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9611A - 판유리를 크라우닝하는 방법과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판유리를 크라우닝하는 방법과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9611A
KR20050109611A KR1020057018228A KR20057018228A KR20050109611A KR 20050109611 A KR20050109611 A KR 20050109611A KR 1020057018228 A KR1020057018228 A KR 1020057018228A KR 20057018228 A KR20057018228 A KR 20057018228A KR 20050109611 A KR20050109611 A KR 20050109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er
bending
final
panes
p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8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2653B1 (ko
Inventor
칼-요세프 올피쉬
토마스 마이젠
헤베르트 라데르마체르
미카엘 라브로트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050109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9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6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2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5Press-bending accel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e.g. inertia, weights or local fo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2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 C03B23/025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gravity by gravity only, e.g. sag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20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gripping tongs or supporting fram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03B35/20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gripping tongs or supporting frames
    • C03B35/202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by gripping tongs or supporting frames by supporting fra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화 온도까지 가열된, 판유리(2)를 크라우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판유리(2)는 오목 크라우닝 프레임(3)에 설치되고 중력 하에서 예비 크라우닝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예비 크라우닝된 판유리(2)는 오목 형성 표면을 가지는 운반 형성기(4)에 운반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운반 형성기(4)는 더 큰 둘레를 가지는 오목 크라우닝 프레임(3)을 가로질러 위로 옮겨지고 이어서 판유리(2)를 회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운반 형성기(4)는 오목 형성 표면을 가지는 프레임(5)의 형태로 최종 크라우닝 형성기의 수직적인 돌출부로 오게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운반 형성기(4)는 더 큰 둘레를 가지는 최종 크라우닝 형성기(5)를 가로질러 아래로 옮겨지는 단계를 포함하고, 판유리(2)는 최종 크라우닝 형성기(5)에 놓여지고 판유리(2)는 최종 형태로 크라우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판유리(2)를 크라우닝하는 방법이다. 최종 형태의 판유리(2)는 크라우닝 작업이 끝난 후 최종 크라우닝 형성기(5)로부터 운반기와 냉각 디바이스 위로 운반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판유리를 크라우닝하는 방법과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CROWNING GLASS SHEETS}
