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9239A - 택시 영업정보 제공을 위한 영업정보 제공 서버 및택시통신단말장치 - Google Patents

택시 영업정보 제공을 위한 영업정보 제공 서버 및택시통신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9239A
KR20050119239A KR1020040044289A KR20040044289A KR20050119239A KR 20050119239 A KR20050119239 A KR 20050119239A KR 1020040044289 A KR1020040044289 A KR 1020040044289A KR 20040044289 A KR20040044289 A KR 20040044289A KR 20050119239 A KR20050119239 A KR 20050119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xi
information
base
location
st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완
Original Assignee
임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문수 filed Critical 임문수
Priority to KR1020040044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9239A/ko
Publication of KR20050119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23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2/00Measuring distance traversed on the ground by vehicles, persons, animals or other moving solid bodies, e.g. using odometers, using ped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택시 기사에게 택시의 주요 영업 지점 즉, 거점이 주변 어디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거점 주변에 영업활동을 벌이고 있는 택시들의 숫자를 알려줌으로써, 택시 기사에게 택시 영업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영업정보 제공 서버 및 택시통신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택시 영업정보 제공을 위한 영업정보 제공 서버 및 택시통신단말장치{BUSINESS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AND TAXI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FOR PROVIDING TAXI BUSINESS INFORMATION}
본 발명은 택시 기사에게 택시 영업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영업정보 제공 서버 및 택시통신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택시 기사에게 그 택시 주변에 위치한 택시의 주요 영업 지점(이하 "거점"이라 한다.)에서 승객을 승차시키기 위하여 영업활동을 하고 있는 다른 택시들의 숫자를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인 택시의 영업 방식은 택시가 도로변에서 택시를 기다리는 승객을 찾아다니면서 영업활동을 벌이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영업 활동을 할 경우 어떠한 특정 지역에는 많은 택시들이 왕래하는 반면 다른 특정 지역에는 택시가 전혀 지나다니지 않게 되어, 많은 택시들이 왕래하는 지역의 택시 기사들로서는 원치않는 불필요한 경쟁자들로 인하여 승객을 찾기가 어려워지게 되며, 또한 매우 적은 택시들이 왕래하는 지역의 승객들로서는 승차할 택시를 구한다는 것이 무척 어려워지게 된다.
즉, 이러한 종래의 영업 방법에 의할 경우에는 택시 기사는 영업 성과에 비하여 과도한 영업 활동이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과도한 영업 활동은 도로를 주행하는 택시의 숫자를 증가시켜 도로 정체율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
또한 고객들로서는 승차수단으로 택시를 선택하려고 할 때 만일 자신에게 운이 없다면 자신이 위치한 지역을 왕래하는 택시가 전혀 없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염두에 두게 되어, 전반적으로 택시 이용을 기피하고 주로 자가용을 이용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영업방식 외에 고급 승차 수단으로서 콜택시가 등장하였으며, 콜택시는 고객이 콜센터에 택시를 요청하면, 콜센터는 고객과 가까운 위치를 운행하는 택시를 고객이 위치한 장소로 안내하여 고객과 택시를 연결시켜 주는 방식이다.
이러한 콜택시 방식을 개선하기 위한 방식으로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특2003-0077345호 "차량호출용 배차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콜택시 방식은, 인적이 드문 지역에서는 고객들이 미리 택시의 왕래가 적다는 점을 고려하여 미리 콜택시를 호출할 수 있지만, 택시 승차장 주변 혹은 기차역, 버스터미널 주변 등의 경우에는 이용될 가능성이 적다.
