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070B1 - 폴리에스터 극세 이형 단면사용 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이형 단면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터 극세 이형 단면사용 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이형 단면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070B1
KR100690070B1 KR1020060054412A KR20060054412A KR100690070B1 KR 100690070 B1 KR100690070 B1 KR 100690070B1 KR 1020060054412 A KR1020060054412 A KR 1020060054412A KR 20060054412 A KR20060054412 A KR 20060054412A KR 100690070 B1 KR100690070 B1 KR 100690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spinneret
roll
cross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규
김정규
김민철
Original Assignee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4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5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8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극세 이형 단면사용 방사구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방사구금은 중앙에 요철이 있는 슬리트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방사구금을 이용하여 열가소성 폴리머를 200∼300℃의 온도로 토출홀 단위 면적당 폴리머 토출량을 5 내지 20으로 하고, 방사된 원사를 편면챔버 또는 인-아웃(In-Out)이나 아웃-인(Out-In) 방식의 환상챔버(Radial Chamber)를 사용하여 냉각 공기의 풍속이 0.1 내지 0.3이 되도록 냉각시키고, 고뎃롤1, 고뎃롤2를 통하여 연신시키고, 고뎃롤3에서 열처리 한 후 권취기에서 4000m/min 내지 6000m/min으로 권취시켜 이형 단면사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단사 섬도 1.0 데니어 이하인 극세 이형 단면사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렇게 생산된 원사를 벨벳, 코듀로이 카페트 등의 단모 섬유 편직물에 이용할 경우 기존 폴리에스터 원사로 얻을 수 없는 뛰어난 파일 직립성 및 감촉성과 차폐성을 얻을 수 있게 되며, 빛의 반사를 균일하게 하여 방향에 따른 광택차를 최소로 한 고품격의 원단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폴리에스터, 이형단면사, 극세사, 연신사, 방사구금, 직립성, 광택

Description

폴리에스터 극세 이형 단면사용 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이형 단면사의 제조방법{Spinneret for the the polyester shaped yar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haped yarn}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된 요철을 가진 토출홀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이형단면 섬유의 이형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된 아웃-인(Out-In)방식의 환상냉각에 대한 개략설명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된 인-아웃(In-Out)방식의 환상냉각에 대한 개략설명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방사공정의 예를 나타낸 공정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구금 2; 냉각 챔버
3; 급유가이드 4; 고뎃롤1
5; 고뎃롤2 6; 고뎃롤3
7; 분리롤 8; 원사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극세 이형 단면사용 방사구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열가소성 폴리머를 중앙에 요철이 있는 슬리트 형태의 극세 이형 단면사용 방사구금을 이용하여 이형화와 극세화를 통해 직물 또는 편물의 촉감을 부드럽게 하고, 파일물의 직립성을 높이고, 원사 간의 공극을 최소화함으로써 보온성 및 차폐성, 파일 직립성 및 부드러운 촉감이 요구되는 섬유 제조할 수 있는 폴리에스터 극세 이형 단면사용 방사구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폐성 및 감촉성은 일반적으로 원단의 경사 및 위사의 밀도가 고밀도인 경우에 요구되어 지는 특성으로, 고밀도 직물 제직용으로 사용되는 원사는 일반적으로 단사 섬도가 1.0데니어 미만의 원형단면 극세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단사 섬도가 1.0데니어 이상의 일반사를 사용하면, 직물의 촉감이 거칠어 지고, 차폐성이 떨어지며 착용감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동일한 경사 및 위사 밀도에서 동일한 섬도의 원사를 사용할 경우에 단사 섬도가 적을수록, 즉 필라멘트 수가 많을수록 직물의 차폐성과 감촉성은 향상되는 