본 발명은 판유리(glass sheet)를 벤딩(bending)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방법에서 판유리는 벤딩 프레임에서 수평 위치로 중력에 의해 예비 벤딩(prebending)되고, 이어서 예비 벤딩된 판에 작용하는 최종 벤딩 형성기(final bending former)를 사용하여 최종 형태로 벤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 방법을 수행하는데 특히 적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벤딩된 판유리는 종종 자동차 유리나 건물용 글레이징으로 만들어진다.
문헌 EP 0 705 798 B1은, 프레임에서, 한 판유리가 다른 판유리 위에 쌍을 이루어 배열된 하나 이상의 판유리를 중력에 의해 벤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데, 이 방법에서 단단한 예비 벤딩 프레임에 놓인 판들은 스스로 중력에 의해 이 벤딩 프레임의 윤곽에 맞춰지게 된다. 벤딩의 다음 단계에서, 벤딩된 판은 외부에 위치한 예비 벤딩 프레임으로부터 내부에 위치한 이동 가능한 최종 벤딩 프레임으로 운반되는데, 이것은 순전히 기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문헌 DE 43 37 559 C1은 벤딩 프레임에서 예비 벤딩된 쌍을 이루는 판유리가 아래부터 견고한 상부 벤딩 형성기(solid upper bending former)까지 적용되는 방법을 나타낸다. 견고한 벤딩 형성기는 그 가장자리 주위가 상부 벤딩 형성기의 외부 가장자리를 가지는 환형 슬릿(annular slit)을 형성하는 스커트(skirt)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가열된 판유리가 벤딩 프레임에 의해 상부 벤딩 형성기로 적용된 후에, 공기는 상기 환형 슬릿을 통하여 빠른 속도로 추출된다. 이 결과로, 두 장의 판은 상부 벤딩 형성기 위에 단단히 압착된다. 두 판은 함께 일정한 구 형태를 수용한다. 환형 슬릿으로의 공기의 흐름은 또한 두 판유리 사이에 어떠한 공기도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
연화점(softening point)까지 가열된 겹쳐진 판유리의 쌍을 벤딩하는 또 다른 방법은 문헌 DE 101 05 200 A1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한 쌍의 판은 이 경우에 중력에 의한 예비 벤딩을 위해 벤딩 프레임에 놓여지고, 이어서 한 쌍의 예비 벤딩된 판의 형태로 흡입과 함께 견고한 벤딩 형성기로 운반되는데, 이것은 오목 형성 표면을 가지고 있어서, 적어도 형성 표면의 주변 가장자리 주위에 하부 판유리의 하부면의 적용을 보장한다. 예정된 시간 동안 부분 진공의 인가(application)는 하부 유리의 하부면과 흡입 타입(suction-type)의 벤딩 형성기 사이의 공간 밖으로 공기를 뽑아내는 것을 야기하고, 쌍을 이룬 판은 흡입 타입의 벤딩 형성기의 오목한 형성 표면에 대한 주위의 압력에 의해 압착된다. 부분 진공의 인가에 이어, 최종 형태의 쌍을 이룬 판유리는 흡입 타입의 벤딩 형성기부터 운반 시스템까지 운반된 후, 냉각된다.
도 1은 예비 벤딩 작업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판유리의 예비 벤딩 형성기로부터 운반 형성기로의 운반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운반 형성기 아래에 위치되는 최종 벤딩 형성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판유리의 운반 형성기로부터 예비 벤딩 형성기로의 운반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상부 형성기 아래에 위치한 최종 벤딩 형성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압착 작업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최종 벤딩 형성기에서 압착된 후의 판유리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의해 다루어지는 문제는 또 다른 판유리 벤딩 방법과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시스템을 고안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 문제는 청구항 제 1항의 특징에 의한 방법에 관련하여 해결된다. 청구항 제 10항의 특징은 해당 시스템을 나타낸다. 각각의 독립항과 연관된 종속항의 특징은 이러한 요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벤딩 방법에서, 연화점까지 가열되는 판유리의 형성은 적어도 두 단계로 수행되는데, 즉, 예비 벤딩 형성기에서 중력에 의한 예비 벤딩 단계와 프레임 형태의 제 2 벤딩 형성기, 최종 벤딩 형성기에서의 또 다른 벤딩 단계이다. 