즉 고객들은 기차역 앞에서는 어느 정도 항상 택시들이 대기하고 있을 것이라 예상하고 있기 때문에 굳이 콜택시를 호출하려고 하지 않고 기차역 앞의 택시승차장에서 대기중인 택시를 타려고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택시 승객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도 택시가 항상 적정 수준의 숫자로서 대기하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장시간 택시를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와 같이 기차역 앞의 택시승차장에 대기중인 택시가 적은 경우에도 그 택시승차장 주변을 운행하는 택시 기사로서는 현재 그 택시승차장의 택시 대기 상황을 알 수 없기 때문에 택시 기사가 그 택시승차장으로 이동할 것인지 여부는 미지수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들은 승객, 즉 고객이 택시를 기다려야 하며, 택시 기사는 소극적인 주체로서 고객의 요청에 의해서만 움직인다는 기본 개념을 탈피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택시 영업활동의 주체를 택시 기사에게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택시 기사가 직접 승객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를 찾아서 스스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택시 기사에게 택시 영업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택시 영업정보란 택시의 주요 영업 지점(이하 "거점"이라 한다.)(가령, 버스터미널 주변, 기차역 주변, 주요 택시승차장 주변 등)에서 승객을 탑승시키기 위하여 대기중인 다른 택시의 숫자들을 말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격지에 위치한 택시들에 마련되는 택시통신단말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영업정보 제공 서버에 있어서 : 택시 고유번호 필드 및 택시 위치좌표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들로부터 수신되는 택시의 위치좌표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 택시의 주요 영업지점인 거점들의 위치를 표시하는 거점 위치좌표 필드를 포함하는 거점 데이터베이스, 상기 거점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거점 위치좌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택시들의 숫자를 상기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거점현황 검색수단, 및 택시 위치좌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거점 위치좌표를 상기 거점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거점 검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로부터 거점현황정보 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거점 검색수단 및 상기 거점현황 검색수단에 의하여 상기 거점현황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한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의 위치좌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거점의 거점위치 정보 및 각 거점의 택시 숫자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분석된 거점위치 정보 및 각 거점의 택시 숫자 정보를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에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거점 검색수단 및 거점현황 검색수단은 영업정보 제공 서버에 마련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으며, 거점 검색수단과 거점현황 검색수단에 의하여 거점위치 정보 및 각 거점의 택시숫자 정보를 검색하는 방법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거점 검색수단 및 거점현황 검색수단에 의하여 택시통신단말장치로 전송할 거점위치 정보 및 각 거점의 택시 숫자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으로서는 크게 2가지 방식이 제시될 수 있다.
첫번째 방식으로서, 1차로 거점현황 검색수단에 의하여 미리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거점현황 즉 거점 위치좌표 필드 및 택시숫자 필드로 이루어진 거점현황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 후, 2차로 거점 검색수단에 의하여 후술하는 거점현황 데이터베이스에서 택시의 위치좌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거점들의 위치좌표 및 그 택시숫자를 검색하는 방식이다.
두번째 방식으로서, 1차로 거점 검색수단에 의하여 거점 데이터베이스에서 거점현황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한 택시의 위치좌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거점들의 위치좌표를 검색한 후, 2차로 거점현황 검색수단에 의하여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검색된 거점들의 위치좌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택시들의 숫자를 검색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표적인 방식 외에도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거점위치 정보 및 각 거점의 택시숫자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시도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들로부터 수신되는 택시의 위치좌표에 관한 정보는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택시의 위치좌표에 관한 정보가 비주기적으로 수신될 수 있으나, 가급적 일정 주기를 가지고 수신되는 것이 데이터 자체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수신되는 주기를 이용하여 택시의 속도 내지 이동거리 등을 분석할 수 있는 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들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택시의 속도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택시 속도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거점현황 검색수단은 상기 거점 위치좌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며 일정 속도 이하인 택시들의 숫자를 상기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택시 기사에게 거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택시들의 숫자만을 알려질 경우 그 숫자에는 단순히 거점을 통과하는 택시의 숫자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속도 이하인 택시들만을 파악하여 그 숫자들을 알려준다면 보다 정확한 영업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는 택시 과거위치좌표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들로부터 택시의 위치좌표가 수신되면 상기 택시 위치좌표 필드의 정보는 택시 과거위치좌표 필드에 저장된 후 상기 수신된 택시의 위치좌표가 상기 택시 위치좌표 필드에 저장되며, 상기 거점현황 검색수단은 상기 거점 위치좌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며, 상기 택시 과거위치좌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택시들의 숫자를 상기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이 방법 또한 거점 위치좌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대기중인 택시들의 숫자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의 속도를 통한 대기중인 택시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과 달리,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에서 택시의 현재 위치좌표와 택시의 과거 위치좌표를 비교하여 그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이면 승객을 대기중인 택시로 판단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는 택시 이동거리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들로부터 택시의 위치좌표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택시의 위치좌표와 상기 택시 위치좌표 필드에 저장된 위치좌표간의 거리가 분석되어 상기 분석된 거리가 상기 택시 이동거리 필드에 저장되며 상기 수신된 택시의 위치좌표가 상기 