특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극세사를 사용하여 고밀도 직물을 제직하는 경우에는 소재 원사의 가격이 고가이고, 제직 작업성이 까다로워 품질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더욱이, 일반 극세사의 경우에는 제직후 필라멘트의 편평화에 의한 광택 때문에 직물의 품위가 떨어지게 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해소시키기 위해 가연가공을 하여 광택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가공비 및 수율 때문에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차폐성 및 감촉성이 우수하여 무진의 또는 스포츠 의류 등에 적용가능한 이형 단면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0055877호 및 동 제2004-0081668호를 비롯하여 다수의 특정한 구성을 갖는 방사구금을 이용한 이형 단면사의 제조방법에 대해여 특허를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들이 단사 섬도 1.0데니어 이하인 극세 이형 단면사를 보다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하는 측면과 단모 섬유 편직물에 이용할 경우 폴리에스터 원사로 얻을 수 없는 뛰어난 파일 직립성 및 감촉성과 차폐성을 얻을 수 있게 하는 등의 측면에서 완전히 만족할 만한 것만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자 등은 상기 종래기술을 바탕으로 더욱 연구하여 생산 안정성이 우수한 본원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직물 또는 편물의 요구 특성에 따라 파일 직립성, 광택, 촉감, 차폐성 등의 특성을 적용할 수 있는 마름모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1.0 데니어 미만의 극세 이형 단면사를 제공할 수 있는 극세 이형 단면사용 방사구금을 제 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단사 섬도가 0.5 데니어 이하이면서, 필라멘트 수가 100 이상이고 이형도가 3.0 이상인 극세 이형단면사를 방사작업성이 우수하면서도, 우수한 원사 품질도 확보할 수 있으며, 기존 원형단면의 극세사나, 요철이 없는 일반 편평단면 극세사에 있어 번들거리는 광택 및 파일 방향에 따른 광택차에 의한 제품의 품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개선한 극세 이형단면사를 제공할 수 있는 극세 이형 단면사용 방사구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특징을 갖는 이형 단면사를 보다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 등은 방사구금을 개량하고, 방사조건 및 냉각 조건을 최적화 함으로써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 극세 이형 단면사용 방사구금은;
하기식 (1) 내지 (5);
0.050 ≤ d < a ≤ 0.15 ....... (1)
2.3≥a/d...................... (2)
1.2 ≤D/a≤ 2.2 .............. (3)
4.0 ≤b/D .................... (4)
Hn/An≤0.06....................(5)
[상기 식에서, a : 슬리트의 최대폭(㎜)
d : 각 슬리트 끝 부분의 라운드 처리된 직경(mm)
D : 요철부 폭(mm)
b : 슬리트 길이(mm)
Hn : 천공된 홀 수
An : 천공가능한 구금의 면적(㎟)이다.]
를 만족하며 중앙에 요철이 있는 슬리트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폴리에스터 극세 이형 단면사의 제조 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일 구성에 따른 방사구금을 이용하여 열가소성 폴리머를 200~300℃의 온도로 토출홀 단위 면적당 폴리머 토출량이 하기 식(6)을 만족하고, 방사된 원사를 편면챔버 또는 인-아웃(In-Out)이나 아웃-인(Out-In) 방식의 환상챔버(Radial Chamber)를 사용하여 냉각 공기의 풍속이 0.1 내지 0.3이 되도록 냉각시키고, 고뎃롤1, 고뎃롤2를 통하여 연신시키고, 고뎃롤3에서 열처리 한 후 권취기에서 4000m/min 내지 6000m/min으로 권취시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5 ≤ Q ≤ 20 ................ (6)
[상기 식에서, Q : 천공된 단위 면적당 폴리머의 토출량 (g/min.㎟)].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고로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된 요철을 가진 토출홀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이형단면 섬유의 이형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단위 토출공의 슬리트 최대폭(a)이 0.05mm 미만일 경우 방사구금의 제작 정밀도가 떨어지고 구금 세정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0.15mm를 초과할 경우에는 원사의 이형도가 3.0 이상인 극세 이형 단면사의 제조가 불가능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마름모 형태의 이형 단면사를 얻기 위해 양 끝부분을 슬리트 최대 폭보다 작게 제작해야 하며, 최대폭과의 길이 비가 2.3 이상일 경우 이형도가 3.0 이상인 극세 이형 단면사의 중앙부에 요철을 제작할 수 없게 된다.
