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691B1 - 분사부 및 제습부를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 Google Patents

분사부 및 제습부를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691B1
KR102218691B1 KR1020200077972A KR20200077972A KR102218691B1 KR 102218691 B1 KR102218691 B1 KR 102218691B1 KR 1020200077972 A KR1020200077972 A KR 1020200077972A KR 20200077972 A KR20200077972 A KR 20200077972A KR 102218691 B1 KR102218691 B1 KR 102218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water supply
supply pipe
nozzle
coo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수복
백승환
공주현
Original Assignee
(주)세기에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기에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세기에어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77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28F25/06Spray nozzles or spray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5/00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 F28F25/02Component parts of trickle coolers for distributing, circulating, and accumulating liquid
    • F28F25/08Splashing boards or grids, e.g. for converting liquid sprays into liquid films; Elements or beds for increasing the area of the contact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7/00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시설, 축사, 비닐하우스 등에 설치되어 기화열을 이용하여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풍기의 초기 가동 또는 재가동 시 냉각팬에 분사되는 물의 분사범위를 향상시켜 빠른 시간내에 외부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어 냉각효율이 향상되며, 냉각된 공기가 포함하는 수분을 제거한 후 실내로 공급하여 보다 쾌적한 실내 냉방을 가동할 수 있도록 제작된 냉풍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사부 및 제습부를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AIR COOLER WITH EVAPORATIVE TYPE HAVING INJECTOR AND DEHUMIDIFIER}
본 발명은 산업시설, 축사, 비닐하우스 등에 설치되어 기화열을 이용하여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는 분사부 및 제습부를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풍기의 초기 가동 또는 재가동 시 냉각팬에 분사되는 물의 분사범위를 향상시켜 빠른 시간내에 외부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어 냉각효율이 향상되며, 냉각된 공기가 포함하는 수분을 제거한 후 실내로 공급하여 보다 쾌적한 실내 냉방을 가동할 수 있도록 제작된 분사부 및 제습부를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에 관한 것이다.
외부공기가 물에 적셔진 냉각패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외부공기가 기화 냉각되어 실내로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는 기화냉각방식의 냉풍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종래의 냉풍기는 초기 가동 또는 재가동 시 냉각팬이 건조된 상태에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냉각팬에 냉매 역할을 하는 물이 충분히 적셔질 때까지 냉각되지 않은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하였다. 또한 냉각된 공기의 습도가 높아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기 어려웠다.
이로 인해 실내공간에 별도의 제습기를 구비하거나,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로에 제습기를 추가로 공급하는 방법으로 이를 해결하여 불필요한 가전기기들을 함께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냉풍기의 초기 또는 재가동시 외부공기의 냉각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높은 습도의 냉각된 공기를 제습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포함된 냉풍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3634호 '냉풍기' 2. 등록특허공보 제10-1209335호 '냉온풍기'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냉풍기의 초기 또는 재가동시 실내로 공급되는 외부공기의 냉각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제습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적정 온도의 기화 냉각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분사부 및 제습부를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사면이 개방된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의 측면에 설치되어 외부공기가 통과하되, 내포된 유체가 기화되면서 통과하는 외부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판(200); 상기 냉각판(2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유체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냉각판(200)의 상단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메인급수관(300); 상기 냉각판(200)의 측면에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보조급수관(400); 상기 프레임(100)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유체가 수용되는 저수조(500); 상기 저수조(500)에 수용된 상기 유체를 상기 메인급수관(300) 및 상기 보조급수관(400) 중 적어도 상기 메인급수관(300)으로 공급하는 공급펌프(600); 및 상기 냉각판(200)을 통과하여 냉각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급팬(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급수관(300)은,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공(310); 상기 배출공(310)의 내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공(310)를 개폐하는 판막노즐(320); 일측이 상기 메인급수관(300)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끝단이 상기 배출공(310)을 통과하도록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면에 상기 판막노즐(320)이 접촉되는 연결봉(330); 및 상기 연결봉(330)의 타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판막노즐(320)의 개방 시 이동하는 유체의 이동방향을 변경하여 유체의 분사면적을 증가시키는 분사판(34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급수관(400)은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410)을 구비하고, 상기 분사노즐(410)은, 상기 보조급수관(400)과 연통되는 노즐플랜지(411); 상기 노즐플랜지(411)와 연결되고,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며, 측면에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다수의 분사홈(412-1)이 형성되는 노즐팁(412); 및 상기 분사홈(412-1)을 개폐하는 노즐커버(413);을 구비할 수 있다.
