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1658A -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제 - Google Patents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1658A
KR20050111658A KR1020040036201A KR20040036201A KR20050111658A KR 20050111658 A KR20050111658 A KR 20050111658A KR 1020040036201 A KR1020040036201 A KR 1020040036201A KR 20040036201 A KR20040036201 A KR 20040036201A KR 20050111658 A KR20050111658 A KR 20050111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elica
composition
obesity
active ingredien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규
하주헌
김은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디바이오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디바이오알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디바이오알파
Priority to KR1020040036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1658A/ko
Publication of KR20050111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65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besit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5'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의 활성을 높이는데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당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제 {anti-obesity treatment with Angelica species extracts}
본 발명은 당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5'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의 활성을 높이는데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당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발전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위생환경이 개선되고 잦은 인스턴트 음식물 섭취와 육식위주의 식생활 변화 등은 과다한 열량의 섭취를 유발한다. 그러나, 이러한 현대인의 식생활 변화는 턱없이 부족한 운동부족 등으로 인하여 소모열량이 적기 때문에 빠른 비만인구의 증가경향을 보이고 있다. 비만은 단순히 외형상의 문제 뿐 만 아니라 비만이 지속됨으로써 여러 가지 질환, 즉, 고혈압, 비만, 고지혈증, 관상동맥질환 등과 같은 성인성 질병을 비롯하여 유방암, 자궁암 및 대장암 등을 야기하는 것으로 보고되면서 이제는 치명적인 질병 중 하나로 취급되고 있다 [J. Biol. Chem., 273, 32487 ∼ 32490 (1998); Nature, 404, 652 ∼ 660 (2000)].
현재 비만을 치료하는 치료제로는 크게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여 식욕에 영향을 주는 약제와 위장관에 작용하여 흡수를 저해하는 약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로는 각각의 기전에 따라 세로토닌(5HT) 신경계를 저해하는 펜플루라민, 덱스펜플루라민 등의 약물,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를 통한 에페드린 및 카페인 등의 약물 및 최근에는 세로토닌 및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에 동시 작용하여 비만을 저해하는 시부트라민 등의 약물들이 시판되고 있다. 이외에도, 위장관에 작용하여 비만을 저해하는 약물로는 대표적으로 췌장에서 생성되는 리파제를 저해하여 지방의 흡수를 줄여줌으로써 최근 비만 치료제로 허가된 오를리스타트 등이 있다. 그러나, 기존에 사용되어온 약물 중 펜플루라민 등은 원발성 폐고혈압이나 심장 판막병변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켜 최근에 사용이 금지되었으며, 다른 약물들도 혈압감소나 유산산혈증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심부전, 신질환 등의 환자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5'AMP 활성화 단백질 인산화 효소 (5' AMP-activated protein kinase ; AMPK)가 탄수화물 및 지질대사 그리고 포도당 흡수를 조절하는 역할이 밝혀지면서 이의 활성물질이 비만 치료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근거는 다음과 같다.
1) 운동을 시킨 쥐의 근육세포에서 ATP 소모의 결과로 AMP의 양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AMPK 의 활성도가 증가하고 그 결과 근육 및 지방세포에서의 에너지 대사가 증가하는 사실이 관찰되었다.
