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0652A - 송수신 시스템, 송신 장치 및 방법, 수신 장치 및 방법,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송수신 시스템, 송신 장치 및 방법, 수신 장치 및 방법,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0652A
KR20050120652A KR1020057017484A KR20057017484A KR20050120652A KR 20050120652 A KR20050120652 A KR 20050120652A KR 1020057017484 A KR1020057017484 A KR 1020057017484A KR 20057017484 A KR20057017484 A KR 20057017484A KR 20050120652 A KR20050120652 A KR 20050120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control step
packet
h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오루 야나모또
쯔요시 마사또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20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065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redundant apparatus to increase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송수신 시스템, 송신 장치 및 방법, 수신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RTP 헤더(112)가 부가된 TS 패킷 열(111)에는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그 오디오 데이터만으로 구성되는 TS 패킷 열이 TS 패킷 열(121)이다. 이 오디오 데이터만으로 구성되는 패킷 열(121)의 RTP 헤더는 RTP 헤더(112)이다. 즉, 이 경우, "Sequence Number"로서 동일한 "1235h"라는 번호를 갖는 RTP 패킷이, 2회 연속하여 송신된다. 수신측에서는, 2회 송신되어 온 RTP 패킷 중 1개라도 수신할 수 있으면,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는 누락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유저에게 제공하는 음성이 중단되게 되는 등과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송신기와 수신기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수신 시스템, 송신 장치 및 방법, 수신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TRANSMISSION/RECEPTION SYSTEM,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RECEPTION DEVICE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본 발명은 송수신 시스템, 송신 장치 및 방법, 수신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수신되어 있는 패킷이 누락되었을 때에, 그 누락을 보충하는 장치에 이용하기 적합한 송수신 시스템, 송신 장치 및 방법, 수신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가 보급되며, 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도, 다방면에 걸쳐 있게 되었다. 네트워크 자체의 구성도, 유선으로 구성되는 것이나, 무선으로 구성되는 것이 있다.
네트워크가 보급됨과 함께, 그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예를 들면, 동일한 데이터를 상이한 경로로 전송하는 등을 행하여, 한쪽의 경로에서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여도, 다른쪽의 경로에 의해, 통신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데이터의 누락 등을 방지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11-98161호 공보 참조).
최근에는, 가정 내에서의 네트워크로서, 유선에 의한 것보다, 설치 등이 손쉬운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이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무선 LAN은, 그 특성 상의 이유 때문에, 유선 LAN에 비해 신뢰성이 뒤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무선 LAN은, 당연히, 무선에 의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데, 무선으로 행하기 위해, 통신을 행하고 있는 송신기와 수신기 간을 사람이 지나가거나, 습도 등의 환경의 변화에 따라, 그 통신 상태가 악화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통신 상태가 악화되었기 때문에, 송수신(통신)할 데이터가 통신 도중에 누락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생각할수 있다.
영상의 경우, 어떠한 원인에 의해, 송수신할 데이터가 통신의 도중에 누락되어도, 그 누락을 보충하는 방법이 실용화되어 있다. 예를 들면,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방식에 의해 인코드된 데이터가 디코드되는 경우, 그 디코드되는 비디오 스트림 내의 패킷에 누락이 있어도, 그 패킷에 관계되는 프레임의 전의 프레임, 혹은 전의 프레임의 일부의 블록을 보간함으로써,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이 계속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에러 은폐를 하는 방법이, 비디오 스트림을 처리하는 디코더측에 갖춰져 있으면, 유저에게 제공되는 영상이, 중단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음성의 경우, 영상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패킷(데이터)의 누락 등에 의한 에러를 은폐하였다고 하여도, 그 은폐는 유효하지 않기 때문에, 음성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그와 같은 에러 은폐를 위한 방법은 이용되고 있지 않았다. 그 때문에, 음성에 관계되는 패킷이 누락되기도 하는 경우, 유저에게 제공되는 음성이 중단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소정의 데이터를 복수회 송신함으로써(용장화하여 송신함), 유저측에 제공되는 영상이나 음성이 중단되는 등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송수신 시스템의 송신 장치는,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를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기억 수단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여, 송신 수단에, 판독된 데이터의 송신을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구비하며, 수신 장치는,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가, 이미 수신된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판단 수단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가, 이미 수신된 데이터라고 판단된 경우, 그 데이터를 파기하고, 수신된 데이터가, 이미 수신된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그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송신 장치는,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기억 수단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여, 송신 수단에, 판독된 데이터의 송신을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시 수단은, 송신 수단에 의해 데이터가 송신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기억 수단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여, 송신 수단에, 판독된 데이터의 송신을 지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 내에, 소정의 데이터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더 포함하며, 기억 수단은, 판단 수단에 의해 데이터 내에, 소정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소정의 데이터를 기억하며, 지시 수단은, 기억 수단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송신 수단에 송신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 내에,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더 포함하고, 기억 수단은, 판단 수단에 의해 데이터 내에,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오디오 데이터와, 그 오디오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헤더를 기억하며, 지시 수단은, 기억 수단으로부터 헤더와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송신 수단에 송신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헤더는, RTP 헤더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송신 방법은, 데이터의 취득을 제어하는 취득 제어 단계와, 취득 제어 단계의 처리에서 취득이 제어된 데이터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 단계와, 취득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취득이 제어된 데이터의 기억을 제어하는 기억 제어 단계와, 기억 제어 단계에 의해 기억이 제어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송신 제어 단계의 처리에서, 판독된 데이터가 송신되도록 지시하는 지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은, 데이터의 취득을 제어하는 취득 제어 단계와, 취득 제어 단계의 처리에서 취득이 제어된 데이터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 단계와, 취득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취득이 제어된 데이터의 기억을 제어하는 기억 제어 단계와, 기억 제어 단계에 의해 기억이 제어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송신 제어 단계의 처리에서, 판독된 데이터가 송신되도록 지시하는 지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데이터의 취득을 제어하는 취득 제어 단계와, 취득 제어 단계의 처리에서 취득이 제어된 데이터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 단계와, 취득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취득이 제어된 데이터의 기억을 제어하는 기억 제어 단계와, 기억 제어 단계에 의해 기억이 제어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송신 제어 단계의 처리에서, 판독된 데이터가 송신되도록 지시하는 지시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신 장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 수단에 의해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때, 그 데이터가, 이미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판단 수단에 의해,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가, 이미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라고 판단된 경우, 그 데이터를 파기하고, 이미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그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 수단은,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RTP 헤더의 Sequence Number를 참조하여, 데이터가, 이미 수신된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신 방법은, 데이터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단계와, 수신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때, 그 데이터가, 이미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판단 단계의 처리에 의해, 수신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가, 이미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라고 판단된 경우, 그 데이터를 파기하고, 이미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그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은, 데이터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단계와, 수신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때, 그 데이터가, 이미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판단 단계의 처리에 의해, 수신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가, 이미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라고 판단된 경우, 그 데이터를 파기하고, 이미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그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데이터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단계와, 수신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때, 그 데이터가, 이미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판단 단계의 처리에 의해, 수신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가, 이미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라고 판단된 경우, 그 데이터를 파기하고, 이미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그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제어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데이터가 복수회 송신된다. 그 복수회 송신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이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회 송신되어 온 소정의 데이터 중, 이미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기억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송수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송신기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TS 패킷의 헤더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RTP 헤더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UDP 헤더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IP 헤더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MAC 헤더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수신기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패킷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패킷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용장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
도 14는 패킷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패킷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패킷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기억에 관계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는 흐름도.
도 18은 매체를 설명하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송수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송수신 시스템은, 송신기(1)와 수신기(2)로 구성되어 있다. 송신기(1)는, 안테나(3)에 의해 수신된 텔레비전 방송의 데이터를, 수신기(2)에 대하여 송신한다. 수신기(2)는, 표시 장치(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나 음성 출력 장치(예를 들면, 스피커)를 구비하고 있으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이나 음성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아날로그 신호의 텔레비전 방송이 수신되며, 그 데이터가, 수신기(2)에 송신된다고 하여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아날로그 신호의 텔레비전 방송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BS(Broadcasting Satellite) 방송, CS(Communications Satellite) 방송, 지상파 디지털 방송 등의 디지털 신호의 텔레비전 방송에 대해서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VTR(Video Tape Recorder)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 등이 송신기(1)에 접속되고, 이들 장치로부터의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그 네트워크에 접속됨으로써 얻어지는 정보 등의 송수신이 행해지도록 하여도 된다.
송신기(1)와 수신기(2)는, 무선으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그 무선에 의한 통신은, 예를 들면, IEEE802.11의 규격에 기초하는 방식으로 행해진다. 송신기(1)와 수신기(2)는, 무선에 의해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유저는, 송신기(1)를 집의 소정의 장소에 고정하여 설치하고, 수신기(2)를 원하는 장소까지 운반, 그 장소에서 텔레비전 방송을 하는 등을 할 수 있다.