노즐커버(413)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이고, 일측이 상기 분사홈에 고정되어, 특정 압력 이상이면 외부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유체를 배출하고, 보조 급수 필요시 상기 보조 급수관의 유체 압력을 상기 특정 압력 이상이 되도록 상기 공급펌프의 출력을 높이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410)은 상기 분사홈(412-1)의 일측에 상기 분사홈(412-1)을 통과하는 유체를 산란(散亂)시키는 산란돌기(41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급수관(400)은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410)을 구비하고, 상기 분사노즐(410)은, 상기 보조급수관(400)과 연통되는 노즐플랜지(411); 및 일단이 상기 노즐플랜지(411)와 연결되고,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며, 타단에 형성된 미세 기공으로 상기 유체를 분무하는 노즐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급수관(400)은 강성 재질이고, 상기 냉각판(200) 내부에 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판(200)은 내부에 냉각판 공동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급수관은 상기 냉각판 공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팬(700)의 상단에 냉각된 공기에 포함된 습도를 낮추는 제습부(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습부(800)는, 상판(810); 상기 상판(8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표면에 액상의 응축수가 응축되도록 상기 냉각된 공기가 통과하는 응축부(820); 및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응축부(820)의 전방에 배치되는 안내부(8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응축부(820)는, 일정각도 경사를 이루는 경사판(821); 상기 경사판(821)의 일측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판(822); 및 상기 제1 연장판(822)의 끝단과 연결되어 상기 냉각된 공기가 통과하는 관통홀(822-1)과 상기 관통홀(822-1)을 통과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응축판(822-2)을 구비하는 제2 연장판(8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냉각팬의 상면과 측면에 각각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메인공급관과 보조공급관을 구비하고, 넓은 영역에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노즐을 구비하여 냉각팬을 통과하는 외부공기의 온도를 신속하게 낮춰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일부 제거한 후 실내로 송풍시켜 별도의 제습기를 사용하지 않아 냉방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은 냉각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보조급수관과 냉각판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메인급수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보조급수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습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 상의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가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는 것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되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사부 및 제습부를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냉풍기)는 프레임(100), 냉각판(200), 메인급수관(300), 보조급수관(400), 저수조(500), 공급펌프(600), 및 공급팬(7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사면(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내부가 중공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10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단을 개방할 수 있다.
냉각판(200)은 개방된 프레임(1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00)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공기는 냉각판(200)을 통과할 수 있다. 외부공기가 냉각판(200)을 통과하면, 냉각판(200)에 내포된 유체, 즉 냉각판(200)의 따라 흐르는 유체 또는 냉각판(200)에 적져진 유체가 기화될 수 있다. 유체는 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체의 기화에 의해, 냉각판(200)을 통과하는 외부공기는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냉각판(200)의 상부에서 하부로 물이 흘러내릴 수 있다. 냉각판(200)의 측방향으로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유체)과 공기가 가능한 넓은 면적에서 접촉이 이루어져 물이 효과적으로 기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공기의 냉각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냉각판(200)은 사선방향으로 골(41a)과 산(41b)이 형성된 여러 겹의 파형 골판(P)을 직각이 되도록 교차되게 적층 접합시킨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냉각판(200)은 외부 공기가 관통되어야 하므로, 종이, 부직포, 섬유직포 등의 다공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판(200)이 물에 대해 소수성인 경우, 물이 냉각판(200)을 빨리 흘러 내릴 수 있다. 냉각판(200)의 친수성이 높은 경우, 물을 많이 내포하게 되어 관통하는 공기의 흐름에 저항이 너무 커질 수 있다. 관통하는 공기 흐름이 원할하지 않을 경우, 냉풍기의 냉각 효율을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판(200)은 어느 적절한 친수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메인급수관(300)은 냉각판(2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급수관(300)은 저수조(500)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냉각판(200)의 상단에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체가 냉각판(20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냉각판(200)을 적실 수 있다. 메인급수관(300)은 냉각판(200)이 구비되는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프레임(100)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급수관(400)은 메인급수관(300) 및/또는 공급펌프(600)와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 받을 수 있다. 보조급수관(400)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급수관(30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보조급수관(400)은 냉각판(200)의 측면에 공급받은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냉풍기가 초기 설치 시, 중지 후 재가동 시, 또는 고온 건조한 환경과 같이 냉각판(200)에 많은 물을 공급해야 하는 특이한 상황 시(보조 급수 필요 시)에, 냉각판(200)은 건조하거나 물이 부족하여 냉각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보조급수관(400)은 메인급수관(300)을 보조하여, 건조하거나 물이 부족한 냉각판(200)에 신속하게 유체를 분사하여 줄 수 있으므로, 초기 또는 재가동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온도를 보다 빠르게 냉각시킬 수 있다.
