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567B1 - 폴리에스터 섬유 및 이를 이용한 직, 편물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터 섬유 및 이를 이용한 직, 편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567B1
KR100659567B1 KR1020050053513A KR20050053513A KR100659567B1 KR 100659567 B1 KR100659567 B1 KR 100659567B1 KR 1020050053513 A KR1020050053513 A KR 1020050053513A KR 20050053513 A KR20050053513 A KR 20050053513A KR 100659567 B1 KR100659567 B1 KR 100659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abric
section
polyester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규
이방희
김정규
Original Assignee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3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5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섬유 및 이를 이용한 직, 편물에 관한 것으로, 이형 단면을 갖는 방사 구금을 이용하여 1개 이상의 요철을 가지며, 적어도 1개 이상의 요부의 개구각이 120° 내지 150°인 이형단면을 갖는 폴리에스터 섬유를 얻고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하되 카버팩터(Cover Factor)가 1500 내지 3000이되도록 직,편물을 제조함으로서 목적은 촉감이 부드럽고 방풍성과 반발탄성이 우수한 직물을 제조하는 데 적합한 폴리에스터 섬유를 얻을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백화현상을 개선하고 반발특성이 불량해지는 단점을 개선한 직,편물을 얻을 수 있었다.
폴리에스터 섬유, 방풍성, 반발특성, 촉감

Description

폴리에스터 섬유 및 이를 이용한 직, 편물{Polyester fiber and the fabric and knit utiliz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된 M자 단면의 원사,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된 MM자 단면의 원사,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된 C자 단면의 원사,
도 4는 종래의 원형 단면사를 사용한 고밀도 직물의 표면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M자 단면의 원사를 사용한 고밀도 직물의 표면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된 방사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공정개략도,
도 7은 직립성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구금 (Spinneret) 2; 냉각챔버 (Quenching Chamber)
3; 급유 가이드 (Oil guide) 4; 제1고뎃롤 (Godet Roll 1)
5; 제2고뎃롤 (Godet Roll 2) 6; 제3고뎃롤 (Godet Roll 3)
7; 분리롤 (Seperate Roll) 8; 원사 (Cake)
본 발명은 겉보기 부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반발탄성이 우수한 이형단면의 폴리에스터사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한 것으로 부드러운 촉감과 우수한 방풍성과 반발탄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터 직물 또는 편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1개 이상의 요철을 가지며, 적어도 1개 이상의 요부의 개구각이 120° 내지 150°인 이형단면을 갖는 폴리에스터 섬유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직,편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풍성을 가지는 직물은 등산복 또는 골프웨어나 투습방수기능을 가지는 코트(Coat) 혹은 점퍼(JUMPER)용으로 사용되며, 차폐성을 요구하는 청정룸(Clean Room)에서 착용하는 무진의용으로도 적용이 가능하고, 또한 텐트, 우산 및 침구 등의 홈텍스타일 용으로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섬유의 표면에 파일을 형성시키는 직물로는 벨벳, 코듀로이 등이 대표적이며, 주로 의류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가구용과 카시트용 등의 산업 용도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환편 및 경편기로 제편하여 표면에 파일을 형성시킨 파일지는 부드러운 촉감과 부피감 및 반발탄성 등의 특성을 활용하여 카시트와 가구용 시트, 메트(Mat), 러그(Rug), 카페트(Carpet) 등과 같은 가정용 및 산업용으로 용도 전개가 가능하다.