도 2는, 송신기(1)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내부 구성예는, 주로, 본 발명에 관한 것으로, 설명에 필요하게 되는 부분을 나타내며, 설명에 필요없는 부분, 예를 들면, 수신한 텔레비전 방송으로부터 유저가 지정한 프로그램을 추출하는 튜너나, VTR나 DVD 플레이어 등을 접속하였을 때에, 이들 장치로부터의 입력을 절환하는 스위처 등은 생략하고 있다.
송신기(1)는, 안테나(3)에 의해 수신된 텔레비전 방송으로서의 데이터(신호)를 입력한다. 입력되는 신호는, 예를 들면, 아날로그 신호이다. 그 아날로그 신호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인코더(21)에 입력된다. MPEG 인코더(21)은,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MPEG 방식에 기초하는 압축을 실시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디지털 신호의 텔레비전 방송의 데이터 등이 입력되는 경우, MPEG 인코더(21)에 의해 인코드될 필요는 없기 때문에, 반드시, 입력된 데이터가, MPEG 인코더(21)를 통한 구성으로 될 필요는 없으며, 적절하게, 입력되는 데이터에 의해, 입력되는 부분이 상이하게 하여도 된다. 물론, 그와 같은 입력된 데이터의 출력처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처 등이, 도시는 하지 않지만, 송신기(1)에는 구비되어 있다.
MPEG 인코더(21)로부터의 출력(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 이하, 적절하게, TS 패킷으로 기술함)은, RTP(Real Time Protocol) 헤더 부가부(22)에 공급된다. RTP 헤더 부가부(22)는, 공급된 TS 패킷을 소정의 갯수, 예를 들면, 7개의 패킷을 통합하여, 그 통합한 패킷(이하, 적절하게, TS 패킷 열로 기술함)에 RTP 헤더를 부가하고, UDP(User Datagram Protocol) 부가부(23)에 공급한다. RTP 헤더 부가부(22)에 의해 RTP 헤더를 부가된 TS 패킷 열을, 적절하게, RTP 패킷으로 기술한다.
UDP 헤더 부가부(23)는, 공급된 RTP 패킷에 대하여, 또한, UDP 헤더를 부가하고, IP(Internet Protocol) 헤더 부가부(24)에 공급한다. UDP 헤더 부가부(23)에 의해 UDP 헤더를 부가된 RTP 패킷을, 적절하게, UDP 패킷으로 기술한다.
IP 헤더 부가부(24)는, 공급된 UDP 패킷에 대하여, IP 헤더를 부가하고, MAC(Media Access Control) 헤더 부가부(25)에 공급한다. IP 헤더 부가부(24)에 의해 IP 헤더를 부가된 UDP 패킷을, 적절하게, IP 패킷으로 기술한다.
MAC 헤더 부가부(25)는, 공급된 IP 패킷에 대하여, MAC 헤더를 부가하고, 통신부(26)에 공급한다. MAC 헤더 부가부(25)에 의해 MAC 헤더를 부가된 IP 패킷을, 적절하게, MAC 패킷으로 기술한다.
각 부에서, 헤더를 부가하여, MAC 패킷으로 된 TS 패킷은, 통신부(26)에 의해, 수신기(2)에 대하여 송신된다.
용장화 제어부(27)는, 상세 내용은 후술하지만, 소정의 데이터(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의 복수회의 송신을 제어하기(용장화(중첩화)하여 송신하기 위한 제어를 행함) 위해 설치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기억부(28)로부터, UDP 헤더 부가부(23)에, 패킷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용장화 제어부(27)는, RTP 헤더 부가부(22)로부터 공급되는 RTP 패킷을 기억부(28)에 기억시킨다.
기억부(28)에는, 이러한 소정의 데이터의 용장한 송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그 복수회 송신할 데이터와, 그 데이터에 대응하는 RTP 헤더가 기억되어 있다.
도 3은, MPEG 인코더(21) 내지 MAC 헤더 부가부(25)의 각 부가, 처리를 행함으로써, 통신부(26)에 공급되는 데이터(MAC 패킷)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부(26)에 공급되는 데이터는, MPEG 인코더(21)에 의해 인코드된 TS 패킷 열(41)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부(26)에 공급되는 MAC 패킷 내의 TS 패킷 열(41)에는, TS 패킷(51-1 내지 51-7)의 7개의 패킷이 포함되어 있다. 1개의 TS 패킷은, 188 Bytes로 구성되어 있다.
TS 패킷 열(41) 내의 1개의 패킷인 TS 패킷(51-1)은, 헤더부(61)와 데이터부(62)로 구성되어 있다. 헤더부(61)는 도 4에 도시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며, 데이터부(62)는 수신기(2)(도 1)측에서, 영상 또는 음성으로서 유저에게 제공하기 위한 비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4는, TS 패킷(51)의 헤더부(61)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헤더부(61)는 4 Bytes로 구성되며, 데이터부(62)는 184 Bytes로 구성된다. 헤더부(61)의 "동기 바이트"는 동기를 취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값으로, 예를 들면, "47h"이 설정되어 있다. "Error Flag"는 TS 패킷(51) 중에 정정할 수 없는 bit error가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Start Flag"는 새로운 PES Packet 혹은 새로운 TS-PSI Section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Priority Flag"는 패킷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며, 이 플래그(bit)가, 1로 설정되어 있으면, 다른 TS 패킷(51)보다 중요도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 "PID"는, TS 패킷(51)의 Payload 부분(데이터부(62))이, 비디오 데이터인지, 오디오 데이터인지, TS-PSI(TS-Program Specific Information)인지, 혹은, 이들 이외인지를 각각을 구별하기 위해 부여되는 13 bit로 구성되는 수치(Identifier)이다.
"Scrambling mode"는, 데이터부(62)의 Scrambling mode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Adaptation Field flag"는, PCR(Program Clock Reference)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Adaptation Field의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Continuity Counter"는, 동일한 PID를 갖는 패킷으로, 1씩 값이 증가되는 카운터값의 정보이다.
MPEG 인코더(21)(도 2)에서는,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MPEG 방식의 압축을 실시하여 데이터부(62)를 생성함과 함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헤더부(61)를 생성하고, 1개의 TS 패킷(51)을 생성한다.
이러한 TS 패킷(51)이, 이 경우, 7개 포함되는 것이, 도 3에 나타낸 TS 패킷 열(41)이다. RTP 헤더(42)(도 3)는, RTP 헤더 부가부(22)(도 2)에 의해 부가되는 헤더이지만, 그 데이터 구성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RTP 헤더(42)의 "V"는, Version Bit을 나타내며, RTP 헤더(42)의 포맷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번호의 정보이다. "P"는, Padding Bit을 나타내며, 패킷의 사이즈를 조정하는 비트이다. "X"는, Extension Bit을 나타내며, 기능 확장 시에 지정되는 확장 비트이다.
"CC"는, CSRC Count를 나타내며, 리얼타임 전송에 관한 송신원의 수를 나타내는 카운터의 정보이다. "M"은, Marker Bit를 나타내며, 1 패킷에서의 프레임의 경계를 나타내는 마커 비트이다. "PT"는, Payload Type를 나타내며, 페이로드의 부호화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Sequence Number"는, RTP 패킷의 순서를 나타내는 시퀀스 넘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TIME STAMP"는, RTP 헤더(42)가 작성된 시각을 나타내는 타임 스탬프의 정보를 나타낸다. "SSRC"는, Synchronization Source를 나타내며, 메시지의 최초의 송신원(소스)을 식별하는 동기 소스 식별자의 정보이다. "CSRC"는, Contributing Source를 나타내며, 메시지에 포함되는 패킷군의 송신처(클라이언트)를 식별하는 공헌 소스 식별자의 정보이다.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는 RTP 헤더(42)에 대응하는 페이로드에, TS 패킷 열(41)이 삽입된다. RTP 헤더(42)가 부가되어 있는 RTP 패킷에 UDP 헤더(43)(도 3)가, UDP 헤더 부가부(23)(도 2)에 의해 부가된다.
도 6은, UDP 헤더(43)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UDP 헤더(43)의 "SRC PORT"는, 송신원의 포트 번호를 지정하는 정보이며, "DEST PORT”는, 송신처(수신처)의 포트 번호를 지정하는 정보이고, 모두, 서비스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이용된다.
"Length"는, UDP 헤더(43)와 그 후에 계속되는 데이터의 길이(바이트 단위)의 합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Checksum"은, UDP 헤더의 정보와, 데이터 길이를 바탕으로 하여 산출된 값의 정보이다. 수신측에서는, 송신측과 마찬가지의 계산을 행하여, 체크썸의 값을 산출하여, 그 산출한 값과, 송신되어 온 UDP 헤더(43)에 포함되는 체크썸의 값이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도중에, 패킷이 파손되어 있지 않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UDP 헤더(43)가 부가된 UDP 패킷에, IP 헤더(44)(도 3)가, IP 헤더 부가부(24)(도 2)에 의해 부가된다. 도 7은, IP 헤더(44)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IP 헤더(44)의 데이터 구성은, 기본 헤더의 부분만을 나타내고, 옵션 헤더에 대해서는 나타내지 않는다.