도 1의 보조급수관(400)은 냉각판(200)의 외부에서 유체를 분사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및 제3 보조급수관(400-2, 400-3)은 냉각판(200)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2 보조급수관(400-2)은 냉각판(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조급수관(400-2)는 강성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는 냉각판(200)에 제2 보조급수관(400-2)를 박기와 같은 방법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보조급수관(400-2)의 첨부는 뽀족하거나 라운드 진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보조급수관(400-2)은 냉각판(200)의 내부에 밀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3 보조급수관(400-3)은 냉각판(200)의 내부에 형성된 냉각판 공동(202)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판 공동(202)은 드릴과 같은 공구로 형성될 수 있다. 냉각판 공동(202)은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보조급수관(400-3)은 연성 재질의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및 제3 보조급수관(400-2, 400-3)은 냉각판(200) 내부에 배치되므로, 수평 단면의 지름이나 폭이 작을 수록 바람직하다. 또는 보조급수관(400)의 수평 단면의 단면적은 메인급수관(300)의 수평 단면의 단면적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급수관(400, 400-2, 400-3)은 냉각판(200)을 통과하는 공기에게 저항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보조급수관(400, 400-2, 400-3)의 수평 단면은 원형 또는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저수조(500)는 프레임(10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저수조(500)는 냉각판(200)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한 유체를 보관하고, 보관한 유체를 메인공급관(300) 및/또는 보조공급관(40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저수조(500)는 보관된 유체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단열성능이 우수한 소재로 제작되거나, 외부에 단열재를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풍기는 저수조(500)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수위센서(510)에서 감지한 수위에 따라, 외부에서 유체를 저수조(500)에 더 보충하거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냉풍기는 저수조(500)의 내부에 유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체의 온도가 사용자가 기 설정한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부는 저수조(500)에 수용된 유체를 프레임(100)의 외부에 배치된 냉각기(900)로 공급할 수 있다.
냉풍기는 저수조(500)의 일측에 오염된 유체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관(520)을 더 포함 수 있다.
냉각기(900)는 저수조(500)와 연결되며, 저수조(500)로부터 공급받은 유체를 냉각시킨 후 저수조(500)로 보낼 수 있다. 냉각기(900)와 저수조(500) 사이에는 순환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부(9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공급펌프(600)는 저수조(500)에 수용된 유체를 메인급수관(300) 및/또는 보조급수관(400)으로 공급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메인급수관(300)은 공급펌프(600)와 연결되고, 보조급수관(400)은 메인급수관(3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151)의 개폐를 제어하여, 필요시에만 보조급수관(400)에서 물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메인급수관(300)과 보조급수관(400)에 각각 연결되어 유체를 각각 공급해줄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152)의 개폐를 제어하여, 필요시에만 보조급수관(400)에서 물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냉풍기는 저수조(500)와 공급펌프(600)의 사이, 또는 공급펌프(600)와 메인급수관(300)(보조급수관(400) 포함 가능) 사이에, 물을 정화하는 정화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정화부는 유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나, 자외선 살균기, 소독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필터부(910)는 본 정화부와 동일한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급팬(700)은 프레임(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냉각판(200)을 통과한 프레임(100) 내부의 냉각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공급팬(700)은 프레임(100)의 내부 압력을 낮추어, 외부공기는 냉각판(200)을 더 잘 통과할 수 있다.
냉풍기는 냉각판(200)의 전방에는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이물질 등이 프레임(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급수관(300)은 유체를 배출 또는 분사하는 메인 분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분사부는 배출공(310)을 구비할 수 있다.
