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5172A - 감광성 고분자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학증폭형포토레지스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감광성 고분자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학증폭형포토레지스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5172A
KR20050115172A KR1020040040540A KR20040040540A KR20050115172A KR 20050115172 A KR20050115172 A KR 20050115172A KR 1020040040540 A KR1020040040540 A KR 1020040040540A KR 20040040540 A KR20040040540 A KR 20040040540A KR 20050115172 A KR20050115172 A KR 20050115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resin
photoresist composition
formula
photosensitive polymer
chemically ampl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배
김상정
김화영
제갈진
김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Priority to KR1020040040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5172A/ko
Priority to TW094118032A priority patent/TWI360024B/zh
Priority to US11/142,444 priority patent/US7297463B2/en
Priority to JP2005162908A priority patent/JP2005344115A/ja
Priority to CNA2005100748066A priority patent/CN1704845A/zh
Publication of KR20050115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17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9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photodegradable, e.g. positive electron resi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1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substituted by heteroatoms or groups containing heteroatoms
    • C08F212/22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2/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12/1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substituted by hetero atoms or groups containing heteroatoms
    • C08F12/22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2/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12/1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substituted by hetero atoms or groups containing heteroatoms
    • C08F12/26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1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substituted by heteroatoms or groups containing heteroatoms
    • C08F212/22Oxygen
    • C08F212/24Phenols or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1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substituted by heteroatoms or groups containing heteroatoms
    • C08F212/26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5Photosensitive materials with organic non-macromolecular light-sensitive compou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issolution inhibi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9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photodegradable, e.g. positive electron resists
    • G03F7/0392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photodegradable, e.g. positive electron resists the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present in a chemically amplified positive photoresist com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해상도가 우수하여 단파장의 노광원 하에서도 미세한 회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감광성 고분자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학증폭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감광성 고분자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이고, R2는 수소, , 또는 이며, R3는 클로로, 브로모, 하이드록시, 사이아노, t-부톡시, CH2NH2, CONH2, CH=NH, CH(OH)NH2 또는 C(OH)=NH이고, R4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1-x-y-z, x, y 및 z는 상기 감광성 화합물을 구성하는 각 반복단위의 중합도로서, x, y 및 z는 각각 0.01∼0.8이며, n은 1 또는 2이다.

Description

감광성 고분자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학증폭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Photosensitive polymer and chemically amplified photoresist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감광성 고분자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학증폭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상도가 우수하여 단파장의 원자외선(deep UV) 노광원 하에서도 미세 회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감광성 고분자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학증폭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 3년에 4배의 속도로 진행되는 반도체 집적회로소자의 고집적화에 따라, 종래의 256 메가 비트급의 기억용량을 가진 다이나믹 랜덤 액서스 메모리(이하 DRAM이라함)보다 고용량인 기가 비트급 DRAM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한 종래의 0.25 ㎛의 선폭보다 미세한 0.18 ㎛의 선폭을 가지는 미세 회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감광성 수지 및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반도체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은 a) 반도체 회로기판의 표면에 감광성 고분자 수지를 포함한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을 균일하게 도포하는 공정; b) 도포된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을 가열하여 용제를 증발시킴으로서, 반도체 회로기판의 표면에 레지스트막을 형성하는 소프트베이킹 공정; c) 광원과 상기 레지스트 막이 형성된 기판사이에, 반도체 회로 설계도를 새겨 놓은 포토마스크(reticle)를 놓고, 광원을 켜서 상기 포토마스크의 축소투영된 상을 반복적으로 기판에 전사하여, 그 잠상을 레지스트막에 전사하는 노광 공정; d) 상기 노광 공정으로 노광부와 비노광부의 용해도와 같은 물리적 성질을 다르게 한 후, 현상액 등을 사용하여 레지스트 조성물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현상 공정; e) 현상된 레지스트막을 가열하여 레지스트막을 기판에 긴밀하게 고착시키는 하드베이킹 공정; f) 하드베이킹된 레지스트막의 패턴을 따라 기판을 에칭하여 전기적인 특성을 부여하는 식각 공정; g) 상기 식각 공정 후 불필요하게 된 레지스트막을 제거하는 박리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공정이다.
상기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에 사용되는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은 광학적 성질로서 노광되는 광원에 대하여 우수한 해상도(resolution), 감도(sensitivity) 및 투명도를 가져야 하며, 기타 우수한 콘트라스트(contrast), 빠른 현상속도(photospeed), 우수한 열적안정성, 접착성(adhesion) 및 식각 내성(etch resistance)을 가져야 한다.