판은 예비 벤딩 형성기로부터 제거되고, 상승되어 운반 형성기에 의해 최종 벤딩 형성기에 놓아진다. 외부 크기가 예비 벤딩 형성기와 최종 벤딩 형성기의 점유되지 않은 개구(opening)보다 더 작은 운반 형성기(transfer former)는, 이러한 목적으로 중력의 작용과 반대 방향으로 예비 벤딩 형성기를 통해 위로 이동된다. 본 경우에, 운반 형성기는 판유리를 들어서 그것들을 예비 벤딩 형성기 위로 충분히 먼 거리까지 수평으로 이동시키는데, 이 때, 최종 벤딩 형성기가 운반 형성기 아래에 놓일 수 있고 수직 돌출부에서 운반 형성기와 나란히 배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운반 형성기는 이어서 최종 벤딩 형성기를 통해 하강되고, 그 지점에 판유리는 최종 벤딩 형성기에 놓아지고 최종 벤딩 작업을 거치게 된다. 운반 형성기와 최종 벤딩 형성기의 수평적인 일직선 배열은 운반 형성기 또는 최종 벤딩 형성기 둘 중 하나의 수평 이동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운반 형성기의 외부 크기가 예비 벤딩 형성기의 외부 크기와 최종 벤딩 형성기의 외부 크기보다 더 작다고 하면, 판유리의 주변 가장자리는 판유리가 지지되는 운반 형성기의 표면을 넘어 확장된다. 이러한 주변 가장자리는 예비 벤딩 고리(ring)와 최종 벤딩 고리의 형성 표면과의 접촉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예비 벤딩 고리와 최종 벤딩 고리의 분리는 몇 가지 장점을 가진다. 우선, 예비 벤딩과 최종 벤딩을 위한 분리된 벤딩 도구는 하나의 기저 프레임(base frame)에 모두 결합된 도구보다 생산하기가 더 간단하고 가격도 더 싸다. 또한, 그 도구는 이용 가능한 공간의 부족으로 인한 절충물(compromise)을 받아들일 필요 없이, 또는 열 전달이 육중한 결합 도구에 의해 방해받지 않기 때문에, 각각의 기능에 더 적합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예비 벤딩 형성기와 최종 벤딩 형성기의 분리 때문에, 오븐은 두 구획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제 1 구획에는 판유리를 운반하는 하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의 예비 벤딩 형성기가 특정한 제 1 온도까지 가열되는 반면, 제 2 구획은 최종 벤딩 형성기가 위치하고 최종 벤딩이 제 1 온도보다 더 높은 제 2 온도의 영향 하에서 일어나는 벤딩 캐빈(cabin)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가장 간단한 실시예에서, 예비 벤딩과 최종 벤딩 둘다 중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운반 형성기가 추가적인 유리 벤딩 수단을 갖추게 해서, 제 3 벤딩 단계를 수행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판유리의 하부면에 작용하는 부분 진공을 생성하고, 따라서 추가적인 벤딩을 생성하기 위해서 운반형성기에 시스템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운반 형성기는 또한 견고한 오목 벤딩 형성기로 구성되는데, 이 벤딩 형성기는 프레임 타입의 벤딩 형성기와는 달리, 판유리의 중심부의 벤딩 형태와 깊이에 영향을 주고 정확히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최종 벤딩 단계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압착 벤딩 단계일 수 있다. 이것은 상부 형성기를 필요로 하는데, 이 상부 형성기는 최종 벤딩 형성기에 위치한 판유리를 특정 영역에서 원하는 형태로 압착한다. 이 경우에 상부 형성기는 환형일 수 있는데, 최종 벤딩 형성기 위로 압착되는 판의 외부 영역만이 힘으로 변형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판 표면 전체가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견고한 볼록 상부 형성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형성기는 압착 작업을 강조하기 위해서 증가된 압력 또는 부분 진공을 생성하는 수단을 갖출 수 있다. 압력 차이는 이어서 판유리의 상부 표면과 상부 형성기의 아래쪽 형성면 사이에서 작용하고, 원하는 방식으로 판을 변형시킨다.
본 발명의 방법은 서로의 위에 놓인 판유리의 쌍과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판유리에도 적합한데, 이 방법은 주로 벤딩 작업 후에 적층 안전 글레이징(laminated safety glazing)으로서 완결된다.
