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034B1 - 장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장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034B1
KR101297034B1 KR1020110044555A KR20110044555A KR101297034B1 KR 101297034 B1 KR101297034 B1 KR 101297034B1 KR 1020110044555 A KR1020110044555 A KR 1020110044555A KR 20110044555 A KR20110044555 A KR 20110044555A KR 101297034 B1 KR101297034 B1 KR 101297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el
metabolic syndrome
ampk
extract
f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6617A (ko
Inventor
장현욱
나민균
황승락
김동수
김철호
오준기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44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034B1/ko
Publication of KR20120126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어 추출물은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를 활성화시키고, 포도당의 흡수를 촉진시키며, ACC(acetyl-CoA carboxylase) 단백질들을 직접 인산화시키며, AMPK 활성화를 통해 AMPK 의존적 당 흡수를 촉진시키는 효능이 있기 때문에, 비만, 당뇨병 등을 포함한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장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etabolic syndrome comprising eel extract}
본 발명은 AMP 유도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AMPK)를 활성화시키는 장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은 고중성지방혈증, 고혈압, 당대사 이상, 혈액응고 이상 및 비만과 같은 위험인자가 함께 나타나는 증후군을 지칭하며, 그 증상 자체는 치명적이진 않지만 당뇨병이나 허혈성 심혈관계 질환과 같은 심각한 질병으로 발전할 소인이 있기 때문에 현대인을 가장 크게 위협하는 질환이 되고 있다.
한때는 그 원인을 몰라 X증후군(Syndrome X)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이름으로 불렸으나, 최근 세계보건기구와 미국 국립보건연구원의 심,폐,혈액 연구소가 제정한 성인 치료프로그램 Ⅲ(Adult Treatment Program Ⅲ : ATP Ⅲ)을 통해 대사증후군 또는 인슐린저항성증후군(Insulin resistance syndrome)이라 공식 명명되었다.
인슐린 저항성이란, 인슐린이 체내에서 정상적으로 분비됨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수행하는 "포도당을 세포 내로 공급하는 작용"이 제대로 일어나지 못하는 현상을 의미하는데, 혈액 중의 포도당은 세포 내로 들어가지 못해 고혈당 증세를 보이게 되고, 세포는 세포대로 포도당이 부족해 정상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므로 결국 대사증후군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대사증후군의 생리조절에는 AMP 유도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MPK는 단백질 키나아제의 일종으로 에너지 항상성 조절에 주된 역할을 담당한다. AMPK는 열충격(heat shock), 저산소증이나 허혈과 같이 ATP가 고갈되어 AMP/ATP 비율이 상승될 때 활성화되는데, 활성화된 AMPK는 여러 하부경로의 기질을 인산화하고, ATP 수준을 유지하는 목적으로 반응한다. AMPK는 지방산 합성에서의 아세틸-CoA 카르복실라아제(ACC)나 콜레스테롤 합성에서의 3-히드록시-3-메틸 CoA 환원효소와 같은 생합성 경로에서의 핵심효소를 억제함으로써 ATP의 추가적 사용을 억제한다. AMPK는 지방산 합성에서의 아세틸-CoA 카르복실라아제(ACC)나 콜레스테롤 합성에서의 3-히드록시-3-메틸 CoA 환원효소와 같은 생합성 경로에서의 핵심효소를 억제함으로써 ATP의 추가적 사용을 억제한다. AMPK는 또한 지방대사를 촉진한다. ACC를 결핍시킨 생쥐는 지방합성이 감소되고, 지방대사가 촉진되어 먹이 섭취량의 증가에도, 체중 감소가 보고되었다. 따라서 ACC는 흡수된 영양소를 지방으로 저장할 것인가, 대사로 소모시킬 것인가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대사증후군 치료를 위한 약제는 개발되지 못하고 있으며, 단지 당뇨병, 고지혈증 및 고혈압 치료약물을 이용한 대사증후군 치료를 시도하고 있으나, 약제로서의 한계를 갖고 있다. 현재 사용가능한 약제를 보면, 당뇨병 치료제로 사용되는 비구아니드계 화합물 예를들어, 메트포르민(metformin)과 치아졸리딘디온계 화합물 예를들어, 로시글리타존(rosiglitazone), 피오글리타존(pioglitazone) 등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장어는 단백질 함량이 높고 칼로리도 높으면서 지방은 불포화 지방산이므로 고혈압 등의 성인병 예방이나 허약 체질, 원기 회복 등에 최고의 식품으로 인정받기 때문에 스태미너 식품으로 특히 여름철 남성들에게 인기가 매우 높다. 이와 같이 건강식품으로 인정받고 있는 장어는 비타민A가 많이 들어있다. 비타민A는 발육촉진, 시력회복, 피부와 점막의 건강유지, 정력제 등의 효능이 있다. 또한 DHA(Docosahexaenoic Acid) 및 EPA(Eicosapentaenoic Acid) 함량이 타 어종보다 높다. DHA의 효능을 보면 머리가 좋아지고, 치매 예방, 암 억제 등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옛날부터 생약재 및 천연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장어는 뱀장어, 붕장어, 갯장어, 먹장어 등과 같이 여러 종류가 있는데 사는 물이 민물이냐 바다냐에 따라 또는 지방에 따라 명칭이 다르게 불리고 있다. 