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820B1 - 가습기형 액자 - Google Patents

가습기형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820B1
KR101689820B1 KR1020160116064A KR20160116064A KR101689820B1 KR 101689820 B1 KR101689820 B1 KR 101689820B1 KR 1020160116064 A KR1020160116064 A KR 1020160116064A KR 20160116064 A KR20160116064 A KR 20160116064A KR 101689820 B1 KR101689820 B1 KR 101689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ter
plate
space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명
Original Assignee
김진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명 filed Critical 김진명
Priority to KR1020160116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2003/161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1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using a water cur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4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a water pu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자기능과 더불어 공기정화 및 가습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가습기형 액자에 관한 것으로, 전면판이 개방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상, 하, 좌, 우측 프레임과 다양한 도안을 교체할 수 있는 패널부 및 삽탈 가능한 형태의 저수통 및 공기 흡입수단과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 또는 인테리어 효과와 더불어 가습 및 공기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가습시 패널부 전체 면적에 물을 고르게 퍼트려 낙하시키면서 주변으로 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가습 효율성 향상 및 주변을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공기 내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물을 이용하여 포집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시켜 공기 정화 효율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각각의 프레임의 전면판을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유지보수가 수월해질 수 있는 가습기형 액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습기형 액자{A humidifier type picture frame}
본 발명은 액자기능과 더불어 공기정화 및 가습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가습기형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가습기의 종류는 초음파 가습기, 가열식 가습기 및 어항이나 분수대 및 화초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초음파 가습기는 초음파 진동자가 진동되면서 물을 미세한 안개상태로 만들어 실내로 분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안개상태로 분무되는 물이 실내 온도를 빼앗아 실내 온도를 하강시키는 부작용이 발생하게 되고, 잘못 사용할 경우 도리어 감기에 걸리게 되는 역효과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철저하게 위생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가습기 통 내부의 물 속에 번식하고 있는 세균 등이 물과 함께 실내로 확산되어 인체의 호흡기 계통에 이상을 초래하게 된다.
또, 물을 끓여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열식 가습기는 위와 같은 문제점은 없으나 히터의 사용으로 인해 많은 양의 전기를 소모하게 되어 경제적이지 못하였고, 가열된 수증기가 실내온도 및 습도를 과도하게 상승시켜 도리어 불쾌감이 높아질수 있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어항이나 분수대 또는 화초(화분) 및 도랑형태의 자연식 가습기는 실내장식물로서의 기능을 겸하면서 가습기능을 발휘하고는 있으나,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 가습기능이 미약하고, 부피가 크고 무거워서 이의 이동과 설치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한편, 인테리어기능을 겸하는 가습기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22809호의 액자형 가습기 및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28876호의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 등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 KR100322809 B1 액자형 가습기
(특허문헌 2) KR200328876 Y1 물을 이용한 가습장치
하지만, 이들은 공히 하부에서 펌핑된 물을 화포(畵布) 또는 낙하판을 따라 서서히 낙하시켜 습도 조절 및 인테리어적인 효과와 함께 미세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실내 공기와 균일하게 접촉하지 못하여 가습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유지보수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형 액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 또는 인테리어 효과와 더불어 가습 및 공기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습기형 액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을 이용한 가습시 패널부 전체 면적에 물을 고르게 퍼트려 낙하시키면서 주변으로 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가습 효율성 향상 및 주변을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 내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물을 이용하여 포집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시켜 공기 