"Ver"은, 인터넷 프로토콜(IP)의 버전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IHL"은, Internet Header Length를 나타내며, 이 헤더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TOS"는, Type Of Service를 나타내며, 데이터의 우선도의 정의나, 어떠한 타입의 전송을 행할지 등을 지정하는 정보이다.
"TL"은, Total Length를 나타내며, IP 헤더(44)와, IP 헤더(44) 이후의 데이터의 합계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ID"는, 이 IP 헤더(44)로 나타내는 IP 패킷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FL"은, IP층에서 데이터를 분할(fragment)하였을 때의, 그 제어에 관한 정보이다.
"FO"는, IP층에서 데이터가 분할되었을 때의 데이터가, 어디를 있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TTL"은, Time To Live를 나타내며, 이 IP 헤더(44)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언제 파기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PROT"는, IP층보다 상층에서 이용되고 있는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HC"는, IP 헤더(44)가 송신중에 파손되어 있지 않은지 여부를, 수신측에서 확인하기 위한 체크썸의 정보이다. "SA"는, 데이터의 송신원의 IP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DA"는, 데이터의 송신처의 IP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러한 IP 헤더(44)가 부가된 IP 패킷에, MAC 헤더(45)(도 3)가, MAC 헤더 부가부(25)(도 2)에 의해 부가된다. 도 8은, MAC 헤더(45)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PA"는, 프리앰블이고, 클럭 리커버리를 위한 PLL을 로크시키기 위한 정보이다. "DA"는, 송신처의 MAC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SA"는, 송신원의 MAC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Type"은, 상위층의 프로토콜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Length"는, 페이로드의 데이터의 바이트 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1개의 MAC 헤더(45)에는, "Type" 또는 "Length"의 어느 한쪽의 정보가 기입된다. "FCS"는, 에러 체크를 위한 정보이다.
이러한 정보를 포함하는 MAC 헤더(45)가 부가됨으로써,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데이터(MAC 패킷)가 생성된다.
여기서는, 도 3에 도시한 구성의 데이터가, 송신기(1)로부터 송신된다고 하여 설명하는데, RTP 헤더(42)가 부가되어 있지 않은 구성의 데이터이어도, 수신기(2)측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RTP 헤더(42)가 부가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RTP 헤더(42)가 부가된 데이터가 송신되도록 하는 것은, 소정의 데이터(패킷)를 복수회 송신하기 위해, RTP 헤더(42) 내의 정보(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한 "Sequence Number")가 이용되기 때문이다.
UDP 헤더(43)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헤더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다(TCP 헤더로 하여도 됨).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UDP 헤더(43)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TCP 헤더를 부가하는 것은 아니며, UDP 헤더를 부가하도록 하는 것은, 이하의 이유 때문이다. TCP 헤더는, 트랜스포트층의 프로토콜로서, TCP가 이용되었을 때에 부가되는 헤더이며, UDP 헤더는, 트랜스포트층의 프로토콜로서, UDP가 이용되었을 때에 부가되는 헤더이다.
트랜스포트층의 프로토콜로서, TCP를 이용할지, 또는, UDP를 이용할지를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로서, 그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행해지는 통신에 의해서는 어떠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것인지 등의 요인이 있다. TCP는, 커넥션형의 프로토콜이라 칭해지며, UDP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이라 부르는 경우가 있다.
TCP는, 커넥션형의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데이터의 수수에 관계되는 처리 수순이 복잡해지는데, 통신에 관계되는 신뢰도는 향상된다. 따라서, 주로, 신뢰도를 우선시키는 통신에 이용된다. TCP에 대하여, UDP는, 커넥션리스형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데이터의 수수에 관계되는 처리 수순은 간소화되어 있는데, 통신에 관한 처리 시간은 짧아지기 때문에, 처리 속도를 우선시키는 통신에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송신기(1)가 수신한 텔레비전 방송의 데이터를, 수신기(2)측에 송신하기 때문에, 그 송신기(1)와 수신기(2) 간의 데이터의 수수에 관계되는 프로토콜은, 신뢰도보다 처리 속도를 우선시켜서, 리얼타임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이 좋기 때문에, UDP를 이용한다.
그러나, UDP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면, 송신기(1)가 송신한 데이터가, 어떠한 원인에 의해, 수신기(2)측에서 수신되어 있지 않아도, 송신기(1)측은, 그와 같은 상황에 관계없이,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송신하기를 계속한다. 수신기(2)측에서, 누락된 데이터를 취득하지 않고, 누락된 상태대로 처리를 계속하면, 유저에게 제공되는 영상이나 음성이 중단되거나, 흐트러지기도 한다. 그와 같은 것은, 가능한 한 발생하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리얼타임으로 처리가 행해지는 것을 중시하여, UDP를 이용한 통신을 행하였다고 하여도, 어떠한 원인에 의해, 수신측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즉, 데이터의 누락이 발생하였을 때, 그 누락된 데이터를 보충한 처리를 행할 수 있음과 함께, 그 처리를 행함으로써, 송신측 및 수신측에서 각각 행해지는 처리 자체가, 많은 처리로 되지 않게 한다.
그와 같은 기능을 갖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송신기(1)에 대응하는 수신기(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수신기(2)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수신기(2)의 통신부(81)는, 송신기(1)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통신부(81)에 의해 수신된 송신기(1)로부터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의 데이터는, MAC 헤더 추출부(82)에 공급된다. MAC 헤더 추출부(82)는, 공급된 데이터(MAC 패킷)로부터, MAC 헤더(45)(도 3)를 추출(제거)하고, IP 패킷을 IP 헤더 추출부(83)에 공급한다.
IP 헤더 추출부(83)는, 공급된 IP 패킷으로부터 IP 헤더(44)를 추출하고, UDP 패킷을 UDP 헤더 추출부(84)에 공급한다. UDP 헤더 추출부(83)는, 공급된 UDP 패킷으로부터 UDP 헤더(43)를 추출하고, RTP 패킷을 순서 재구성부(85)에 공급한다.
순서 재구성부(85)는, RTP 헤더(42)에 포함되는 "시퀀스 넘버"(도 5)를 참조한다. 시퀀스 넘버는, 송신기(1)측에서, 처리된 순(생성된 RTP 헤더(42)순)에, 통상적으로, 오름차순으로 할당되는 연속된 번호이다. 또 여기서는, 오름차순으로 할당된다고 하여 설명을 하는데, 내림차순으로 할당되도록 하여도 된다.
순서 재구성부(85)는, 공급된 RTP 패킷의 시퀀스 넘버를 참조하여, 그 시퀀스 넘버와 동일한 번호를 갖는 데이터(대응하는 데이터)가 기억부(87)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기억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그 공급된 RTP 패킷을 파기하고,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그 공급된 RTP 패킷을 RTP 헤더 추출부(86)에 공급한다.
RTP 헤더 추출부(86)는, 공급된 RTP 패킷으로부터, RTP 헤더(42)를 추출하고, TS 패킷 열(41)을, 기억부(87)에 기억시킨다. 기억부(87)에는, 이와 같이 하여, TS 패킷 열(41)이 기억되는데, 그 TS 패킷 열(41)은, RTP 헤더(42)의 시퀀스 넘버와 관련되어 기억된다.
기억부(87)에는, 통상적으로, TS 패킷 열(41), 즉, 이 경우, 7개의 TS 패킷(51)이 기억되게 되는데, 에러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7개 이하의 TS 패킷(51)만이 기억될 때가 있다.
기억부(87)는, 버퍼로서의 역할을 갖고, 순차적으로 기억되어 있는 TS 패킷(51)을, MPEG 디코더(88)에 출력한다. MPEG 디코더(88)는, 순차적으로, 공급된 TS 패킷(51)에 대하여, MPEG 방식에 기초하는 디코드를 실시한다. MPEG 디코더(88)로부터의 출력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디스플레이나 스피커에 공급되어, 유저에게 영상이나 음성으로서 제공된다.
여기서, 기억부(87)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기억부(87)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데이터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억부(87)에는, RTP 헤더(42) 내에 포함되는 시퀀스 넘버와, 그 시퀀스 넘버의 RTP 패킷에 포함되어 있는 TS 패킷이 관련되어 기억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87)에 기억시키는 시퀀스 넘버는, 시퀀스 넘버 그 자체이어도 되며, 시퀀스 넘버를 일의에 도출할 수 있는 데이터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퀀스 넘버 "1"에는, TS 패킷(51-1-1 내지 51-7-1)(여기서의 부호에서의 최후의 숫자는, 시퀀스 넘버를 나타내는 (동일한 값)으로 함)이 관련되어 기억되어 있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RTP 패킷(수신기(2)측에서 수신되는 MAC 패킷)에는, 7개의 TS 패킷(51-1 내지 51-7)(도 3)을 포함한다고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며, 예를 들면, 8개의 TS 패킷을 포함한다고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퀀스 넘버 "1"에는, TS 패킷(51-1-1 내지 51-8-1)의 8개의 TS 패킷이 관련되어 기억되게 된다.