즉 장어는 몸이 뱀처럼 긴 물고기를 뜻하며, 분류학적으로는 뱀장어목(Order Anguilliformes)에 속하는 모든 종류가 포함된다. 일반인들이 흔히 접할 수 있는 장어는 뱀장어뿐 아니라, 먹장어(곰장어), 붕장어(아나고), 갯장어 등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천연재료를 찾던 중, 장어 추출물을 이용하여 인산화효소인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를 활성화시키고, 포도당의 흡수를 촉진시키며, ACC(acetyl-CoA carboxylase)를 인산화시킴으로써, 비만, 당뇨병 등을 포함한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사증후군 개선 효과를 갖는 장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이용한 기능성 건강식품 및 약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장어는 민물장어, 뱀장어, 붕장어 및 먹장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장어 추출물은 장어머리, 장어껍질, 장어뼈, 장어내장, 장어육 및 통장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부위를 포함한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어 추출물은 에탄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장어 추출물은 장어 부위를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장어 부위를 에탄올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에탄올 분획에 물을 가하여 용해하는 단계; 및 헥산을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어 헥산 분획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장어 추출물은 장어 부위를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장어 부위를 에탄올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에탄올 분획에 물을 가하여 용해하는 단계; 및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일 수 있다.
또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장어 추출물은 장어 부위를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장어 부위를 에탄올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부탄올 분획에 물을 가하여 용해하는 단계; 및 부탄올을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어 부탄올 분획일 수 있다.
상기 장어 추출물은 세포내 에너지 상태를 감지하여 세포내의 탄수화물 대사 및 지질합성 대사를 조절하여 체내의 에너지 균형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산화효소인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를 활성화시키고, 또한 포도당의 흡수를 촉진시키며, AMPK 활성화에 따라 구체적인 대사과정의 변화로는 인산화된 활성화 형태의 AMPK는 지방산합성의 핵심효소로서 말로닐-CoA를 생산하는 ACC(acetyl-CoA carboxylase) 단백질들을 직접 인산화시키고, AMPK 활성화를 통해 AMPK 의존적 당 흡수를 촉진시키는 효능이 있기 때문에, 비만, 당뇨병 등을 포함한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대사증후군은 비만, 고혈압, 동맥경화, 고지혈증, 간질환, 과인슐린혈증, 과혈당증, 제1형 및 제2형 당뇨병, 인슐린 내성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지혈증, 발기부전, 심혈관계질환 및 허혈성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장어 추출물이 그 자체적으로 항당뇨 및 비만억제 효과가 있으므로 대사증후군 개선효과를 지니는 기능성 식품으로 장어 추출물 자체를 이용할 수 있고, 대사증후군 개선 효과가 있는 천연추출물들을 함유하는 다른 기능성 식품에 첨가하거나 이러한 천연물들을 추출하는데 사용하는 형태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건강 기능식품 또는 건강음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기능성 음료, 환제, 정제 또는 상기 성분을 건조 분말화하여 충진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의 형태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장어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캔디, 초코릿,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환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장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이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이때,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향미제로는 천연향미제 예를 들어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헤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과 합성 향미제 예를들어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증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어 