감도는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이 노광된 빛에 반응하는 민감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감도가 크면 단위 노광(시간) 당 노광된 빛에 반응하는 레지스트 조성물의 양이 많아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감도를 크게 하기 위해서 감광성 고분자 수지 및 광산발생제를 포함하는 화학증폭의 개념이 도입된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이 개발되었는데, 화학증폭작용은 다음과 같은 작용을 말한다. 노광되면 광산발생제에서 산이 발생되어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에 잠상이 생기게 되고, 발생된 산은 노광 후 가열공정에서 활성화되어 상기 레지스트 조성물에 포함된 a) 감광성 고분자 수지의 가교반응 또는 b) 감광성 고분자 수지의 주쇄 또는 주쇄에 결합된 기능기의 해중합(depolymerization) 혹은 탈보호화반응(deprotection)을 일으키는데, 이러한 산은 상기 가교반응, 해중합반응 또는 탈보호화반응의 부산물로도 발생함으로써 연쇄적 화학반응을 유도하여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해상도는 포토레지스트가 최적의 공정조건에서 구현할 수 있는 미세 회로 패턴의 최소 크기로 정의되고, 포토레지스트의 우수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가 되는 것으로, 해상도(R) = κλ/ NA (κ는 공정조건 및 포토레지스트의 고유물성에 의존하는 공정변수, λ는 노광되는 빛의 파장(㎚), NA는 렌즈의 구경수차이다)로 표현된다. 상기 식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우수한 해상도를 얻기 위해서는 노광공정에서 보다 단파장의 광원을 사용하고, 또한 낮은 공정변수 값(κ)을 가지는 감광성 고분자 수지 및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을 사용하여야 한다.
역사적으로는 1980년대 초에 고압 수은등을 이용한 G-선(436nm 파장) 노광 공정이 도입되어 1㎛ 해상도를 갖는 회로 패턴을 형성할 수 있게 되었고, 또한 I-선(365nm 파장) 노광 공정의 도입으로 0.5㎛ 이하의 해상도를 가지는 회로 패턴을 형성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 후 248nm 파장인 KrF 엑사이머 레이저 노광기술 등 300nm이하 단파장 노광 공정의 개발로 0.5 ㎛ 이하의 해상도를 갖는 반도체 미세회로 패턴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현재는 256M DRAM반도체의 대량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노광장치로는 현재 통상 스텝퍼(stepper)라고 불리우는 스텝 앤드 리피트(step-and-repeat) 형의 얼라이너(aligner)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인데, 스텝퍼는 노광원에 따라 G선(436nm) 또는 I선(365nm)을 이용하는 것, 및 KrF(248nm) 엑사이머 레이저(excimer laser)를 이용한 것은 물론 ArF(193nm) 엑사이머 레이저를 이용한 것이 있다. 한편 노광원이 X-ray 또는 EUV(Extreme Ultra Violate)인 노광 장치도 연구, 개발되고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보다 단파장의 노광원 하에서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사용되는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은 감도 및 해상도가 우수하여야 함은 물론, 투명도 등의 물성이 우수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G선(436nm) 또는 I선(365nm) 노광 공정에 사용되어 왔던 퀴논디아지드계 광활성 물질과 폐놀계 노볼락 수지로 이루어진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300nm 이하의 노광원을 흡수하여 투명도가 낮음은 물론, 패턴이 현저하게 열화하여 유동함으로서 스팁한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300nm 이하의 노광원 하에서도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화학증폭형 포토 레지스트 조성물이 요구되어져 왔다.
상기 화학증폭형 포토 레지스트 조성물로서, 네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은 알칼리 용액에 가용성인 바인더 수지, 가교제, 광산발생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Jour. Vacuum Science Technology., Vol. B6, 1988), 노광부의 광산발생제에서 발생한 산은 가교제를 활성화하는 촉매로 작용하여 바인더 수지를 불용성으로 변하게 함으로써, 이후 수행되는 현상공정에서 네가티브형의 회로패턴을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바인더 수지로서 주로 사용되는 종래의 노볼락수지, 멜라민 가교수지 및 광산발생제로 구성된 3 성분계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은 노광 광원이 248nm 파장인 KrF 엑사이머 레이저 또는 193nm 파장인 ArF 엑시머 레이저인 경우, 바인더 수지 및 가교수지에 의한 흡수 영향이 발생하여 패턴이 역 테이퍼(taper) 형태로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한다(Jour. Vacuum Science Technology., Vol. B7, 1989).