스포츠용 섬유의 경우 방풍성, 흡수성, 보온성 등의 여러 가지의 기능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특히 경량감과 방풍성이 중요한 요구특성으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섬유에 방풍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직물을 구성하는 경사와 위사의 밀도를 높여 사간(絲間)의 간격을 좁혀 공극을 최소화하는 방법 즉, 고밀도 직물을 사용하는 방법 또는 직물의 표면에 폴리우레탄과 수지를 코팅하는 방법 및 기능성 필름을 직물에 접착시키는 라미레이팅공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직물에 있어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사섬도 2데니어 수준의 원사를 사용하여 고밀도 직물을 제조할 경우 직물의 촉감이 거칠고, 착용감이 불량한 단점이 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단사섬도가 1.0데니어 미만의 극세사를 사용할 경우에는 촉감은 개선되는 반면에 직물의 반발탄성이 불량하여 봉제 후에 제품의 품위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직물의 표면에 수지를 코팅하는 공법은 방풍성은 우수하나, 품질의 변동이 심하고 또한 코팅시 사용하는 유기용제로 인한 환경 문제을 수반하고, 유럽이나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코팅제품의 수입규제를 하고 있어 제품의 판매확대가 어렵다.
기능성 필름을 부착하는 라미레이팅(Laminating) 공법은 기능성은 우수하나 가공비가 비싸고, 세탁시에 기능성 필름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섬유표면에 파일을 형성시킨 파일섬유는 직물과 편물로 구분할 수 있다. 직물의 경우에는 경파일 직물인 벨벳, 위파일 직물인 코듀로이 및 면 또는 마와 같은 천연섬유 또는 인조섬유를 소재로 만든 직물에 터프터기(Tufting Machine)로 파일 을 형성하는 제품으로 구분할 수 있다.
벨벳과 코듀로이는 의류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근래 가구용 시트지, 침구 등과 같은 비의류용으로도 용도가 확대되고 있으며, 주로 면과 같은 천연소재의 방적사를 사용하고 있으나 근래에는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를 소재로 한 제품이 증가되고 있다.
벨벳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로서 바닥을 구성하는 경사와 위사는 단사섬도 2데니어 수준의 원사를 사용하고, 직물표면의 파일은 1.5데니어에서 1.0데니어 수준의 원사를 사용하고 있다. 벨벳의 촉감을 개선하기 위해서 1.0데니어 이하의 원사를 사용할 경우 촉감은 개선이 되나, 파일의 직립성이 떨어져 의류로 착용시에 마찰, 접촉에 의한 백화현상을 일으켜 품위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편물의 경우에는 경편과 환편으로 공법이 구분되며, 파일의 길이가 1.0㎜이상인 제품을 주로 생산하고 있고, 의류, 카시트, 완구 및 침구로 용도가 전개되고 있으며, 카시트는 품질규격이 까다롭기 때문에 용도 개발시에 카시트의 품질을 만족시킬 경우 기타 용도에는 쉽게 상품화가 가능하다. 카시트의 경우에도 의류용과 같이 촉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단사섬도가 1.0데니어 이하인 극세사를 사용해야 하나, 극세사를 사용할 경우 반발 탄성이 부족하여 사람이 앉은 흔적이 남는 백화현상(白化現象)으로 인해 사용이 불가능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일본의 경우에는 파일의 밀도를 높이고, 파일의 길이를 짧게 한 제품을 개발하여 카시트로 사용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파일밀도를 높이기 위해 기계적으로 조정하는 것 은 한계가 있고, 일본과 같이 고수축사를 사용하여 가공시에 축을 부여하여 밀도를 높이는 방법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고수축사의 품질이 불량하여 채택이 불가능하고, 또한 파일 길이을 짧게 하는 절단 기술이 부족하기 때문에 카시트의 품질이 일본산 대비 떨어지기 때문에 자동차의 품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촉감이 부드럽고 방풍성과 반발탄성이 우수한 직물을 제조하는 데 적합한 폴리에스터 섬유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섬유의 표면에 파일을 형성시키는 직물 또는 편물에 있어 파일의 직립성 즉, 반발탄성을 개선하여 카시트 및 가구용 시트에 사용시에 파일의 방향성에 의한 백화현상(白化現象)을 개선하며, 단사섬도 1.0데니어 이하의 극세사를 사용할 때 파일의 반발탄성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을 개선시킨 폴리에스터 직,편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들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표출되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형 단면을 갖는 방사 구금을 이용하여 1개 이상의 요철을 가지며, 적어도 1개 이상의 요부의 개구각이 120° 내지 150°인 이형단면을 갖는 폴리에스터 섬유를 얻고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하되 