2) 이 뿐 아니라 AMPK는 생체 내에서 다양할 역할을 수행하는데 지방세포에서 acetyl-CoA carboxylase (ACC)와 HMG-CoA reductase의 활성을 저해하여 lipogenesis 및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여 비만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성분의 약제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론 중에서도, 기존약제의 실험적 변형에 의한 노력보다는 전통의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천연물 약제들로부터 새로운 활성 성분을 발견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개발된 약물들에 의한 독성 염려가 적어지는 장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당귀에서 추출한 당귀 추출물이 세포에서 5'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을 효과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당귀추출물이 비만 예방 및 치료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근육세포인 C2C12 myotube에서 AMPK의 활성화를 통해 비만 예방 및 치료효과가 있는 당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당귀 추출물과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당귀((Angelica gigas Nakai , 連翹)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한의학에서는 승검초의 뿌리를 가리키는 말이다. 당귀의 용도를 보면 자궁기능조절작용, 진정작용, 진통작용, 항균작용, 설사작용, 및 비타민E 결핍치료작용을 하므로 빈혈증, 진통, 강장, 통경, 및 부인병약으로 쓰인다. 당귀는 크게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당귀(angelica sinensis Diels), 일당귀(angelica acutiloba Kitagawa)로 나뉘는데 참당귀인 angelica gigas Nakai는 바디나물속(angelica linne)에 속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개구릿대(angelica anomala), 처녀바디(좀바디나물(angelica cartilaginomarginata Nakai)), 흰바디나물(angelica cartilaginomarginata nakai var. distans Kitagawa), 잔잎바디(선바디나물)(angelica czernaevia Kitawa), 구릿대(angelica dehurica Bentham et Hooker), 바디나물(사약채, 토당귀 )(angelica decursiva Franch. Et Savat.), 제주사약채(개강활)(angelica fallax Boissieu), 왜천궁(angelica genuflexa Nuttall), 삼수구릿대(angelica jaluana Nakai), 갯강활(angelica japonica A. Gray), 궁궁이(천궁, 백봉천궁, 심산천궁)(angelica polymorpha Maximowicz), 지리강활(angelica purpuraefolia Chung)섬바디 (돼지풀)(angelica takeshimana Nakai)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일당귀, 좀당귀로 불리는 왜당귀(ligusticum acutilobum Sieb. Et. Zucc.)(angelica acutiloba Kitagawa)는 왜당귀속(ligusticum Linne)에 속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기름당귀(갯당귀)(ligusticum hultenii Fernald), 고본(ligusticum tenuissima Kitagawa, angelica tenuissima Nakai) 등이 속한다. (한국식물도감, 이영로)
또한, 당귀의 성분으로는 데쿠신(decursin), 데쿠시놀(decursinol), 노다케인(nodakenin) 등의 쿠마린(coumarin) 유도체와 일파-피네네(pinene), 리모네네(limonene), 베타-오데스몰(eudesmol), 에레몰(elemol) 등을 주로 한 정유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은 비만 예방 및 치료에 유효한 조성물로 특히 세포 내에서 AMPK 활성 증가를 나타내는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당귀 추출물은 생약제인 당귀(angelica gigas Nakai) 뿌리, 잎/줄기, 그리고 열매를 단독 혹은 혼합하여 주원료로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추출방법은 통상적인 것으로, 먼저 메탄올로 추출하여 분리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건조하였다.
당귀 추출물은 세포 내에서 AMPK를 활성화시켜 비만을 치료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생리활성이 부여된 당귀 추출물에 대하여 근육세포인 C2C12 세포에서 AMPK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이들 화합물이 우수한 활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당귀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는 비만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은 AMPK의 활성화를 통하여 비만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비만과 관련된 각종 질병에 대한 다양한 약제로의 개발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만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은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함께 비만 예방 및 치료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만 예방 및 치료제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당귀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한다. 