추출물은 널리 섭취되는 장어를 이용한 천연물로서,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어 추출물을 대사증후군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식품에 첨가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20 내지 70 중량%로 첨가할 수 있으며, 음료에 첨가할 경우에는 100 mL를 기준으로 1 내지 100 mL,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mL의 함량 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조성물은 약학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장어 추출물을 1 내지 70 중량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장어 추출물을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 소량으로 함유하면 원하는 대사증후군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얻기 곤란한 반면, 과량으로 함유하면 용량에 비해 대사증후군의 치료 또는 예방 효과가 둔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조성물은 약학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장어 추출물의 사용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비강,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어 추출물은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를 활성화시키고, 포도당의 흡수를 촉진시키며, ACC(acetyl-CoA carboxylase) 단백질들을 직접 인산화시키며, AMPK 활성화를 통해 AMPK 의존적 당 흡수를 촉진시키며, 또한 지방세포에서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시키고, 지방 분해를 촉진시키는 효능이 있기 때문에, 비만, 당뇨병 등을 포함한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장어 추출물의 각 분획 제조공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어 추출물의 근육세포인 L6 세포에서 포도당 흡수능 증진효과를 검토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어 추출물의 근육세포인 L6 세포에서 AMPK 인산화 반응 및 지방산 생합성효소인 ACC 인산화 반응 촉진효과를 검토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어 추출물의 근육세포에서의 AMPK 의존적 당 흡수 촉진효과를 검토한 것이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장어 추출물 제조
1. 장어 부위 준비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장어는 (주)대동선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 472-80 백현빌딩 202호)에서 제공한 검체를 사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때, 검체 제조방법은 우선 국내 장어 양식장에서 구입한 활어상태의 장어를 전기로 기절시킨 후 활복하여 장어육(살, 근육부위)과 머리, 뼈 및 내장, 껍질부위를 각각 제조하였다.
2. 장어 추출물 준비
모든 검체에 100% 에탄올(EtOH)을 가하여 3회 24시간 추출하였다. 그 후 건조시킨 검체에 물을 가하여 용해시킨 후 동량의 헥산(Hex)을 가하여 3회 24시간 추출하였다. 다시 남아있는 수층에 에틸아세테이트(EtOAc)를 동량을 가하여 3회 추출하였다. 최종적으로 남아있는 수층에 부탄올(BuOH)을 동량 가하여 3회 추출하여 분획을 만들고 남아 있는 부분을 수층(H2O)으로 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러한 추출방법 및 이렇게 추출된 각 분획의 수율을 각각 도 1과 표 1에 나타내었다.
EtOH 추출물 대비 부위별 대비
장어머리 150 g
장어머리 EtOH 2.6025 g
장어머리 Hex 124.1 mg 4.77 % 0.083%
장어머리 EtOAc 192.6 mg 7.40 % 0.128%
장어머리 BuOH 287.8 mg 11.06 % 0.192%
장어머리 H2O 1.5233 g 58.53 % 1.016%
장어껍질 231 g
장어껍질 EtOH 4.7099 g
장어껍질 Hex 635.3 mg 13.49 % 0.275%
장어껍질 EtOAc 258.2 mg 5.48 % 0.112%
장어껍질 BuOH 374.4 mg 7.95 % 0.162%
장어껍질 H2O 2.9284 g 62.18 % 1.268%
장어뼈&내장 164 g
장어뼈&내장 EtOH 4.0507 g
장어뼈&내장 Hex 283.1 mg 6.99 % 0.173%
장어뼈&내장 EtOAc 252.7 mg 6.24 % 0.154%
장어뼈&내장 BuOH 1.6088 g 39.72 % 0.981%
장어뼈&내장 H2O 1.6962 g 41.87 % 1.034%
장어육 507 g
장어육 EtOH 12.0813
장어육 Hex 1.1557 g 9.57 % 0.228%
장어육 EtOAc 439.3 mg 3.64 % 0.087%
장어육 BuOH 3.0046 g 24.87 % 0.593%
장어육 H2O 6.8045 g 56.32 % 1.342%
통장어 299 g
통장어 EtOH 7.2664 g
통장어 Hex 1.3093 g 18.02 % 0.438%
통장어 EtOAc 244.1 mg 3.36 % 0.082%
통장어 BuOH 957 mg 13.17 % 0.32%
통장어 H2O 4.1685 g 57.37 % 1.394%
<실험예 1> 근육세포에서의 포도당 흡수능 증진효과 검토
실시예에서 준비된 장어 추출물에 대한 근육세포인 L6 근관(myotube) 세포에서의 글루코오스 흡수치(uptake)를 측정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효능을 측정하였다(Somwar R et al, Clin Ther. 20, 125-40, 1998).