벤딩 방법 다음으로, 개별적인 판유리 또는 판유리 쌍은 냉각된다. 개별적인 판이 강화 안전 유리(toughened safety glass)로 만들어지도록 의도된다면, 알려진 대로, 유리에서 필요한 응력을 생성하기 위해서 매우 빠르게 냉각되어야 한다. 소위 열 강화(thermal toughening)는 보통 특별한 강화 고리(toughening ring)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판유리 또는 판유리의 쌍은 또 다른 운반 형성기에 의해서 냉각 시스템 또는 강화 시스템으로 운반될 수 있는데, 이것은 개별적인 판유리나 쌍을 이룬 판유리를 예비 벤딩 형성기로부터 최종 벤딩 형성기로 운반할 때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제 2 운반 형성기가 사용되면, 본 발명의 벤딩 방법은 판을 운반하기 위해서 차압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물론 상부 형성기에 부분 진공을 가하고 그것을 강화 고리에 놓음으로써 최종 벤딩 형성기로부터 판을 개별적으로 올리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쌍을 이룬 판유리의 경우에 있어서, 스커트(skirt)와, 스커트와 상부 형성기 사이의 환형 슬릿을 통해 빠른 속도로 상부 형성기 주위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은 차압을 생산할 수 있는데, 이 차압에 의해 쌍을 이룬 판유리는 최종 벤딩 형성기 밖으로 올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지의 따른 세부사항과 장점은, 어떠한 제한도 함축되지는 않지만, 해당 시스템에서 방법의 다른 단계의 도면으로 설명될 것이고,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매우 단순화된 설명을 나타내는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단순히 프레임으로 표시된 벤딩부(bending station)(1) 내부에서, 벤딩 온도까지 가열되고 이미 중력에 의해 예비 벤딩을 거친 프레임(3) 형태의 예비 벤딩 형성기에 놓여진 판유리(2)를 나타낸다. 예비 벤딩 형성기(3)를 벤딩 캐빈으로 오도록 해주는 운반 수단과 가열 오븐은 여기에 도시되지 않았다. 예비 벤딩 형성기(3)은 가열 오븐을 통해 판유리(2)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오븐을 통해 판유리를 운반하고, 이어서 판유리(2)를 예비 벤딩 형성기로 운반하기 위해 다른 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예비 벤딩 단계는 매번 예비 벤딩 형성기(3)에서 중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예비 벤딩은 이미 도 1에서 일어난다.
또한 프레임의 형태인 운반 형성기(4)는 예비 벤딩 형성기(3) 아래에 있으며, 형성기의 주변은 예비 벤딩 형성기(3)의 형성 표면에 의해 둘러싸인 빈 공간의 주변보다 더 작다.
프레임(5) 형태의 최종 벤딩 형성기와 견고한 볼록 상부 형성기(6)는 예비 벤딩 형성기(3)와 운반 형성기(4)로부터 어느 정도 수평으로 떨어진 위치에 존재한다. 상부 형성기(6)가 꼭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필요하다면, 상부 형성기의 사용은 특히, 복잡한 판유리의 경우, 특히, 벤딩 작업 후의 유리(2)의 중심부에서 형태의 정확성을 상당히 향상시켜준다.
도 1의 화살표는 운반 형성기(4), 최종 벤딩 형성기(5) 그리고 상부 형성기(6)가 구동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도면 평면에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는 방향을 나타낸다. 예비 벤딩 형성기(3)는 또한, 예를 들어, 도면의 평면으로부터 시작해서 원근법으로 벤딩부(1) 뒤에 읽을 수 있는 오븐(도시되지 않음)에 도달하는 방향으로 운반될 수 있다.
확실히, 뜨거운 판유리(2)와 접촉하게 되는 모든 표면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기계로 가공되고/되거나 내열성의 직물 또는 니트 직물(woven or knitted fabric)을 구비하고/하거나 해당 코팅을 구비한다.
도 2는 예비 벤딩 형성기(3)로부터 판유리(2)를 운반 형성기(4)로 운반하는 작업 나타낸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운반 형성기는 예비 벤딩 형성기(3)를 통해 위로 이동(중력과 반대 방향)하고 이어서 예비 벤딩 형성기(3)의 형성 표면으로부터 판유리(2)를 상승시킨다. 운반 형성기(4)의 외부 주변은 프레임(3)의 형태인 예비 벤딩 형성기의 내부 구멍(opening)보다 약간 더 작고, 따라서 판유리가 상승되는 내내 작은 갭(gap)을 갖고 예비 벤딩 형성기를 통해 통과될 수 있다. 예비 벤딩 형성기(3)가 운반 형성기(4) 주위에 하강하면서, 이동은 물론 또한 반대 방향이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벤딩 방법에서 다음 단계를 나타내는데, 이 단계에서 판유리(2)를 가진 운반 형성기(4)는 가장 높은 위치까지 도달했고, 최종 벤딩 형성기는 수평으로 이동하여 운반 형성기의 하부에 위치되었다. 또한 여기서, 이러한 움직임은 물론 운반 형성기가 최종 벤딩 형성기 쪽으로 수평 이동을 실행하면서 바뀔수 있다. 예비 벤딩 형성기(3)는, 그러는 동안 예를 들어, 다음 판유리를 운반하는 또 다른 예비 벤딩 형성기가 벤딩되거나 심지어는 다음 판유리를 제거하도록 하기 위해 벤딩 캐빈(1)으로부터 제거된다.