택시 위치좌표 필드에 저장되며, 상기 거점현황 검색수단은 상기 거점 위치좌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며 상기 택시 이동거리가 일정 거리 이하인 택시들의 숫자를 상기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이 방법 또한 거점 위치좌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대기중인 택시들의 숫자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의 속도를 통한 대기중인 택시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과 달리,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에서 택시의 현재 위치좌표와 일정 주기(구체적으로는 택시의 위치좌표가 수신되는 주기)동안 이동한 택시의 이동 거리를 통하여 그 이동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이면 승객을 대기중인 택시로 판단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거점현황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한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의 위치좌표는 상기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택시 위치좌표인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택시의 위치좌표가 만일 5분 간격으로 수신되고 그 택시가 시속 약 60km/hr로 이동중이라면, 택시의 위치좌표가 수신된 후 약 4분 가량이 경과하였다면 그 택시의 위치는 상기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택시의 위치좌표와 약 4km가량의 오차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거점현황정보 요청신호와 함께 택시의 위치좌표에 관한 정보가 함께 수신되며, 상기 거점현황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한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의 위치좌표는 상기 거점현황정보 요청신호와 함께 수신된 상기 택시의 위치좌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거점 데이터베이스는 거점 위치좌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택시들의 숫자가 저장되는 택시숫자 필드를 더 포함하는 거점현황 데이터베이스이며, 상기 거점현황 검색수단은 상기 검색된 택시들의 숫자를 상기 택시숫자 필드에 저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에 전송되는 거점위치 정보는 거점의 위치좌표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에 전송되는 거점위치 정보가 거점의 위치좌표에 관한 정보일 경우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는 전송되는 거점의 위치좌표에 관한 정보를 지도 형식으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에 전송되는 거점위치 정보는 거점의 고유번호일 수 있다.
영업정보 제공 서버 내부에서는 택시의 위치좌표와의 거리를 계산하기 위하여 거점의 위치좌표를 반드시 필요로 하지만, 택시통신단말장치에 거점위치 정보를 전송할 경우에는 반드시 거점의 위치좌표를 전송할 필요는 없으며, 그 거점을 표시할 수 있는 거점 고유번호(가령, "서울역 정문 승차장")만을 알리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거점 고유번호가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에 전송되면,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는 택시 기사가 식별할 수 있는 거점 고유번호를 그대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거점현황정보 요청신호는 택시의 위치좌표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즉 택시의 위치좌표가 주기적으로 수신될 때마다 영업정보 제공 서버는 이를 거점현황정보 요청신호로서 판단하여 각 택시에 주변의 거점위치 정보 및 각 거점의 택시숫자 정보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사상으로, 영업정보 제공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영업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원격지에 위치한 택시에 마련되는 택시통신단말장치에 있어서 : 중앙 처리부, 상기 중앙처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택시의 위치좌표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발생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에 연결되는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위치정보 발생부에서 생성된 상기 위치좌표에 관한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영업정보 제공 서버에 전송되며, 상기 영업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택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택시의 주요 영업지점인 거점들의 위치를 표시하는 거점위치 정보 및 각 거점의 택시숫자 정보가 수신되며, 상기 수신된 거점위치 정보 및 상기 택시숫자 정보가 상기 데이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위치정보 발생부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GPS 수신기(132)에 대응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위치정보를 발생하기 위한 기술 수단으로서 GPS 수신방식이 바람직하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동통신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받는 전파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발생하는 방식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데이터 출력부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화면 처리부, 및/또는 스피커 및 음성 처리부가 대응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발생부에서 생성된 상기 위치좌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영업정보 제공 서버에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에 연결되어 택시의 속도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속도 카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좌표에 관한 정보와 함께 상기 택시의 속도에 관한 정보가 상기 영업정보 제공 서버에 주기적으로 전송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에 연결되는 거점현황정보 요청수단이 부가되며, 상기 거점현황정보 요청수단을 통하여 거점현황정보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영업정보 제공 서버에 거점현황정보 요청신호가 전송되며, 상기 거점현황정보 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영업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거점위치 정보 및 각 거점의 택시숫자 정보가 수신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거점현황정보 요청신호와 함께 상기 위치정보 발생부에서 생성되는 택시의 위치좌표에 관한 정보가 상기 영업정보 제공 서버에 전송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거점현황정보 요청수단은 중앙처리부와 택시 미터기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택시 미터기의 지불/빈차 버튼의 작동 상태를 입력받는 상태 수신부인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시를 위한 영업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택시통신단말장치(100)는 택시 내부에 장착되며, 영업정보 제공 서버(400)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기지국(300)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300)은 기존의 이동 통신망에 의하여 설치된 기지국이거나 택시 회사 등에 의해 자체적으로 설치된 기지국일 수 있다.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절차는 다음과 같다. 택시통신단말장치(100)로부터 송신되어 비에스시(BSC, Basic Station Controller)라 불리우는 기지국 제어기가 수신한 데이터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영업정보 제공 서버(400)로 라우팅되며, 영업정보 제공 서버(400)로부터 송신된 신호도 역과정을 거쳐서 택시통신단말장치(100)로 전달된다.