즉, 실시예에서 준비된 장어 추출물과 증류수로 제작된 배지로 7일간 분화시킨 L6 근육세포를 10 μM 비표지(unlabeled) 2-데옥시글루코오스, 10 μM 2-데옥시-[3H]-글루코오스(1 mCi/ml)가 포함된 HEPES-생리식염수 완충액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빙냉(ice-cold) PBS로 3회 세포를 세척한 후에 0.1N NaOH를 사용하여 세포를 용해(lysis)시키고 신틸레이션 카운터(Packard Co. 1600PR)로 cpm을 측정하였다. 이 경우에 세포내의 비특이적 글루코스 흡수(non-specific glucose uptake)는 10 μM의 시토칼라신 B(Sigma Chemical Co. St Louis MO)를 포함한 HEPES-생리식염수 완충액으로 측정하여 전체 값에서 제거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장어 추출물의 글루코스 흡수치(glucose uptake)가 용량 의존적으로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장어껍질 부탄올 분획, 장어 뼈 및 내장 헥산 분획 및 장어육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각각 56.4%, 62.2% 및 75.5%로 대조군에 비해 포도당 흡수능력이 증가되었다.
<실험예 2> 근육세포에서의 AMPK 인산화 반응 촉진효과 검토
실시예에서 준비된 장어 추출물의 AMPK 효소 활성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그 효능을 측정하였다(Schlattner U, et al, J Biol Chem. 279, pp 43940-51, 2004).
각각 증류수(Normal)와 실시예에서 준비된 장어 추출물로 제조된 배양액에서 7일간 L6 근육세포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를 분화시킨 후 활성화된 형태의 AMPK 항체(Cell Signaling Technology, Beverly, MA)를 준비하였고 각 군별에 따른 AMPK 효소의 활성화 증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AMPK의 알파(α)-서브유닛에 존재하는 트레오닌(threonine) 172번 잔기에 대한 인산화 증가를 웨스턴 블롯 어세이(western blot assay)를 통해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장어 추출물에서 증가세를 나타내었고, 특히 장어껍질 부탄올 분획 및 장어 뼈 및 내장 헥산 분획에서 탁월한 AMPK 인산화 반응의 촉진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장어 추출물은 AMPK 활성화에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근육세포에서의 지방산 생합성효소인 ACC 인산화 반응 촉진효과 검토
실시예에서 준비된 장어 추출물과 증류수 각각을 이용하여 7일간 분화시킨 근육세포에서 인산화 (불활성화)된 ACC(Acetyl-CoA carboxylase)를 웨스턴 블롯 어세이(western blot assay)를 통해 나타내었다. ACC 효소는 AMPK 효소의 기질로 활성화된 AMPK 효소에 의해 인산화되어 불활성화되며, ACC 효소의 불활성화는 근육 뿐 아니라 간, 지방세포에서 지방합성이 억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어 추출물은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장어껍질 부탄올 분획, 장어 뼈 및 내장 헥산 분획 및 장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양성대조군인 메트포르민보다 각각 탁월한 ACC 인산화 반응을 촉진시켜 지방축적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근육세포에서의 AMPK 의존적 포도당 흡수능 증진효과 검토
실험예 1에서 장어 추출물은 근육세포에서 AMPK 활성화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AMPK 활성화는 세포내 당흡수능을 증가시켜 인슐린 저항성이나 제2형 당뇨에서의 경우처럼 당흡수능이 저하된 상태를 극복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Hutber C.A, et al, Am J Physiol 272, ppE262-E266, 1997).
따라서,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에서 준비된 장어 추출물 120 ㎍/ml과 증류수로 제작된 배지에서 배양된 근육세포인 L6 근육세포(myotube)에서의 글루코오스 흡수치(uptake)를 측정하였으며, 다만 장어 추출물과 함께 AMPK 저해제인 Compound C(c.c)를 10 μM 처리하였다.