운반 형성기(4)는 하강하고, 도 4에서 보듯이, 최종 벤딩 형성기(5)를 통해, 판유리(2)의 돌출된 가장자리 영역이 프레임(5)의 형태로 최종 벤딩 형성기의 형성 표면에 놓인다. 운반 형성기(4)의 외부 주변은 또한 그것이 하강하는 내내 작은 갭을 갖고 최종 벤딩 형성기(5)를 통해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 프레임(5)의 형태인 최종 벤딩 형성기의 내부 구멍보다 약간 더 작아야 한다.
현재 운반 형성기(4)는 새롭게 예비 벤딩된 판을 운반할 준비가 된 처음 위치에 있는 방식으로 이미 하강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 언급했듯이, 선택적인 압착 작업을 위해 판(2)을 운반하는 최종 벤딩 형성기(5)는 상부 형성기(6) 아래에 수평하게 위치된다(도 5).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벤딩 방법의 다음 단계에서, 판(2)은 최종 벤딩 형성기(5)에 의해 상부 형성기(6)에 압착된다. 이러한 압착 작업은 일반적으로 최종 벤딩 형성기(5)에서 제 2 중력 벤딩이 유리(2)에서 원하는 벤딩을 이루기에 충분치 않을 때 필요하다. 압착 작업은 상부 형성기(6)의 수직 하강과 함께 시작되는데, 이 상부 형성기의 형태는 유리의 가장자리가 최종 벤딩 형성기(5)에서 한정적인 형태로 압착되는 방식으로, 최종 벤딩 형성기(5)의 형태와 보완적(complementary)이다. 판의 중앙의 형성은 또한 판유리(2)의 상부 표면과 상부 형성기(6)의 아래로 배향된 형성 표면 사이에 차압을 생성함으로써 더 촉진되는데, 예를 들면 상기 형성 표면 위에 판(2)을 흡입하기 위해서이다.
최종 벤딩 형성기(5)는 여기에 도시된 단순화된 도면과는 달리, 그것이 상부 형성기에 판유리를 부착하기 위한 압착 형성기로 사용된다면, 적어도 유리의 가장자리까지, 또는 심지어는 유리의 가장자리를 지나도록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상부 형성기(6)가 상승된 후에, 유리(2)는 도 7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최종 형태로 벤딩되고 냉각 또는 강화를 위해 최종 벤딩 형성기(5)로부터 몇 가지 적당한 수단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동시에 새로운 판유리(2.1)는 벤딩 사이클이 다시 시작될 수 있기 위해서 예비 벤딩 고리(3.1)에 공급된다.
위에 이미 설명된 대로, 벤딩 시스템의 다양한 부분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은 물론 바뀔 수 있다. 마찬가지로, 판유리는 또한 함께 벤딩되는 한 쌍의 판유리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판유리를 벤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벤딩된 판유리는 종종 자동차 유리 또는 건물용 글레이징에 이용된다.