상기 당귀추출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당귀추출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당귀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및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및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투약 단위는, 예를 들면 개별 투약량의 1, 2, 3 또는 4배를 함유하거나 또는 1/2, 1/3 또는 1/4배를 함유할 수 있다. 개별 투약량은 바람직하기로는 유효 약물이 1회에 투여되는 양을 함유하며, 이는 통상 1일 투여량의 전부, 1/2, 1/3 또는 1/4배에 해당한다. 당귀추출물의 유효용량은 농도 의존적이나 바람직하게는 0.1mg 내지 10g/㎏이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00mg 내지 5g/kg이며, 하루 1-6 회 투여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건강식품이란 일반 식품에 당귀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일반 식품의 기능을 향상시킨 식품이며, 당귀 추출물을 일반식품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고,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였기 때문에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당귀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당귀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당귀 추출물을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원료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로 이용하는 경우는 측정된 독성 범위내의 당귀 추출물을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당귀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당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 식품으로는 당귀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만든 즙, 차, 젤리, 쥬스 등의 건강식품 및 기호품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 실시예 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당귀뿌리, 잎/줄기, 그리고 열매추출물의 분리
당귀 (angelica gigas Nakai) 뿌리, 잎/줄기, 그리고 열매는 안동의 한약재상에서 구입(5 kg)하여 재료로 사용하였으며, 그 이외의 재료들은 약재상에서 구입하거나 채집하였다. 당귀 뿌리, 잎/줄기, 그리고 열매는 메탄올 50 ℓ로 24 시간 용출시킨 후 잔사를 여과한 후 감압 농축 건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AMPK 효소의 활성 측정
근육세포인 C2C12 세포를 10% bovine calf serum이 들어있는 DMEM에서 세포배양 한다. 세포밀도가 약 85 ∼ 90% 가량 되면 1% bovine calf serum 배양액으로 치환하여 세포분화를 유도시킨다. AMPK 의 효소 활성 측정은 C2C12 세포를 lysis 시켜 단백질 추출물을 얻은 후 final concentration 이 30% 되게 암모니움 설페이트를 넣고 단백질을 침전시킨다. 단백질 침전물을 버퍼 (62.5 mM Hepes, pH 7.2, 62.5 mM NaCl, 62.5 mM NaF, 1.25 mM Na pyrophosphate, 1.25 mM EDTA, 1 mM DTT, 0.1 mM PMSF, 200 μM AMP)에 녹인 후 200 μM SAMS peptide (HMRSAM S GLHLVKRR : acetyl-CoA carboxylase 의 AMPK phophorylation 부위로써 밑줄 친 serine 잔기가 인산화 자리) 와 [γ-32P]ATP 를 첨가하여 10분간 30℃에서 반응시킨 후 p81 phosphocellulose paper에 반응용액을 spotting 한다. p81 용지를 3% 인산용액으로 세척한 후 radioactivity 를 측정한다. 매 조건마다 SAMS peptide 가 들어있지 않은 반응을 수행하여 background를 빼준다.
도 1에서 보듯이 당귀 추출물 핵산분획을 근육 세포주에 처리하면 AMPK 효소의 활성이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 세포독성 측정
근육 세포인 C2C12 세포를 10% bovine calf serum이 들어있는 DMEM에서 세포배양 한다. 세포밀도가 약 85 ∼ 90% 가량 되면 세포독성을 측정하는 용액을 넣어 세포 활성 정도를 측정한다.
도 2에서 보듯이 당귀 추출물을 근육 세포주에 처리하면 세포독성이 없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 AMPK 효소의 발현 측정
근육 세포인 C2C12 세포를 10% bovine calf serum이 들어있는 DMEM에서 세포배양 한다. 세포밀도가 약 85 ∼ 90% 가량 되면 1% bovine calf serum 배양액으로 치환하여 세포분화를 유도 시킨다. AMPK 의 효소 활성 측정은 C2C12 세포를 lysis 시켜 단백질 추출물을 얻은 후 Western Blot으로 측정하였다.
도 3에서 보듯이 당귀 추출물을 근육 세포주에 처리하면 AMPK 효소의 발현이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비만 모델 동물인 Lep ob/Lep ob 마우스에서 비만 예방 및 치료효과 검정
C57BL/6JL Lep ob/Lep ob 웅성 마우스는 렙틴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하여 렙틴의 분비가 저하되어식욕이 조절되지 않아 지속적으로 음식을 과도하게 섭취하게 된다. 그 결과, 지방이 체내에 과도하게 축적되며 혈당이 상승하게 되는데 출생 후 약 10-11주 정도가 되면 체중이 대략 50g 내외가 된다. 따라서 비만예방 및 치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체중이 50g 정도 되는 성숙한 Lep ob/Lep ob 웅성 마우스를 각 군 당 10 마리씩을 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 개의 실험군 당 10 마리씩으로 하여 당귀추출물로부터 추출된 활성 분획 150mg/일/마우스가 되도록 30일 동안 투여하였다. 대조군 10마리의 경우에는 당귀추출물 대신 증류수를 투여하였다. 투여기간에 따른 체중의 변화를 도 4에 나타내진 것과 같이 당귀추출물에 의한 체중감소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하였다.