구금 중앙의 요철부의 폭은 상기 식(3)을 만족하여야 단면 중앙부에 원형의 요철이 있는 마름모 형태의 이형 극세사를 얻을 수 있으며, 1.2 이하일 경우 원형의 요철부가 미약해지며, 2.2 이상일 경우 요철부의 면적이 커지게 되어 광택효과가 반감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원사에서의 이형도 즉, 원사 단면에서 원형의 요철부에 대한 슬리트 길이비가 3.0 이상을 가지는 극세 이형단면사를 얻기 위해서는 요철부와 슬리트 길이 비가 (b/D) 가 4.0 이상이어야 한다.
한편, 이형 극세사 제조에 있어서, 방사 안정성 및 일정한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균일한 냉각이 필수 조건이다. 균일한 냉각을 위해서 슬리트 형태의 천공 홀 밀도를 식(5)를 만족하도록 설계해야 한다.
도 5와 같이 편면 냉각의 일반적인 방사설비를 사용할 경우 홀 밀도가 0.03개/㎟를 초과하면 불균일 냉각으로 인해 원사의 단면이 불균일해지고, 단사간의 이형도의 편차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편면 냉각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냉각방식을 인-아웃(In-Out) 또는 아웃-인(Out-In) 방식의 환상 냉각으로 변경할 경우 홀 밀도가 0.06개/㎟이하에서는 안정된 품질 및 작업성의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환상냉각 방식에도 홀 밀도가 0.06개/㎟를 초과할 경우에는 편면냉각 방식과 동일한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환상냉각 방식에 있어서 극세 이형 단면사의 구금의 홀 밀도는 0.06개/㎟이하가 되어야 하고, 안정된 품질과 우수한 작업성을 얻기 위해서는 0.05개/㎟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마름모형의 단위 홀에서 단위 면적당 폴리머의 토출량은 상기 식(6)을 만족하여야 한다. 단위 면적당 폴리머 토출량(Q)이 5g/min.mm2이하인 경우에는 토출량이 적어서 폴리머의 토출 상태가 불균일하고, 이로 인하여 방사 작업성이 매우 불량해지는 폐단이 있으며, 폴리머의 균일한 토출을 위해 토출량을 20g/min.mm2이상으로 설계할 경우, 홀의 미세가공이 필요하고 양산을 위한 다량의 구금 제작에 한계를 가져 올뿐만 아니라 구금의 제작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미세가공을 할 경우에는 제작시 발생하는 이물에 의한 막힘 현상이 일어나 구금 제작에 있어 불량율 발생이 높아지고, 이로 인하여 폴리머의 토출을 방해하여 방사 작업성 및 사의 품질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마름모 형태로 천공된 홀에서 최적의 토출량은 미연신사에서의 이형도가 연신사에서의 이형도가 같을 때 최적의 방사성과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토출량이 적어 폴리머의 토출량이 불안정할 경우 미연신사의 이형도가 연신사의 이형도보다 작은 특성을 나타내므로 우수한 작업성 및 품질의 확보를 위해서 토출량(Qn)을 7.0g/min.mm2 내지 15g/min.mm2 수준으로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금에서 토출된 사는 냉각풍에 의해 고화되며, 이때 냉각풍의 온도는 19∼25℃가 되도록 조절하고, 풍속은 0.2∼0.3m/s범위가 되도록 조절한다. 고화된 사는 구금표면에서 800∼1400mm 아래에 설치된 오일가이드에서 방사유제로 처리된다. 이때 방사유제로는 하이멀티사에 사용되는 일반 유제로 처리하고, 홀의 형태와 유사한 슬리트 형태의 오일가이드를 선택하고,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5의 고뎃롤1(4)과 고뎃롤2(5)에서 연신에 필요한 온도, 즉 폴리에스터의 글라스 전이 온도 이상으로 열을 받고 고뎃롤1(4)과 고뎃롤3(6)과의 표면속도차에 의해 연신된 후, 고뎃롤3(6)에서 열처리 되고 4,000m/min 이상 6,000m/min 이하의 속도로 권취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 보다 자세히 설명하며, 각 실시예에 있어서 각종 물성 및 특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 또는 평가하였다.