정화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프레임의 전면판을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유지보수가 수월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패널부에 다양한 형태의 도안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가습부 및 저수통을 이용하여 가습역할을 실시함은 물론, 공기 흡입수단 및 필터부를 통해 공기정화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측 프레임에 결합하는 가이드 프레임을 이용해 패널부 표면에 물을 고르게 펼쳐 이동시켜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가습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일정 각도로 경사진 형태로 가이드 프레임을 결합함으로써 가습부의 펌프에 의해 이동하는 물의 수압이 높거나 또는 다량의 물이 이동되더라도 그로 인해 물이 패널부 표면 이외에 다른 공간에 튀지 않도록 하여 주변 환경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공기 내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물을 이용해 제거하여 공기 정화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형 액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가습기형 액자에서 프레임의 전면판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상측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하측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좌측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우측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2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형 액자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의 A-A 단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진 상, 하, 좌, 우측 프레임(10, 20, 30, 40)이 액자형태로 결합되며, 그 내측에 패널부(50)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우선, 상측 프레임(10)은 도 3에서와 같이 상측 평면판(12), 상측 전면판(13), 상측 후면판(14) 및 상측 내면판(15)이 결합되어 내부에 상측 공간부(11)를 형성한 대략 각파이프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상측 프레임(10)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 측면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술한 상측 프레임(10)의 상측 내면판(15)의 외측에는 홈 형태로 이루어진 패널 결합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상측 내면판(15)에는 상측 후면판(14)과 인접한 위치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홀 형태로 이루어진 물 배출홀(16d)을 포함하는 분사노즐 결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사노즐 결합부(16)는 상측 단면이 원호 형태로 이루어진 한쌍의 받침부(16a)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 바닥에는 물 배출홀(16a)이 타공되어 있는 바닥면(16c)이 형성되며, 받침부(16a) 및 바닥면(16c)에 의해 공간부(16b)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하측 프레임(20)은 도 4에서와 같이 상술한 상측 프레임(10)과 마찬가지로 하측 저면판(22), 하측 전면판(23), 하측 후면판(24) 및 하측 내면판(25)이 결합되어 내측에 하측 공간부(21)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하측 프레임(20)은 상측 프레임(10)과 마찬가지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측 프레임(10)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양 측면은 개방된 구조의 각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하측 내면판(25)에는 홈 형태의 패널 결합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술한 하측 내면판(25)에는 다수의 물 흡입홀(25b)이 하측 프레임(2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좌측 프레임(30)은 도 5에서와 같이 상술한 상, 하측 프레임(20, 30)의 개방되어 있는 부분에 결합하는 구성으로서 좌측 측면판(32), 좌측 전면판(33), 좌측 후면판(34) 및 좌측 내면판(35)으로 구성되어 내측에 좌측 공간부(31)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좌측 내면판(35)에는 홈형태의 패널 결합부(35a)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우측 프레임(40)은 도 6에서와 같이 상술한 좌측 프레임(30)과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우측 측면판(42), 우측 전면판(43), 우측 후면판(44) 및 우측 내면판(45)으로 구성되어 내측에 우측 공간부(41)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측 내면판(45)에는 패널 결합부(45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상, 하, 좌, 우측 프레임(10, 20, 30, 40)을 구성하는 전면에 형성되는 각각의 전면판들(13, 23, 33, 43)들은 결합시 개폐가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조립시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고장시에도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상측 프레임(10)에 형성된 상측 전면판(13)의 경우 도 3에서와 같이 상측 평면판(12)과의 결합시 힌지들(H1, H2)을 이용하여 결합하여 개폐가 가능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프레임들은 각각 끼움결합 또는 별도의 결합수단(도면에 미도시)을 이용하여 대략 액자와 같은 형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패널부(50)는 상술한 프레임들에 의해 고정 결합하는 구성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 하, 좌, 우측 프레임(10, 20, 30, 40)의 전면판들(15, 25, 35, 45)에 형성된 각각의 패널 결합부(15a, 25a, 35a, 45a)에 끼워 결합할 수 있다.