도 10에 나타낸 예를 재차 참조할 때, 동일하게 시퀀스 넘버 "2"에는, 동일하게 7개의 TS 패킷(51-1-2 내지 51-7-2)이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시퀀스 넘버 "3"의 란에는, 본래라면, TS 패킷(51-1-3 내지 51-7-3)이 관련되어 기억되지만,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TS 패킷이 기억되어 있지 않다. 이것에 대하여, 시퀀스 넘버 "4"에는, TS 패킷(51-1-4 내지 51-7-4)이 관련되어 기억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억부(87)에는, 정상적으로 수신되어 처리되면, 시퀀스 넘버와 관련되고 TS 패킷(51)(TS 패킷 열(41))이, 소정의 영역에 기억된다. 기억부(87)에는, 시퀀스 넘버순으로, TS 패킷이 소정의 영역에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어떠한 원인에 의해, 정상적으로 수신이 행해지지 않은 시퀀스 넘버의 영역(이 경우, 예를 들면, 시퀀스 넘버 "3"의 영역)은, 아무것도 기억되지 않는 상태에서 확보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억부(87)에는, TS 패킷이 기억되어 있는 영역을 갖는 시퀀스 넘버와, TS 패킷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갖는 시퀀스 넘버가 혼재한다. 따라서, TS 패킷이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이용하여, TS 패킷이 기억되어 있는 영역을 갖는 시퀀스 넘버와, 그렇지 않은 시퀀스 넘버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그와 같은 플래그를, 후술하는 처리에서 이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송신기(1)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수신기(2)에서, 도 3 내지 8를 참조하여 설명한 데이터가 수수될 때의 송신기(1)와 수신기(2)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송신기(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송신기(1)는, 안테나(3)(도 1)에 의해 수신된 텔레비전 방송의 데이터에, 소정의 헤더를 부가하고, 수신기(2)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인데, 그 송신되는 데이터 중, 소정의 데이터는, 복수회(여기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2회로 하여 설명함) 송신된다. 1회째의 송신에 관계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안테나(3)에 의해 수신된 텔레비전 방송의 데이터는, MPEG 인코더(21)에 의해, MPEG 방식에 기초하는 인코드가 실시되고, TS 패킷(51)으로서, RTP 헤더 부가부(22)에 출력된다. RTP 헤더 부가부(22)는, 입력된 TS 패킷(51)을 7개 단위로 통합하여, TS 패킷 열(41)을 생성한다. 그리고, RTP 헤더 부가부(22)는, 생성한 TS 패킷 열(41)에 대하여 RTP 헤더(42)를 부가한다.
RTP 헤더(42)가 부가된 RTP 패킷은, UDP 헤더 부가부(23)와 용장화 제어부(27)에 공급된다. 여기서, UDP 헤더 부가부(23)와 용장화 제어부(27)에 공급되는 RTP 패킷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과 도 12는, RTP 패킷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TS 패킷 열(101)에 RTP 헤더(102)가 부가된 RTP 패킷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한 RTP 패킷에 포함되는 TS 패킷 열(101)은, 헤더(103-1 내지 103-7)가 각각 부가된 비디오 데이터(104-1 내지 104-7)로 구성되어 있다. 헤더(103-1 내지 103-7)는, 도 4에 도시한 헤더부(6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데이터를 포함하는데, 그 중, "PID"의 데이터는, 이 경우, "100h"로 설정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헤더부(61)에 포함되는 "PID"의 값은, 헤더부(61)에 계속되는 데이터부(62)의 데이터에 의존하여 결정되는 값이다. 이 경우, 데이터부(62)의 데이터가 비디오 데이터인 경우, PID의 값은, "100h"로 설정된다고 하여 설명하고, 데이터부(62)의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 PID의 값은, "102h"로 설정된다고 하여 설명한다.
이 PID의 값은, 송신기(1)와 수신기(2) 사이에서 식별할 수 있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이 PID의 값은, MPEG 인코더(21)로 설정된다.
도 11에 나타낸 TS 패킷 열(101)에 포함되는 TS 패킷의 데이터부(62)는, 모두 비디오 데이터이기 때문에, 각각의 헤더(103-1 내지 103-7)의 "PID"는, 모두"100h"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12에 나타낸 TS 패킷 열(111)에는, 오디오 데이터(114-3)가 포함되어 있다. 그 오디오 데이터(114-3)에 부가된 헤더(113-3)의 "PID"의 값은, "102h"로 설정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비디오에 관계되는 데이터쪽이, 오디오에 관계되는 데이터보다도 큰 사이즈로 되기 때문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TS 패킷 열(101)에 포함되는 TS 패킷은, 비디오 데이터에 관계되는 패킷만으로 구성되거나,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TS 패킷 열(111)에 포함되는 TS 패킷 중, 1개 또는 복수개의 패킷만이, 오디오 데이터에 관계되는 패킷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는 경우가 많다.
도 11에 도시한 RTP 패킷의 "Sequence Number"는, "1234h"로 할당되어 있다. 만약, 도 12에 나타내는 RTP 패킷이, 도 11에 도시한 RTP 패킷의 시간적으로 직후에 생성되는 RTP 패킷인 경우, RTP 헤더(112)의 "Sequence Number"는, "1235h"로 할당된다. 즉, 연속된 번호가 할당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비디오 데이터만으로 구성되는 RTP 패킷, 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구성되는 RTP 패킷이, RTP 헤더 부가부(22)에 의해 생성되며, UDP 헤더 부가부(23)와 용장화 제어부(27)에 공급된다. UDP 헤더 부가부(23)는, 공급된 RTP 패킷에 UDP 헤더를 부가하고, IP 헤더 부가부(24)에 공급한다. IP 헤더 부가부(24)는, 공급된 UDP 패킷에 IP 헤더를 부가하고, MAC 헤더 부가부(25)에 공급한다.
MAC 헤더 부가부(25)는, 공급된 IP 패킷에 MAC 헤더를 부가하고, 통신부(26)에 공급한다. 통신부(26)에 MAC 패킷이 공급됨으로써, 수신기(2)에 대하여 1회째의 송신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도 1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2회째의 송신에 관계되는 송신기(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낸 흐름도는, 주로, 용장화 제어부(27)에서 행해진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흐름도의 처리는, RTP 헤더 부가부(22)로부터 출력된 RTP 패킷마다 행해진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흐름도의 처리에서는, 오디오 데이터만이 2회째의 송신이 대상으로 된다고 하여 설명한다.
단계 S11에서, 용장화 제어부(27)는, RTP 헤더 부가부(22)로부터 공급된 RTP 패킷 내에,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용장화 제어부(27)에 공급된 RTP 패킷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비디오 데이터(104-1 내지 104-7)만으로 구성되는 TS 패킷 열(101)을 포함하는 RTP 패킷인 경우, 단계 S11에서는, "아니오"라고 판단된다.
용장화 제어부(27)에 공급된 RTP 패킷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오디오 데이터(114-3)가 포함되어 있는 TS 패킷 열(111)을 포함하는 RTP 패킷인 경우, 단계 S11에서는, "예"라고 판단된다.
용장화 제어부(27)는, 공급된 RTP 패킷 내에,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지 여부의 판단을, 각 TS 패킷에 포함되는 헤더의 "PID"를 참조함으로써 행한다. 즉, 이 경우, "PID"가, "100h"로 설정되어 있는 TS 패킷의 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라고 판단되며, "PID"가, "102h"로 설정되어 있는 TS 패킷의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라고 판단된다.
단계 S11에서, 용장화 제어부(27)는, 공급된 RTP 패킷에, 오디오 데이터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그 RTP 패킷을 파기하고, 그 RTP 패킷에 대한 처리(도 13에 나타낸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11에서, 용장화 제어부(27)는, 공급된 RTP 패킷에,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 S12에 처리를 진행시켜, 공급된 RTP 패킷으로부터, RTP 헤더와 오디오 데이터(그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TS 패킷)를 추출하고, 기억부(28)에 기억시킨다.
이 처리에 대하여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A는, 도 12와 동일한 RTP 패킷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A에 도시한 RTP 패킷의 TS 패킷 열(111)에는, 오디오 데이터(114-3)("PID"가 "102h"로 설정되어 있는 헤더(113-3))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 오디오 데이터(114-3)를 포함하는 TS 패킷 열(111)의 RTP 헤더(112)의 시퀀스 넘버는, "1235h"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RTP 패킷에 오디오 데이터(114-3)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기억부(28)에는,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된 RTP 헤더(112), 오디오 데이터(114-3), 및 그 오디오 데이터(114-3)에 부가되어 있는 헤더(113-3)가 공급되어, 기억된다.