(1) 섬도, 강도 및 신도는 JIS L1013법으로 측정하였다.
(2) 원사의 이형도는 요철부에서 슬리트 길이 비로 측정하였다.
(3) 방사 작업성은 풀보빈(Full Bobbin)률(이하, "F.B률"로 표기)로 평가하였다.
○ : 95%이상, △ : 90%이상, 95%미만, × : 90%미만
(4)단면 변동율은 평균단면적에 대한 편차의 비로 평가하였으며 분석기기는 브라이트 인스트루먼트 컴파니(BRIGHT INSTRUMENT COMPANY)사의 OPTIPOT-2 Model과 Image Analyzer를 사용하였다.
○ : 10%미만, △ : 10%이상, 13%미만, × : 13%이상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산화티탄 함량이 0.4중량%인 극한점도(η)=0.652 수준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방사온도 285℃로 도 1과 같이 중앙에 원형의 1개의 요철부를 가지는 슬리트 최대폭(a)이 0.07mm이고, 슬리트 양 끝단의 라운드 처리된 부분의 폭(d)이 0.06mm 이며, 요철부의 직경(D)이 0.09mm 이고, 슬리트 길이(b)가 0.60mm로 천공된 구금을 사용하여 단위 면적당 토출량 10.68g/min.mm2수준으로 방사하였다.
방사된 사는 편면 냉각 방식으로 0.4m/sec의 풍속으로 냉각시켰다. 고화된 도 3의 공정에서 고뎃롤 1과 고뎃롤 2에서 81℃로 연신에 필요한 온도를 부여하고, 1.75배로 연신한 다음 고뎃롤 3에서 123℃로 열처리 한 후 5,000m/min속도로 권취하여 마름모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연신사 (75de/72f)를 얻었다. 얻어진 연신사의 물성 및 특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이산화티탄 함량이 0.4중량%인 극한점도(η)=0.652 수준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방사온도 285℃로 도 1과 같이 중앙에 원형의 1개의 요철부를 가지는 슬리트 최대폭(a)이 0.06mm이고, 슬리트 양 끝단의 라운드 처리된 부분의 폭(d)이 0.05mm 이며, 요철부의 직경(D)이 0.08mm 이고, 슬리트 길이(b)가 0.54mm로 천공된 구금을 사용하여 단위 면적당 토출량 8.19g/min.mm2수준으로 방사하였다.
방사된 사는 편면 냉각 방식으로 0.30m/sec의 풍속으로 냉각시켰다. 고화된 도 3의 공정에서 고뎃롤 1과 고뎃롤 2에서 81℃로 연신에 필요한 온도를 부여하고, 1.72배로 연신한 다음 고뎃롤 3에서 123℃로 열처리 한 후 4,500m/min속도로 권취하여 마름모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연신사 (50de/72f)를 얻었다. 얻어진 연신사의 물성 및 특성을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이산화티탄 함량이 0.4중량%인 극한점도(η)=0.652 수준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방사온도 285℃로 도 1과 같이 중앙에 원형의 1개의 요철부를 가지는 슬리트 최대폭(a)이 0.06mm이고, 슬리트 양 끝단의 라운드 처리된 부분의 폭(d)이 0.05mm 이며, 요철부의 직경(D)이 0.09mm 이고, 슬리트 길이(b)가 0.45mm로 천공된 구금을 사용하여 단위 면적당 토출량 6.72g/min.mm2수준으로 방사하였다.