실시예 7 . 구릿대 (angelica dehurica Bentham et Hooker), 고본 (ligusticum tenuissima Kitagawa, angelica tenuissima Nakai), 강활 (angelica japonica A. Gray)의 AMPK 효소의 활성 측정
근육세포인 C2C12 세포를 10% bovine calf serum이 들어있는 DMEM에서 세포배양 한다. 세포밀도가 약 85 ∼ 90% 가량 되면 1% bovine calf serum 배양액으로 치환하여 세포분화를 유도시킨다. AMPK 의 효소 활성 측정은 C2C12 세포를 lysis 시켜 단백질 추출물을 얻은 후 final concentration 이 30% 되게 암모니움 설페이트를 넣고 단백질을 침전시킨다. 단백질 침전물을 버퍼 (62.5 mM Hepes, pH 7.2, 62.5 mM NaCl, 62.5 mM NaF, 1.25 mM Na pyrophosphate, 1.25 mM EDTA, 1 mM DTT, 0.1 mM PMSF, 200 μM AMP)에 녹인 후 200 μM SAMS peptide (HMRSAM S GLHLVKRR : acetyl-CoA carboxylase 의 AMPK phophorylation 부위로써 밑줄 친 serine 잔기가 인산화 자리) 와 [γ-32P]ATP 를 첨가하여 10분간 30℃에서 반응시킨 후 p81 phosphocellulose paper에 반응용액을 spotting 한다. p81 용지를 3% 인산용액으로 세척한 후 radioactivity 를 측정한다. 매 조건마다 SAMS peptide 가 들어있지 않은 반응을 수행하여 background를 빼준다.
도 5 에서 보듯이 구릿대, 고본, 강활 추출물을 근육 세포주에 처리하면 AMPK 효소의 활성이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시예 8. 정제의 제조
당귀 추출물 600 g
아르기닌 240 g
결정셀룰로오스 140 g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10 g
하이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10 g
실시예 9: 분말제의 제조
당귀 추출물 10 g
옥수수 전분 50 g
카르복시 셀룰로오스 40 g
총 량 100 g
상기에서 나열된 성분들을 잘게 부숴 혼합하여 분말을 제조하였다.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경질 캡슐에 분말 500 ㎎을 넣어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당귀추출물의 우유에의 적용
우유 99g
당귀 추출물 1g
실시예 11. 당귀 추출물의 오렌지쥬스에의 적용
액상과당--------------------5%
폴리덱스트로스---------------1%
구연산---------------------5%
비타민C--------------------0.02%
당귀 추출물 --------------------2%
오렌지과즙농축액-------------25%
물------------------------67%
실시예 12. 음료의 제조
젖산칼슘 50 ㎎
구연산 5 ㎎
니코틴산아미드 10 ㎎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3 ㎎
염산피리독신 2 ㎎
아르기닌 30 ㎎
당귀 추출물 100 ㎎
물 200 ㎖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당귀추출물은 AMPK를 활성화시키는 물질로 유효하므로, 당귀추출물은 비만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다. 또한, 당귀추출물은 비만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각종 질병들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식품, 화장품, 의약품 조성물로 개발될 수 있다.
도 1 은 는 당귀 추출물을 근육세포주인 C2C12 세포주에 처리한 후 AMPK 효소의 활성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한 막대그래프이다.
도 2 는 당귀 추출물을 근육세포주인 C2C12 세포주에 처리한 후 세포독성을 대조군과 비교한 막대그래프이다.
도 3 은 당귀 추출물을 근육세포주인 C2C12 세포주에 처리한 후 AMPK 효소의 활성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한 Western Blot 사진이다.
도 4 는 비만동물을 이용한 당귀추출물의 경구투여에 의한 항비만효과를 대조군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 는 구릿대, 고본 강활 추출물을 근육세포주인 C2C12 세포주에 처리한 후 AMPK 효소의 활성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한 막대그래프이다.

