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8373A - 폴리에스터 직물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터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8373A
KR20050118373A KR1020040043482A KR20040043482A KR20050118373A KR 20050118373 A KR20050118373 A KR 20050118373A KR 1020040043482 A KR1020040043482 A KR 1020040043482A KR 20040043482 A KR20040043482 A KR 20040043482A KR 20050118373 A KR20050118373 A KR 20050118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abric
low
polyester fabric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서진
박재규
이방희
김정규
Original Assignee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3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8373A/ko
Publication of KR20050118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837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03D15/46Flat yarns, e.g. tapes or fil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liquid j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6Bed linen
    • D10B2503/062Fitted bedshee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8Outdoor fabrics, e.g. tents, tarpaul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기성이 낮고 내수도가 우수한 폴리에스터 직물에 관한 것으로, 원사의 단면이 일자(-)형이거나 적어도 1개 이상의 요철을 가지며, 편평비가 2.0 이상인 편평사를 위사와 경사 중 적어도 하나로 사용하여 제직하되, 편평사는 TiO2 함량이 0.3∼3.0중량%인 것으로 제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직물로서, 제조된 폴리에스터 직물은 프리지아법으로 분석된 공기투과도(KS K 0570-1997)가 1.0㎤/㎠/sec 이하이며, 저수압법(KS K 0591-1999)으로 측정된 내수도가 400㎜Aq 이상이어서 통기성이 낮고 내수도가 우수하여 의류용으로는 착용감, 활동성 및 기능성을 요구하는 레저용 아웃-웨어(Out-Wear) 특히, 낮은 통기성 즉, 방풍성을 요구하는 등산복 또는 골프웨어나 투습 방수기능을 가지는 코트(Coat)나 점퍼(JUMPER)용으로 적합할 뿐만 아니라 산업용 의류로 특히, 낮은 통기성 즉, 차폐성을 요구하는 청정룸(Clean Room)에서 착용하는 무진의용으로 더욱 적합하며, 비의류용으로는 텐트, 우산, 침구 등의 홈 텍스타일 용으로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에스터 직물{Polyester textile fabric}
본 발명은 코팅을 하지 않고 일반적인 직조 방법으로 직조된 통기성이 낮고 내수도가 우수한 폴리에스터 직물에 관한 것으로, 원사의 단면이 일자(-)형이거나 적어도 1개 이상의 요철을 가지며, 편평비가 2.0 이상인 편평사를 위사와 경사 중 적어도 하나로 사용하여 제직하되, 편평사는 TiO2 함량이 0.3∼3.0중량%인 것으로 제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직물로서, 제조된 폴리에스터 직물은 프리지아법으로 분석된 공기투과도(KS K 0570-1997)가 1.0㎤/㎠/sec 이하이며, 저수압법(KS K 0591-1999)으로 측정된 내수도가 400㎜Aq 이상이어서 통기성이 낮고 내수도가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통기성이 낮고 내수도가 우수한 직물은 의류용으로는 착용감, 활동성 및 기능성을 요구하는 레저용 아웃-웨어(Out-Wear) 특히, 낮은 통기성 즉, 방풍성을 요구하는 등산복 또는 골프웨어나 투습 방수기능을 가지는 코트(Coat)나 점퍼(JUMPER)용으로 적합하며, 산업용 의류로는 특히, 낮은 통기성 즉, 차폐성을 요구하는 청정룸(Clean Room)에서 착용하는 무진의용으로 더욱 적합하고, 비의류용으로는 텐트, 우산, 침구 등의 홈 텍스타일 용으로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낮은 통기성을 가지는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경사와 위사의 밀도를 높여 섬유간의 공극을 작게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고밀도직물에 사용되는 원사의 단사 섬도가 2.0데니어 이상일 경우에는 낮은 통기성을 가지는 직물의 제조는 가능하나, 직물촉감과 반발감으로 인해 의류용으로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으며, 단사 섬도가 1.0데니어 이하의 극세사를 사용할 경우에는 촉감의 개선은 가능하나, 제조 공정 중에 극세사의 손상에 의한 작업성 저하(低下)와 염색후의 결점으로 직물의 품위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통기성을 가지는 직물에서도, 목적으로 하는 내수도를 달성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일특개 2003-313782호와 같이 직물의 표면에 아크릴수지, 우레탄수지 또는 폴리에칠렌 수지를 코팅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코팅공법은 제조시에 수지와 같이 사용되는 용제로 인해 작업환경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야 하고,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용제로 인한 작업자의 재해와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코팅직물은 수지코팅에 의한 낮은 통기성 및 양호한 내수도의 달성은 가능하나, 코팅에 의해 직물의 유연성이 떨어져 착용감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
높은 내수도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20004년 04월 07일 매일경제신문에 소개된 바와 같이 고어텍스와 같은 직물표면에 투습 방수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필름을 부착하는 라미네이팅공법이 있다.