방사된 사는 편면 냉각 방식으로 0.30m/sec의 풍속으로 냉각시켰다. 고화된 도 3의 공정에서 고뎃롤 1과 고뎃롤 2에서 81℃로 연신에 필요한 온도를 부여하고, 1.72배로 연신한 다음 고뎃롤 3에서 123℃로 열처리 한 후 4,500m/min속도로 권취하여 마름모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연신사 (50de/96f)를 얻었다. 얻어진 연신사의 물성 및 특성을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이산화티탄 함량이 0.4중량%인 극한점도(η)=0.652 수준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방사온도 285℃로 도 1과 같이 중앙에 원형의 1개의 요철부를 가지는 슬리트 최대폭(a)이 0.06mm이고, 슬리트 양 끝단의 라운드 처리된 부분의 폭(d)이 0.05mm 이며, 요철부의 직경(D)이 0.09mm 이고, 슬리트 길이(b)가 0.50mm로 천공된 구금을 사용하여 단위 면적당 토출량 6.72g/min.mm2수준으로 방사하였다.
방사된 사는 도 3과 같은 아웃-인 방식으로 0.25m/sec의 풍속으로 냉각시켰다. 고화된 도 3의 공정에서 고뎃롤 1과 고뎃롤 2에서 80℃로 연신에 필요한 온도를 부여하고, 1.69배로 연신한 다음 고뎃롤 3에서 123℃로 열처리 한 후 4,500m/min속도로 권취하여 마름모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연신사 (75de/144f)를 얻 었다. 얻어진 연신사의 물성 및 특성을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이산화티탄 함량이 0.4중량%인 극한점도(η)=0.652 수준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방사온도 285℃로 도 1과 같이 중앙에 원형의 1개의 요철부를 가지는 슬리트 최대폭(a)이 0.06mm이고, 슬리트 양 끝단의 라운드 처리된 부분의 폭(d)이 0.05mm 이며, 요철부의 직경(D)이 0.09mm 이고, 슬리트 길이(b)가 0.45mm로 천공된 구금을 사용하여 단위 면적당 토출량 6.72g/min.mm2수준으로 방사하였다.
방사된 사는 도 4와 같은 인-아웃 방식으로 0.25m/sec의 풍속으로 냉각시켰다. 고화된 도 3의 공정에서 고뎃롤 1과 고뎃롤 2에서 80℃로 연신에 필요한 온도를 부여하고, 1.69배로 연신한 다음 고뎃롤 3에서 123℃로 열처리 한 후 4,500m/min속도로 권취하여 마름모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연신사 (75de/144f)를 얻었다. 얻어진 연신사의 물성 및 특성을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이산화티탄 함량이 0.4중량%인 극한점도(η)=0.652 수준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방사온도 285℃로 도 1과 같이 중앙에 원형의 1개의 요철부를 가지는 슬리트 최대폭(a)이 0.06mm이고, 슬리트 양 끝단의 라운드 처리된 부분의 폭(d)이 0.05mm 이며, 요철부의 직경(D)이 0.09mm 이고, 슬리트 길이(b)가 0.45mm로 천공된 구금을 사용하여 단위 면적당 토출량 6.72g/min.mm2수준으로 방사하였다.
방사된 사는 편면 냉각 방식으로 0.25m/sec의 풍속으로 냉각시켰다. 고화된 도 3의 공정에서 고뎃롤 1과 고뎃롤 2에서 80℃로 연신에 필요한 온도를 부여하고, 1.69배로 연신한 다음 고뎃롤 3에서 123℃로 열처리 한 후 4,500m/min속도로 권취하여 마름모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연신사 (75de/144f)를 얻었다. 얻어진 연신사의 물성 및 특성을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이산화티탄 함량이 0.4중량%인 극한점도(η)=0.652 수준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방사온도 285℃로 도 1과 같이 중앙에 원형의 1개의 요철부를 가지는 슬리트 최대폭(a)이 0.06mm이고, 슬리트 양 끝단의 라운드 처리된 부분의 폭(d)이 0.05mm 이며, 요철부의 직경(D)이 0.08mm 이고, 슬리트 길이(b)가 0.34mm로 천공된 구금을 사용하여 단위 면적당 토출량 9.16g/min.mm2수준으로 방사하였다.