이때에, 상술한 패널부(50)는 그림, 사진 , 글씨 등이 인쇄되어 있는 도안부(51)와 그 위에 결합하는 유리(52)로 구성하여 상술한 패널 결합부(15a, 25a, 35a, 45a)에 끼워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저수통(60)은 도 8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상술한 하측 프레임(20)의 하측 공간부(21) 내에 삽탈 가능한 형태로 배치되어 상측 프레임(10)에서 물을 분사하게 되면 하측 프레임(20)의 물 흡입홀(25b)을 통해 하측 공간부(21)유 유입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해 저수공간(6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가습부(70)는 상술한 프레임들(10, 20, 30, 40)에 결합된 패널부(50) 표면에 물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행사장과 같은 장소에 설치시에는 광고효과와 더불어 가습기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고, 일반 가정에 사용시에는 인테리어 역할과 더불어 가습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위한 가습부(70)는 상술한 프레임들(10, 20, 30, 40)의 공간부(11, 21, 31, 41) 중 어느 하나의 공간부에 배치되는 펌프(71)가 구성된다.
상기 펌프(71)의 통상의 수중펌프로서 물을 흡입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상측 프레임(10)의 상측 공간부(11)에 형성된 분사노즐 결합부(16)에는 다수의 분사홀(72a)을 포함하는 분사노즐(72)이 결합하며, 펌프(71) → 분사노즐(72) → 저수통(60)을 연결하여 물이 순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물 공급관(73)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공기 흡입수단(80)은 상술한 상측 프레임(10) 내에 형성하여 실내 공기를 흡입한 후 물이 이동할 때에 물에 공기를 분사하여 공기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물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공기 흡입수단(80)은 통상의 흡기팬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한개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술한 공기 흡입수단(80)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서는 상측 평면판(12) 내에 하나 이상의 흡입홀(12a)을 형성하여 실내 공기의 흡입이 원활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패널부(50)를 통해 이동하는 물이 다른 곳으로 튀지 않으면서 전 면적에 고르게 퍼진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프레임(90)을 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90)은 물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플레이트(91)와 그 단부에 형성된 다수의 패턴(9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가이드 프레임(90)은 상측 프레임(10)의 상측 내면판(15)에 형성되어 있는 분사노즐 결합부(16)의 외측 하부에 가이드 프레임 결합홀(17)을 형성하여 이 가이드 프레임 결합홀(17)에 가이드 플레이트(91) 중 패턴(92)이 형성된 반대편의 단부를 끼움 결합하여 배치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가이드 프레임(9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이 패널부(50)의 전 면적에 걸쳐 고르게 흐르면서 패널부(50)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흐르도록 가이드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측 프레임(10)의 상측 내면판(15)에 가이드 프레임 결합홀(17) 형성시 경사지게 형성하여 가이드 프레임(90)의 패턴(92) 부분과 패널부(50) 표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여 위와 같은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필터부(F)는 상술한 저수통(60)의 저수공간(61) 내에 삽입되어 저수공간(61)을 구획시키되, 물은 통과하고 이물질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가습부(70)의 펌프(71)에 공급되는 물을 정화시키도록 하여 공기 중의 먼지도 제거하기 위해 설치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필터부(F)는 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설치되는 만큼 제1, 2, 3 필터(F1, F2, F3)로 구성하여 필터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형 액자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형 액자(100)는 설치하는 위치에 따라 패널부(50)의 도안부(51) 구성이 달라지게 된다.
