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0252A - 가습장치 - Google Patents

가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0252A
KR20050110252A KR1020040035200A KR20040035200A KR20050110252A KR 20050110252 A KR20050110252 A KR 20050110252A KR 1020040035200 A KR1020040035200 A KR 1020040035200A KR 20040035200 A KR20040035200 A KR 20040035200A KR 20050110252 A KR20050110252 A KR 20050110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humidifying
humidifie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4386B1 (ko
Inventor
김성우
주의성
황용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5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386B1/ko
Publication of KR20050110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3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4Air-mixing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injection of steam into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1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using a water curt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방울이 덕트 내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는 공기가 유동하는 덕트의 중도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유닛을 구비한 것으로, 가습유닛의 공기유동방향 하류측에는 가습유닛을 통과하여 유동하는 공기와 함께 비산되는 물방울을 거르는 물 비산방지장치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물방울이 덕트 내로 비산되어 덕트 내부를 적시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습장치{HUMIDIFY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덕트의 중도에 배치되어 덕트를 통과하는 공기의 습도를 높이는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장치는 공기 중에 습도를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로써, 이러한 가습장치 중에는 공기조화를 위해 건물 내에 마련된 덕트의 중도에 배치되어 덕트를 통과하는 공기의 습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가습장치가 있다.
이러한 가습장치는 물을 전달받아 기화 또는 무화시킨 후 덕트를 통과하는 공기에 공급함으로써 공기의 습도를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덕트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물이 가습장치에서 미처 기화나 무화되지 못하고 물방울의 형태로 공기와 함께 비산되어 덕트 내부를 적시고 그에 따라 덕트 내부에 세균이나 오염물질이 누적될 소지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방울이 덕트 내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는, 공기가 유동하는 덕트의 중도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유닛과, 상기 가습유닛을 통과하여 유동하는 공기와 함께 비산되는 물방울을 거르는 물 비산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 비산방지장치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하로 배치된 다수의 경사판을 구비한 그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릴부재는 공기유동방향으로 진행하며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을 갖는 제 1 그릴부재와 공기유동방향으로 진행하며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을 갖는 제 2 그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습유닛은 물을 흡수하는 흡수성 재질로 형성되며 공기가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다공성 재질로 형성된 가습여재와, 상기 가습여재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습여재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습유닛은 외부로부터 증기를 전달받아 분사할 수 있도록 분사구가 마련된 증기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습유닛 및 물 비산방지장치의 하부에는 상기 가습유닛 및 물 비산방지장치에서 낙하하는 물을 받을 수 있도록 물받이가 마련되며, 상기 물받이에는 외부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는 도 1,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건물의 공기조화를 위해 마련된 덕트(D)의 중도에 배치되어 덕트(D)를 통과하여 실내로 안내되는 공기의 습도를 높이는 가습유닛(1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습유닛(10)은 흡수성 재질로 형성되며 덕트(D)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가습유닛(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 가습여재(11)와, 가습여재(11)의 테두리부를 형성하여 가습여재(11)가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프레임(12)을 포함한다. 또한, 프레임(12) 상부에는 내부에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가습여재(11)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측에 배출구(13a)가 마련된 물공급관(13)이 내장되어, 물공급관(13)에서 공급된 물이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며 흡수성의 가습여재(11)를 적셔 가습여재가 젖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가습여재(11)가 물공급관(13)에서 공급된 물에 의해 젖어 있는 상태에서 공기가 가습여재(11)를 관통하여 흐르면 가습여재(11)의 표면에서 물이 기화되면서 가습여재(11)를 통과하는 공기의 습도를 높이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이와 같이 공기가 가습되는 과정에서 공기의 유속이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 가습여재(11)에서 기화되지 못한 물방울이 그대도 공기와 함께 비산되어 덕트(D) 내부를 적실 소지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에는 유동하는 공기 내에 포함되어 있는 물방울을 거르는 물 비산방지장치(20)가 가습유닛(10)의 공기유동방향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물 비산방지장치(20)는 가습유닛(10)의 공기유동방향 하류측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그릴부재(21, 22)를 포함한 것으로, 각 그릴부재(21, 22)는 공기가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서로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의 경사판(21a, 22a)을 구비하여, 공기는 경사판(21a, 22a) 사이의 공간을 통해 그릴부재(21, 22)를 통과하고 공기와 함께 유동하던 물방울은 그 무게가 무거우므로 경사판(21a, 22a)에 부딪힌 후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므로 물방울이 공기와 함께 덕트(D) 내를 유동하다가 적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한 쌍의 그릴부재(21, 22)는 공기유동방향으로 진행하며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21a)을 갖는 제 1 그릴부재(21)와, 공기유동방향으로 진행하며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22a)을 갖는 제 2 그릴부재(22)를 포함한다.
따라서, 공기는 제 1 그릴부재(21)에 의해 상측으로 안내되다가 다시 제 2 그릴부재(22)에 의해 하측으로 안내되어 유동방향이 급격히 전환되는데 반해, 공기에 비하여 매우 큰 무게를 갖는 물방울은 그 자중에 의한 관성 때문에 공기와 같은 급격한 유동방향의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제 1 그릴부재(21)나 제 2 그릴부재에 마련된 경사판(21a, 22a)에 부딪힌 후,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가습여재(11) 및 물 비산방지장치(20)의 하부에는 가습여재(11) 및 물 비산방지장치(20)에서 낙하한 물을 받을 수 있도록 물받이(30)가 마련되어 있으며, 물받이(30)에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31)이 설치되어 물을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물 비산방지장치(20)는 가습여재(11)를 포함하여 물에 젖어 있는 가습여재(11)에 공기를 통과시켜 공기의 습도를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가습유닛(10)에 적용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증기를 전달받아 분사할 수 있도록 분사구(14a)가 마련되어 공기의 습도를 높이는 증기공급관(14)으로 형성된 가습유닛(10)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는 가습유닛의 공기유동방향 하류측에 가습유닛에서 비산된 물방울을 거르는 물 비산방지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물방울이 덕트 내로 비산되어 덕트 내부가 젖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가습유닛 11: 가습여재
12: 프레임 13: 물공급관
13a: 배출구 14: 증기공급관
14a: 분사구 20: 물 비산방지장치
21: 제 1 그릴부재 22: 제 2 그릴부재
21a, 22a: 경사판 30: 물받이
31: 배수관 D: 덕트