방사된 사는 편면 냉각 방식으로 0.25m/sec의 풍속으로 냉각시켰다. 고화된 도 3의 공정에서 고뎃롤 1과 고뎃롤 2에서 80℃로 연신에 필요한 온도를 부여하고, 1.69배로 연신한 다음 고뎃롤 3에서 123℃로 열처리 한 후 4,500m/min속도로 권취하여 마름모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연신사 (75de/144f)를 얻었다. 얻어진 연신사의 물성 및 특성을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이산화티탄 함량이 0.4중량%인 극한점도(η)=0.652 수준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방사온도 285℃로 도 1과 같이 중앙에 원형의 1개의 요철부를 가지는 슬리트 최대폭(a)이 0.06mm이고, 슬리트 양 끝단의 라운드 처리된 부분의 폭(d)이 0.05mm 이며, 요철부의 직경(D)이 0.12mm 이고, 슬리트 길이(b)가 0.54mm로 천공된 구금을 사용하여 단위 면적당 토출량 4.71g/min.mm2수준으로 방사하였다.
방사된 사는 편면 냉각 방식으로 0.25m/sec의 풍속으로 냉각시켰다. 고화된 도 3의 공정에서 고뎃롤 1과 고뎃롤 2에서 80℃로 연신에 필요한 온도를 부여하고, 1.69배로 연신한 다음 고뎃롤 3에서 123℃로 열처리 한 후 4,500m/min속도로 권취하여 마름모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연신사 (75de/144f)를 얻었다. 얻어진 연신사의 물성 및 특성을 표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42334792-pat00001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 극세 이형 단면사용 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이형 단면사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단사 섬도 1.0 데니어 이하인 극세 이형 단면사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렇게 생산된 원사를 벨벳, 코듀로이 카페트 등의 단모 섬유 편직물에 이용할 경우 기존 폴리에스터 원사로 얻을 수 없는 뛰어난 파일 직립성 및 감촉성과 차폐성을 얻을 수 있게 되며, 빛의 반사를 균일하게 하여 방향에 따른 광택차를 최소로 한 고품격의 원단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하기식 (1) 내지 (5);
    0.050 ≤ d < a ≤ 0.15 ....... (1)
    2.3≥a/d...................... (2)
    1.2 ≤D/a≤ 2.2 .............. (3)
    4.0 ≤b/D .................... (4)
    Hn/An≤0.06....................(5)
    [상기 식에서, a : 슬리트의 최대폭(㎜)
    d : 각 슬리트 끝 부분의 라운드 처리된 직경(mm)
    D : 요철부 폭(mm)
    b : 슬리트 길이(mm)
    Hn : 천공된 홀 수
    An : 천공가능한 구금의 면적(㎟)이다.]
    를 만족하며 중앙에 요철이 있는 슬리트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극세 이형 단면사용 방사구금.
  2. 청구항 1에 기재된 방사구금을 이용하여 열가소성 폴리머를 200∼300℃의 온도로 토출홀 단위 면적당 폴리머 토출량이 하기 식(6)을 만족하고, 방사된 원사를 편면챔버 또는 인-아웃(In-Out)이나 아웃-인(Out-In) 방식의 환상챔버(Radial Chamber)를 사용하여 냉각 공기의 풍속이 0.1 내지 0.3이 되도록 냉각시키고, 고뎃롤1, 고뎃롤2를 통하여 연신시키고, 고뎃롤3에서 열처리 한 후 권취기에서 4000m/min 내지 6000m/min으로 권취시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단면사의 제조 방법;
    5 ≤ Q ≤ 20 ................ (6)
    [상기 식에서, Q : 천공된 단위 면적당 폴리머의 토출량 (g/min.㎟)].