예컨대, 회사나 전시장일 경우에는 회사 또는 전시회를 홍보할 수 있는 홍보물이나 광고물로 이루어진 도안부(51)를 형성하도록 하고 가정용으로 활용할 경우에는 그림이나 글씨 등을 넣어 인테리어로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가습기형 액자(100)는 상술한 효과 이외에 가습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하측 프레임(20)에 형성된 하측 공간부(21)에 저수통(60)이 삽탈 가능한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 하, 좌, 우측 프레임(10, 20, 30, 40)에 형성되는 각각의 공간부(11, 21, 31, 41)내에는 펌프(71), 분사노즐(72), 물공급관(73)으로 이루어진 가습부(70)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저수통(60) 내에 수납된 물을 순환시켜서 패널부(50)의 표면으로 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기와 패널부(50) 표면으로 흐르는 물이 접촉하여 가습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특히, 상술한 저수통(60)은 하측 프레임(20)의 하측 공간부(21)에 삽입 및 탈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가습시 물의 증발이 발생하여 모자라거나 오랫동안 사용하였을 때에 물을 수시로 교체해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가습부(70)를 통한 물을 순환시킬 때에 패널부(50) 표면에 고르게 물이 퍼트려지면서 튀는 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본 발명이 설치되어 있는 주변을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습기 역할 및 광고 또는 인테리어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수통(60)에 담겨진 물은 가습부(70)의 펌프(71)에 의해 물 공급관(73)을 따라 이동하여 상측 프레임(10)의 상측 공간부(11)에 배치된 분사노즐(72)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한 물은 분사노즐(72)의 분사홀(72a) 및 분사노즐 결합부(16)에 형성된 물 배출홀(16d)을 통해 상측 공간부(11) 밖으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 결합부(16)는 분사노즐(72)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물 배출홀(16a)이 형성되어 그 사이에 공간부(16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압으로 작동하는 펌프(71)에 의해 이동하는 물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여 분사노즐(72)의 분사홀(72a)을 통해 분사되더라도 공간부(16b)에서 1차로 물의 속도를 줄여주게 되고, 특히, 분사노즐(7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이 많더라도 공간부(16b)에 어느 정도 수용이 되면서 운동에너지가 줄어든 상태이기 때문에 상측 공간부(11) 밖으로 배출되는 물은 수압에 의해 튀는 현상이 없이 하측으로 낙하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측 공간부(11)의 벗어난 물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 결합홀(17)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 프레임(90)의 가이드 플레이트(91)로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낙하한 물은 다른 위치로 낙하하지 않고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가이드 플레이트(91)에 의해 가이드 되어 패널부(50) 표면으로만 물이 이동하여 다른 위치로 물이 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술한 가이드 플레이트(91)의 단부, 즉, 최종적으로 물이 패널부(50) 표면으로 이동하기 전의 위치에는 엠보 형태의 패턴(9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플레이트(91)를 통해 이동한 물은 이 패턴(92)에 의해 패널부(50) 전체 면적에 고르게 퍼진 상태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더 넓은 면적으로 실내 공기와 접촉하여 가습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공기의 가습효과와 더불어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도 얻을 수 있다.
즉, 상측 프레임(10)의 상측 공간부(11)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 흡입수단(80)이 형성되고, 상측 평면판(12)에는 공기 흡입수단(80)이 형성된 위치에 흡입홀(12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 흡입수단(80)에 전원이 인가되면 공기 흡입수단(80)의 작동에 의해 실내 공기 및 이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먼지나 오염물질 등이 상측 공간부(11)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오염 공기는 가습부(70)의 물과 함께 혼합되어 패널부(50)의 표면을 타고 하측으로 낙하하여 다시 저수통(60)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렇게 이동한 물은 가습부(70)의 펌프(71)를 통한 흡입시 저수통(60) 내를 구획하도록 형성한 필터(F)에 의해 미세먼지나 오염물질이 포함된 이물질 등은 필터(F)에 걸러내어 더이상 가습부(70)에 의해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상술한 오염물질들은 저수통(60)의 조수공간(61)에 포집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습기 역할과 더불어 실내의 미세먼지 등을 걸러내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저수통(60) 내부에 쌓인 이물질은 주기적으로 사용자가 저수통(60)을 탈착하여 비워줌으로써 유지보수도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 하, 좌, 우측 프레임(10, 20, 30, 40)의 각각의 전면판(13, 23,33, 43)을 개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상, 하, 좌, 우측 프레임(10, 20, 30, 40)의 결합 후 저수통(60), 가습부(70), 공기 흡입수단(80)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고장 발생시에도 수리가 매우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발명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 명백한 것임을 명시한다.