Claims (16)

  1.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치료 및/또는 예방적 유효량 이상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는 안젤리카 (angelica) 속 또는 리구스티쿰 (ligusticum) 속의 당귀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 내지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5'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의 함량이 성인 체중 1Kg 당 0.1mg ~ 60g/일 범위로 투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4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또는 치료용 제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경질 또는 연질의 캅셀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주사용 제제, 유화액, 비경구 투여용의 단위 투여형 또는 수회 투여형 인 것임을 특징으로 제제
  9.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용음료 또는 식품의 형태로서 제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의 함량이 0.0001 내지 10 중량% 범위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당귀로부터 a) 물 또는 유기용매 추출하여 조 추출액을 얻는 단계 b) 상기 조 추출물을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는 단계 및 c) 선택적으로,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귀 추출물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는 안젤리카 (angelica) 속 또는 리구스티쿰 (ligusticum) 속의 당귀임을 특징으로 제조방법
  13. 제 11 항 내지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당귀는 뿌리, 잎, 줄기 또는 열매이거나,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 건조약재 또는 생약재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5. 제 11 항 또는 제 14 항에 의해 제조된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16.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비만 예방 및 치료 활성 분획물
KR1020040036201A 2004-05-21 2004-05-21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제 KR20050111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201A KR20050111658A (ko) 2004-05-21 2004-05-21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201A KR20050111658A (ko) 2004-05-21 2004-05-21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658A true KR20050111658A (ko) 2005-11-28

Family

ID=37286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201A KR20050111658A (ko) 2004-05-21 2004-05-21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1658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397B1 (ko) * 2007-09-21 2010-02-2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커시놀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WO2012021014A2 (ko) * 2010-08-11 2012-02-16 제일약품주식회사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3111918A1 (ko) * 2012-01-27 2013-08-01 제일약품주식회사 당귀 및 산마늘의 추출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8753694B2 (en) 2009-03-31 2014-06-17 Industry Foundation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ti-angiogenic agents and anti-obesity substances applied with anti-angiogenesis from natural products
KR101454970B1 (ko) * 2012-11-06 2014-10-28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당귀로부터 추출되는 정유(essential oil) 분획물을 포함하는 체지방 또는 셀룰라이트 감소 및 예방효과를 갖는 아로마 오일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5004A (ko) 2017-12-20 2019-06-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데커신 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복부내장지방 감소용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
WO2021246703A1 (ko) * 2020-06-05 2021-12-09 (주)내츄럴엔도텍 항비만용 조성물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397B1 (ko) * 2007-09-21 2010-02-2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커시놀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US8753694B2 (en) 2009-03-31 2014-06-17 Industry Foundation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ti-angiogenic agents and anti-obesity substances applied with anti-angiogenesis from natural products
US9649351B2 (en) 2009-03-31 2017-05-16 Industry Foundation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ti-angiogenic agents and anti-obesity substances applied with anti-angiogenesis from natural products
WO2012021014A2 (ko) * 2010-08-11 2012-02-16 제일약품주식회사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021014A3 (ko) * 2010-08-11 2012-05-18 제일약품주식회사 당귀 추출물 및 산마늘 추출물의 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3111918A1 (ko) * 2012-01-27 2013-08-01 제일약품주식회사 당귀 및 산마늘의 추출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54970B1 (ko) * 2012-11-06 2014-10-28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당귀로부터 추출되는 정유(essential oil) 분획물을 포함하는 체지방 또는 셀룰라이트 감소 및 예방효과를 갖는 아로마 오일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5004A (ko) 2017-12-20 2019-06-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데커신 또는 데커시놀 안젤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복부내장지방 감소용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
WO2021246703A1 (ko) * 2020-06-05 2021-12-09 (주)내츄럴엔도텍 항비만용 조성물
KR20210151420A (ko) * 2020-06-05 2021-12-14 (주)내츄럴엔도텍 항비만용 조성물
CN115915971A (zh) * 2020-06-05 2023-04-04 天然恩朵技术株式会社 抗肥胖用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668B1 (ko) 비만억제 활성과 혈당강하 효능이 있는 꾸지뽕 및 의이인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07058480A1 (en) Composition having effect o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iseases syndrome treatment with glabridin
KR102511361B1 (ko)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폐경기 증후군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0533012A (ja) 益智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骨関節炎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1523663B1 (ko) 우방자, 감초, 생강 및 후박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299025B1 (en) Composition containing quisqualis indica
JP2005330289A (ja) 生薬材抽出物混合物および骨粗鬆症の予防または治療剤
KR20050111658A (ko)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제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1897770B1 (ko) 무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050114929A (ko) 변비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266287B1 (ko) 벌개미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152479B1 (ko) 탈지된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항암 조성물
KR20110000452A (ko) 비타민 u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50111657A (ko)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치료제제조성물
KR102178199B1 (ko) 옻나무 및 두충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19221B1 (ko)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1426B1 (ko) 플로레틴-4-o-글로코시드를 포함하는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497945B1 (ko) 성장호르몬 분비촉진용 생약추출물
KR20050072275A (ko) 연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제
KR101297034B1 (ko) 장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50107362A (ko) 유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증진용 식품
KR102007465B1 (ko) 퀘르시트린과 스피레오시드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86362B1 (ko) 청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30031678A (ko) 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