또한, 기억부(28)에 기억될 때, 이 경우, 오디오 데이터(114-3)와 헤더(113-3)만을 포함하는 TS 패킷 열(121)이 생성되고, RTP 헤더(112)가 부가된 상태로 기억된다.
또한, 용장화 제어부(27)가, 도 14A에 도시한 RTP 패킷으로부터, 도 14B에 도시한 RTP 패킷을 생성할 때, 불필요한 데이터(이 경우, 비디오 데이터와 그 비디오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헤더)를 제거함으로써 생성하도록 하여도 되며, 필요한 데이터(이 경우, 오디오 데이터와 그 오디오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헤더)를 추출함으로써 생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기억부(28)에 오디오 데이터만이 포함되는 RTP 패킷이 기억되면, 단계 S13에서, 용장화 제어부(27)는, 소정의 수의 RTP 패킷이 출력되었는지(공급되었는지)의 판단을 행한다. 소정의 수의 RTP 패킷이 공급되었는지의 여부의 판단은, 용장화 제어부(27)가, 공급된 RTP 패킷의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행해지도록 하여도 된다.
또는, RTP 패킷의 RTP 헤더(42)에 포함되는 시퀀스 넘버가 참조되어 행해지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기억부(28)에 기억시킨 RTP 패킷의 시퀀스 넘버의 값에, 소정의 수를 가산하여, 그 가산한 값의 시퀀스 넘버를 포함하는 RTP 패킷이 공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단계 S13에서의 처리가 행해지도록 하여도 된다.
단계 S13에서, 용장화 제어부(27)가, 소정의 수의 RTP 패킷이 공급되었다고 판단하면, 단계 S14에 처리가 진행된다. 또한, 이 단계 S13에서의 판단이 행해져 있는 동안에 용장화 제어부(27)에 공급된 RTP 패킷에 대해서도, 도 13에 나타낸 흐름도의 처리는 실행되어 있다.
단계 S14에서, 단계 S12의 처리로 기억부(28)에 기억된 오디오 데이터만을 포함하는 TS 패킷 열을 포함하는 RTP 패킷이 판독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TS 패킷 열(121)과 그 TS 패킷 열(121)에 부가되어 있는 RTP 헤더(112)가 판독된다.
판독된 RTP 패킷은, UDP 헤더 부가부(23)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여, UDP 헤더 부가부(23)에 RTP 패킷이 공급된 후의 처리는, 전술한 1회째의 송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즉, 단계 S15의 처리로서, UDP 헤더 부가부(23), IP 헤더 부가부(24), 및 MAC 헤더 부가부(25)의 각 부에서, 기억부(28)로부터의 RTP 패킷에 대하여 헤더가 부가된다. 그리고, 단계 S16의 처리로서, 통신부(26)에 의해, MAC 패킷이 수신기(2)에 대하여 송신된다.
이와 같이 하여, 2회째의 송신이 행해진다. 여기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RTP 패킷을 포함하는 데이터(MAC 패킷)가 송신된 후,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RTP 패킷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송신되기 때문에, 오디오 데이터(114-3)는, 2도, 수신기(2)에 대하여 송신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수신기(2)에 대하여,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가, 2회 송신된다. 여기서는, 2회 송신된다고 하여 설명하는데, 2회 이상, 송신되도록 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S13 내지 S16의 처리가, 기억부(28)에 기억되어 있는 1개의 RTP 패킷에 대하여, 반복하여 행해짐으로써, 복수회의 송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회,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가 송신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송신기(1)와 수신기(2) 사이의 통신은, 무선에 의해 행해지는 것인데, 무선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유선으로 행해지는 경우에 비해, 그 통신의 안정성은, 뒤떨어진다는 결점이 있다. 예를 들면, 송신기(1)와 수신기(2) 사이에, 차폐물이 존재하면, 통신 상태가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그 때문에, 통신하고 있는 데이터가, 수신기(2)측에서 수신할 수 없는 등의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비디오 데이터는, 다소의 데이터의 누락이 있어도, 유저측에 제공되는 영상이 중단되는 등과 같은 문제점이 그다지 발생하지 않도록, 예를 들면, 디코드 시에 처리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오디오 데이터는, 누락한 데이터가 있으면, 가령, 비디오 데이터에 실시되는 처리가 실시되도록 하였다고 하여도, 유저측에 제공되는 음성이 중단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러한 이유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보다도 오디오 데이터쪽이, 데이터가 누락되면 영향이 발생하기 더 쉽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오디오 데이터만을 복수회 송신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로서, 오디오 데이터만을 복수회 송신하도록 한 것은, 데이터량에 관계되는 이유도 있다.
즉, 비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그 데이터량은 크다. 그 때문에, 만약, 비디오 데이터까지 복수회 송신하도록 하면, 즉, 모든 데이터를 복수회 송신하도록 하면, 송신기(1)의 송신 능력 또는 수신기(2)의 수신 능력, 또는, 그 양방의 능력을 초과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송신기(1)의 송신 능력과, 수신기(2)의 수신 능력이, 각각, 모든 데이터를 복수회 송신하는 만큼의 능력이면, 모든 데이터를 복수회 송신(수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모든 데이터를 복수회 송신하도록 한 경우, 도 13에 나타낸 흐름도의 처리 중, 단계 S11에서의 판단을 행하지 않고, 모든 RTP 패킷을, 일단, 기억부(28)에 기억시키도록 하여,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행되도록 하면, 모든 데이터의 복수회의 송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모든 데이터를 복수회 송신하도록 한 경우, RTP 패킷은 아니며, MAC 패킷이 기억부(28)에 기억되도록 하여도 된다. 즉, 기억부(28)는, MAC 헤더 부가부(25)로부터 출력되는 MAC 패킷을 기억하고, 그 기억되어 있는 MAC 패킷이, 통신부(26)에 출력되도록 송신기(1)가 구성되도록 하면 된다.
여기서는, 오디오 데이터만이 복수회(2회) 송신된다고 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이와 같이, 송신기(1)로부터는,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가, 적어도 2회 송신된다. 1회째의 송신이 행해진 후(통상의 타이밍에서 송신이 행해진 후), 2회째의 송신이 행해지는 타이밍(용장화시키기 위한 송신이 행해지는 타이밍)은, 단계 13(도 13)의 처리로 결정(제어)된다.
도 15는, 1회째의 송신이 행해진 직후에, 2회째의 송신이 행해진 경우의 RTP 패킷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도 11에 도시한 RTP 패킷이 송신된 후(용장화 제어부(27)에 의한 처리가 행해진 후)에, 도 12에 도시한 RTP 패킷이 송신된다고 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RTP 패킷의 RTP 헤더(102)의 시퀀스 넘버는, "1234h"이다. 이 RTP 헤더(102)가 부가되어 있는 것은 TS 패킷 열(101)이다. 다음으로 송신되는(처리되는) 것은, 도 12에 도시한 RTP 패킷이기 때문에, 그 RTP 헤더(112)의 시퀀스 넘버는, "1235h"이며, 그 RTP 헤더(112)가 부가되어 있는 것은, TS 패킷 열(111)이다.
도 12에 도시한 RTP 패킷에는,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용장화 제어부(27)의 제어에 의해, 기억부(28)에는,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RTP 패킷이 기억된다. 기억된 RTP 패킷, 즉, 이 경우, RTP 헤더(112)가 부가된 TS 패킷 열(121)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TS 패킷 열(111) 후에 송신되도록 제어된다.
도 15에 나타낸 예에서, RTP 헤더에만 주목하면, 동일한 시퀀스 넘버 "1235h"를 갖는 RTP 헤더(112)가, 연속하여 송신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도 13에 나타낸 흐름도의 처리 중, 단계 S13의 처리가 행해질 필요는 없다. 이 경우, 기억부(28)에 기억된 RTP 패킷이, 동일한 시퀀스 넘버를 갖는 RTP 패킷이, UDP 헤더 부가부(23)로부터 출력된 직후에, UDP 헤더 부가부(23)에 공급되도록 제어되면 된다.