카버팩터(Cover Factor)가 1500 내지 3000이 되도록 직,편물을 제조함으로서 목적은 촉감이 부드럽고 방풍성과 반발탄성이 우수한 직물을 제조하는 데 적합한 폴리에스터 섬유를 얻을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백화현상을 개선하고 반발특성이 불량해지는 단점을 개선한 직,편물을 얻을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원사의 단면을 이형화와 극세화를 통해 고밀도직물로 제직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파일상의 표면을 가지는 직물과 편물의 문제점 개선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된 M자, MM자, C자 단면의 원사, 도 4는 종래의 원형 단면사를 사용한 고밀도 직물의 표면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M자 단면의 원사를 사용한 고밀도 직물의 표면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된 방사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공정개략도, 도 7은 직립성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터 섬유는 1개 이상의 요철을 가지며, 적어도 1개 이상의 요부의 개구각이 120° 내지 150°인 이형단면을 갖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터 직,편물은 1개 이상의 요철을 가지며, 적어도 1개 이상의 요부의 개구각이 120° 내지 150°인 이형단면을 갖는 폴리에스터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하되 카버팩터(Cover Factor)가 1500 내지 3000이 되도록 한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본 발명은 직물에서의 방풍성을 개선하기 위해 M자, MM자, C자형 단면을 갖는 이형 단면사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원형 단면사를 사용한 직물과 동일한 경사 및 위사의 밀도에서 사간의 공극을 작게 하는 방법으로 기존에는 편평사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편평사의 경우 편평한 단면형상으로 인해 직물에서 광(光)의 직반사로 인한 번들거림의 발생으로 직물의 품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 편평사의 단점인 번들거림을 개선하기 위해 빛을 난반사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요철을 가지는 단면으로 설계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이형단면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폴리에스터 일반 방사설비를 이용하여 제조되며, 용융된 폴리에스터 폴리머를 구금을 통해 285 ∼ 295℃의 방사온도로 방사하였다.
방사된 사는 편면냉각 또는 환상냉각방식으로 50℃까지 냉각하였다. 이때 냉각 방식은 사의 품종에 따라 결정되며, 단사섬도가 1.0데니어 이하이고 필라멘트수가 96이상일 경우에는 편면냉각보다는 환상냉각방식이 작업성 및 품질이 우수하다.
냉각된 원사는 오일 처리를 행한 다음, 연신 및 열처리하여 권취하였다. 오일처리는 단사섬도 및 방사속도에 따라 오일가이드방식과 오일롤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나, 방사장력에 의한 단면변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오일가이드방식이 더욱 좋다.
오일처리 된 원사는 폴리에스터 유리전이온도 이상인 80 ∼ 85℃의 온도로 가열된 후, 제1고뎃롤(4)과 제2고뎃롤(5)의 속도차에 의해 연신되며, 연신된 사의 폴리머 배향을 안정시키기 위해 즉, 연신사의 형태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3고뎃롤(6)에서 110 ∼ 130℃의 온도 범위로 열처리 하였다. 열처리된 원사에 집속성을 부여하기 위해 2.5 ∼ 3.5㎏/㎠의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교락 노즐에서 교락후, 권 취기(Winder)를 사용하여 단사섬도가 0.3 ∼ 2.5데니어이고, 필라멘트수가 24이상인 M자, MM자, C자형 단면을 가지는 원사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사는 요부의 개구각이 120° 내지 150°인 것이어야 한다. 개구각이 120° 미만일 경우에는 반발탄성이 만족스럽지 못한 단점이 있으며, 150°를 초과할 경우에는 직물에서 광의 직반사로 인한 번들거림의 발생으로 직물의 품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제조된 원사는 추가적인 가공없이 직물 또는 편물에 사용이 가능하고, 직물과 편물에서의 용도에 따라 연사, 가연가공 및 공기교락가공 등과 같은 가공을 통한 가공사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의류용으로 사용하는 고밀도 직물의 경우에는 천연섬유와 같은 촉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가연가공을 한 가연사를 사용한다. 이때 가연가공사를 사용한 고밀도 직물의 안정된 방풍성을 달성하기 위해 가연사의 교락수는 50 ∼ 150개/m 수준이 바람직하며, 80 ∼ 120개/m 수준이 더욱 좋다.