또한 택시통신단말장치(100)는 GPS 수신기(132)와 연결되어 GPS 위성(200)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중앙처리부(110)는 데이터 통신부(120)를 통하여 무선 단말기(131) 및 GPS 수신기(132)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즉, 중앙처리부(110)는 무선 단말기(131)를 통하여 영업정보 제공 서버(400)와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또한 GPS 수신기(132)를 통하여 GPS 위성(200)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거리 카운터(181)는 바퀴의 회전수에 따라 발생하는 펄스를 감지하여 펄스당 거리를 곱하여 거리를 계산하며, 속도 카운터(182)는 바퀴의 회전수에 따라 발생하는 펄스를 감지하여 단위 시간당 펄스수로 나누어 택시 속도를 계산하며, 시간 카운터(183)는 알티시(RTC, Real Time Clock)(160) 신호를 기준으로 시간을 계산하여 계산된 시간을 중앙처리부(110)로 입력한다.
중앙처리부(110)는 거리 카운터(181), 시간 카운터(183)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를 기초로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알티시(RTC, 160)는 전원의 온오프에 상관없이 배터리에 의해 동작하는 시계로서, 현재 시간과 불일치할 수도 있다. 알티시(RTC, 160)는 보통 시스템이 부팅될 때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시간을 설정하는데 이용된다. 알티시(RTC, 160)의 부정확함은 CDMA망에 의해 수신되는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에스이피롬(SEPROM), 이이피롬(EEPROM), 롬(ROM), 램(RAM) 등을 포함하며, 중앙처리부(110)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저장한다.
승객의 승차 또는 하차 등의 정보는 중앙처리부(110)에 연결된 상태수신부(170)가 택시 미터기의 승차, 지불/빈차 입력부(50)를 통하여 입력받는다. 가령 택시 기사가 승객이 승차시에 택시미터기의 승차 버튼을 누름으로써 영업거리 및/또는 영업시간을 계산하며, 또한 택시 기사가 승객의 하차시에 택시미터기의 지불/빈차 버튼을 누름으로써 요금 계산을 종료할 수 있다.
영업정보 제공 서버(400)에서 거점위치 정보 및 각 거점의 택시 숫자 정보가 수신되면 중앙처리부(110)는 음성처리부(143)안에 포함된 티티에스(TTS, Text To Speech) 모듈에서 음성으로 전환하여 스피커(144)로 출력한다. 동시에 중앙 처리부는 수신된 거점위치 정보 및 각 거점의 택시숫자 정보를 화면처리부(141)에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42)에서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택시 미터기와 일체로 결합되는 택시통신단말장치(100)를 제시하였지만, 본 발명에 의한 택시통신단말장치(100)는 택시 미터기와 별개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가령, 상기의 실시예는 속도 카운터(182)에서 펄스를 입력받아 속도 정보를 생성하였지만, 택시 미터기에 마련된 속도 카운터에서 펄스를 입력받아 속도 정보를 생성하고 택시통신단말장치는 택시 미터기로부터 속도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입력받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시를 위하여 영업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S110에서 택시통신단말장치(100)는 자신이 위치한 위치좌표와 자신의 속도 정보를 생성한다.
위치좌표는 GPS 위성(200)을 통하여 GPS 수신기(132)로 입력되는 위치 데이터이며, 속도 정보는 속도 카운터(182)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이다.
S120에서 택시통신단말장치(100)는 생성된 택시 위치좌표와 속도 정보를 영업정보 제공 서버(400)에 전송한다. 이러한 전송은 주기적으로 가령 1분 혹은 5분 간격 등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210에서 영업정보 제공 서버(400)는 택시통신단말장치(100)가 전송한 택시 위치좌표와 속도 정보를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는 도 3과 같이 택시 고유번호 필드, 택시 위치좌표 필드, 택시 속도 필드로 구성된다. 가령 택시 고유번호가 서울31가4227인 택시는 (x1, y1)위치좌표에 위치하며, 그 택시의 운행 속도는 15km/hr이다.