배출공(310)은 메인급수관(300)에 형성되어, 유체를 메인급수관(30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출공(310)은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분사부는 배출공(310)에 배치되어 유체를 분무하는 메인 분무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메인 분무부는 초음파 진동하는 초음파 진동판을 이용하여, 유체를 분무할 수 있다.
메인 분사부는 판막노즐(32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판막노즐(320)은 배출공(310)의 내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배출공(310)를 개폐할 수 있다. 판막노즐(320)은 메인급수관(300)으로 공급되는 유체가 일정압력으로 이상으로 전달되면 판막노즐(320)의 일부를 개방하여 유체가 배출되고, 유체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가 되면 개방된 부분이 밀폐되면서 유체의 배출을 차단할 수 있다.
판막노즐(320)은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의 연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메인급수관(300) 내부의 유체가 일정압력 이하일 경우 배출공(310)을 밀폐할 수 있도록 판막노즐(320)의 중앙은 유체의 배출방향으로 솟아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인 분사부는 메인급수관(300)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연결봉(3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연결봉(330)의 일측은 메인급수관(300)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측단이 배출공(310)을 통과하도록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메인급수관(300)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판막노즐(320)의 끝단은 연결봉(330)의 측면에 접촉되어 배출공(310)을 개폐할 수 있다.
연결봉(330)의 타측단에는 분사판(34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분사판(340)은 판막노즐(320)의 개방 시 이동하는 유체의 이동방향을 변경하여 배출되는 유체가 넓은 면적을 그리면서 분사되도록 유체의 분사면적을 증가시키는 목적을 갖는다.
따라서, 분사판(340)은 연결봉(330)의 연장방향과 직각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유체와 맞닿는 분사판(340)의 일면은 일정각도 상방향으로 경사를 유지하며, 이는 분사되는 유체가 보다 넓은 면적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조급수관(400)은 유체를 배출 또는 분사하는 분사노즐(410)을 구비할 수 있다. 분사노즐(410)은 일정간격 이격배치되어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분사노즐(410)은 노즐플랜지(411), 및 노즐팁(412)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플랜지(411)는 보조급수관(400)과 연통되며, 유체를 전달받는다.
노즐팁(412)은 일단이 노즐플랜지(411)와 연결될 수 있다. 노즐팁(412)은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꼬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노즐(410)은 분사홈(412-1) 및 산란돌기(41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분사홈(412-1)은 노즐팁(412)의 측면에 형성되어, 유체를 배출할 수 있다. 분사홈(412-1)은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노즐커버(412-1)는 분사홈(412-1)에 설치되며, 분사홈(412-1)을 개폐할 수 있다. 노즐커버(412-1)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일측이 분사홈(412-1)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압력이 없을 경우, 탄성에 의해 노즐커버(412-1)는 분사홈(412-1)을 닫을 수 있다. 유체에 의해 특정 압력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노즐커버(412-1)는 외부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유체를 배출할 수 있다.
제어부는 보조 급수 필요 시 공급펌프(600)의 출력을 높여 보조급수관(400)의 유체 압력을 특정 압력 이상으로 하여 노즐커버(412-1)가 열리게 할 수 있다. 보조 급수 불필요 시, 제어부는 공급펌프(600)의 출력을 높여 보조급수관(400)의 유체 압력을 특정 압력 이상으로 하여 노즐커버(412-1)가 닫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조급수관(400)에 공급되는 유체를 개폐하는 별도의 밸브(151, 152)가 필요 없어도 된다.
분사노즐(410)은 분사홈(412-1)의 일측에 분사홈(412-1)을 통과하는 유체를 산란(散亂)시키는 산란돌기(41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산란돌기(412-2)는 유체가 넓은 영역으로 분사하여, 냉각판(200)의 측면을 보다 신속하게 적셔줄 수 있다.
분사노즐(41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에 홈이 형성되지 않은 노즐팁(412)은 타단에 형성된 미세한 미세 기공으로 유체를 분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냉풍기는 공급팬(700)의 상단에 배치되어 냉각된 공기에 포함된 습도를 낮추는 제습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습부(800)는 상판(810), 응축부(820) 및 안내부(8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판(810)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소정의 두께를 이루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응축부(820)는 상판(810)의 측면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응축부(820)로 프레임(100) 내부의 냉각된 공기가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가 포함하고 있는 수분을 응축부(820)의 표면에 액상의 응축수로 응축시킬 수 있다. 공급팬(700)의 구동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응축부(820)의 표면에 지속적으로 접촉되어, 응축부(820)의 표면에 응축수가 맺힐 수 있다.