Claims (15)

  1. 연화점까지 가열된 판유리(glass sheet)(2, 2.1)를 벤딩(bending)하는 방법으로서,
    - 상기 판유리(2, 2.1)는 오목 벤딩 프레임(3, 3.1)에 놓이고 중력에 의해 예비 벤딩되는 단계와,
    - 상기 예비 벤딩된 판유리(2, 2.1)는, 상기 오목 벤딩 프레임(concave bending frame)(3, 3.1)을 통한 일반적으로 수직의 상대 운동으로 상기 운반 형성기(transfer former)(4)를 이동시킴으로써, 외부 크기가 상기 오목 벤딩 프레임(3, 3.1)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의 외부 크기보다 더 작은 오목 형성 표면을 가지는 운반 형성기(4)로 운반되는 단계와,
    - 상기 운반 형성기(4)는 오목 형성 표면을 가지는 프레임의 형태로 최종 벤딩 형성기(final bending former) 위에 수직으로 놓이도록 위치되고, 상기 운반 형성기(4)의 외부 크기는 다시 한번 상기 오목 최종 벤딩 형성기(5)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의 외부 크기보다 더 작은 단계와,
    - 상기 운반 형성기(4)는 프레임(5)의 형태로 상기 최종 벤딩 형성기를 통해 일반적으로 수직의 상대 운동으로 이동되고, 상기 판유리(2, 2.1)는 상기 최종 벤딩 형성기(5)에 놓이는 단계와,
    - 상기 판유리(2, 2.1)는 최종 형태로 벤딩되는 단계와,
    - 벤딩 작업의 마지막에, 최종 형태의 상기 판유리(2, 2.1)는 상기 최종 벤딩 형성기(5)로부터 운반 시스템(transfer system)으로 운반되어 냉각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를 벤딩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유리(2, 2.1)는 차압에 의해 상기 운반 형성기(4)에서 추가적인 벤딩 작업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를 벤딩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유리(2, 2.1)는 중력에 의해 상기 최종 벤딩 형성기(5)에서 최종 형태로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를 벤딩하는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유리(2, 2.1)는 상기 최종 벤딩 형성기(5)와 형태상으로 보완적인 상부 형성기(6)를 사용하여 최종 형태로 벤딩되는데, 상기 최종 벤딩 형성기는 상기 판유리의 적어도 가장자리 영역을 상기 최종 벤딩 형성기(5) 위에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를 벤딩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벤딩 단계는 또한 차압에 의해 도움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를 벤딩하는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별적인 판유리(2, 2.1)는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를 벤딩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벤딩 작업에 이어, 상기 개별적인 판유리(2, 2.1)가 강화 고리에서 상기 최종 벤딩 형성기(5)로부터 제거되고,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를 벤딩하는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겹친 여러 장의 판유리는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를 벤딩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서로 겹친 상기 판유리는 상기 최종 벤딩 작업에 이어, 냉각 시스템에서 상기 최종 벤딩 형성기(5)로부터 제거되고 상기 연화점 이하의 온도까지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를 벤딩하는 방법.
  10. 특히,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연화점까지 가열된 판유리(2, 2.1)를 벤딩하는 시스템으로서,
    - 상기 판유리(2, 2.1)를 가열하기 위한 오븐과,
    - 상기 가열된 판유리(2, 2.1)를 운반하고 예비 벤딩하기 위한 오목 벤딩 프레임(3, 3.1)과,
    - 둘레가 상기 벤딩 프레임(3, 3.1)의 둘레보다 더 작고, 상기 판유리(2, 2.1)가 운반되는 오목 형성 표면을 가진 운반 형성기(4)와,
    - 둘레가 상기 운반 형성기(4)의 상기 둘레보다 더 크고, 상기 판유리(2, 2.1)가 상기운반 형성기(4)로부터 운반되는 오목 형성 표면을 가진 최종 벤딩 형성기(5)와,
    - 상기 벤딩 프레임(3, 3.1), 상기 운반 형성기(4) 그리고 상기 최종 벤딩 형성기(5)를 상기 판유리의 각각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drive means)과,
    - 최종 형태로 벤딩된 상기 판유리(2, 2.1)를 냉각부로 운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판유리를 벤딩하는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형성기(4)는 형성기의 형성 표면과 상기 판유리(2, 2.1) 사이에 함몰부(depression)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를 벤딩하는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형성기(4)는 견고한 오목 표면(solid concave surface)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를 벤딩하는 시스템.
  13. 제 10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최종 벤딩 형성기(5)와 형태상으로 보완적인 상부 형성기(6)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최종 벤딩 형성기는 상기 최종 형성기에 놓여지는 상기 판유리(2, 2.1)의 적어도 가장자리 영역과 접촉하도록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를 벤딩하는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형성기(6)는 상기 상부 형성기(6)의 상기 형성 표면과 상기 판유리(2, 2.1)의 상부 표면 사이에 차압을 생성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를 벤딩하는 시스템.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형성기(6)는 견고한 볼록 표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를 벤딩하는 시스템.