10 : 상측 프레임
11 : 상측 공간부
12 : 상측 평면판 12a : 흡입홀 13 : 상측 전면판 14 : 상측 후면판
15 : 상측 내면판 15a: 패널 결합부
16 : 분사노즐 결합부 16a : 받침부 16b : 공간부 16c : 바닥면
16d : 물 배출홀
17 : 가이드 프레임 결합홀
20 : 하측 프레임
21 : 하측 공간부
22 : 하측 저면판 23 : 하측 전면판 24 : 하측 후면판
25 : 하측 내면판 25a : 패널 결합부 25b: 물 흡입홀
30 : 좌측 프레임
31 : 좌측 공간부
32 : 좌측 측면판 33 : 좌측 전면판 34 : 좌측 후면판
35 : 좌측 내면판 35a : 패널 결합부
40 : 우측 프레임
41 : 우측 공간부
42 : 우측 측면판 43 : 우측 전면판 44 : 우측 후면판
45 : 우측 내면판 45a : 패널 결합부
50 : 패널부
51 : 도안부 52 : 유리
F : 필터부
60 : 저수통
61 : 저수공간
70 : 가습부
71 : 펌프 72 : 분사노즐 72a : 분사홀 73 : 물 공급관
80 : 공기 흡입수단
90 : 가이드 프레임
91 : 가이드 플레이트 92 : 패턴
100 : 가습형 액자

Claims (5)

  1. 내측에 공간부(11, 21, 31, 41)를 형성하고 있는 서로 결합되는 상, 하, 좌, 우측 프레임(10, 20, 30, 40);
    상기 상, 하, 좌 , 우측 프레임(10, 20, 30, 40) 결합시 발생하는 공간에 결합하는 패널부(50);
    상기 하측 프레임(20)의 하측 공간부(21)에 삽입되어 하측 프레임(20)에 포함된 물 흡입홀(25b)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는 저수공간(61)을 포함하는 저수통(60);
    상기 하측 프레임(20)의 하측 공간부(21)에 배치되는 펌프(71)와 상기 저수통(60)에 저장되는 물을 상측 프레임(10)에 배치되는 다수의 물 배출홀(16d)을 포함한 분사노즐 결합부(16)에 결합된 다수의 분사홀(72a)을 포함하고 있는 분사노즐(72)과 상기 펌프(71)와 분사노즐(72)을 연결하는 물 공급관(73)으로 이루어진 가습부(70);
    상기 상측 프레임(10)의 상측 공간부에 배치되되 가습부(70)를 통해 순환하는 물에 실내 공기를 접촉시키기 위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수단(80);
    상기 저수통(60)의 일측을 구획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필터부(F);
    상기 상측 프레임(10)에 형성된 분사노즐 결합부(16)의 하측으로는 가이드 프레임 결합홀(17)을 더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 결합홀(17)에 결합하되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플레이트(91)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91) 단부에 형성되되 분사노즐(72)의 분사홀(72a) 및 분사노즐 결합부(16)의 물 배출홀(16d)을 통해 패널부(50)로 이동하는 물을 고르게 퍼트리면서 패널부(50) 표면을 타고 흘러내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패턴(92)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프레임(90)이 결합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가습기형 액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프레임(10)은 양 측면은 타공되어 있으며 흡입홀(12a)을 포함한 상측 평면판(12), 상측 전면판(13), 상측 후면판(14) 및 패널 결합부(15a)를 포함한 상측 내면판(15)이 결합되어 내측으로 상측 공간부(11)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하측 프레임(20)은 양 측면은 타공되어 있으며 하측 저면판(22), 하측 전면판(23), 하측 후면판(24) 및 패널 결합부(25a)와 물 흡입홀(25b)을 포함한 하측 내면판(25)이 결합되어 내측으로 하측 공간부(21)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좌측 프레임(30)은 상, 하측은 타공되어 상, 하측 프레임(10, 20)과 결합되며, 좌측 측면판(32), 좌측 전면판(33), 좌측 후면판(34) 및 패널 결합부(35a)를 포함한 좌측 내면판(35)이 결합되어 내측으로 좌측 공간부(31)를 형성하며,
    상기 우측 프레임(40)은 상, 하측은 타공되어 상, 하측 프레임(10, 20)과 결합되며, 우측 측면판(42), 우측 전면판(43), 우측 후면판(44) 및 패널 결합부(45a)를 포함한 우측 내면판(45)이 결합되어 내측으로 우측 공간부(41)를 형성하되,