네미네이팅 공법의 경우에는 품질의 균일성은 코팅공법과 대비하여 만족할 만한 수준이나, 투습도가 코팅직물에 비해 불량하고, 가공비가 비싸기 때문에 산업용으로 광범위하게 적용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또한, 라미네이팅에 사용되는 필름의 경우 기능성이 검증된 제품은 미국의 고어사로부터 전량 수입되기 때문에 기술의 종속과 독자적인 제품개발의 한계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물의 표면에 아크릴수지, 우레탄수지 또는 폴리에칠렌 수지 등과 같이 수지를 코팅(Coating)하는 공법이나 기능성을 가지는 필름(Film)을 부착하는 라미네이팅 공법(Laminating)과 차별화하여, 염색공정이후에 어떠한 부가적인 가공없이 낮은 통기성과 내수도를 가져 일반의류 및 비의류 용도에 광범하게 적용 가능한 통기성이 낮고 내수도가 우수한 폴리에스터 직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목표로 하는 기능성을 확보함은 물론 제직 준비, 제직 및 염 가공 공정에서 공정작업성의 편리성 및 안정적인 품질확보가 가능한 신뢰성이 있는 폴리에스터 직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에 직물의 기능성 확보를 위해 코팅(Coating)이나 라미네이팅(Laminating)과 같은 가공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직물의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경쟁력 있는 폴리에스터 직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에 원형단면을 가진 단사 섬도가 1.0데니어 미만의 극세사를 사용한 고밀도 직물의 기능성 확보를 위한 많은 양의 경사 및 위사를 사용함으로서 발생되는 과도한 밀도로 인해 직물의 후도가 높아지고, 직물의 품위가 떨어지는 문제를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표출될 수 있는 또 다른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원사의 단면이 일자(-)형이거나 적어도 1개 이상의 요철을 가지며, 편평비가 2.0 이상인 편평사를 위사와 경사 중 적어도 하나로 사용하여 제직하되, 편평사는 TiO2 함량이 0.3∼3.0중량%인 것으로 제직하여 폴리에스터 직물을 얻으므로서 프리지아법으로 분석된 공기투과도(KS K 0570-1997)가 1.0㎤/㎠/sec 이하이며, 저수압법(KS K 0591-1999)으로 측정된 내수도가 400㎜Aq 이상이어서 통기성이 낮고 내수도가 우수하여 의류용으로는 착용감, 활동성 및 기능성을 요구하는 레저용 아웃-웨어(Out-Wear) 특히, 낮은 통기성 즉, 방풍성을 요구하는 등산복 또는 골프웨어나 투습 방수기능을 가지는 코트(Coat)나 점퍼(JUMPER)용으로 적합할 뿐만 아니라 산업용 의류로 특히, 낮은 통기성 즉, 차폐성을 요구하는 청정룸
(Clean Room)에서 착용하는 무진의용으로 더욱 적합하며, 비의류용으로는 텐트, 우산, 침구 등의 홈 텍스타일 용으로 폭넓게 사용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직물의 통기성을 억제하기 위해서 원사단면을 이형화하고 또한 단사 섬도를 극세화 함으로써 기존제품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이 낮고 내수도가 우수한 폴리에스터 직물은 원사의 단면이 일자(-)형이거나 적어도 1개 이상의 요철을 가지며, 편평비가 2.0 이상인 편평사를 위사와 경사 중 적어도 하나로 사용하여 제직하되, 편평사는 TiO2 함량이 0.3∼3.0중량%인 것으로 제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제조된 폴리에스터 직물은 프리지아법으로 분석된 공기투과도(KS K 0570-1997)가 1.0㎤/㎠/sec 이하이며, 저수압법(KS K 0591-1999)으로 측정된 내수도가 400㎜Aq 이상인 것으로 특징지워진다.