KR1020057018228A 2003-03-29 2004-03-26 판유리를 크라우닝하는 방법과 디바이스 KR101122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14266.5 2003-03-29
DE10314266A DE10314266B3 (de) 2003-03-29 2003-03-29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egen von Glasscheiben
PCT/FR2004/000762 WO2004087589A2 (fr) 2003-03-29 2004-03-26 Procede et dispositif de bombage de vit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611A true KR20050109611A (ko) 2005-11-21
KR101122653B1 KR101122653B1 (ko) 2012-03-09

Family

ID=32309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8228A KR101122653B1 (ko) 2003-03-29 2004-03-26 판유리를 크라우닝하는 방법과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146387B2 (ko)
EP (1) EP1611062B1 (ko)
JP (1) JP4806629B2 (ko)
KR (1) KR101122653B1 (ko)
CN (1) CN100383066C (ko)
AT (1) ATE342240T1 (ko)
AU (1) AU2004226204A1 (ko)
BR (1) BRPI0408786B1 (ko)
DE (2) DE10314266B3 (ko)
ES (1) ES2274470T3 (ko)
MX (1) MXPA05010397A (ko)
PL (1) PL1611062T3 (ko)
WO (1) WO2004087589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7831A (ko) * 2010-12-13 2013-10-28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시트를 벤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90123773A (ko) * 2017-04-10 2019-11-01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유리판을 프레스 벤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50639A1 (en) * 2003-12-26 2005-07-06 Asahi Glass Company, Limited Method for bending a glass sheet and apparatus therefor
DE102005001513B3 (de) * 2005-01-13 2006-06-01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iegen von Glasscheiben
DE102007007974B4 (de) * 2006-12-01 2013-04-18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Vorrichtung zum Erhitzen und Verfahren zum Erhitzen und/oder Biegen von auf Transportformen aufliegenden Glasscheiben
FR2942793B1 (fr) * 2009-03-05 2012-03-23 Saint Gobain Formage d'un vitrage comprenant une ouverture
JP5819436B2 (ja) 2010-12-13 2015-11-24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 湾曲窓板
EP2463247A1 (de) 2010-12-13 2012-06-13 Saint-Gobain Glass Franc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egen von Scheiben
US9038421B2 (en) * 2011-07-01 2015-05-26 Sunpower Corporation Glass-bend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50048450A (ko) * 2013-10-28 2015-05-07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유리기판 성형장치
PL3303233T3 (pl) * 2015-05-27 2019-09-30 Pilkington Group Limited Sposób i urządzenie do kształtowania arkuszy szkła
MX2018001948A (es) 2015-08-18 2018-06-19 Saint Gobain Dispositivo de flexion de vidrio y metodo de flexion de vidrio usando un ventilador.
CA2987518C (en) 2015-09-08 2019-12-24 Saint-Gobain Glass France Overpressure-assisted gravity bending method and device suitable therefor
JP6545372B2 (ja) 2015-11-25 2019-07-17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Saint−Gobain Glass France 正圧アシスト式の重力曲げ法およびこの方法に適した装置
ES2758324T3 (es) 2016-01-28 2020-05-05 Saint Gobain Procedimiento de curvado de vidrio asistido por sobrepresión y dispositivo apropiado para ello
FR3063287B1 (fr) * 2017-02-27 2021-09-24 Saint Gobain Vitrage a contrainte d'extension reduite
CA3058804C (en) * 2017-04-10 2021-07-06 Saint-Gobain Glass France Gravity bending mould for bending glass panes with curved support surface
FR3093333B1 (fr) * 2019-02-28 2023-01-20 Saint Gobain Fabrication de vitrages a contrainte d’extension reduit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1025A (ja) * 1984-10-08 1986-05-09 Nippon Sheet Glass Co Ltd 板ガラスのプレス成形装置
US4575390A (en) * 1984-11-23 1986-03-11 Glasstech, Inc. Apparatus for forming glass sheets
JPS6345138A (ja) * 1986-08-08 1988-02-26 Asahi Glass Co Ltd ガラス板の曲げ加工方法
FI86054C (fi) * 1990-07-05 1992-07-10 Tamglass Oy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boejning av glasskiva.