이에 대한 대안으로 포지티브 화학증폭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이 제안되었다 (Proc. Spie., Vol 1262, p32, 1990). 포지티브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은 감광성 고분자수지, 광산발생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노광부의 광산발생제에서 발생한 산은 감광성 고분자 수지의 주쇄 또는 주쇄에 결합된 보호기(protection group)의 해분해작용(depolymerization) 또는 탈보호작용(deprotection)의 촉매로 작용하여 이후 수행되는 현상공정에서 포지티브형의 회로패턴을 형성시킨다.
포지티브 화학증폭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로는, 300nm 이하의 단파장 노광을 흡수하지 않는 폴리비닐페놀 유도체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그 예로서 a) 이토(Ito) 등에 의하여 제안된 t-BOC (tertiary-butoxy carbonyl) 그룹으로 블록된 폴리 하이드록시스티렌(poly(hydroxystyrene)) 및 오늄 염(onium salt)으로 구성된 조성물(American Chemical society, "polymers in electronics", ACS Sym. Series, No. 242)과, b) 우에노(Ueno) 등에 의해 제안된 폴리 파라-스티렌옥시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poly(p-styreneoxytetrahydropyranyl)과 광산발생제로 구성된 조성물(제36회 일본 응용물리학회 예고집, 1p-k-7, 1989)과 c) 스케젤(Schlegel) 등에 의해 제안된 노볼락 수지, t-BOC 그룹으로 치환된 비스페놀-A, 피로갈롤 메탄설포닉산 에스테르(pyrogallol methanesulfonic ester)로 구성된 3 성분계 조성물 (제37회 일본 응용물리학회 예고집, 28p-ZE-4, 1990)이 있다. 또한 이러한 제조방법과 관련한 기술들이 일본공고 특허공보 평2-27660호, 일본공개 특허공보 평5-232706호, 일본공개 특허공보 평5-249683호, 미국특허 제4,491,628호, 및 미국특허 제5,310,619호 등에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포토 레지스트 조성물은 해상도가 우수한 반면, 노광 후 노출-숙성(post-exposure-bake)까지의 시간지연(PED : post exposure delay)이 발생하면 기판과의 반응에 의하여, 패턴에 푸팅(footing)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광 후 노출-숙성까지의 시간지연이 발생하여도 푸팅(footing)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감광성 고분자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학증폭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해상도가 우수하여 단파장인 노광원 하에서도 미세한 회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감광성 고분자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학증폭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감광성 고분자 수지, 및 상기 감광성 고분자 수지, 광산 발생제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화학증폭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이고, R2는 수소, , 또는 이며, R3는 클로로, 브로모, 하이드록시, 사이아노, t-부톡시, CH2NH2, CONH2, CH=NH, CH(OH)NH2 또는 C(OH)=NH이고, R4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1-x-y-z, x, y 및 z는 상기 감광성 화합물을 구성하는 각 반복단위의 중합도로서, x, y 및 z는 각각 0.01∼0.8이며, n은 1 또는 2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고분자 수지는 화학증폭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이고, R2는 수소, , 또는 이며, R3는 클로로, 브로모, 하이드록시, 사이아노, t-부톡시, CH2NH2, CONH2, CH=NH, CH(OH)NH2 또는 C(OH)=NH이고, R4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1-x-y-z, x, y 및 z는 상기 감광성 화합물을 구성하는 각 반복단위의 중합도로서, x, y 및 z는 각각 0.01∼0.8이며, n은 1 또는 2이다.