본 발명에서는 직물 표면의 공극을 최소화하여 낮은 통기성을 갖도록 하고, 직물의 촉감을 개선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비가 2이상이고, 단사 섬도가 1.0데니어(Denier) 미만인 극세 편평사를 사용하여 생지 및 가공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하는 편평사의 단면 형태는 가공지의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샤뮤즈(Charmeuse)와 같은 인너웨어용(Inner-Wear)으로는 은은한 광택을 요구하기 때문에 원사 단면이 일자(-字)형인 편평사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크린룸(Clean Room)에서 착용하는 방진복이나 골프웨어 등과 같은 스포츠 캐주얼
(Sports-Casual)용 및 텐트지와 같은 산업용 섬유에서는 무광택(無光澤)특성을 요구하기 때문에 빛의 난반사를 위해 적어도 1개 이상의 요철을 가지는 편평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도면에서 Lf/Wf로 표현되는 편평사의 편평비는 2이상이 바람직하나 동일한 경사 및 위사의 밀도에서 도 3과 같이 직물표면의 공극을 최소화하여 차폐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3.0이상이 더욱 좋다.
또한, 사용된 편평사는 용도에 따라 연신사나 가연 가공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연신사를 생산하는 공법으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분 연신사(POY)로 방사 후에 연신하는 공법과 직접방사 연신공법
(Direct Spin Draw)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가연 가공사는 가연하는 방법에 따라 핀(Pin)방식, 벨트(Belt) 및 디스크
(Disk)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고, 높은 벌키성을 요구하는 직물의 경우에는 핀방식을 사용하나, 생산성이 낮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제조원가와 품질을 감안해서 일반적으로 벨트방식의 가연 가공사를 사용하 것이 좋으며, 이때 가연 가공사의 교락(交絡)수는 일반적으로 150개/m ∼ 200개/m수준이 효과적이지만 교락수가 많을 경우, 제직 작업성과 공정통과성은 양호하나, 가공지에서 교락에 의한 공극 발생으로 통기성을 높이는 문제점이 있다.
교락에 의한 공극 발생을 검증하는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직물표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방법과 세탁에 의한 통해 통기성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고, 세탁법은 통상 5회 세탁을 한 후 통기성을 평가하는 것이 좋으며, 과도한 교락에 의해 통기성이 높을 경우에는 세탁전과 대비하여 통기성이 낮아지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고밀도직물에 사용되는 소재 원사 중에 특히 가연 가공사의 경우에는 교락 수를 100개/m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사용된 편평사는 제조되는 직물의 광택을 낮추기 위하여 TiO2를 첨가한 것을 사용하는 데, TiO2의 함량은 0.3∼3.0중량%인 것 바람직하며, TiO2함량이 0.3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직물의 광택으로 인해 용도가 제한적이며, 특히 산업용 의류나 산업용 섬유에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3.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무기입자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원사의 생산 공정에서 팩(PACK)사용 주기가 단축되며, 방사 구금의 마모는 물론 마모로 인하여 사가 접촉하는 각종 가이드 류의 수명이 짧아져 조업 소모품의 사용량이 많아져 원사의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와 마모로 인한 품질 불량으로 품질관리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소재원사의 이산화티탄(TiO2)의 함량은 직물의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고, 더욱 바람직한 농도는 0.35중량%∼2.5중량% 수준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은 일자(-)형이거나 적어도 1개 이상의 요철을 가지며, 편평비가 2.0 이상인 편평사를 위사와 경사 중 적어도 하나로 사용할 수 있지만, 목적으로 하는 낮은 통기성과 내수압의 수준에 따라 원사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경사와 위사에 모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직물의 기능성은 직물을 구성하는 소재원사의 품종, 경사와 위사의 밀도 직물의 조직에 따라 차이가 있다.
제직 준비, 제직 및 염가공에 있어 단위공정의 생산조건은 폴리에스터 일반 직물과 동일수준으로 진행하였으며, 통상 내수압이 높은 직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카렌다 가공(Calender Finish)이나 수지코팅(Resin Coating)과 같은 추가적인 가공공정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목적으로 하는 기능성 즉, 1.0㎤/㎠/sec 이하의 낮은 통기성과 또한 400㎜Aq 이상의 내수압을 가지는 직물을 제조함에 있어 가공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는 것은 제조원가의 절감에 의한 제품의 원가경쟁력의 확보가 가능하고, 가공공정에 사용되는 유기화합물 및 용제의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과 인체의 유해물질에 의한 직업병 즉 산업재해를 줄일 수 있다는 더 큰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편평사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에스터 조성물 및 폴리에스터사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조성물 및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있어서 얻어진 값은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원사의 편평 비
원사단면의 폭(Wf)에 대한 길이(Lf)의 비로 측정하였으며, 요철형태의 단면에서는 요(凹)부에서 폭을 기준으로 하였다.