안내부(830)는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면서 응축부(82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안내부(830)는 끝단이 응축부(820) 보다 높은 위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축부(820)에 맺힌 응축수가 이동하는 냉각공기의 이동경로를 따라 공급팬(700)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안내부(830)는 응축부(820)에서 맺힌 응축수가 중력에 의해 낙하할 때 응축수를 저수조(500)로 안내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응축부(820)는 경사판(821), 제1 연장판(822), 및 제2 연장판(823)을 구비할 수 있다.
경사판(821)은 끝단이 하방향을 향하도록 일정각도 경사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장판(822)은 경사판(821)의 일측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으로 경사판(821)과 제1 연장판(822) 사이에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간(S)에는 응축부(820)를 통과하는 냉각된 공기의 일부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고, 동시에 소용돌이를 일으키면서 에어커튼 영역(S1)을 확보하여 응축부(820)에 맺힌 응축수가 공급팬(70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연장판(823)은 제1 연장판(822)의 끝단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장판(823)은 냉각된 공기가 통과하는 관통홀(822-1)과 관통홀(822-1)을 통과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응축판(822-2)을 구비할 수 있다.
냉각된 공기가 관통홀(822-1)을 통과하면서 응축판(822-2)에 부딪히게 되면서 응축판(822-2)의 표면에 응축수가 응축될 수 있다.
응축부(820)는 안내부(830)의 하단에 더 구비될 수 있고, 안내부(830)와 함께 다수개 구비되면서 냉각된 공기의 제습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냉각팬의 상면과 측면 동시에 물을 분사하여 냉각팬을 통과하는 외부공기의 온도를 신속하게 낮춰줄 수 있으며, 별도의 제습기를 사용하지 않아 냉방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프레임 200 : 냉각판
300 : 메인급수관 400 : 보조급수관
500 : 저수조 600 : 공급펌프
700 : 공급팬

Claims (10)

  1. 사면이 개방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어 외부공기가 통과하되, 내포된 유체가 기화되면서 통과하는 외부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판;
    상기 냉각판의 상측에 구비되어 유체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냉각판의 상단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메인급수관;
    상기 냉각판의 측면에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보조급수관;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유체가 수용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에 수용된 상기 유체를 상기 메인급수관 및 상기 보조급수관 중 적어도 상기 메인급수관으로 공급하는 공급펌프; 및
    상기 냉각판을 통과하여 냉각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급팬;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급수관은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보조급수관과 연통되는 노즐플랜지;
    상기 노즐플랜지와 연결되고,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며, 측면에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다수의 분사홈이 형성되는 노즐팁; 및
    상기 분사홈을 개폐하는 노즐커버;을 구비하는, 분사부 및 제습부를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급수관은,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공;
    상기 배출공의 내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공를 개폐하는 판막노즐;
    일측이 상기 메인급수관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끝단이 상기 배출공을 통과하도록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면에 상기 판막노즐이 접촉되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타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판막노즐의 개방 시 이동하는 유체의 이동방향을 변경하여 유체의 분사면적을 증가시키는 분사판;을 구비하는, 분사부 및 제습부를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노즐커버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이고, 일측이 상기 분사홈에 고정되어, 특정 압력 이상이면 외부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유체를 배출하고,
    보조 급수 필요시 상기 보조 급수관의 유체 압력을 상기 특정 압력 이상이 되도록 상기 공급펌프의 출력을 높이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분사부 및 제습부를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분사홈의 일측에 상기 분사홈을 통과하는 유체를 산란(散亂)시키는 산란돌기를 더 구비하는, 분사부 및 제습부를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급수관은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보조급수관과 연통되는 노즐플랜지; 및