상기 감광성 고분자 수지는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AIBN) 등의 적절한 개시제 및 테트라히드로퓨란(THF) 등의 유기 용매의 존재 하에서, 보호기가 치환된 스티렌기를 중합,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된 감광성 고분자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3,000∼30,000이고, 분산도는 1.01∼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중량평균분자량 및 분산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포토레지스트막의 물성이 저하되거나, 포토레지스트막의 형성이 곤란하고 패턴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고분자 수지의 더욱 바람직한 예는 하기 화학식 1a 내지 1d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화학식 1a 내지 1d에서, 1-x-y-z, x, y 및 z는 상기 감광성 화합물을 구성하는 각 반복단위의 중합도로서, x, y 및 z는 각각 0.01∼0.8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감광성 고분자 수지는 포토레지스트의 건식 식각 내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노광공정에서 광산발생제에 의해 발생된 산의 작용으로 탈보호되어 용해도가 증가하는 한편, 비노광부는 충분한 용해 억제 능력을 나타내어,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의 콘트라스트, 및 해상도를 증가시켜 단파장의 노광원 하에서도 미세한 회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노광 후 노출-숙성(post-exposure-bake)까지의 시간지연(PED : post exposure delay)이 발생하여도 푸팅(footing)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증폭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은 a)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감광성 고분자 수지, b) 산을 발생시키는 광산발생제 및 c) 유기 용매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감광성 고분자 수지의 함량은 전체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중량% 인 것이다. 만일 상기 감광성 고분자 수지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코팅 후 남게되는 레지스트 층이 너무 얇아 원하는 두께의 패턴을 형성하기 어렵고, 50중량%를 초과하면 코팅 균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b)의 광산발생제는 노광에 의하여 H+ 등 산 성분을 생성하여, 화학증폭작용을 유도하는 것으로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광산발생제를 본 발명에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산발생제의 예로는 , , , , , , , , , , , , , , 등의 설포늄염, , , , , 등의 아이오도늄 등과 같은 오늄 염(onium salt), , , , 등의 N-이미노설포네이트류, (여기서, R은 -H, -CH3 또는 -C(CH3)3) 등의 다이설폰류, (여기서, R은 -H, -CH3 또는 -C(CH3)3) 등의 비스아릴설포닐다이아조메탄류, (여기서. R은 -H, -CH3 또는 -C(CH3)3) 등의 아릴카보닐아릴설포닐다이아조메탄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예시할 수 있으며, 상기 광산발생제의 함량은 전체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50 중량%인 것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30 중량%인 것이다. 만일 상기 광산발생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노광에 의하여 발생하는 산 성분의 양이 적어 보호기의 탈보호가 곤란할 우려가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면 레지스트의 흡광도가 증가하여 패턴의 슬로프(slope)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의 나머지 성분을 구성하는 c) 유기 용매로는 당업계에서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유기 용매를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기 용매의 비한정적인 예로는 에틸락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n-부틸아세테이트, 메틸이소부틸케톤, 3-에톡시-에틸프로피오네이트, 3-메톡시-메틸프로피오네이트, 디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2-헵타논, 디아세톤알콜, β-메톡시이소부티릭에시드 메틸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프로피오네이트, 메틸락테이트, 부틸락테이트, 에틸피루베이트, γ-부티롤락톤,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은 상기 감광성 고분자 수지, 광산발생제, 유기 용매 이외에 용해 억제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용해 억제제는 비노광부의 현상액에 대한 용해도를 감소시켜 노광부와의 용해도 차이를 크게 함으로서,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용해 억제제를 본 발명에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해억제제의 사용량은 감광성 고분자 수지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증폭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먼저, 실리콘 웨이퍼, 알루미늄 기판 등의 기판 상부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학증폭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을 스핀코터 등을 이용하여 도포하여 얇은 박막을 형성시킨다. 이때 형성된 박막은 염기성 수용액으로 처리하여도 감광성 고분자 수지의 용해도가 낮아서 거의 용해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박막에 단파장의 광원을 조사하면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내의 광산발생제가 광원에 감응하여 산을 발생시키고, 열의 부가 작용에 의하여 감광성 고분자수지의 주쇄에 연결된 현상 억제형 보호기가 탈보호되면서 다시 산의 발생이 일어난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발생된 산이 여러 개의 산활성 분해 작용을 일으키는 화학증폭현상을 나타내며, 그 결과 현상액에 대한 노광부의 용해도가 크게 증가하여, 비노광부와 노광부의 용해도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G-선 및 I-선에서 감응하는 종래의 포지티브형 화학증폭 레지스트 수지를 적용한 조성물보다 우수한 해상도를 얻을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Poly(HS-co-pEES-co-Styrene-co-CBCPS) 고분자 수지(화학식 1a)의 합성
a) 4-사이아노메틸스타이렌(CyMS)의 합성
하기 반응식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교반봉이 장착된 500㎖ 4구 플라스크에 나트륨사이아나이드(NaCN) 49.01 g을 물 70.07g과 에탄올 50.96g에 혼합하고, 온도를 60℃로 승온하여 나트륨사이아나이드를 완전히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 4-클로로메틸스타이렌 87.50g을 천천히 투입하고, 반응온도를 60∼70℃로 유지하면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40℃로 냉각하고, 다이에틸에테르 100g을 첨가하여 다이에틸에테르 층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을 물 300g으로 3회 추출하고, 물 층을 다이에틸에테르 50g으로 추출하여 유기층에 혼합하였다. 분리 수득된 유기층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1일 동안 건조한 후, 증발기로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진한 자주색의 4-사이아노메틸스타이렌을 얻었다(수득률 80%).