(2) 공기투과도(Permeability of textile cloth to air)
일정면적, 압력, 시간의 조건 하에서 시험편에 수직으로 통과하여 흐르는 공기의 부피를 나타내는 공기투과도는 KS K 0570-1997 프라지어법(ICS 59.080.30)으로 한국원사직물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분석하였다.
- 분석조건 : ① 시험면적 : 20㎠
② 정압(의류용) : 100Pa
(3) 내수도(Water resistance of cloth)
KS K 0591-1999의 저수압법(Low range hydrostatic pressure method; ICS 59.080.30)으로 한국원사직물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분석하였다.
실시예 1
도 2와 같이 1개 이상의 돌출부를 가지며, TiO2 함량이 1.5중량%이고, 편평비가 3.0수준인 75de/72f 직접 연신사(SDY:Spin Draw Yarn)을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워터제트룸(Water Jet Loom)으로 폭이 64인치(inch)이고 평직(Plain)인 생지를 제직하였다.
제직된 생지는 수산화나트륨(NaOH)의 농도가 30g/ℓ이고, 침투제(General Aniline and Film Corp. 사의 Leonil(레오닐))의 농도 10g/ℓ인 조건에서 30분 침적 후에 연속 정련을 실시하였으며, 정련(精練;Scouring)된 생지는 130℃에서 1시간 동안 염색 후에 190℃에서 20초 열처리하였다.
가공된 직물의 폭은 60인치(inch)로, 경사 및 위사의 밀도는 162본/Inch, 112본/Inch 이었다. 얻어진 직물의 기능성을 측정 및 평가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
직물의 경사로 단면 형상이 원형이고 단사 섬도가 0.3데이어인 65de/204f 직접 연신사를 사용하고, 위사로는 돌출부가 없으며, TiO2 함량이 1.5중량%이고, 편평비가 4.0 수준인 일자형의 75de/72f 직접 연신사(SDY:Spin Draw Yarn)을 사용하여 에어제트룸(Air Jet Loom)으로 폭이 64인치(inch)이고 평직(Plain)인 생지를 제직하였다.
제직된 생지는 수산화나트륨(NaOH)의 농도가 30g/ℓ이고, 침투제(General Aniline and Film Corp. 사의 Leonil(레오닐))의 농도 10g/ℓ인 조건에서 30분 침적 후에 연속정련을 실시하였으며, 정련(精練;Scouring)된 생지는 130℃에서 1시간 동안 염색 후에 190℃에서 20초 동안 열처리하였다.
가공된 직물의 폭은 60인치(inch)로, 경사 및 위사의 밀도는 183본/Inch, 99본/Inch 이었다. 얻어진 직물의 기능성을 측정 및 평가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3
직물의 경사로 단면 형상이 원형이고, 단사 섬도가 0.3데이어인 65de/204f 직접 연신사를 사용하고, 위사로는 돌출부가 없으며, TiO2 함량이 1.5중량%이고, 편평비가 4.0 수준인 일자형의 75de/72f 직접 연신사(SDY:Spin Draw Yarn)를 가연 가공 후에 에어제트룸(Air Jet Loom)으로 폭이 64인치(inch)이고 평직(Plain)인 생지를 제직하였다.
제직된 생지는 수산화나트륨(NaOH)의 농도가 30g/ℓ이고, 침투제(General Aniline and Film Corp. 사의 Leonil(레오닐))의 농도 10g/ℓ인 조건에서 30분 침적 후에 연속정련을 실시하였으며, 정련(精練;Scouring)된 생지는 130℃에서 1시간 동안 염색 후에 190℃에서 20초 동안 열처리하였다.
가공된 직물의 폭은 60인치(inch)로, 경사 및 위사의 밀도는 183본/Inch, 99본/Inch 이었다. 얻어진 직물의 기능성을 측정 및 평가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실시예 1
단면 형상이 원형이고, 단사 섬도가 0.3데이어인 65de/204f 직접 연신사
(SDY: Spin Draw Yarn)를 경사와 위사로 하여, 에어제트룸(Air Jet Loom)으로 폭이 64인치(inch)이고 평직(Plain)인 생지를 제직하였다.
