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1292A -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1292A
KR20050121292A KR1020040046364A KR20040046364A KR20050121292A KR 20050121292 A KR20050121292 A KR 20050121292A KR 1020040046364 A KR1020040046364 A KR 1020040046364A KR 20040046364 A KR20040046364 A KR 20040046364A KR 20050121292 A KR20050121292 A KR 20050121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module
bracket
instrument panel
hook
assembl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7407B1 (ko
Inventor
서영덕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6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407B1/ko
Publication of KR20050121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4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wel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021/2173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module or part thereof being movably mounted on the vehicle
    • B60R2021/2175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module or part thereof being movably mounted on the vehicle using energy absorb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1Use of a material of the hooks-and-loop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는 에어백 모듈의 일측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고정되고, 상기 에어백 모듈의 타측이 카울 크로스 멤버에 유동 가능토록 결합됨으로써 탑승자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강하게 부딪칠 때,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변형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Air-Bag Module}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차 실내로부터 외력이 작용하면, 에어백 모듈의 유동될 수 있도록 에어백 모듈이 카울 크로스 멤버에 지지된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에어백 모듈(A)은 에어백 하우징(2)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2)에 설치되어 충돌 사고시 전개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4)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2)에 수납되어 전개가스가 공급되면 차 실내를 향해 전개되는 쿠션(6) 등으로 이루어져서, 충돌 사고시 쿠션 작용에 의해 차 실내의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이와 같은 에어백 모듈(A)의 조립구조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2)의 상부가 엔진룸과 차 실내를 구획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0)에 고정되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2)의 하부가 상기 엔진 룸 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카울 크로스 멤버(12)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10)에는 상기 쿠션(6)의 전개압력에 의해 찢어져서 상기 쿠션(6)이 차 실내를 향해 전개될 수 있게 하는 테어 라인(10a)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모듈(A)의 조립구조는, 상기 에어백 모듈(A)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10)과 카울 크로스 멤버(12)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쿠션(6)이 전개되지 않는 조건에서 차 실내의 탑승자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10)에 강하게 부딪친 경우, 상기 에어백 모듈(A)의 장착으로 인해 탑승자가 큰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에어백 모듈이 장착된 상태에서 차 실내의 탑승자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부딪칠 때,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는 에어백 모듈의 일측을 엔진룸과 차 실내를 구획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차 실내로부터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에어백 모듈이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함께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백 모듈의 타측을 엔진 룸 측에 지지시키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작용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는, 에어백 모듈(50)의 일측을 엔진룸과 차 실내를 구획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6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70)과,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60)에 차 실내로부터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화살표 F)이 작용하면, 상기 에어백 모듈(50)이 인스트루먼트 패널(60)과 함께 외력의 작용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백 모듈(50)의 타측을 엔진 룸 측에 지지시키는 지지수단(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외력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60)의 자체 강성이 있기 때문에 적어도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60)의 자체 강성으로는 버틸 수 없을 정도로 큰 경우에 해당된다.
상기 에어백 모듈(50)은 상부가 상기 고정수단(70)에 의해 인스트루먼트 패널(60)에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수단(80)에 의해 엔진 룸 측에 외력의 작용방향으로 유동 가능토록 지지되는 에어백 하우징(52)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52)의 하부에 설치되어 충돌 사고시 전개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54)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52)의 상부에 수납되어 전개가스가 공급되면 차 실내를 향해 전개되는 쿠션(5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백 하우징(52)에는 상단 둘레에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60)에 밀착될 수 있도록 플랜지(52a)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70)은 상기 에어백 하우징(52)의 플랜지(52a)를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60)에 리벳 체결방식으로 고정시킨다. 물론, 상기 고정수단(7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리벳 체결방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80)은 상기 에어백 모듈(50)에 구비된 후크 브래킷(82)과, 상기 엔진 룸 측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 브래킷(82)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력의 작용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슬롯(84a)이 형성된 차체 브래킷(8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크 브래킷(82)은 상기 에어백 모듈(50)에 고정된 본체(82a)와, 상기 차체 브래킷(84)의 슬롯(84a)에 수직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82a)에 형성된 후크부(82b)와, 상기 에어백 모듈(50)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82b)가 상기 차체 브래킷(84)의 슬롯(84a)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후크부(82b)에 상기 차체 브래킷(84)과 평행하게 형성된 스토퍼(82c)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크 브래킷(82)의 본체(82a)는 일부(82a')가 상기 에어백 하우징(52)의 외측면 하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52)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됨으로써 상기 에어백 모듈 브래킷(82)이 상기 에어백 모듈(50)과 결합되고, 타부(82a'')가 상기 차체 브래킷(84)과 평행할 수 있도록 절곡된다.
상기 후크 브래킷(82)의 후크부(82b)는 상기 후크 브래킷(82)의 본체(82a)의 하단에서 상기 차체 브래킷(84)을 향해 수직하게 굽혀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 브래킷(82)의 후크부(82b)는 상기 후크 브래킷(82)의 스토퍼(82c)에 의해 상기 차체 브래킷(84)의 슬롯(84a)에서 이탈되지 못하는 상태에서 상기 에어백 모듈(50)이 상기 차체 브래킷(84)의 슬롯(84a)과 수직한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후크 브래킷(82)의 본체(82a)로부터 굽혀진 길이가 상기 차체 브래킷(84)의 슬롯(84a)을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이면 된다.
상기 후크 브래킷(82)의 스토퍼(82c)는 상기 차체 브래킷(84)의 슬롯(84a)을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차체 브래킷(84)의 슬롯(84a)보다 짧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후크 브래킷(82)의 후크부(82b)에서 상기 에어백 모듈(50)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후크 브래킷(82)은 상기 에어백 모듈(50)의 쿠션(56)이 차 실내를 향해 전개될 때 상기 에어백 모듈(50)이 함께 차 실내를 향해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에어백 모듈(50)의 조립 완료 후 상기 후크 브래킷(82)의 후크부(82b)가 상기 차체 브래킷(84)의 슬롯(84a) 중 상기 에어백 모듈(50) 측인 상단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체 브래킷(84)은 상기 에어백 모듈(50)의 하부 측과 가까운 곳에 상기 엔진룸 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카울 크로스 멤버(62)가 위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6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조립작업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 모듈(50)의 상부 측을 상기 고정수단(70)을 이용하여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60)에 고정시키고, 상기 에어백 모듈(50)의 하부 측을 상기 후크 브래킷(82)과 차체 브래킷(84)을 이용하여 카울 크로스 멤버(62)에 지지시키면 완료된다.
이 때, 상기 후크 브래킷(82)의 후크부(82b)가 상기 차체 브래킷(84)의 슬롯(84a)의 상단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에어백 모듈(50)이 상측으로 유동되지 못한다. 아울러, 상기 후크 브래킷(82)의 스토퍼(82c)가 차체 브래킷(84)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후크 브래킷(82)의 후크부(82b)가 상기 차체 브래킷(84)의 슬롯(84a)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에어백 모듈(50)의 조립구조가 적용된 차량은, 차 실내의 탑승자가 급정거 또는 충돌사고 등으로 인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60)에 강하게 부딪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 브래킷(82)이 상기 차체 브래킷(84)의 슬롯(84a)을 따라 하향 이동됨으로써 상기 에어백 모듈(50)이 엔진룸 측으로 유동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60)이 엔진룸 측으로 변형되면서 탑승자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는 에어백 모듈의 일측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고정되고, 상기 에어백 모듈의 타측이 카울 크로스 멤버에 유동 가능토록 결합됨으로써 탑승자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강하게 부딪칠 때,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변형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는 상기 에어백 모듈에 후크 브래킷이 구비되고,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에 상기 후크 브래킷이 후크방식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유동될 수 있도록 슬롯이 형성된 차체 브래킷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에어백 모듈이 변형되지 않고 유동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용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에어백 모듈 52 : 에어백 하우징
54 : 인플레이터 56 : 쿠션
60 : 인스트루먼트 패널 62 : 카울 크로스 멤버
70 : 고정수단 80 : 지지수단
82 : 후크 브래킷 84 : 차체 브래킷

