 미러나 룸 미러에 비쳐진 피사체와 함께 동시에 관측하기가 자연스럽지 않기 때문에 보조볼록거울을 보는 것이 애써 습관되지 않는다면 별로 그 효용성이 없다.
또한 자동차회사에서 갓 출고한 신규 차량의 룸 미러는 일반적으로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차량 구입자는 보다 넓은 후방 관측시야를 얻기 위해 별도의 큰 룸 미러를 구입하여 원래의 룸 미러 위에 덧붙여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그 덧붙치는 룸 미러의 무게가 원래의 룸 미러의 무게에 더해지기 때문에 차량주행 진동이 작용할 경우 룸 미러가 쉽게 앞으로 수그러져 수시로 바로잡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차량 외부에 부착되는 사이드 미러는 주행차량의 좌우측으로부터 진입하는 후방차량을 관측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능이 룸 미러와 다르며, 특히 차선 변경시 좌우측 차선을 주행하는 차량과 충돌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룸 미러와 함께 안전운행을 담보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런데 이 사이드 미러는 보다 먼 거리까지 관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볼록곡률을 가지며, 실외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비가 올 경우에는 창문과 사이드 미러 거울면 상에 빗방울이 맺힘에 따라 운전자는 사이드 미러를 통해 차량 좌우측에서 주행하는 인접차량의 피사체가 잘 볼 수 없게 되고 특히 라이트를 켜야 되는 야간시 또는 도로에 표시된 차선조차 잘 보이지 않게 되는 심야 우천시 등에는 거의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 운전자들은 대부분 룸 미러를 사용하여 후방을 주시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 룸 미러 및 사이드 미러의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및 사용상의 요구특성으로 인해 차량의 룸 미러는 가능한 한 사이드 미러의 기능을 아울러 구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망되며, 이때 차량 좌우측까지 보다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볼록곡률을 가지되 그 곡률이 너무 크지 않도록 함으로써 실제의 거리감을 회손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고안은 종래 차량 룸 미러 및 사이드 미러의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 첫 번째 목적은 보다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차량 룸 미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소정의 볼록 곡률을 가짐으로써 차량 좌우측 후방도 볼 수 있도록 하여 사이드 미러의 기능을 아울러 구비하도록 하되 그 곡률의 범위가 실제 거리감을 회손하지 않는 범위로 결정되는 차량 룸 미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차량 실내 천정과 같이 비추어지는 것이 불필요한 부분을 줄임으로써 가능한 한 그 무게를 줄여 본래의 룸 미러에 덧붙여 사용하더라도 차량 진동에 따라 수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룸 미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신규차량 본래의 룸 미러에 덧붙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그 부착방법을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는 차량 룸 미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룸 미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의 상하면 곡률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에 있어서 미러의 전후방향 곡률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의 체결부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에 있어서 미러를 제거한 상태의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거울 4 : 거울 상단면
6 : 거울 하단면 10 : 프레임
12 : 인장스프링 14 : 파지클립
16 : 탄성밴드 R1 : 거울 상단면 곡률
R2 : 거울 하단면 곡률 R : 거울의 볼록면 곡률
20 : 양면 접착테이프 30 : 자동차용 룸 미러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의 상하면 곡률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에 있어서 미러의 전후방향 곡률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해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룸 미러(30)의 거울면(2)은 급격한 절곡면이나 변곡점이 없이 그 면 전체에 걸쳐 부드럽게 휘어지는 볼록곡면으로 이루어지며, 룸 미러의 상단면(4)과 하단면(6)도 그 좌우측이 아래로 휘어지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짐으로써 천장 등이 비쳐지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거울면(2)은 가능한 한 보다 멀리 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이드 미러의 기능도 함께 구비하여 좌우측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또한 실제적인 거리감을 회손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설계변수를 고려하여 여러 가지 모델을 만들어 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범위 내의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는 밀리미터(mm)이다.
가로방향길이(L) 상단면곡률(R1) 하단면곡률(R2) 상하방향 폭(W) 거울면볼록반경(R)
3000∼4000 550∼650 750∼850 50∼75 1300∼1500
가로방향의 길이(L)가 3000mm 미만일 경우에는 좌우측 방향을 제대로 볼 수 없어서 사이드 미러의 기능을 기대할 수 없으며, 3000mm 미만으로 하면서 좌우측을 볼 수 있도록 하려면 거울면의 볼록반경을 줄일 수밖에 없는 바, 이는 거울의 볼록률이 커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피사체가 작게 보일 뿐만 아니라 피사체의 실제 거리감을 제대로 느낄 수 없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룸 미러의 가로방향 길이(L)가 4000mm를 넘을 경우에는 후방시야가 넓어지는 대신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는 데에 방해가 될 염려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룸 미러의 상단면 및 하단면이 각각 550mm 내지 650mm, 750 내지 850mm범위 내에서 위로 볼록하도록 휜 것(중앙부가 위로 볼록하고 좌우측이 아래쪽으로 휜 것)은 천장 등과 같이 비출 필요가 없는 부분을 고려한 형상임과 동시에 거울면 자체가 실내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곡률을 갖는 것과 관련하여 차량 좌우측을 보다 잘 관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형상이다.
본 고안에 따른 룸 미러의 형상에 있어서 거울면의 볼록반경(R)은 본 고안이 목적하는 바의 차량 후방과 좌우측에 대한 시야확보 및 피사체의 실제 거리감의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본 고안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즉, 곡률반경(R)이 작을 경우에는, 작으면 작을수록 더 멀리까지 볼 수는 있으나 실제 거리감을 느낄 수 없으며 반대로 곡률반경이 클 경우에는 실제 떨어진 거리와 동일한 거리감으로 물체를 관측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거의 평거울이 됨으로써 좌우측 관측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점으로 고려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룸 미러는 전술한 바의 그 물리적 형상 및 규격과 함께 그 곡률반경이 1300mm 내지 1500mm 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고안에 따른 이상과 같은 형상과 규격의 차량 룸 미러가 종래 사이드 미러를 완전히 없앨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사이드 미러는 기존과 마찬가지로 그대로 부착되어 있어서 그 기본적인 기능을 발휘하되 본 고안에 따른 룸 미러가 적용될 경우 다른 보조볼록거울의 도움 없이도 기존의 평거울 룸 미러에 비해 보다 더 좌우측을 잘 관측할 수 있으며, 특히 사각지대 진입차량을 잘 관측할 수 있다는 점에 본 고안에 따른 룸 미러의 기술적 의미가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의 체결부를 보여주는 배면도이고,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에 있어서 미러를 제거한 상태의 프레임(10)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의해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룸 미러는 원래의 룸 미러 위에 덧붙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원래의 룸 미러 위에 덧붙이기 위한 체결부는 룸 미러 프레임 이면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인장스프링(12)에 의해 상시 상하방향으로 부세력을 받는 상하 한 쌍의 파지클립(14)(14) 및/또는 양단부(16a)(16a)가 프레임 이면에 형성된 돌기(18)에 끼워져 고정된 한 쌍의 탄성 밴드(16)(16)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는 그 장착이 상기 파지클립(14)(14) 또는 탄성밴드(16)(16)에 의해 선택적으로 또는 이들 두 장착수단 모두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그 장착이 쉽고 차량요동에 대하여 안정적이다.
도 5에 있어서 도면부호 20은 양면 접착테이프로서 거울(2)을 프레임(10)에 붙이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는 기본적으로 그 가로방향 길이가 종래의 것에 비해 길 뿐만 아니라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거리감이 회손되지 않는 보다 넓은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차량 실내 천정과 같이 비추어지는 것이 불필요한 부분을 줄임으로써 가능한 한 그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신규차량 본래의 룸 미러에 대한 부착방법이 다양하고 안정적이어서 차량주행 요동이 심한 비포장도로나 요철면을 주행하여도 수그러지는 등의 현상이 생기지 않는다.