제직된 생지는 수산화나트륨(NaOH)의 농도가 30g/ℓ이고, 침투제(General Aniline and Film Corp. 사의 Leonil(레오닐))의 농도가 10g/ℓ인 조건에서 30분 침적 후에 연속정련을 실시하였으며, 정련(精練;Scouring)된 생지는 130℃에서 1시간 동안 염색 후에 190℃에서 20초 동안 열처리하였다.
가공된 직물의 폭은 60인치(inch)로, 경사 및 위사의 밀도는 183본/Inch, 115본/Inch 이었다. 얻어진 직물의 기능성을 측정 및 평가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실시예 2
단면 형상이 원형이고, 단사섬도가 0.3데이어인 65de/204f 직접 연신사
(SDY:Spin Draw Yarn)를 경사로 하고, 위사로는 단면 형상이 원형이고, 가연 가공한 65de/204f를 사용하여, 에어제트룸(Air Jet Loom)으로 폭이 64인치(inch)이고 평직(Plain)인 생지를 제직하였다.
제직된 생지는 수산화나트륨(NaOH)의 농도가 30g/ℓ이고, 침투제(General Aniline and Film Corp. 사의 Leonil(레오닐))의 농도가 10g/ℓ인 조건에서 30분 침적 후에 연속정련을 실시하였으며, 정련(精練;Scouring)된 생지는 130℃에서 1시간 동안 염색 후에 190℃에서 20초 동안 열처리하였다.
가공된 직물의 폭은 60인치(inch)로, 경사 및 위사의 밀도는 183본/Inch, 115본/Inch 이었다. 얻어진 직물의 기능성을 측정 및 평가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실시예 3
단면 형상이 원형이고, 단사 섬도가 0.3데이어인 65de/204f 직접 연신사
(SDY:Spin Draw Yarn)를 경사로 하고, 위사로는 가연 가공한 75de/36f(16분할)를 사용하여, 에어제트룸(Air Jet Loom)으로 폭이 64인치(inch)이고 평직(Plain)인 생지를 제직하였다.
제직된 생지는 수산화나트륨(NaOH)의 농도가 30g/ℓ이고, 침투제(General Aniline and Film Corp. 사의 Leonil(레오닐))의 농도가 10g/ℓ인 조건에서 30분 침적 후에 연속정련을 실시하였으며,정련(精練;Scouring)된 생지는 130℃에서 1시간 동안 염색 후에 190℃에서 20초 동안 열처리하였다.
가공된 직물의 폭은 60인치(inch)로, 경사 및 위사의 밀도는 183본/Inch, 99본/Inch 이었다. 얻어진 직물의 기능성을 측정 및 평가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구분 세부항목 단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실시예1 비교실시예2 비교실시예3
직물구성 원사품종 경사 de/f SDY75/72 SDY65/204 SDY65/204 SDY65/204 SDY65/204 SDY65/204
위사 de/f SDY75/72 SDY75/72 DTY75/72 SDY65/204 DTY65/204 DTY 분할75/36
단면형상 경사 - 편평 원형 원형 원형 원형 원형
위사 - 편평 편평 편평 원형 원형 원형→삼각
밀도 경사 본/inch 162 183 183 183 183 183
위사 본/inch 112 99 99 115 115 99
직물평가 공기투과도 ㎤/㎠/sec 0.16 0.7 0.9 1.7 2.0 1.1
내수압 ㎜Aq 940 620 500 400미만 400미만 측정불가능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원사의 단면이 일자(-)형이거나 적어도 1개 이상의 요철을 가지며, 편평비가 2.0 이상인 편평사를 위사와 경사 중 적어도 하나로 사용하여 제직하되, 편평사는 TiO2 함량이 0.3∼3.0중량%인 것으로 제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직물로서, 제조된 폴리에스터 직물은 프리지아법으로 분석된 공기투과도(KS K 0570-1997)가 1.0㎤/㎠/sec 이하이며, 저수압법(KS K 0591-1999)으로 측정된 내수도가 400㎜Aq 이상이어서 통기성이 낮고 내수도가 우수하여 의류용으로는 착용감, 활동성 및 기능성을 요구하는 레저용 아웃-웨어(Out-Wear) 특히, 낮은 통기성 즉, 방풍성을 요구하는 등산복 또는 골프웨어나 투습 방수기능을 가지는 코트(Coat)나 점퍼(JUMPER)용으로 적합할 뿐만 아니라 산업용 의류로 특히, 낮은 통기성 즉, 차폐성을 요구하는 청정룸(Clean Room)에서 착용하는 무진의용으로 더욱 적합하며, 비의류용으로는 텐트, 우산, 침구 등의 홈 텍스타일 용으로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된 일자형 편평사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요철이 1개 이상인 일자형 편평사의 개략도,
도 3은 일자형 또는 1개 이상의 요철을 가지는 일자형 편평사를 사용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 직물 표면사진,
도 4는 원형단면의 극세사를 사용한 종래의 폴리에스터 직물의 표면사진,
도 5 는 편평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도시한 폴리에스터 섬유 단면 개략도.