즉, 영업정보 제공 서버(400)는 각 택시통신단말장치(100)에 해당하는 택시 고유번호를 검색하여 그 레코드에 택시 위치좌표와 속도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택시 고유번호는 차량 번호이거나 택시통신단말장치의 고유번호 혹은 무선 단말기의 고유번호 등일 수 있다.
따라서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는 영업정보 제공 서버와 연결된 각 택시통신단말장치가 속하는 택시들의 위치와 속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S220에서 영업정보 제공 서버(400)는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거점현황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거점현황 데이터베이스는 도 4와 같이 거점 고유번호 필드, 거점 위치좌표 필드, 택시숫자 필드로 구성된다.
거점이란 택시의 주요 영업지점을 말하는 것으로, 주로 기차역, 버스터미널, 시내 주요 택시승차장 등을 말하며, 거점 현황이란 거점 정보와 그 거점으로부터 일정한 거리(가령 500m 이내)에서 주정차 중이거나 일정 속도(가령 20km/hr) 이하로 운행중인 택시들의 숫자를 말한다.
따라서 거점 고유번호란 지명을 직접 지칭하거나, 특정 지역에 대하여 고유의 번호를 부여한 것일 수 있다.
거점현황 데이터베이스의 필드 중 거점 고유번호 필드 및 거점 위치좌표 필드는 이미 정해진 것이며, 거점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택시숫자 필드만이 갱신될 뿐이다.
택시숫자 필드의 갱신은 거점 위치좌표로부터 일정 거리(가령 500m) 이내에 위치한 택시들 중 일정 속도(가령 20 km/hr)이하인 택시들을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그 숫자들을 거점현황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거점 위치좌표의 택시숫자 필드에 저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거점현황 데이터베이스에는 거점 주변에서 일정 속도 이하로 운행중인 택시들의 숫자가 주기적으로 저장된다.
따라서 가령 도 4의 1번 레코드의 경우 서울역 택시승차장으로부터 500m이내에 20km/hr 이하의 속도로 운행 또는 정차중인 택시는 모두 30대이다.
S130에서 택시통신단말장치(100)는 택시의 위치좌표와 거점현황 요청신호를 생성한다. 위치좌표는 GPS 위성(200)으로부터 GPS 수신기(132)로 입력되는 위치 데이터이며, 거점현황 요청신호는 택시 기사가 거점현황을 요청하기 위하여 거점현황 요청 버튼을 직접 누르든지 혹은 승객 하차시에 택시미터기의 승차, 지불/빈차 입력부(50)의 지불/빈차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생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S140에서 택시통신단말장치(100)는 생성된 위치좌표와 거점현황 요청신호를 영업정보 제공 서버(400)에 전송한다.
S230에서 영업정보 제공 서버(400)는 수신된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거점현황 데이터베이스에서 택시의 위치좌표로부터 일정 거리(가령 약 2km)내에 위치한 거점 위치좌표 및 그 거점들의 택시숫자를 검색한다.
본 실시예는 거점현황 요청신호 전송시 택시의 위치좌표가 함께 전송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거점현황 요청신호를 전송한 택시통신단말장치의 위치좌표를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후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택시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거점현황 데이터베이스에서 택시 위치좌표 부근의 거점 위치좌표 및 그 거점들의 택시 숫자를 검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S240에서 영업정보 제공 서버(400)는 검색된 거점 위치좌표의 거점 고유번호들 및 각 거점 고유번호에 대응하는 택시숫자 정보들을 택시통신단말장치(100)에 전송한다.
S150에서 택시통신단말장치(100)는 수신된 거점 고유번호 및 택시숫자 정보들을 스피커(144)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42)를 통해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S240에서 거점 위치좌표는 전송되지 않는 것으로 하였지만, 디스플레이 장치(142)에 지도 형식으로 거점을 표현하기 위하여 거점 위치좌표가 함께 전송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택시 기사가 택시 미터기의 승객 하차시 지불/빈차 버튼을 누르면 동시에 거점 고유번호 및 택시숫자 정보가 출력되어, 택시 기사는 출력되는 거점의 고유번호와 그 거점에서 대기중인 택시숫자를 파악할 수 있어, 주변의 거점 중 어디로 이동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택시를 위하여 영업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의 순서도는 도 2와 대체적으로 일치하며, 이하 상이한 부분만을 설명한다.
택시통신단말장치(100)는 자신이 위치한 위치좌표를 생성한다.