b) 4-(3-사이아노-다이-1,5-t-부톡시카보닐-펜틸)스타이렌(CBCPS)의 합성
하기 반응식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얻어진 4-사이아노메틸스타이렌 57.28g과 트리톤 비용액 1.4g을 교반봉이 부착된 500㎖ 4구 플라스크에 넣고 다이옥산 40g으로 용해하였다. 반응기의 온도를 60℃로 유지하면서 상기 용액에 t-부틸아크릴레이트 102.54g을 약 30 분 동안 천천히 투입하고, 2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물을 염산 용액으로 중화하고, 중화된 반응액을 다이에틸에테르 100g과 물 300g으로 3 회 추출하고, 물 층을 다이에틸에테르 50g으로 추출하여 유기층에 혼합하였다. 분리 수득된 유기층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1일 동안 건조한 후 증발기로 유기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은 결과물을 감압 증류하여 미반응 물질을 제거하고, 메탄올로 재결정하여 연노랑색의 CBCPS를 얻었다(수득률 60%).
c) Poly(HS-co-pEES-co-Styrene-co-CBCPS) 고분자 수지 합성
하기 반응식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조절장치 및 질소 투입기가 부착된 500㎖ 4구 플라스크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200㎖를 투입하고, 질소를 가하여 30 분간 교반하였다. 반응기의 온도를 25℃로 유지하면서 4-아세톡시 스틸렌 42.17g, 4-(1-에톡시)-에톡시 스틸렌 53.83g, 스타이렌 10.42g 및 상기 실시예 1(b)에서 제조한 CBCPS 15.98g을 투입하고, AIBN 2.06g을 가하였다. 상기 반응기의 온도를 40℃로 상승시킨 후 유지하며 질소 분위기 하에서 30 분간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기의 온도를 60∼70℃로 상승시켜서 반응액이 환류되도록 유지하면서 24시간 동안 교반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결된 후, 온도를 상온(25℃)으로 낮추고 반응액을 헥산 2ℓ에 침적시켜 침전물을 얻었다. 얻은 침전물을 여과하고 2ℓ의 헥산으로 수 회 세척하고 진공 건조하였다. 건조된 고분자를 플라스크에서 메탄올 200㎖로 용해시킨 후, 28 중량% NH3 수용액 12.00㎖를 첨가하여 천천히 교반하고, 고분자가 완전히 용해된 후 30분간 교반하였다. 상기 교반된 용액을 2ℓ의 물에 침적시켜서 침전물을 얻었고, 얻어진 침전물을 여과하고 2ℓ의 순수로 수 회 세척한 후, 2일 동안 진공 건조하여 poly(HS-co-pEES-co-Styrene-co-CBCPS) 고분자 수지 44.57g을 얻었다.
상기 반응식 1c에서, 1-x-y-z, x, y 및 z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실시예 2] poly(HS-co-pEES-co-pTBS-co-CBCPS) 고분자 수지(화학식 1b)의 합성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량체로서 스타이렌 10.42g 대신 para tert-부톡시 스타이렌 17.63g을 사용하고, 개시제로서 AIBN 2.27g을 사용하였으며, 28 중량% NH3 수용액을 11.89㎖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oly(HS-co-pTBS-co-CBCPS) 고분자 수지 47.73g을 얻었다.