Claims (5)

  1. 원사의 단면이 일자(-)형이거나 적어도 1개 이상의 요철을 가지며, 편평비가 2.0 이상인 편평사를 위사와 경사 중 적어도 하나로 사용하여 제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이 낮고 내수도가 우수한 폴리에스터 직물.
  2. 제 1항에 있어서, 편평사는 연신사 또는 가연 가공사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직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편평사는 이산화티탄(TiO2) 함량이 0.3∼3.0중량%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직물.
  4. 제 1항에 있어서, 프리지아법으로 분석된 공기투과도(KS K 0570-1997)가 1.0㎤/㎠/sec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직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저수압법(KS K 0591-1999)으로 측정된 내수도가 400㎜Aq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직물.
KR1020040043482A 2004-06-14 2004-06-14 폴리에스터 직물 KR200501183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482A KR20050118373A (ko) 2004-06-14 2004-06-14 폴리에스터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482A KR20050118373A (ko) 2004-06-14 2004-06-14 폴리에스터 직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373A true KR20050118373A (ko) 2005-12-19

Family

ID=37291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482A KR20050118373A (ko) 2004-06-14 2004-06-14 폴리에스터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837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187B1 (ko) * 2011-08-12 2013-11-07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자외선 차단 및 투습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진의 원단
KR20200023831A (ko) * 2018-08-27 2020-03-06 김진회 자동차용 하니스 테이프용 원단의 제조방법
JP2021066965A (ja) * 2019-10-18 2021-04-30 Kbセーレン株式会社 常圧カチオン可染性ポリエステル扁平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布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187B1 (ko) * 2011-08-12 2013-11-07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자외선 차단 및 투습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진의 원단
KR20200023831A (ko) * 2018-08-27 2020-03-06 김진회 자동차용 하니스 테이프용 원단의 제조방법
JP2021066965A (ja) * 2019-10-18 2021-04-30 Kbセーレン株式会社 常圧カチオン可染性ポリエステル扁平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布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21597A (zh) 阻燃织物和服装
AU2018345581B2 (en) Lyocell filament denim
Kan et al. Color properties of cellulase-treated cotton denim fabric manufactured by torque-free ring spun yarn
CN105019119A (zh) 一种阻燃抗静电双面绒布
WO2020158530A1 (ja) 撥水性織編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衣料
KR102171832B1 (ko) 복합 탄성사, 신축성 직물, 및 복합 탄성사의 제조방법
JP6864527B2 (ja) 人工皮革
CN109355937A (zh) 多组份人字呢及其制备方法
CN104389083A (zh) 御寒防晒的衣服面料
JP2020002495A (ja) 柄を有するアウター衣料用編地
KR20050118373A (ko) 폴리에스터 직물
CN216998750U (zh) 蚕丝牛仔面料
KR100659567B1 (ko) 폴리에스터 섬유 및 이를 이용한 직, 편물
CN103590173A (zh) 一种复合涤锦面料的生产工艺
KR20080066412A (ko) 다수열의 필름을 집적한 폴리에스터 직물
KR20030036445A (ko) 장섬유 코듀로이 직물의 제조방법
KR100488653B1 (ko) 신장성 공기교락사
KR101506870B1 (ko) 세섬 나일론 복합소재를 이용한 멜란지 효과 발현 초경량 박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제직물
CN111688309A (zh) 一种双层阻燃面料及其制作工艺
JP3155779U (ja) 衣料用裏地
CN105369439A (zh) 一种功能性面料
JP5012646B2 (ja) 分割型ポリアミド・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それからなる織編物、繊維製品
CN110714256A (zh) 一种防紫外防晒面料及其生产方法
CN111254550A (zh) 一种透气的化纤面料
CN109322037A (zh) 一种御寒防晒的衣服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