택시통신단말장치(100)는 생성된 택시 위치좌표를 영업정보 제공 서버(400)에 전송한다.
영업정보 제공 서버(400)는 택시통신단말장치(100)가 전송한 택시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는 도 5과 같이 택시 고유번호 필드, 택시 위치좌표 필드, 택시 과거위치좌표 필드로 구성된다.
즉 위치좌표가 갱신되기 전의 택시 고유번호 서울31가4227인 택시는 (x1',y1')위치좌표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새로운 위치좌표 (x1,y1)이 수신되면 (x1',y1')위치좌표는 택시 과거위치좌표 필드에 저장되며, 택시 위치좌표 필드에는 새로운 위치좌표 (x1,y1)이 저장된다.
즉, 영업정보 제공 서버(400)는 각 택시통신단말장치(100)에 해당하는 택시 고유번호를 검색하여 그 레코드에 택시 위치좌표와 과거의 택시 위치좌표를 저장한다.
영업정보 제공 서버(400)는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거점현황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거점현황 데이터베이스는 도 4와 같이 거점 고유번호 필드, 거점 위치좌표 필드, 택시숫자 필드로 구성된다.
거점이란 택시의 주요 영업지점을 말하는 것으로, 주로 기차역, 버스터미널, 시내 주요 택시승차장 등을 말하며, 거점 현황이란 거점 정보와 그 거점으로부터 일정한 거리(가령 500m 이내)에서 주정차 중이거나 일정 속도(가령 20km/hr) 이하로 운행중인 택시들의 숫자를 말한다.
거점현황 데이터베이스의 필드 중 거점 고유번호 필드 및 거점 위치좌표 필드는 이미 정해진 것이며, 거점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택시숫자 필드만이 갱신될 뿐이다.
택시숫자 필드의 갱신은 거점 위치좌표로부터 일정 거리(가령 500m) 이내에 위치한 택시들 중 택시 과거위치좌표(x1',y1')와 택시 위치좌표(x1,y1)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가령 100m)이내인 택시들을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그 숫자들을 거점현황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거점 위치좌표의 택시숫자 필드에 저장하는 것이다. 즉,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택시의 위치좌표가 과거의 위치좌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인 경우에는 대기중이거나 일정 속도 이하로 운행중인 택시로 간주하는 것이다.
따라서 거점현황 데이터베이스에는 거점 주변에서 일정 속도 이하로 운행중인 택시들의 숫자가 주기적으로 저장된다.
이하의 절차는 도 2와 동일하다.
상기의 실시예는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가 택시 과거위치좌표 필드를 포함하도록 하여 대기중인 택시를 검색하도록 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택시 과거위치좌표 필드 대신에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에 택시 이동거리 필드를 포함하도록 하여 새롭게 수신되는 택시의 위치좌표와 종전의 택시의 위치좌표간의 거리가 직접 계산되어 상기 택시 이동거리 필드에 저장되도록 구성한 후 상기 택시 이동거리 필드에 저장된 이동거리가 일정 거리(가령 100m)이내인 택시들을 대기중이거나 일정 속도 이하로 운행중인 택시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내지 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내지 조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다면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택시 기사는 자신의 택시가 위치한 지역으로부터 인접한 택시의 주요 영업 지점, 즉 거점에서 승객을 탑승시키기 위하여 대기중인 다른 택시들의 숫자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택시 기사는 자신의 택시와 인접한 거점 중 어디로 이동할 것이지 여부를 합리적인 기준에 의하여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영업활동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택시 기사의 불필요한 영업활동 감소는 결과적으로 도로에서 불필요하게 운행중인 택시들의 숫자를 감소시키는 요소가 된다.