상기 반응식 1c에서, 1-x-y-z, x, y 및 z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실시예 3] poly(HS-co-pEES-co-tBocS-co-CBCPS) 고분자 수지(화학식 1c)의 합성
a) poly(HS-co-pEES-co-CBCPS) 고분자 수지의 합성
하기 반응식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류 냉각기, 온도조절장치 및 질소 투입기가 부착된 500㎖ 4구 플라스크에 THF 200㎖를 투입하고, 질소를 가하여 30 분간 교반하였다. 반응기에 4-아세톡시스틸렌 58.39g, 4-(1-에톡시)-에톡시 스틸렌 53.83g 및 상기 실시예 1(b)에서 제조한 CBCPS 15.98g을 투입한 후, 개시제로서 AIBN 2.23g을 가하였다. 상기 반응기의 온도를 40℃로 상승시킨 후 유지하며 질소 분위기 하에서 30 분간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기의 온도를 60∼70℃로 상승시켜서 반응액이 환류되도록 유지하면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온도를 상온(25℃)으로 낮추고 반응액을 헥산 2ℓ에 침적시켜 침전물을 얻었다. 얻은 침전물을 여과하고 2.2ℓ의 헥산으로 수 회 세척하고 진공 건조하였다. 건조된 고분자를 플라스크에서 메탄올 200㎖로 용해시킨 후, 28 중량% NH3 수용액 17.48㎖를 첨가하여 천천히 교반하고, 고분자가 완전히 용해된 후 30 분간 추가로 교반하였다. 상기 교반된 용액을 2ℓ의 물에 침적시켜서 침전물을 얻었고, 얻어진 침전물을 여과하고 2ℓ의 순수로 수 회 세척한 후, 2일 동안 진공 건조하여 poly(HS-co-pEES-co-CBCPS) 고분자 수지 55.77g을 얻었다.
상기 반응식 1c에서, 1-x-y-z, x, y 및 z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b) poly(HS-co-pEES-co-tBocS-co-CBCPS) 고분자 수지의 합성
500㎖ 1구 플라스크에 THF 200㎖를 넣은 후, 상기 제조된 poly(HS-co-pEES-co-CBCPS) 고분자 수지 55.77g, 다이-tert-부틸-다이카보네이트 23.57g 및 트라이에틸아민 10.92g을 500㎖ 1구 플라스크에 넣고 25℃로 유지하면서 15시간 동안 교반하며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물을 물 2ℓ에 침적시켜 침전물을 얻었고, 얻어진 침전물을 여과하고 2ℓ의 순수로 수 회 세척한 후, 2일 동안 진공 건조하여 poly(HS-co-pEES-co-tBocS-co-CBCPS) 고분자수지 66.24g을 얻었다.
상기 반응식 1c에서, 1-x-y-z, x, y 및 z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실시예 4] poly(HS-co-pEES-co-tHPS-co-CBCPS) 고분자 수지(화학식 1d)의 합성
하기 반응식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량체로서 스타이렌 10.42g 대신 테트라하이드로피란릴 옥시 스타이렌 21.83g을 사용하고, 개시제로서 AIBN 2.39g을 사용하였으며, 28 중량% NH3 수용액을 12.63㎖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oly(HS-co-pEES-co-tHPS-co-CBCPS) 고분자 수지 55.98g을 얻었다.
상기 반응식 1c에서, 1-x-y-z, x, y 및 z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실시예 5 내지 14] 화학증폭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의 제조 및 미세회로패턴의 형성
상기 실시예 2 내지 4에서 얻은 감광성 고분자 수지 및 하기 화학식 2 내지 5로 표시되는 광산발생제를 유기용매인 에틸락테이트(EL)에 표 1에 기재된 중량비로 용해하여 화학증폭형 레지스트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을 실리콘 웨이퍼 위에 3000rpm으로 회전 도포하고, 130℃ 온도로 90초 동안 가열하여 박막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박막 위에 미세 패턴 마스크를 장착하고, 248 ㎚의 단파장 빛을 조사한 후, 130℃에서 90초 동안 가열하였다. 가열된 레지스트 조성물을 2.38 중량%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수용액으로 60초 동안 현상한 후, 순수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미세 회로패턴을 얻었다. 얻어진 미세 회로패턴의 상대 감도와 해상도를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및 2] 하기 화학식 6 또는 7로 표시되는 감광성 고분자 수지를 포함한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의 제조 및 회로패턴의 형성
하기 화학식 6 또는 7로 표시되는 감광성 고분자 수지 및 상기 화학식 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광산발생제를 유기용매인 에틸락테이트(EL)에 표 1에 기재된 조성비로 용해하여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을 얻었고, 얻어진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도체회로패턴을 얻었다. 얻어진 회로패턴의 상대 감도와 해상도를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레지스트 조성 패턴 물성
고분자(중량부) 광산발생제(중량부) 용매(중량부) 박막두께(μm) 상대감도(mJ/cm2) 해상도(μm)
실시예 5 화학식 1b(100) 화학식 2(5) EL(550) 0.38 22 0.10