그러나, 어떠한 원인에 의해, 수신기(2)측에서 송신되어 온 데이터가 수신할 수 없는 상황, 즉, 패킷이 누락되게 되는 상황은, 곧 개선되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패킷의 누락이 발생하는 상황에서는, 1개의 패킷만이 누락되는 것은 아니며, 계속하여 복수의 패킷이 누락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일례로서, 경험적인 값을 예를 들면, 패킷의 누락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10 내지 15개의 RTP 패킷이 연속하여 누락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것을 고려하면, 패킷의 누락이 발생하였을 때에 대응하기 위해, 적어도 오디오 데이터만은, 복수회 송신하도록 하여도, 그 송신하는 타이밍을 고려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는 송신 처리로 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15를 재차 참조할 때, RTP 헤더(112)가 부가되어 있는 RTP 패킷이 누락한경우, 그 직후에 동일한 RTP 헤더(112)가 부가되어 있는 RTP 패킷을 송신하였다고 하여도, 그 2번째의 송신의 RTP 패킷 자체도 누락되게 될 가능성이 높게 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누락에 대응하기 위해 송신한 패킷 자체도 누락될 가능성이 높아서, 의미가 없는 송신을 반복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보다 더 환언하면, 패킷의 누락이 발생하였을 때에 대응하기 위해, 적어도 오디오 데이터만은, 2회 송신하도록 한 경우, 1회째의 송신이 행해진 후, 예를 들면, 15개의 RTP 패킷이 송신된 후에, 2회째의 송신이 행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1회째의 송신과 2회째의 송신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설정함으로써, 1회째의 송신에 의해 송신된 RTP 패킷이 누락되어도, 2회째의 송신에 의해 송신된 RTP 패킷이 수신될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것을 고려하여, 단계 S13(도 13)의 처리가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단계 S13에서의 처리는, 소정의 수의 RTP 패킷으로서, 예를 들면, 15개의 RTP 패킷으로 설정되며, 15개의 RTP 패킷이 공급되었는지의 여부가 용장화 제어부(27)에 의해 판단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소정의 수의 RTP 패킷이 송신된 후에, 2회째의 송신이 행해지도록 하였을 때의 RTP 패킷의 배열을 도 16에 나타낸다. 도 16에 나타낸 예로, RTP 헤더에 주목하면, RTP 헤더(102), RTP 헤더(112), 및 RTP 헤더(132)의, 각각의 시퀀스 넘버는, 그 순서로, 연속한 값으로 되어 있다. 즉, 처리된 순으로, 송신되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소정의 수의 RTP 패킷이 송신된 후에, 재차, 시퀀스 넘버가 "1235h"인 RTP 헤더(112)가 송신된다. 만약, RTP 헤더(102)가 송신된 직후의 RTP 헤더(112)(TS 패킷 열(111))가, 어떠한 원인에 의해, 누락되었다고 하여도, 소정의 수의 RTP 패킷이 송신된 후 송신되는, 동일한 RTP 헤더(112)(TS 패킷 열(121))쪽은, 통신 상태가 개선되어, 수신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1회째의 송신 또는 2회째의 송신에 의해 송신된 패킷 중, 적어도 한쪽을 수신할 수 있으면, 이 경우, 오디오 데이터의 누락은, 실질적이지 않게 되어, 유저에게 제공되는 음성이 중단되는 등과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하여, 소정의 데이터가, 복수회 송신되어 오는 수신기(2)측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수신기(2)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31에서, 통신부(81)(도 9)에 의해 수신된 송신기(1)로부터 송신된 데이터(MAC 패킷)는, MAC 헤더 추출부(82)에 공급된다.
MAC 헤더 추출부(82)는, 공급된 MAC 패킷으로부터 MAC 헤더(45)를 추출하고, IP 패킷을 IP 헤더 추출부(83)에 공급한다. IP 헤더 추출부(83)는, 공급된 IP 패킷으로부터 IP 헤더(44)를 추출하고, UDP 패킷을 UDP 헤더 추출부(84)에 공급한다. UDP 헤더 추출부(84)는, 공급된 UDP 패킷으로부터 UDP 헤더(43)를 추출하고, RTP 패킷을 순서 재구성부(85)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부에서 각 헤더가 추출된다. 각 부는, 추출한 헤더를 이용한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 처리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기 때문에, 그 처리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순서 재구성부(85)는, 단계 S32에서, 공급된 RTP 패킷 내에 포함되는 RTP 헤더(42)를 참조한다. 이 때 참조되는 것은, RTP 헤더(42) 내의 시퀀스 넘버이다. 순서 재구성부(85)는, 단계 S33에서, 참조한 시퀀스 넘버에 관련되며, TS 패킷이 이미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기억부(87)를 참조하여 판단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기억부(87)에는, 시퀀스 넘버와, 그 시퀀스 넘버를 갖는 RTP 헤더(42)가 부가되어 있었던 TS 패킷 열(41)(도 3)이, 관련되어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순서 재구성부(85)는, 단계 S32 및 단계 S33의 처리로서, 공급된 RTP 패킷의 RTP 헤더(42)에 포함되는 시퀀스 넘버를 참조하여, 그 시퀀스 넘버에 관련되어 TS 패킷 열(41)이, 기억부(87)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33에서, 공급된 RTP 헤더(42)에 포함되는 시퀀스 넘버에 관련된 TS 패킷 열(41)은, 기억부(87)에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단계 S34에 처리가 진행된다. 단계 S34에서, 순서 재구성부(85)는, 공급된 RTP 패킷을 RTP 헤더 추출부(86)에 공급한다.
RTP 헤더 추출부(86)는, 공급된 RTP 패킷으로부터 RTP 헤더(42)를 추출하고, TS 패킷 열(41)을 기억부(87)에 공급하여 기억시킨다. 이 때, RTP 헤더(42)에 포함되는 시퀀스 넘버에 관련되어, TS 패킷 열(41)은 기억부(87)에 기억된다.
이 기억까지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할 때, 순서 재구성부(85)가, 공급된 RTP 헤더(42)의 시퀀스 넘버에 관련되어, TS 패킷 열(41)이, 기억부(87)에 기억되어 있지는 않다고 판단하는 상황으로서는, 2개의 상황을 생각할 수 있다.
첫번째의 상황으로서는, 새롭게 공급된 RTP 패킷(TS 패킷 열(41))이기 때문에, 아직, 그 시점에서는, 기억부(87)에는 기억되어 있지 않다는 상황이다. 두번째의 상황으로서는, 이미, 본래라면 수신되어, 처리되고, 기억되어 있는 TS 패킷 열(41)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수신되지 않았기 때문에, 즉, 그 TS 패킷 열(41)이 누락되었기 때문에, 기억부(87)에 기억되어 있지 않다는 상황이다.
두번째의 상황에서는, 이미, 시퀀스 넘버 자체는, 기억부(87)에 기억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10을 재차 참조할 때, 시퀀스 넘버 "3"에 관련시켜 기억되는 TS 패킷 열(41)(TS 패킷(51-1-3 내지 51-7-3))은, 누락되었기 때문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와 같이, 누락되었다고 판단되는 패킷을 기억시키기 위한 영역은, 시퀀스 넘버와 관련되어 관리되어 있다(확보되어 있다).
이러한 두번째의 상황일 때에 단계 S34에 처리가 진행되었을 때에는, 순서 재구성부(85)(혹은, RTP 헤더 추출부(86))는, 공급된 RTP 패킷에 포함되는 TS 패킷 열(41)이, 그 공급된 RTP 패킷의 RTP 헤더(42)에 포함되는 시퀀스 넘버와 관련되어 기억부(87)에 이미 확보되어 있는 영역에 기억되도록 제어한다.
즉 이 경우, 후에 수신된 TS 패킷 열(41)이, 그 시점에서 처리되어 있는 TS 패킷 열(41)보다도 먼저, MPEG 디코더(88)에 공급되는 영역에 기억되게 된다.
단, 후에 수신되는(2번째의 송신에 의해 송신되어 왔음) TS 패킷 열(41)에는, 여기서는, 오디오 데이터밖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TS 패킷(51)만이 기억된다. 비디오 데이터도 복수회 송신되도록 하면, 비디오 데이터도 기억된다(따라서, TS 패킷 열(41)이 기억됨).
이와 같이 하여, 누락된 패킷이어도, 후의 시점에서 재차 송신되어 오는 패킷이 수신, 처리되면, 기억부(87)에 기억되게 된다. 따라서, 패킷이 누락된 것과 같은 상황에서도, 그 누락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7에 나타낸 흐름도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단계 S33에서, 순서 재구성부(85)가, 공급된 RTP 헤더(42)에 포함되는 시퀀스 넘버에 대응하는 TS 패킷 열(41)은, 이미, 기억부(87)에 기억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 S35에 처리가 진행된다.
이러한 상황은, 재송되어 온 패킷을 수신하였을 때이며, 또한, 1회째의 송신에 의해 송신되어 온 패킷도 정상적으로 수신되어, 처리되고, 기억된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재차, 기억부(87)에 기억시키는 처리를 실행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단계 S35의 처리로서, 순서 재구성부(85)는, 공급된 RTP 패킷을 파기한다.
이러한 처리가 수신기(2)측에서 행해짐으로써, 패킷의 누락이 발생한 상황에서도, 재차 송신되어 오는 패킷을 수신하여, 처리하면, 그 누락에 의해 발생하는 영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패킷의 누락에 대한 처리에 많은 능력을 들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복수회(2회) 송신된다고 하여 설명하였는데, 복수회 송신되는 경우, 그 횟수에 제한을 둘 필요가 있다. 또한, 2회만 송신되는 경우에도, 1회째의 송신과, 2회째의 송신 사이를, 시간적으로 어떤 정도로 둘지가 문제로 된다.
이러한 것을 고려할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억부(87)에 기억되어 있는 TS 패킷은, 순차적으로, MPEG 디코더(88)에 공급된다.