교락수가 50개/m 미만일 경우에는 집속부족으로 제직작업성이 불량해지고, 이로 인해 직물의 결점이 증가하는 품질문제가 발생되며, 교락수가 150개/m를 초과할 경우에는 교락된 부분에 공극이 발생하여 방풍성을 불량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원사의 단사섬도가 2.5데니어를 초과하면 직물의 촉감이 거칠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며, 단사섬도가 0.3데니어 미만일 경우에는 직접방사법으로 생산시 작업성이 불량하여 생산성이 떨어져 수율이 낮아지며, 단면의 굵기 및 단면 형상의 변동이 커지는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고밀도 직물에 있어서 경사와 위사의 밀도를 나타내는 커버펙터(Cover Factor)는 “경사밀도×√ 경사섬도 + 위사밀도 × √ 위사섬도”로 계산된다. 고밀도 직물의 커버펙터는 1500 ∼ 3000 수준이 효과적이며, 2000 ∼ 2700 수준이 더욱 바람직하다.
커버펙터가 1500 미만일 경우에는 방풍성이 불량하고, 3000을 초과할 경우에는 고밀도 직물로의 제직에 따른 제직작업성이 불량해지고 이로 인해 직물결점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직물의 표면에 파일형상을 갖는 섬유에 있어서도 제품의 요구특성에 따라 가연, 가연가공, 및 공기교락가공 등을 하여 사용한다.
파일형상을 가지는 직물로는 벨벳과 코듀로이가 대표적이며, 바닥을 구성하는 원사는 면과 같은 천연섬유와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를 같이 사용할 수 있고, 파일을 형성하는 원사를 폴리에스터 필라멘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연신사를 직접 사용하거나 또는 가연가공을 한 후 연사를 하여 사용한다.
가연가공사의 연사는 제직 작업성 및 품질에 문제가 없는 수준에서 결정하며, 꼬임의 수가 100개/m이상 150개/m이하 수준이 좋다.
파일을 가지는 편물은 경편지로서, 카시트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편물로 제조될 때 원사로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를 사용할 경우 파일이 형성된 표면의 광택으로 인해 품위가 떨어지고, 촉감이 불량하며, 또한 필라멘트사의 사염(絲染)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제품의 고급화가 불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한개 이상의 요철을 가지는 M자, MM자 및 C자형 단면을 갖는 이형단면사를 사용할 경우에는 단 면을 이형화하여 빛의 난반사를 통한 소광효과와 단사간의 공극을 극대화함으로써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를 사염이 가능하도록 개선할 수 있었다. 또한, 이형단면사의 극세화를 통해 부드러운 촉감과 반발탄성이 우수한 파일상을 가지는 편물지를 개발할 수 있었다.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있어서 특성 및 물성은 다음과 같은 측정 및 평가하였다.
(1) 방풍성
통기도를(Air Permeability)는 TEXTEST사의 FX3300기종으로 측정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기도가 낮을수록 방풍성은 우수하다.
(2) 직립성
JIS L 1096의 일반직물시험방법에서의 강연성 평가방법인 8.19.2 B법과 동일하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폭 : 2㎝, 길이:25㎝)상의 시료를 만들어 중앙부에서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된 높이가 클수록 반발탄성이 우수하다.