    상기 상, 하, 좌, 우측 프레임(10, 20, 30, 40) 각각의 전면판(13, 23, 33, 43)은 개폐가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가습기형 액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프레임(10)에 형성된 분사노즐 결합부(16)는 가습부(70)의 분사노즐(72)을 거치하기 위한 받침부(16a)가 일정간격을 두고 양 단에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16a) 사이 바닥에는 물 배출홀(16d)이 타공되어 있는 바닥면(16c)이 일정깊이에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16a)와 바닥면(16c)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16b)로 이루어져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가습기형 액자.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프레임(10)에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 결합홀(17)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가습기형 액자.
KR1020160116064A 2016-09-09 2016-09-09 가습기형 액자 KR101689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064A KR101689820B1 (ko) 2016-09-09 2016-09-09 가습기형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064A KR101689820B1 (ko) 2016-09-09 2016-09-09 가습기형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820B1 true KR101689820B1 (ko) 2016-12-26

Family

ID=5773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064A KR101689820B1 (ko) 2016-09-09 2016-09-09 가습기형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8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066Y1 (ko) * 1992-01-14 1995-02-18 김만호 가습기
KR200233151Y1 (ko) * 1998-08-17 2001-10-25 김만호 자연증발식액자형가습기
KR200265958Y1 (ko) * 2001-11-28 2002-02-25 김진 액자형 가습기
KR200470992Y1 (ko) * 2009-01-30 2014-01-24 김시남 실내 가습 및 공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066Y1 (ko) * 1992-01-14 1995-02-18 김만호 가습기
KR200233151Y1 (ko) * 1998-08-17 2001-10-25 김만호 자연증발식액자형가습기
KR200265958Y1 (ko) * 2001-11-28 2002-02-25 김진 액자형 가습기
KR200470992Y1 (ko) * 2009-01-30 2014-01-24 김시남 실내 가습 및 공기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3956B2 (en) Air cleaning fountain
CN106475345B (zh) 用于清洁空调室内机的滤网的清洁装置和空调室内机
KR100908464B1 (ko) 실내공기 청정기
US11035614B2 (en) Device for producing a stream of air through a volume of liquid
JP2021520846A (ja) 空気浄化のための生物学的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026933B1 (ko) 교실 환기시스템
US10329180B2 (en) Air cleaning fountain
KR100583071B1 (ko) 스크린 공기세정시스템
CN107327945A (zh) 一种空调
WO2015064981A1 (ko) 자연 기화 가습기
US7025812B2 (en) Portable air cleaning apparatus
KR20180022245A (ko) 가습 기능을 갖는 공기정화기
KR101111245B1 (ko) 유리패널 코팅장치
CN107339752A (zh) 一种空调
JP2004347165A (ja) 空気清浄化装置
JP2008309396A (ja) クリーンエアー装置
CN107388411A (zh) 一种空调
KR101689820B1 (ko) 가습기형 액자
KR101957703B1 (ko) 기체 필터링 장치
KR101999794B1 (ko)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KR200452696Y1 (ko) 가습기의 여과장치
EP3395450B1 (en) Air cleaning fountain
JPH09324930A (ja) 空気調和装置
JP2021063596A (ja) 空気清浄装置
KR101975719B1 (ko) 나노 세라필터의 세정 및 살균 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