DE4337559C1 (de) * 1993-11-04 1995-03-23 Ver Glaswerke Gmbh Verfahren zum paarweisen Biegen von Glasscheiben
FR2725194B1 (fr) * 1994-10-04 1996-10-31 Saint Gobain Vitrage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 bombage de feuilles de verre
EP1020412B1 (en) * 1998-06-19 2006-11-22 Asahi Glass Company Ltd. Method and device for bend-forming glass pane
JP2000327352A (ja) * 1999-05-13 2000-11-28 Asahi Glass Co Ltd ガラス板の曲げ成形方法および曲げ成形装置
JP2000327353A (ja) * 1999-05-17 2000-11-28 Kazuo Kadonishi ガラス体の加熱炉及び加熱ガラス体の異形付与具
DE10105300A1 (de) * 2001-02-02 2002-08-0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Federung mit veränderlicher Tragkraft für ein Kraftfahrzeug
DE10105200A1 (de) 2001-02-06 2002-08-14 Saint Gobai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aarweisen Biegen von Glasscheib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7831A (ko) * 2010-12-13 2013-10-28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시트를 벤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90123773A (ko) * 2017-04-10 2019-11-01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유리판을 프레스 벤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203545B2 (en) 2017-04-10 2021-12-21 Saint-Gobain Glass France. Device and method for press bending glass pa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83066C (zh) 2008-04-23
ATE342240T1 (de) 2006-11-15
EP1611062B1 (fr) 2006-10-11
WO2004087589A3 (fr) 2004-11-18
JP4806629B2 (ja) 2011-11-02
KR101122653B1 (ko) 2012-03-09
BRPI0408786A (pt) 2006-03-28
US20070039354A1 (en) 2007-02-22
EP1611062A2 (fr) 2006-01-04
CN1768011A (zh) 2006-05-03
AU2004226204A1 (en) 2004-10-14
US8146387B2 (en) 2012-04-03
BRPI0408786B1 (pt) 2013-03-05
DE10314266B3 (de) 2004-06-09
JP2006521272A (ja) 2006-09-21
DE602004002767T2 (de) 2007-10-11
PL1611062T3 (pl) 2007-03-30
DE602004002767D1 (de) 2006-11-23
WO2004087589A2 (fr) 2004-10-14
MXPA05010397A (es) 2005-11-04
ES2274470T3 (es) 200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653B1 (ko) 판유리를 크라우닝하는 방법과 디바이스
US8746011B2 (en) Method for cambering glass sheets by suction
JP4554885B2 (ja) 対のガラス板を曲げる方法及び装置
KR101191259B1 (ko) 압축과 흡입에 의한 판유리의 크라우닝 방법
KR0165128B1 (ko) 아래 완전표면 진공압형과 위 링 압형을 활용하는 유리판 형성
KR102323883B1 (ko) 얇은 유리판을 픽업, 성형 및 배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7001135B (zh) 夹层玻璃的制造方法
EP0613865B1 (en) Method of bending sheet glass
JPH03131539A (ja) 曲げ成型用プレス型とガラス板の曲げ成型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70132195A (ko) 유리 시트의 벤딩 디바이스
KR0160002B1 (ko) 가요성 프레스
AU2004226205B2 (en) Method and device for bending glass sheets
US6009726A (en) Glass bending process and apparatus
KR0135665B1 (ko) 가요성 가압 레일 지지체
JPS6345138A (ja) ガラス板の曲げ加工方法
JPH06414Y2 (ja) 板ガラスの曲げ成形装置
JPH053077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