실시예 6 화학식 1b(100) 화학식 3(5) EL(550) 0.40 24 0.10
실시예 7 화학식 1b(100) 화학식 4(5) EL(550) 0.40 18 0.13
실시예 8 화학식 1b(100) 화학식 2(3)화학식 5(2) EL(550) 0.39 22 0.13
실시예 9 화학식 1b(100) 화학식 3(3)화학식 5(2) EL(550) 0.41 30 0.13
실시예 10 화학식 1c(100) 화학식 2(5) EL(550) 0.40 20 0.13
실시예 11 화학식 1c(100) 화학식 3(5) EL(550) 0.40 22 0.18
실시예 12 화학식 1c(100) 화학식 3(3)화학식 5(2) EL(550) 0.41 18 0.18
실시예 13 화학식 1d(100) 화학식 2(5) EL(550) 0.40 18 0.18
실시예 14 화학식 1d(100) 화학식 3(5) EL(550) 0.42 20 0.24
비교예 1 화학식 6(100) 화학식 2(5) EL(550) 0.40 20 0.24
비교예 2 화학식 7(100) 화학식 3(5) EL(550) 0.41 20 0.24
상기 표 1에서 상대 감도는 optimal energy(Eop)를 뜻하며,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학증폭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은 비교예에 따른 종래의 레지스트 조성물보다 해상도가 동등 내지 우수하여 248nm의 단파장의 노광원하에서도 미세한 회로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고분자 수지 및 화학증폭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서 노광 후 노출-숙성(post-exposure-bake)까지의 시간지연(PED : post exposure delay)이 발생하여도 푸팅(footing)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고분자 수지 및 화학증폭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서 단파장의 노광원하에서도 우수한 해상도를 가져 미세한 회로 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감광성 고분자 수지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이고, R2는 수소, , 또는 이며, R3는 클로로, 브로모, 하이드록시, 사이아노, t-부톡시, CH2NH2, CONH2, CH=NH, CH(OH)NH2 또는 C(OH)=NH이고, R4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1-x-y-z, x, y 및 z는 상기 감광성 화합물을 구성하는 각 반복단위의 중합도로서, x, y 및 z는 각각 0.01∼0.8이며, n은 1 또는 2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고분자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3,000∼30,000이며, 분산도는 1.01∼3.00인 것인 감광성 고분자 수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고분자 수지는 하기 화학식 1a 내지 1d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감광성 고분자 수지.
    [화학식 1a]
    [화학식 1b]
    [화학식 1c]
    [화학식 1d]
    상기 화학식 1a 내지 1d에서, 1-x-y-z, x, y 및 z는 상기 감광성 화합물을 구성하는 각 반복단위의 중합도로서, x, y 및 z는 각각 0.01∼0.8이다.
  4.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감광성 고분자 수지;
    산을 발생시키는 광산발생제;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화학증폭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고분자 수지의 함량은 전체 화학증폭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인 화학증폭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발생제는, , , , , , , , , , , , , , ,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설포늄염, , , , ,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아이오도늄, , , ,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N-이미노설포네이트류, (여기서 R은 -H, -CH3 또는 -C(CH3)3), (여기서 R은 -H, -CH3 또는 -C(CH3)3), (여기서 R은 -H, -CH3 또는 -C(CH3)3)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며, 상기 광산발생제의 함량은 전체 화학증폭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50 중량%인 것인 화학증폭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에틸락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n-부틸아세테이트, 메틸이소부틸케톤, 에틸락테이트, 3-에톡시-에틸프로피오네이트, 3-메톡시-메틸프로피오네이트, 디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2-헵타논, 디아세톤알콜, β-메톡시이소부티릭에시드 메틸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프로피오네이트, 메틸락테이트, 부틸락테이트, 에틸피루베이트, γ-부티롤락톤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학증폭형 포토 레지스트 조성물.