(3) 촉감
원형단면을 가지고 단사섬도가 2데니어인 표준사를 사용한 제품과 촉감의 차이를 표기하다.
- ◎ : 1.0데니어 이하의 극세사를 사용한 제품과 동일수준의 촉감
- △ : 표준사(75de/36f)을 사용한 제품보다 우수한 촉감
- × : 표준사(75de/36f)을 사용한 제품과 동일수준의 촉감
(4) 부피감(Volume)
원형단면을 가지고 단사섬도가 2데니어인 표준사를 사용한 제품과 부피감의 차이를 기준을 표기하였다.
- ◎ : 표준사보다 매우우수
- △ : 표준사보다 우수
- × : 표준사와 동일수준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를 가지는 M자 단면의 직접방사연신사(SDY : Spin Draw Yarn)를 150de/72f 사용하여 워터제트룸(Water Jet Loom)으로 폭이 64인치(inch)이고 평직(Plain)인 생지를 제직하였다. 제직된 생지를 수산화나트륨(NaOH)의 농도가 30g/ℓ이고, 침투제의 농도가 10g/ℓ인 조건에서 30분 침적 후에 연속정련을 실시하였다. 정련(精練;Scouring)된 생지는 130℃에서 1시간동안 염색 후에 190℃에서 20초 열처리하였다.
가공된 직물의 폭은 60인치(inch)로, 경사 및 위사의 밀도는 120본/Inch, 76본/Inch 이었다. 얻어진 직물의 물성을 측정 및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를 가지는 MM(Double M자)자 단면의 직접방사 연신사(SDY : Spin Draw Yarn)을 150de/72f 사용하여 워터제트룸(Water Jet Loom)으로 폭이 64인치(inch)이고 평직(Plain)인 생지를 제직하였다.
제직된 생지는 수산화나트륨(NaOH)의 농도가 30g/ℓ이고, 침투제의 농도가 10g/ℓ인 조건에서 30분 침적 후에 연속정련을 실시하였다.
정련(精練;Scouring)된 생지는 130℃에서 1시간동안 염색 후에 190℃에서 20초 열처리하였다. 가공된 직물의 폭은 60인치(inch)로, 경사 및 위사의 밀도는 120본/Inch, 76본/Inch 이었다. 얻어진 직물의 물성을 측정 및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3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를 가지는 M자 단면의 직접방사연신사(SDY : Spin Draw Yarn)을 150de/144f 사용하여 워터제트룸(Water Jet Loom)으로 폭이 64인치(inch)이고 평직(Plain)인 생지를 제직하였다.
제직된 생지는 수산화나트륨(NaOH)의 농도가 30g/ℓ이고, 침투제의 농도가 10g/ℓ인 조건에서 30분 침적 후에 연속정련을 실시하였다.