Claims (2)

  1. 소정의 합성수지재 프레임(10)의 전면에 거울(2)이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룸 미러에 있어서,
    상기 거울(2)은 그 가로방향길이(L)의 범위가 3000mm 내지 4000mm이고, 상단면 곡률(R1)이 550mm 내지 650mm이며, 하단면 곡률(R2)이 750mm내지 850mm이며, 상하방향 폭(W)이 50mm 내지 75mm이며 거울면 볼록반경(R)이 1300mm 내지 1500mm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 미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 이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인장스프링(12)에 의해 상시 상하방향으로 부세력을 받는 상하 한 쌍의 파지클립(14)(14) 및/또는 양단부(16a)(16a)가 프레임 이면에 형성된 돌기(18)에 끼워져 고정된 한 쌍의 탄성 밴드(16)(16)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룸 미러.
KR2019980014573U 1998-08-03 1998-08-03 자동차용 룸 미러 KR2002156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573U KR200215625Y1 (ko) 1998-08-03 1998-08-03 자동차용 룸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573U KR200215625Y1 (ko) 1998-08-03 1998-08-03 자동차용 룸 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118U KR19980065118U (ko) 1998-11-25
KR200215625Y1 true KR200215625Y1 (ko) 2001-03-15

Family

ID=69504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573U KR200215625Y1 (ko) 1998-08-03 1998-08-03 자동차용 룸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6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118U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23169C (en) Improvement in fixing device for inside rear-view mirror
US4867402A (en) Receptacle for eyeglasses
US3229580A (en) Exterior viewer for automotive vehicles
KR200215625Y1 (ko) 자동차용 룸 미러
KR19980012737U (ko) 자동차의 사각지대 겸용 백미러
US7001029B1 (en) Rearview mirror assembly
JP3906849B2 (ja) 車両のルーフコンソール
JPS62210123A (ja) 自動車用日よけ
US2614628A (en) Vehicle windshield visor
KR200226769Y1 (ko) 승용차의 후사경
KR200256021Y1 (ko) 차체측면 관찰용 미러
JP3598723B2 (ja) 車両用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KR0115105Y1 (ko)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
KR200292460Y1 (ko) 자동차용 썬바이저 컬러필름
KR0123034Y1 (ko) 자동차의 차폭등
KR200246979Y1 (ko) 자동차용 운전자 보호장치
KR200226200Y1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JP3072626U (ja) ドレスアップルームミラートリム
KR19980028818U (ko) 자동차의 룸미러
KR200145331Y1 (ko) 도어의 웨스트라인 몰딩구조
KR200153376Y1 (ko) 자동차의 룸미러
KR0126211Y1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 장착구조
JPS6335875Y2 (ko)
KR0131902Y1 (ko) 야광띠가 부착된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
KR0121961Y1 (ko) 자동차의 사이드 마크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10907

Effective date: 200203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