또한 택시에 승차하고자 하는 고객의 경우 거점으로 이동하면 언제든지 적정한 숫자의 택시가 대기하고 있기 때문에 택시 탑승 대기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결국 택시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객이 거점으로 이동할 경우 적절한 숫자의 택시가 항상 대기하고 있다고 확신한다면, 택시 탑승의 불편함이 해소되어 자가용보다 대중교통수단인 택시의 이용율을 높일 수 있어, 결과적으로 도로에서 운행하는 차량의 숫자(즉, 자가용의 숫자)를 감소시켜 도로 정체를 해소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시를 위한 영업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시 영업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도 2의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거점현황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구조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택시통신단말장치 110 : 중앙 처리부
132 : GPS 수신기 182 : 속도 카운터
400 : 영업정보 제공 서버

Claims (17)

  1. 원격지에 위치한 택시들에 마련되는 택시통신단말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영업정보 제공 서버에 있어서 :
    택시 고유번호 필드 및 택시 위치좌표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들로부터 수신되는 택시의 위치좌표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
    택시의 주요 영업지점인 거점들의 위치를 표시하는 거점 위치좌표 필드를 포함하는 거점 데이터베이스,
    상기 거점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거점 위치좌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택시들의 숫자를 상기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거점현황 검색수단, 및
    택시 위치좌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거점 위치좌표를 상기 거점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거점 검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로부터 거점현황정보 요청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거점 검색수단 및 상기 거점현황 검색수단에 의하여 상기 거점현황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한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의 위치좌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거점의 거점위치 정보 및 각 거점의 택시 숫자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분석된 거점위치 정보 및 각 거점의 택시 숫자 정보를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에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정보 제공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들로부터 수신되는 택시의 위치좌표에 관한 정보는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정보 제공 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들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택시의 속도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택시 속도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거점현황 검색수단은 상기 거점 위치좌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며 일정 속도 이하인 택시들의 숫자를 상기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정보 제공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는 택시 과거위치좌표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들로부터 택시의 위치좌표가 수신되면 상기 택시 위치좌표 필드의 정보는 택시 과거위치좌표 필드에 저장된 후 상기 수신된 택시의 위치좌표가 상기 택시 위치좌표 필드에 저장되며,
    상기 거점현황 검색수단은 상기 거점 위치좌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며, 상기 택시 과거위치좌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택시들의 숫자를 상기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정보 제공 서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는 택시 이동거리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들로부터 택시의 위치좌표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택시의 위치좌표와 상기 택시 위치좌표 필드에 저장된 위치좌표간의 거리가 분석되어 상기 분석된 거리가 상기 택시 이동거리 필드에 저장되며 상기 수신된 택시의 위치좌표가 상기 택시 위치좌표 필드에 저장되며,
    상기 거점현황 검색수단은 상기 거점 위치좌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며 상기 택시 이동거리가 일정 거리 이하인 택시들의 숫자를 상기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정보 제공 서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거점현황정보 요청신호와 함께 택시의 위치좌표에 관한 정보가 함께 수신되며,
    상기 거점현황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한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의 위치좌표는 상기 거점현황정보 요청신호와 함께 수신된 상기 택시의 위치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정보 제공 서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현황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한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의 위치좌표는 상기 택시현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택시 위치좌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정보 제공 서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 데이터베이스는 거점 위치좌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택시들의 숫자가 저장되는 택시숫자 필드를 더 포함하는 거점현황 데이터베이스이며,
    상기 거점현황 검색수단은 상기 검색된 택시들의 숫자를 상기 택시숫자 필드에 저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정보 제공 서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에 전송되는 거점위치 정보는 거점의 위치좌표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정보 제공 서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택시통신단말장치에 전송되는 거점위치 정보는 거점의 고유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정보 제공 서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현황정보 요청신호는 상기 택시의 위치좌표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업정보 제공 서버.
  12. 영업정보 제공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영업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원격지에 위치한 택시에 마련되는 택시통신단말장치에 있어서 :
    중앙 처리부, 상기 중앙처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택시의 위치좌표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 발생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에 연결되는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위치정보 발생부에서 생성된 상기 위치좌표에 관한 정보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영업정보 제공 서버에 전송되며,
    상기 영업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택시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택시의 주요 영업지점인 거점들의 위치를 표시하는 거점위치 정보 및 각 거점의 택시숫자 정보가 수신되며,
    상기 수신된 거점위치 정보 및 상기 택시숫자 정보가 상기 데이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통신단말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발생부에서 생성된 상기 위치좌표에 관한 정보는 상기 영업정보 제공 서버에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통신단말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에 연결되어 택시의 속도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속도 카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좌표에 관한 정보와 함께 상기 속도 카운터에서 생성된 상기 택시의 속도에 관한 정보가 상기 영업정보 제공 서버에 주기적으로 전송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통신단말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에 연결되는 거점현황정보 요청수단이 부가되며,
    상기 거점현황정보 요청수단을 통하여 거점현황정보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영업정보 제공 서버에 거점현황정보 요청신호가 전송되며,
    상기 거점현황정보 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영업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거점위치 정보 및 각 거점의 택시숫자 정보가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통신단말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현황정보 요청신호와 함께 상기 위치정보 발생부에서 생성되는 택시의 위치좌표에 관한 정보가 상기 영업정보 제공 서버에 전송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통신단말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거점현황정보 요청수단은 중앙처리부와 택시 미터기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택시 미터기의 지불/빈차 버튼의 작동 상태를 입력받는 상태 수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통신단말장치.