    일단이 상기 노즐플랜지와 연결되고,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며, 타단에 형성된 미세 기공으로 상기 유체를 분무하는 노즐팁을 구비하는, 분사부 및 제습부를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급수관은 강성 재질이고, 상기 냉각판 내부에 밀착되어 배치되는, 분사부 및 제습부를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판은 내부에 냉각판 공동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급수관은 상기 냉각판 공동에 배치되는, 분사부 및 제습부를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77972A 2020-06-25 2020-06-25 분사부 및 제습부를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KR102218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972A KR102218691B1 (ko) 2020-06-25 2020-06-25 분사부 및 제습부를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972A KR102218691B1 (ko) 2020-06-25 2020-06-25 분사부 및 제습부를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691B1 true KR102218691B1 (ko) 2021-02-22

Family

ID=74687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972A KR102218691B1 (ko) 2020-06-25 2020-06-25 분사부 및 제습부를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6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80077A (zh) * 2021-03-06 2021-06-01 李青 一种建筑施工用便于移动的场地喷淋降温装置
KR20230018070A (ko) 2021-07-29 2023-02-07 김주형 공급수 살균 기능을 구비한 증발식 냉풍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379A (ko) * 2001-06-29 2003-01-09 강신범 냉방을 겸할 수 있는 청정가습장치
JP2006138615A (ja) * 2004-10-15 2006-06-01 Yamaguchi Univ 空冷式冷房装置の排熱抑制装置とそれを用いた空冷式冷房システム
JP2007271106A (ja) * 2006-03-30 2007-10-18 Inaba Denki Sangyo Co Ltd 室外機用散水ノズル
KR200453634Y1 (ko) 2010-11-16 2011-05-16 공두식 냉풍기
KR101209335B1 (ko) 2012-06-11 2012-12-06 이동욱 냉온풍기
JP2018021711A (ja) * 2016-08-04 2018-02-08 梅津 健兒 水蒸発冷却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379A (ko) * 2001-06-29 2003-01-09 강신범 냉방을 겸할 수 있는 청정가습장치
JP2006138615A (ja) * 2004-10-15 2006-06-01 Yamaguchi Univ 空冷式冷房装置の排熱抑制装置とそれを用いた空冷式冷房システム
JP2007271106A (ja) * 2006-03-30 2007-10-18 Inaba Denki Sangyo Co Ltd 室外機用散水ノズル
KR200453634Y1 (ko) 2010-11-16 2011-05-16 공두식 냉풍기
KR101209335B1 (ko) 2012-06-11 2012-12-06 이동욱 냉온풍기
JP2018021711A (ja) * 2016-08-04 2018-02-08 梅津 健兒 水蒸発冷却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80077A (zh) * 2021-03-06 2021-06-01 李青 一种建筑施工用便于移动的场地喷淋降温装置
KR20230018070A (ko) 2021-07-29 2023-02-07 김주형 공급수 살균 기능을 구비한 증발식 냉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8691B1 (ko) 분사부 및 제습부를 구비한 기화식 냉풍기
US4970876A (en) Evaporative cooler
CN207132459U (zh) 一种空调
US11035614B2 (en) Device for producing a stream of air through a volume of liquid
US8186656B2 (en) Sauna device
KR100937646B1 (ko) 결로수를 응축기로 분사하여 기화시키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장치
CN107339752A (zh) 一种空调
CN102287876B (zh) 一种溶液除湿空调系统
KR101917819B1 (ko) 냉-난방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제습기
CN111811037A (zh) 通风加湿系统、空调系统及空调系统控制方法
US20070164461A1 (en) Breathable liquid-volatilizing device
CN207132469U (zh) 一种空调
KR102383856B1 (ko) 증발 잠열 부하를 줄여 에너지 및 가습 효율이 향상된 기화식 가습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N215062421U (zh) 一种风机盘管
JP6742517B2 (ja) 加湿素子、加湿装置、空気調和機および換気装置
CN208901844U (zh) 一种具有除湿除菌功能的热泵型干燥机
CN207487044U (zh) 加湿器和空调
KR101719327B1 (ko) 응축수 처리장치
JPH046335A (ja) 加湿装置
CN202229325U (zh) 一种溶液除湿空调系统
CN112682897A (zh) 水洗空气装置、空调内机及空调
CN214746074U (zh) 空调室内机以及具有其的空调器
CN103344105A (zh) 烘干机
CN214384408U (zh) 一种列间加湿除湿一体机
CN220648438U (zh) 空调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