정련(精練;Scouring)된 생지는 130℃에서 1시간동안 염색 후에 190℃에서 20초 열처리하였다. 가공된 직물의 폭은 60인치(inch)로, 경사 및 위사의 밀도는 120본/Inch, 76본/Inch 이었다. 얻어진 직물의 물성을 측정 및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4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를 가지는 M자단면의 직접방사연신사(SDY ; Spin Draw Yarn)을 공기교락 가공한 320de/144f을 사염한 가공사를 파일용으로 사용하여 라셀(Raschel)기로 제편 후에 염색 및 가공을 하였다. 이때 바닥(Ground)을 구성하는 원사는 폴리에스터 직접방사연신사 100de/36f를 사용하였으며, 가공지의 파일의 길이는 2.0㎜이고, 중량은 1000g/㎡ 이었다. 얻어진 경편지의 물성을 측정 및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5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자 단면을 가지는 300de/576f 가연가공사를 연사하여 3200de/5184f를 만들었다. 연사된 가공사는 사염 후에 파일의 밀도가 9개/in이고, 중량이 264g인 40㎝×70㎝ 크기의 매트를 터프터기(Tufting Machine)로 제직하였다. 얻어진 매트의 물성을 측정 및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6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자 단면을 가지는 300de/576f 가연가공사를 연사하여 2700de/5184f를 만들었다. 연사된 가공사는 사염 후에 파일의 밀도가 9개/in 이고, 중량이 220g인 40㎝×70㎝ 크기의 매트를 터프터기(Tufting Machine)로 제직하였다. 얻어진 매트의 물성을 측정 및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비교 실시예 1
원형 단면의 직접방사연신사(SDY:Spin Draw Yarn) 150de/72f을 사용하여 워터제트룸(Water Jet Loom)으로 폭이 64인치(inch)이고 평직(Plain)인 생지를 제직하였다. 제직된 생지는 수산화나트륨(NaOH)의 농도가 30g/ℓ이고, 침투제의 농도가 10g/ℓ인 조건에서 30분 침적 후에 연속정련을 실시하였다. 정련(精練;Scouring)된 생지는 130℃에서 1시간동안 염색 후에 190℃에서 20초 열처리하였다. 가공된 직물의 폭은 60인치(inch)로, 경사 및 위사의 밀도는 120본/Inch, 76본/Inch 이었다. 얻어진 직물의 물성을 측정 및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 실시예 2
편평 단면의 단사섬도가 2데니어인 폴리에스터 단섬유를 사용한 방적사 30s를 2합사한 것을 파일용 원사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제편 및 가공을 진행하였다. 얻어진 경편지의 물성을 측정 및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비교 실시예 3
원형 단면의 직접방사연신사(SDY ; Spin Draw Yarn)을 공기교락 가공한 320de/144f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제편 및 가공을 진행하였다. 얻어진 경편지의 물성을 측정 및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비교 실시예 4
원형단면을 가지는 300de/576f 가연가공사를 연사하여 3200de/5184f를 만들었다. 연사된 가공사는 사염 후에 파일의 밀도가 9개/in이고, 중량이 264g인 40㎝×70㎝ 크기의 매트를 터프터기(Tufting Machine)로 제직하였다. 얻어진 매트의 물성을 측정 및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형 단면을 갖는 방사 구금을 이용하여 1개 이상의 요철을 가지며, 적어도 1개 이상의 요부의 개구각이 120° 내지 150°인 이형단면을 갖는 폴리에스터 섬유를 얻고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하되 카버팩터 (Cover Factor)가 1500 내지 3000이 되도록 직,편물을 제조함으로서 목적은 촉감이 부드럽고 방풍성과 반발탄성이 우수한 직물을 제조하는 데 적합한 폴리에스터 섬유를 얻을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백화현상을 개선하고 반발특성이 불량해지는 단점을 개선한 직,편물을 얻을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원사의 단면을 이형화와 극세화를 통해 고밀도직물로 제직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파일상의 표면을 가지는 직물과 편물의 문제점 개선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은 방풍성이 우수한 직물과 파일상의 표면을 가지는 직물과 편물에 있어서 파일의 반발탄성을 확보함으로써 종래의 제품의 결점을 개선하여 섬유의 용도를 의류용에서 비의류용으로 확대할 수 있었다. 특히, 방풍성을 가지는 직물의 경우 신성장 산업 중의 하나인 반도체, LCD, PDP 생산 공정에 착용하는 높은 청정도에 적합한 방진복에 기술의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 파일상을 가지는 카시트의 파일사는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의 부피감 및 반발탄성의 부족으로 방적사의 사용에 따른 제조원가의 상승과 또한 봉제 및 시트를 자동차에 장착후에 마찰에 의한 낙모(落毛)발생으로 인한 오염발생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써 방적사 대비 품질 및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Claims (4)

1개 이상의 요철을 가지며, 적어도 1개 이상의 요부의 개구각이 120° 내지 150°인 이형단면을 가지는 원사를 연사, 가연 가공 또는 공기 교락 가공을 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섬유.