Claims (4)

  1. 에어백 모듈의 일측을 엔진룸과 차 실내를 구획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차 실내로부터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에어백 모듈이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함께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백 모듈의 타측을 엔진 룸 측에 지지시키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에어백 모듈에 구비된 후크 브래킷과;
    상기 엔진 룸 측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 브래킷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력의 작용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슬롯이 형성된 차체 브래킷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브래킷은 상기 에어백 모듈에 고정된 본체와; 상기 차체 브래킷의 슬롯에 수직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된 후크부와; 상기 후크부가 상기 차체 브래킷의 슬롯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후크부에 상기 차체 브래킷과 평행하게 형성된 스토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브래킷은 상기 엔진 룸 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카울 크로스 멤버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
KR1020040046364A 2004-06-22 2004-06-22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 KR100587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364A KR100587407B1 (ko) 2004-06-22 2004-06-22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364A KR100587407B1 (ko) 2004-06-22 2004-06-22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292A true KR20050121292A (ko) 2005-12-27
KR100587407B1 KR100587407B1 (ko) 2006-06-08

Family

ID=37293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364A KR100587407B1 (ko) 2004-06-22 2004-06-22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74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08921A1 (de) * 2011-07-29 2013-01-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Verfahren zur Montage einer Kraftfahrzeuginneneinrichtung und Anordnung für eine Kraftfahrzeuginneneinrich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08921A1 (de) * 2011-07-29 2013-01-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Verfahren zur Montage einer Kraftfahrzeuginneneinrichtung und Anordnung für eine Kraftfahrzeuginnen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7407B1 (ko) 200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7526B2 (ja) 頭上で使用するための薄型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デザイン
KR101356155B1 (ko)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착장치
US6286858B1 (en) Energy absorbing air bag module
JPH09123863A (ja) 脚部保護装置
JP4684077B2 (ja) エアバッグ装置、エアバッグ装置付オートバイ
GB2349616A (en) Vehicle having a roof mounted inflatable cushion
JP2006123628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587407B1 (ko)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
KR101001507B1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
JPH061027U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KR20090019261A (ko)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KR101594774B1 (ko) 커튼에어백 장치
JP3366016B2 (ja) エアバッグ構造
KR20060016405A (ko)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JP3313423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取付構造
KR100419735B1 (ko) 차량 센터필라 트림의 지지장치
KR100563831B1 (ko)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JP2531416Y2 (ja) 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
JP2006298286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KR20030004733A (ko)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 바 연결 브래킷
KR100520988B1 (ko) 차량용 측면 에어백
KR100711579B1 (ko) 커튼 에어백 모듈의 장착시스템
KR20060016402A (ko)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KR20060016400A (ko) 에어백 모듈의 설치구조
KR100711577B1 (ko) 커튼 에어백 전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