그 결과, 도 4와 같이 장어 추출물에 의해 증가된 당흡수능은 AMPK 저해제인 Compound C에 의해서는 완벽히 차단되었다. 또한, 장어추출물에 의해 증가된 AMPK 활성화 역시 저해제인 Compound C에 의해 완벽히 차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장어 추출물은 AMPK 활성화를 촉진시키며, 증가된 AMPK 활성화를 통해서 당흡수능을 촉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장어 추출물 중 장어육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포함하는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건강식품의 제조
비타민 혼합물 적량(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 1 0.13 ㎎, 비타민 B 2 0.15 ㎎, 비타민 B 6 0.5 ㎎, 비타민 B 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및 실시예에 따른 장어육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가하여 전체 900 ㎖가 되도록 한 후, 농축하여 얻어진 농축물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 건강음료의 제조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및 실시예에 따른 장어육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가하여 전체 900 ㎖가 되도록 하며,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하였다.
<제제예 3> 산제의 제조
유당 100 mg, 탈크 10 mg 및 실시예에 따른 장어육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가하여 전체 900 ㎖가 되도록 한 후, 이를 농축한 농축물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정제의 제조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및 실시예에 따른 장어육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가하여 전체 900 ㎖가 되도록 혼합한 후, 이를 농축한 농축물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5> 캅셀제의 제조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및 실시예에 따른 장어육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가하여 전체 900 ㎖가 되도록 혼합한 후, 이를 농축한 농축물을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장어껍질 부탄올 분획, 장어 뼈 및 내장 헥산 분획 또는 장어육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AMP 유도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대사증후군은 비만, 고혈압, 동맥경화, 고지혈증, 간질환, 과인슐린혈증, 과혈당증, 제1형 및 제2형 당뇨병, 인슐린 내성을 특징으로 하는 이상지혈증, 발기부전, 심혈관계질환 및 허혈성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장어껍질 부탄올 분획, 장어 뼈 및 내장 헥산 분획 또는 장어육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AMP 유도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증후군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110044555A 2011-05-12 2011-05-12 장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97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555A KR101297034B1 (ko) 2011-05-12 2011-05-12 장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555A KR101297034B1 (ko) 2011-05-12 2011-05-12 장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617A KR20120126617A (ko) 2012-11-21
KR101297034B1 true KR101297034B1 (ko) 2013-08-14

Family

ID=4751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555A KR101297034B1 (ko) 2011-05-12 2011-05-12 장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0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697A (ko) 2015-01-14 2016-07-22 좋은세상영어조합법인 붕장어를 이용한 김밥 소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김밥 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151A (ko) * 2001-03-22 2002-10-04 양재덕 버섯 민물 장어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151A (ko) * 2001-03-22 2002-10-04 양재덕 버섯 민물 장어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697A (ko) 2015-01-14 2016-07-22 좋은세상영어조합법인 붕장어를 이용한 김밥 소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김밥 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617A (ko)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4455B1 (ko) 간경변, 세포 독성 개선 및 간손상 억제 활성을 갖는 혼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230082624A1 (en) Composition, containing quisqualis indica extract,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ostatic hyperplasia
TW201828955A (zh) 提高耐力表現之抗疲勞組合物
KR101269208B1 (ko) 사우치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93998B1 (ko)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20160006812A (ko) 작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51586B1 (ko) 락토바실러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1297034B1 (ko) 장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86260B1 (ko) 장구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 및 간질환 치료용 조성물
WO2008069604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mixed herbal extract of aralia cordata thunb. and cimicifuga heracleifolia kom.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 and pain disease
KR101050003B1 (ko) 얼레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KR20050111658A (ko)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제
KR102045847B1 (ko) 관능성 및 항당뇨 활성이 증대된 옥미수·호박 가미 경옥고
KR101787458B1 (ko) 육두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궁내막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24108A (ko)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및 약학 조성물
KR20140026737A (ko) 발효울금 분말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20140104090A (ko) 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290264B1 (ko) 당뇨병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KR20130127088A (ko) 택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증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20005111A (ko)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구력 내지 운동능력 증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50217B1 (ko) 흑마늘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KR20100108869A (ko)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032765A (ko) 대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55366A (ko)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