청구항 1에 있어서, 단사섬도가 0.3데니어 이상 2.5데니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섬유.
삭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에스터 섬유를 이용하여 카버펙터(Cover Factor)가 1500 이상 3000 미만으로 제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직물.
KR1020050053513A 2005-06-21 2005-06-21 폴리에스터 섬유 및 이를 이용한 직, 편물 KR100659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513A KR100659567B1 (ko) 2005-06-21 2005-06-21 폴리에스터 섬유 및 이를 이용한 직, 편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513A KR100659567B1 (ko) 2005-06-21 2005-06-21 폴리에스터 섬유 및 이를 이용한 직, 편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9567B1 true KR100659567B1 (ko) 2006-12-19

Family

ID=37814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513A KR100659567B1 (ko) 2005-06-21 2005-06-21 폴리에스터 섬유 및 이를 이용한 직, 편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5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1110A (zh) * 2013-11-04 2014-01-29 吴江市祥盛纺织品有限公司 多功能异形纤维面料
KR20160147300A (ko) 2015-06-15 2016-12-23 주식회사 제로콤 통기성과 보온성 및 신축성이 향상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2721A (ja) * 1998-02-09 1999-08-17 Asahi Chem Ind Co Ltd ポリエステル異型断面マルチフィラメントおよびその製造法ならびに編織物
KR20040068509A (ko) * 2004-06-04 2004-07-31 주식회사 대림텍스 직물지 및 그 차량용 시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2721A (ja) * 1998-02-09 1999-08-17 Asahi Chem Ind Co Ltd ポリエステル異型断面マルチフィラメントおよびその製造法ならびに編織物
KR20040068509A (ko) * 2004-06-04 2004-07-31 주식회사 대림텍스 직물지 및 그 차량용 시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1110A (zh) * 2013-11-04 2014-01-29 吴江市祥盛纺织品有限公司 多功能异形纤维面料
KR20160147300A (ko) 2015-06-15 2016-12-23 주식회사 제로콤 통기성과 보온성 및 신축성이 향상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27367C1 (ru) Искусственная кожа со сверхтонкими волокнами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11174577B2 (en) Brushed circular knitted fabric
KR100540558B1 (ko) 잠재 신축성 공기교락사 및 상기 사로 제조한 신축성스웨이드조 직물
JP2012057265A (ja) 高密度織物
JP2010196213A (ja) 織物
KR102171832B1 (ko) 복합 탄성사, 신축성 직물, 및 복합 탄성사의 제조방법
KR100737976B1 (ko) 신장성 공기교락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직물의제조 방법
CN100540774C (zh) 织物及其制造方法
US6342456B1 (en) Polypropylene outdoor fabric
KR100659567B1 (ko) 폴리에스터 섬유 및 이를 이용한 직, 편물
Nergis et al. Properties of plain knitted fabrics from chenille yarns
KR100690070B1 (ko) 폴리에스터 극세 이형 단면사용 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이형 단면사의 제조방법
KR100488653B1 (ko) 신장성 공기교락사
US10590570B2 (en) Thin woven fabric
KR100813891B1 (ko) 오염물 제거용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0036445A (ko) 장섬유 코듀로이 직물의 제조방법
KR100829477B1 (ko) 스웨드 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편물
JP2014101606A (ja) カーペット用パイル糸ならびにカットパイルカーペットとその製造方法
JP2020084401A (ja) 学生服用編地及び学生服
JP7352142B2 (ja) 人工皮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1152849A (ja) 内装用パイル布帛
JP2019214814A (ja) 紡績糸および織編物
JP7367407B2 (ja) 複合仮撚加工糸及びそれからなる織編物
EP3199676A1 (en) Yarn, fabric manufactured using same, and product
KR100624147B1 (ko) 스웨드 효과가 우수한 극세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