KR1020060054412A 2006-06-16 2006-06-16 폴리에스터 극세 이형 단면사용 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이형 단면사의 제조방법 KR100690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412A KR100690070B1 (ko) 2006-06-16 2006-06-16 폴리에스터 극세 이형 단면사용 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이형 단면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412A KR100690070B1 (ko) 2006-06-16 2006-06-16 폴리에스터 극세 이형 단면사용 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이형 단면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0070B1 true KR100690070B1 (ko) 2007-03-08

Family

ID=38102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412A KR100690070B1 (ko) 2006-06-16 2006-06-16 폴리에스터 극세 이형 단면사용 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이형 단면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0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826B1 (ko) * 2012-01-16 2013-11-0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극세 이형 단면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508847B1 (ko) * 2013-10-15 2015-04-0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벨벳 직물용 원사 및 그 제조방법
CN109440205A (zh) * 2018-10-19 2019-03-08 常熟涤纶有限公司 一种高强涤纶细旦异形丝的制备工艺
KR20220164190A (ko) * 2021-06-04 2022-12-13 서진우 냉각 효율이 향상된 다공형 원사 제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482B1 (ko) * 2002-04-23 2004-03-18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이형단면섬유 제조용 방사구금,이를 이용한 이형단면사 및그 제조방법
KR20060007130A (ko) * 2004-07-19 2006-01-24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이형단면사용 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이형단면사의제조방법
KR100575353B1 (ko) * 2004-05-19 2006-05-03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이형단면사 제조용 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이형단면섬유의 제조방법
KR100626156B1 (ko) * 2004-10-13 2006-09-20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이형단면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482B1 (ko) * 2002-04-23 2004-03-18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이형단면섬유 제조용 방사구금,이를 이용한 이형단면사 및그 제조방법
KR100575353B1 (ko) * 2004-05-19 2006-05-03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이형단면사 제조용 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이형단면섬유의 제조방법
KR20060007130A (ko) * 2004-07-19 2006-01-24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이형단면사용 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이형단면사의제조방법
KR100626156B1 (ko) * 2004-10-13 2006-09-20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이형단면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826B1 (ko) * 2012-01-16 2013-11-0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극세 이형 단면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508847B1 (ko) * 2013-10-15 2015-04-0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벨벳 직물용 원사 및 그 제조방법
CN109440205A (zh) * 2018-10-19 2019-03-08 常熟涤纶有限公司 一种高强涤纶细旦异形丝的制备工艺
KR20220164190A (ko) * 2021-06-04 2022-12-13 서진우 냉각 효율이 향상된 다공형 원사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498347B1 (ko) 2021-06-04 2023-02-10 서진우 냉각 효율이 향상된 다공형 원사 제조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10686C (en) Soft stretch yarns and their method of production
JP3893995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KR100690070B1 (ko) 폴리에스터 극세 이형 단면사용 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이형 단면사의 제조방법
JP2010084286A (ja) ポリ乳酸系モノフィラメント糸及び織物
JP5397392B2 (ja) 扁平多葉断面ポリアミド繊維
KR100626156B1 (ko) 이형단면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053405A (ja) 扁平断面ポリヘキサメチレンアジパミド繊維および繊維製品
KR101324826B1 (ko) 극세 이형 단면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590231B1 (ko) 연사효과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0575353B1 (ko) 이형단면사 제조용 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이형단면섬유의 제조방법
KR100591950B1 (ko) 이형단면사용 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이형단면사의제조방법
KR100659567B1 (ko) 폴리에스터 섬유 및 이를 이용한 직, 편물
US20030216095A1 (en) Synthetic filament having a cross-section based upon an ellipse
US4539242A (en) Pile fabric with non-mushroom shaped cut ends
KR100423482B1 (ko) 이형단면섬유 제조용 방사구금,이를 이용한 이형단면사 및그 제조방법
JP2008266808A (ja) 異繊度異伸度混繊糸
KR20050034235A (ko) 신축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계 원사의 제조방법 및 그에의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원사
KR950000722B1 (ko) 추출형 복합섬유
JP6673023B2 (ja) ポリエステル太細糸
JPS6399340A (ja) 異繊度異収縮混繊糸
KR100419335B1 (ko) 이형단면사 제조용 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하는이형단면사의 제조방법
JPS62268838A (ja) 仮撚加工糸
KR100573521B1 (ko) 에스자형 방사구금 및 이를 이용한 이형단면사의 제조방법
JP2022107941A (ja) 海島型複合繊維及びそれからなる布帛
KR100363914B1 (ko) 해도형 복합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