도 10을 재차 참조할 때, 시퀀스 넘버 "1"에 관련되어 있는 TS 패킷(51-1-1 내지 51-7-1)이, MPEG 디코더(88)에 공급된 후에, 시퀀스 넘버 "2"에 관련되어 있는 TS 패킷(51-1-2 내지 51-7-2)이 MPEG 디코더(88)에 공급된다.
그 후, 시퀀스 넘버 "3"에 관련되어 있는 TS 패킷이, MPEG 디코더(88)에 공급되는데, 공급되는 시점에서, 기억되어 있지 않으면, 공급할 수 없으며, 그 시퀀스 넘버 "3"에 관련되어 있는 TS 패킷이 공급되지 않고, 다음 시퀀스 넘버 "4"에 관련되어 있는 TS 패킷(51-1-4 내지 51-7-4)이 공급된다.
이러한 것을 환언하면, 시퀀스 넘버 "4"에 관련되어 있는 TS 패킷이 MPEG 디코더(88)에 공급되는 것보다 전의 시점까지, 시퀀스 넘버 "3"에 관련되는 TS 패킷이, 기억부(87)에 기억되지 않으면, 그 후의 시점에서, 시퀀스 넘버 "3"에 관련되는 TS 패킷을 취득할 필요는 없으며, 그것을 위한 처리도 행해질 필요는 없다.
이러한 것을 고려하면, 송신기(1)로부터 복수회 동일한 패킷이 송신되도록 한 경우, 그 복수회 송신되는 횟수는, 수신기(2)의 기억부(87)가 기억할 수 있는 용량에 의존하여, 결정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기억부(87)의 기억 용량이, 1초 동안 만큼의 패킷 데이터를 기억 가능한 한의 용량인 경우, 송신기(1)가, 1초 이상 경과한 후에, 동일한 패킷을 송신하여도 의미가 없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100㎲마다, 동일한 패킷이 송신되는 설정으로 되어 있는 경우(단계 S13(도 13)의 처리에서, 100㎲ 동안에 처리되는 RTP 패킷의 갯수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복수회의 송신의 횟수로서 9회로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즉, 10회째의 송신은, 가령 송신이 실행되어, 수신기(2)측에서 수신되어도, 의미가 없는 처리가 행해지게 되기 때문에, 그 10회째의 송신이 행해지지 않도록 한 제한이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2회만 송신이 행해진다고 설정되어 있는 경우, 1초간의 기간 동안에 2회의 송신이 행해(완료)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복수회 송신할 때의 횟수나, 송신하는 간격은, 전술한 것 외에, 수신기(2)측에서, 패킷을 수신하고 나서 기억하기까지의 시간이나, 그 패킷의 송수신에 걸리는 시간 등도 고려하여 설정되는 쪽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신기(2)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더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단계 S33(도 17)의 처리는, 순서 재구성부(85)가, 기억부(87)를 참조함으로써 행한다고 하여 설명하였는데, 기억부(87)가 참조되지 않고 행해지도록 하여도 된다. 그와 같이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순서 재구성부(85)는, 공급된 RTP 패킷의 RTP 헤더(42) 중, 시퀀스 넘버를 참조한다. 따라서, 그 참조한 시퀀스 넘버를 기억하는 기능을 순서 재구성부(85) 자체가 구비하도록 한다. 그와 같게 하면, 순서 재구성부(85)는, 공급된 RTP 헤더(42)에 포함되는 시퀀스 넘버는, 이미 자기가 기억하고 있는 시퀀스 넘버인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단계 S33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라도, 그 밖의 처리는, 기본적으로, 이미 설명한 경우 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순서 재구성부(85)가, 공급된 RTP 헤더(42)의 시퀀스 넘버를 참조하는 것을 이용하여, 이하와 같은 처리에서, 단계 S33의 처리가 행해지도록 하여도 된다. 즉, 먼저, 순서 재구성부(85)는, 공급된 RTP 헤더(42)에 포함되는 시퀀스 넘버가, 1개 전의 시점에서 공급된 RTP 헤더(42)에 포함되는 시퀀스 넘버에 연속된 번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시퀀스 넘버는, 송신기(1)측에서, 처리한 순으로, 올림차순(또는 내림차순, 여기서는, 올림차순으로 하여 설명함)의 번호가 할당되고, 그 순으로 송신된다. 따라서, 수신기(2)측에서는, 송신된 순으로 수신되고 처리된다. 그러나, 패킷의 누락이 발생하면, 시퀀스 넘버의 번호가 끊어지게 된다. 즉, 연속성이 중단되게 된다.
따라서, 순서 재구성부(85)가, 시퀀스 넘버의 연속성을 판단하도록 하여, 연속성이 중단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그 중단된 부분에 존재할 시퀀스 넘버의 번호를 산출하여, 기억한다. 또한, 순서 재구성부(85)는, 연속성이 중단되었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그 시점에서 자기가 기억하고 있는 번호 중에, 공급되어 있는 RTP 헤더(42)의 시퀀스 넘버와 일치하는 번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을 거쳐, 순서 재구성부(85)가, 공급된 RTP 헤더(42)의 시퀀스 넘버와 일치하는 번호가, 자기가 기억하고 있는 번호 중에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즉, 누락된 패킷이지만, 재송되어 온 것에 의해 수신할 수 있었던 패킷이라고 판단한 경우, 그 공급된 RTP 패킷에 포함되는 TS 패킷 열(41)이, 기억부(87)의 소정의 영역에 기억되도록 제어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회 송신되어 온 패킷에 대한 처리가 행해지도록 하여도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오디오 데이터가 복수회 송신된다고 하여 설명하였는데, 비디오 데이터가 복수회 송신되도록 하여도 되며, 비디오 데이터도 복수회 송신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오디오 데이터나 비디오 데이터와는 다른, 그 외 데이터(예를 들면,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 등)가, 복수회 송신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문자 방송용 데이터나 EPG(Electronic Program Guide)의 데이터 등의 데이터가, 복수회 송신되도록 하여도 된다. 오디오 데이터 이외의 소정의 데이터를 복수회 송신하도록 한 경우, 도 13의 단계 S11의 처리로서, 그 소정의 데이터가 포함되는지 여부가 판단되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 S11 이하의 처리가 행해지도록 하면 된다.
이 복수회 송신되는 데이터로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오디오 데이터로 하였는데, 오디오 데이터를 복수회 송신하도록 한 것은, 오디오 데이터쪽이 비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그 데이터량은 작고, 복수회 송신하였다고 하여도, 그 처리에 따른 처리에 의해, 다른 처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적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그와 같은 생각에 기초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는, 비교적 데이터량이 작은 데이터를 복수회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오디오 데이터에 한하지 않고, 데이터량이 작은 데이터를 복수회 송신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데이터량이 작은 데이터를 판단하는 것은, 미리 데이터량이 비교적 작은 것으로 되는 종류의 데이터를 설정해두고(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오디오 데이터 등의 종류), 그 종류의 데이터가, 취득된 데이터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는, 소정의 데이터량을 설정해두고(임계값을 설정해두고), 그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데이터량 이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리고, 판단된 결과, 기억되는 데이터가, 복수회 송신되도록 하여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데이터를 시간적으로 시프트시킨 타이밍에서, 복수회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의 누락이 발생하였을 때에도, 유저에게 제공되는 영상이나 음성이 중단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송신기(1)와 수신기(2) 간에서 행해지는 통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일련의 처리는, 각각의 기능을 갖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 하드웨어에 조립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기록 매체의 설명을 하기 전에, 간편하게 퍼스널 컴퓨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퍼스널 컴퓨터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201)는, ROM(Read Only Memory)(20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203)에는, CPU(201)이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데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이 적절하게 기억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05)는, 키보드나 마우스로 구성되는 입력부(206)가 접속되며, 입력부(206)에 입력된 신호를 CPU(201)에 출력한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205)에는,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는 출력부(207)도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205)에는,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는 기억부(208), 및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장치와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통신부(209)도 접속되어 있다. 드라이브(210)는, 자기 디스크(221), 광 디스크(222), 광 자기 디스크(223), 반도체 메모리(224)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데이터를 기입할 때에 이용된다.
기록 매체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와는 별도로, 유저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221)(플렉시블 디스크를 포함함), 광 디스크(222)(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포함함), 광 자기 디스크(223)(MD(Mini-Disc)(등록 상표)를 포함함), 혹은 반도체 메모리(224) 등으로 이루어지는 패키지 미디어에 의해 구성될 뿐만 아니라, 컴퓨터에 미리 조립된 상태에서 유저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는 ROM(202)이나 기억부(208)가 포함되는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매체에 의해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는,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 혹은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의 누락이 발생하여도, 그 데이터를 보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유저에게 제공되는 영상이나 음성에 끊어짐이나 혼란이 발생하는 것과 같은 경우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4)

  1.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와,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로 구성되는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수신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로터 상기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송신부에, 상기 판독된 데이터의 송신을 지시하는 지시부
    를 구비하며,
    상기 수신 장치는,
    상기 송신부에 의해 송신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때, 그 데이터가, 이미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가, 이미 수신된 데이터라고 판단된 경우, 그 데이터를 파기하고, 이미 수신된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그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시스템.