KR1020040044289A 2004-06-16 2004-06-16 택시 영업정보 제공을 위한 영업정보 제공 서버 및택시통신단말장치 KR200501192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289A KR20050119239A (ko) 2004-06-16 2004-06-16 택시 영업정보 제공을 위한 영업정보 제공 서버 및택시통신단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289A KR20050119239A (ko) 2004-06-16 2004-06-16 택시 영업정보 제공을 위한 영업정보 제공 서버 및택시통신단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239A true KR20050119239A (ko) 2005-12-21

Family

ID=37291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289A KR20050119239A (ko) 2004-06-16 2004-06-16 택시 영업정보 제공을 위한 영업정보 제공 서버 및택시통신단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923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8099A1 (en) * 2012-07-03 2014-01-09 Uber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supply positioning for on-demand services
US10067988B2 (en) 2015-07-21 2018-09-04 Uber Technologies, Inc. User-based content filtering and ranking to facilitate on-demand services
US10198700B2 (en) 2014-03-13 2019-02-05 Uber Technologies, Inc. Configurable push notifications for a transport service
US10402841B2 (en) 2012-03-19 2019-09-03 Uber Technologies, Inc. Enabling a user to verify a price change for an on-demand service
US10460411B2 (en) 2016-08-30 2019-10-29 Uber Technologies, Inc. Real-time resource management for on-demand service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2841B2 (en) 2012-03-19 2019-09-03 Uber Technologies, Inc. Enabling a user to verify a price change for an on-demand service
WO2014008099A1 (en) * 2012-07-03 2014-01-09 Uber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supply positioning for on-demand services
US9066206B2 (en) 2012-07-03 2015-06-23 Uber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supply positioning for on-demand services
US9843897B1 (en) 2012-07-03 2017-12-12 Uber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supply positioning for on-demand services
US10313832B2 (en) 2012-07-03 2019-06-04 Uber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supply positioning for on-demand services
US10743134B2 (en) 2012-07-03 2020-08-11 Uber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supply positioning for on-demand services
US10198700B2 (en) 2014-03-13 2019-02-05 Uber Technologies, Inc. Configurable push notifications for a transport service
US10067988B2 (en) 2015-07-21 2018-09-04 Uber Technologies, Inc. User-based content filtering and ranking to facilitate on-demand services
US10460411B2 (en) 2016-08-30 2019-10-29 Uber Technologies, Inc. Real-time resource management for on-demand ser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87750C (zh) 使用移动终端的计费信息来获得交通信息的方法
EP1742188A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for probe traffic information and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probe traffic information
US20040236501A1 (en) Vehicle dispatching system and management server for the same
CN101826256A (zh) 车辆派遣方法与车辆派遣系统
JPH09212797A (ja) 情報サービス装置
CN106104208A (zh) 导航服务器和程序
JPH1165434A (ja) 情報提供システム、端末における情報の出力方法、移動情報端末及び情報提供装置
CN100447532C (zh) 路线搜索服务器、路线搜索系统以及路线搜索方法
KR20110042205A (ko) 수송될 적어도 한 사람과 접촉하여 자동 및 직접적으로 운전자를 배치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280313B1 (ko) 스마트 버스정보시스템
JP2001319287A (ja) 交通情報システム及び情報システム
CN101609608A (zh) 车辆派遣方法与车辆派遣系统
JPWO2011016111A1 (ja)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3296888A (ja) 配車支援システムおよび配車支援方法
JP2005222481A (ja) タクシー管理システム
KR20050119239A (ko) 택시 영업정보 제공을 위한 영업정보 제공 서버 및택시통신단말장치
JP2009064072A (ja) 情報収集・配信システム、情報収集・配信サーバ、ユーザ端末装置、及び情報収集・配信方法
CN110704745A (zh) 一种车载终端的信息搜索方法和装置
KR100454840B1 (ko) 버스정보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버스정보 운용 방법
JP5494501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6146544A (ja) タクシー等の配車システム
JP2002150486A (ja)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JPH05181866A (ja) タクシー等の全自動配車システム
US7546201B2 (en) Method for obtaining traffic information using billing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JP4307509B1 (ja) タクシー情報提供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