KR1020040040540A 2004-06-03 2004-06-03 감광성 고분자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학증폭형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20050115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540A KR20050115172A (ko) 2004-06-03 2004-06-03 감광성 고분자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학증폭형포토레지스트 조성물
TW094118032A TWI360024B (en) 2004-06-03 2005-06-01 Photosensitive polymer and chemically amplified ph
US11/142,444 US7297463B2 (en) 2004-06-03 2005-06-02 Photosensitive polymer and chemically amplified photoresist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JP2005162908A JP2005344115A (ja) 2004-06-03 2005-06-02 感光性高分子樹脂及びこれを含む化学増幅型フォトレジスト組成物
CNA2005100748066A CN1704845A (zh) 2004-06-03 2005-06-03 光敏聚合物及含有该聚合物的化学扩增的光刻胶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540A KR20050115172A (ko) 2004-06-03 2004-06-03 감광성 고분자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학증폭형포토레지스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172A true KR20050115172A (ko) 2005-12-07

Family

ID=35449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540A KR20050115172A (ko) 2004-06-03 2004-06-03 감광성 고분자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학증폭형포토레지스트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97463B2 (ko)
JP (1) JP2005344115A (ko)
KR (1) KR20050115172A (ko)
CN (1) CN1704845A (ko)
TW (1) TWI3600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3489B2 (ja) 2011-11-30 2015-10-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感活性光線性又は感放射線性組成物、それを用いたレジスト膜、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CN111538210B (zh) * 2020-05-26 2023-11-17 苏州理硕科技有限公司 一种正性光刻胶组合物和形成光刻胶图案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6523A (ja) * 1991-06-18 1999-10-19 Wako Pure Chem Ind Ltd 新規重合体
JP3578260B2 (ja) * 1994-09-02 2004-10-20 和光純薬工業株式会社 新規ポリマー
KR100308423B1 (ko) * 1999-09-07 2001-09-26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화학 증폭 레지스트용 폴리머 및 이를 이용한 레지스트 조성물
KR100553263B1 (ko) * 2000-04-14 2006-02-20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화학 증폭 레지스트용 폴리머 및 이를 이용한 레지스트조성물
JP4460727B2 (ja) * 2000-06-27 2010-05-12 ローム・アンド・ハース・エレクトロニック・マテリアルズ,エル.エル.シー. 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
JP4253486B2 (ja) * 2002-09-25 2009-04-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ポジ型又はネガ型レジスト組成物、酸発生剤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71977A1 (en) 2005-12-08
TW200602811A (en) 2006-01-16
JP2005344115A (ja) 2005-12-15
CN1704845A (zh) 2005-12-07
TWI360024B (en) 2012-03-11
US7297463B2 (en) 2007-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83549B (zh) 产酸剂和含有其的光刻胶
KR100830868B1 (ko) 극자외선 및 심자외선용 감광성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100308423B1 (ko) 화학 증폭 레지스트용 폴리머 및 이를 이용한 레지스트 조성물
JP2009120612A (ja) 感光性化合物及びそれを含むフォトレジスト組成物
KR20080037139A (ko) 술포닐기를 포함하는 포토레지스트 모노머, 폴리머 및 이를포함하는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JP2009109594A (ja) ポジ型レジスト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KR100944727B1 (ko) 포토애시드에 불안정한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포토레지스트
KR100553263B1 (ko) 화학 증폭 레지스트용 폴리머 및 이를 이용한 레지스트조성물
KR20050115172A (ko) 감광성 고분자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학증폭형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101253272B1 (ko) 감광성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20080023657A (ko) 포토레지스트 모노머, 폴리머 및 이를 포함하는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100316974B1 (ko) 화학 증폭 레지스트 수지
KR100316973B1 (ko) 화학 증폭 레지스트 수지
KR20050103586A (ko) 감광성 고분자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학증폭형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20050103585A (ko) 감광성 고분자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학증폭형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20050103584A (ko) 감광성 고분자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학증폭형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100316971B1 (ko) 화학 증폭 레지스트 수지
KR100316972B1 (ko) 화학 증폭 레지스트 수지
KR101184205B1 (ko) 감광성 화합물, 감광성 고분자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학증폭형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101104628B1 (ko) 전자선 리소그래피용 고분자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학증폭형 포지티브 레지스트 조성물
KR20070018332A (ko) 감광성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100787852B1 (ko) 극자외선 및 심자외선용 감광성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20060018756A (ko) 전자선 리소그래피용 고분자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화학증폭형 포지티브 레지스트 조성물
KR20090055824A (ko) 감광성 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20090083662A (ko) 옥심기를 포함하는 감광성 분자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포토레지스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