Claims (6)

  1. 공기가 유동하는 덕트의 중도에 배치되어 통과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유닛과, 상기 가습유닛을 통과하여 유동하는 공기와 함께 비산되는 물방울을 거르는 물 비산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 비산방지장치는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상하로 배치된 다수의 경사판을 구비한 그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부재는 공기유동방향으로 진행하며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을 갖는 제 1 그릴부재와 공기유동방향으로 진행하며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을 갖는 제 2 그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유닛은 물을 흡수하는 흡수성 재질로 형성되며 공기가 관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다공성 재질로 형성된 가습여재와, 상기 가습여재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습여재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유닛은 외부로부터 증기를 전달받아 분사할 수 있도록 분사구가 마련된 증기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유닛 및 물 비산방지장치의 하부에는 상기 가습유닛 및 물 비산방지장치에서 낙하하는 물을 받을 수 있도록 물받이가 마련되며, 상기 물받이에는 외부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
KR1020040035200A 2004-05-18 2004-05-18 가습장치 KR100594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200A KR100594386B1 (ko) 2004-05-18 2004-05-18 가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200A KR100594386B1 (ko) 2004-05-18 2004-05-18 가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252A true KR20050110252A (ko) 2005-11-23
KR100594386B1 KR100594386B1 (ko) 2006-06-30

Family

ID=37285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200A KR100594386B1 (ko) 2004-05-18 2004-05-18 가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43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9096A (zh) * 2015-10-08 2018-06-08 庆东纳碧安株式会社 加湿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9096A (zh) * 2015-10-08 2018-06-08 庆东纳碧安株式会社 加湿器
CN108139096B (zh) * 2015-10-08 2020-12-29 庆东纳碧安株式会社 加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4386B1 (ko) 200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079B1 (ko)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KR20160042864A (ko) 공기조화 시스템을 위한 가습 유닛
KR20110100200A (ko) 기체-액체간 교환 방법 및 장치
JP5933231B2 (ja) 空気清浄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清浄方法
KR100594386B1 (ko) 가습장치
JP5867534B2 (ja) 加湿装置
KR102218691B1 (ko) 분사부 및 제습부를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CN109312943B (zh) 加湿元件、加湿装置、空调机和换气装置
JP6742517B2 (ja) 加湿素子、加湿装置、空気調和機および換気装置
CN210532591U (zh) 一种布水器装置
JP7236877B2 (ja) 加湿装置、換気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H01102227A (ja) 加湿装置
JP5830922B2 (ja) 加湿器の吹出構造
CN207123059U (zh) 接水盘装置及机房空调系统
KR102303446B1 (ko) 가습기
JP2005003304A (ja) 加湿機
JP6223285B2 (ja) 加湿素子および加湿装置
KR20220039025A (ko) 가습청정장치
JP2003190853A (ja) 霧化装置
CN112556489B (zh) 冷却塔清洁装置和冷却塔
JP6794481B2 (ja) 散布トレイ、三流体熱交換器、及び湿式調湿装置
JP6052350B2 (ja) 加湿装置
JP2016176635A (ja) 加湿素子および加湿装置
KR101689820B1 (ko) 가습기형 액자
JP2006322669A (ja) 冷却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6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