  2.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로터 상기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송신부에, 상기 판독된 데이터의 송신을 지시하는 지시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부는, 상기 송신부에 의해 상기 데이터가 송신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기억부로터 상기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송신부에, 상기 판독된 데이터의 송신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데이터 내에, 소정의 데이터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억부는,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데이터 내에, 상기 소정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소정의 데이터를 기억하며,
    상기 지시부는, 상기 기억부로부터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송신부에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데이터 내에,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억부는,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데이터 내에,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오디오 데이터와, 그 오디오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헤더를 기억하고,
    상기 지시부는, 상기 기억부로부터 상기 헤더와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송신부에 송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RTP 헤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7. 데이터의 취득을 제어하는 취득 제어 단계와,
    상기 취득 제어 단계의 처리에서 취득이 제어된 상기 데이터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 단계와,
    상기 취득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취득이 제어된 상기 데이터의 기억을 제어하는 기억 제어 단계와,
    상기 기억 제어 단계에 의해 기억이 제어된 상기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송신 제어 단계의 처리에서, 상기 판독된 데이터가 송신되도록 지시하는 지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8. 데이터의 취득을 제어하는 취득 제어 단계와,
    상기 취득 제어 단계의 처리에서 취득이 제어된 상기 데이터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 단계와,
    상기 취득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취득이 제어된 상기 데이터의 기억을 제어하는 기억 제어 단계와,
    상기 기억 제어 단계에 의해 기억이 제어된 상기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송신 제어 단계의 처리에서, 상기 판독된 데이터가 송신되도록 지시하는 지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9. 데이터의 취득을 제어하는 취득 제어 단계와,
    상기 취득 제어 단계의 처리에서 취득이 제어된 상기 데이터의 송신을 제어하는 송신 제어 단계와,
    상기 취득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취득이 제어된 상기 데이터의 기억을 제어하는 기억 제어 단계와,
    상기 기억 제어 단계에 의해 기억이 제어된 상기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송신 제어 단계의 처리에서, 상기 판독된 데이터가 송신되도록 지시하는 지시 단계
    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0.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때, 그 데이터가, 이미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가, 이미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라고 판단된 경우, 그 데이터를 파기하고, 이미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그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수단은,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에 포함되는 RTP 헤더의 시퀀스 넘버(Sequence Number)를 참조하여, 상기 데이터가, 이미 수신된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장치.
  12. 데이터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단계와,
    상기 수신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때, 그 데이터가, 이미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수신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가, 이미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라고 판단된 경우, 그 데이터를 파기하고, 이미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그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법.
  13. 데이터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단계와,
    상기 수신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때, 그 데이터가, 이미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수신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가, 이미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라고 판단된 경우, 그 데이터를 파기하고, 이미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그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14. 데이터의 수신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 단계와,
    상기 수신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때, 그 데이터가, 이미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의 처리에 의해, 상기 수신 제어 단계의 처리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가, 이미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라고 판단된 경우, 그 데이터를 파기하고, 이미 수신되어 있는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그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제어 단계
    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57017484A 2003-03-18 2004-03-12 송수신 시스템, 송신 장치 및 방법, 수신 장치 및 방법,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KR200501206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73075 2003-03-18
JP2003073075A JP3994388B2 (ja) 2003-03-18 2003-03-18 送受信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652A true KR20050120652A (ko) 2005-12-22

Family

ID=33027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484A KR20050120652A (ko) 2003-03-18 2004-03-12 송수신 시스템, 송신 장치 및 방법, 수신 장치 및 방법,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36466B2 (ko)
EP (1) EP1605659A1 (ko)
JP (1) JP3994388B2 (ko)
KR (1) KR20050120652A (ko)
CN (1) CN1757214A (ko)
WO (1) WO20040845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5515B2 (en) 2005-06-30 2014-04-2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esolving conflicts in multiple simultaneous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system
JP2007027812A (ja) * 2005-07-12 2007-0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ストリーム処理装置、集積回路装置、及び方法
JP2007027898A (ja) * 2005-07-12 2007-0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ストリーム受信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749840B1 (ko) 2005-08-26 2007-08-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통신 데이터를 끊어짐 없이 연속하여 재생하는 방법및 그 장치
KR100767502B1 (ko) 2006-01-23 2007-10-1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약전계시 비디오 끊김 현상을 방지하는 dmb 재생 시스템
US20090031370A1 (en) * 2007-07-23 2009-01-29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broadband content availability through a satellite
JP5176567B2 (ja) * 2008-01-30 2013-04-0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誤り訂正符号生成装置、誤り訂正符号生成プログラム、データ提供装置及びデータ提供システム
US8582491B2 (en) * 2008-05-02 2013-11-12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communications using active and passive end-to-end quality-of-service reservations based on node mobility profiles
US7920569B1 (en) * 2008-05-05 2011-04-05 Juniper Networks, Inc. Multi-link transport protocol translation
CN102651230A (zh) * 2011-02-23 2012-08-29 瑞轩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音讯与视讯同步播放的方法及其播放系统
IL217305A0 (en) * 2012-01-01 2012-02-29 Video Flow Ltd Transport over udp system and method
US11329795B2 (en) 2018-04-04 2022-05-10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size of generated data, and program
JP6938769B2 (ja) * 2018-04-04 2021-09-22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通信装置、生成データサイズ制御方法、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784685B (zh) * 2018-05-24 2021-04-02 北京维康恒科技有限公司 心电波形数据处理方法及装置
US11163478B2 (en) * 2018-09-18 2021-1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ducing the amount of data transferred to remote storage locations for modified object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525895T2 (de) * 1994-10-11 2002-09-05 Nippon Telegraph & Telephone System für Sendewiederholung in der Datenkommunikation
JP2861895B2 (ja) 1994-10-11 1999-02-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データ通信再送方法および装置
JP2861953B2 (ja) 1996-07-03 1999-02-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データ通信再送方法及び装置
JPH11225161A (ja) 1998-02-05 1999-08-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データ処理装置
JPH11234249A (ja) 1998-02-18 1999-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通信装置
JP2001268121A (ja) 2000-03-21 2001-09-28 Nec Corp 音声パケット送信方式及びその方法
US7406106B2 (en) * 2000-04-07 2008-07-29 Broadcom Corporation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stations in a frame-based communications network
JP3752137B2 (ja) 2000-08-31 2006-03-08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送信装置及びデータ送信方法
JP2002247134A (ja) 2001-02-20 2002-08-30 Nippon Hoso Kyokai <Nhk> 通信制御方式、受信装置、および、送信装置
JP2002262286A (ja) 2001-03-02 2002-09-13 Canon Inc データ伝送方法、データ伝送装置、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79151A1 (en) 2006-08-10
WO2004084516A1 (ja) 2004-09-30
US7536466B2 (en) 2009-05-19
CN1757214A (zh) 2006-04-05
JP2004282538A (ja) 2004-10-07
EP1605659A1 (en) 2005-12-14
JP3994388B2 (ja) 200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514B1 (ko) 송수신 시스템 및 수신 장치
US11895357B2 (en) Broadcasting signal transmission device, broadcasting signal reception device, broadcasting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ing signal reception method
JP5141197B2 (ja) 符号化装置
US20170272691A1 (en)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device, broadcast signal reception device,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ption method
KR20050120652A (ko) 송수신 시스템, 송신 장치 및 방법, 수신 장치 및 방법,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US20050018615A1 (en) Media transmitting method, media receiving method, media transmitter and media receiver
US20170034589A1 (en) Adaptive profile switching system and method for media streaming over ip networks
JPWO2004008760A1 (ja) コンテンツ受信器およびコンテンツ送信器
US20110085551A1 (en) Staggercas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ype of service (tos) information
US7839925B2 (en) Apparatus for receiving packet stream
JP7397916B2 (ja) 受信方法および端末
US20100027618A1 (en) Media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media transmitting method, media receiving method, media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media transmitting apparatus, media receiving apparatus, gateway apparatus, and media server
JPWO2005067191A1 (ja) ザッピングストリームtsパケットのための追加誤り訂正方法
FI124809B (fi) Digitaalisen yleisradiolähetyksen lähetin, digitaalisen yleisradiolähetyksen vastaanotin ja niiden menetelmät
JP4192766B2 (ja) 受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6526361A (ja) 放送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送受信方法
JP5159973B1 (ja) 伝送パケットの配信方法
JP4604395B2 (ja) データ処理装置
JP2005197988A (ja) 通信システム、受信装置および方法、送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295537A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データ構造
JP2004254084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並びに、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2009049530A (ja)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中継装置及びデータ受信装置
EP207604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digital stream
JP2009071431A (ja) 受信装置及び送信装置
JP2008136228A (ja) コンテンツ送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