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5928A - 화상기록장치 - Google Patents

화상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5928A
KR20050105928A KR1020047016408A KR20047016408A KR20050105928A KR 20050105928 A KR20050105928 A KR 20050105928A KR 1020047016408 A KR1020047016408 A KR 1020047016408A KR 20047016408 A KR20047016408 A KR 20047016408A KR 20050105928 A KR20050105928 A KR 20050105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friction
conveying
drum
conveying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키 요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웨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웨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웨지
Priority to KR1020047016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5928A/ko
Publication of KR20050105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92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22Clamps or grippers
    • B41J13/223Clamps or grippers on rotatable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2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by selective transfer of ink from ink carrier, e.g. from ink ribbon or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providing current or voltage to the thermal head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원주길이가 용지의 길이보다 큰 마찰반송드럼에 용지를 원주의 1/4 이상 감고, 마찰반송드럼의 원주의 4군데 이상에 용지의 미끄러짐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용지를 마찰반송드럼에 누르는 접촉자를 설치하여, 용지와 마찰반송드럼 사이에 미끄러짐을 방지하며, 여러 번 반복되는 전사공정에서 색의 중첩 편위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기록장치{IMAGE RECORD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색재를 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다중전사공정으로 기록매체와 화상위치 사이의 위치편이를 억제할 수 있는 화상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탈카메라의 보급에 따라, 컬러 디지털화상의 프린트 출력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컬러 디지털화상의 프린트에는 여러가지 방식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열헤드를 사용하는 승화형 프린터 등의 열전사방식 프린터는 기존의 은염 프린터와 비슷한 농도계조에 의한 인쇄표현이 가능하여, 은염 사진에 아주 가까운 프린트를 얻을 수 있다. 또, 약품 등의 액체를 사용하지 않고도 소형화가 가능하여, 열전사방식 프린터는 가정에서도 은염 사진을 제공하는 프린터로서 주목받고 있다.
도 1은 컬러 열전사 프린터의 주요부의 구성도이다. 열전사 컬러프린터는 주요 구성요소로서, 열전사리본(1), 용지(2), 플래튼드럼(3), 열헤드(4), 클램퍼(5), 플래튼드럼 구동모터(6), 용지호퍼(7), 헤드승강기구(19) 등을 갖춘다. 클램퍼(5)와 용지(2) 사이의 접촉부분에는 고무 등의 마찰부재(8)가 부착된다.
도 1에 도시된 전사(또는 인쇄) 영역에서는, 플래튼드럼(3)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외주변에서 내주변 방향을 향해 열헤드(4), 열전사리본(1), 용지(2), 플래튼드럼(3)이 용지를 협지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열전사리본(1)은 여러가지 색재의 조합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도록 색구분되어 두루말려 있다. 예컨대, 황색, 적색, 청색의 3색을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한다. 또, 이런 색 이외에 흑색이나 표면코팅용 투명 오버코팅재를 부가한 리본도 준비한다.
이하, 풀컬러 화상을 용지에 형성하는 일련의 프린터 동작을 3색 리본을 이용하는 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열전사리본(1)의 임의의 색이 나타난다. 다음, 열헤드(4)가 승강기구(19)에 의해 플래튼드럼(3)의 표면에서 떨어지도록 위로 이동하고, 용지호퍼(7)에서 용지(2)가 급지롤러(18)에 의해 송출된다. 용지(2)는 입구의 급지가이드에 의해 안내되고 플래튼드럼(3)의 외주변을 따라 클램퍼(5)의 위치까지 반송된다. 다음, 플래튼드럼(3)과 클램퍼(5)는 반송된 용지(2)에 삽입압력을 가해 용지를 홀딩한다. 클램퍼(5)의 이면, 즉 용지(2)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고무 등의 마찰부재(8)가 배치되어 플래튼드럼(3)에서 용지(2)가 미끄러져 벗어나지 않도록 홀딩한다. 용지(2)를 홀딩한 뒤, 열전사리본(1)과 용지(2)를 밀착시키기 위해, 헤드승강기구(19)는 열헤드(4)를 플래튼드럼(3)을 향해 이동시켜 용지(2)에 밀착시킨다.
다음, 플래튼드럼(3)의 구동모터(6)가 회전하여 드럼(3)을 회전시켜, 용지(2)를 플래튼드럼(3)에 두루말이한다. 용지의 이동과 동기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로부터 열헤드(4)의 미소발열체군에 제1 색의 화상에 상당하는 전기신호가 공급된다. 미소발열체는 화상의 화소를 구성하는 임의의 도트에 대응하는 열을 생성한다. 이런 발열에 의해, 열전사리본(1)의 색재가 용지(2)에 전사되고, 소정의 색을 갖는 화상이 용지(2)에 형성된다.
제1 색의 전사가 완료된 후, 헤드승강기구(19)는 용지(2)에 대한 열드럼(4)의 밀착력을 개방하고, 열드럼(4)을 플래튼드럼(3)의 외주면으로부터 클램퍼(5)가 통과 가능한 격리위치(4')로 이동시킨다. 구동모터(6)에 의해 플래튼드럼(3)이 회전하여 용지(2)의 선두위치를 소정 위치에 설정함과 동시에, 열전사리본(1)을 풀어서 다음 색을 배출한다.
다음, 구동모터(6)가 회전하여 드럼(3)을 회전시켜 용지(2)를 드럼(3)과 함께 회전시킨다. 이 용지의 회전이동과 동기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로부터 열드럼(4)의 미소발열체군에 제2 색에 상당하는 전기신호가 공급된다. 미소발열체는 화상의 화소를 구성하는 임의의 도트에 대응하여 발열한다. 이 발열에 의해 열전사리본(1)의 제2 색의 색재가 용지(2)의 제1 색재 위에 전사되어, 용지(2)에 제1 및 제2 색의 혼합색을 갖는 화상이 형성된다. 이런 식으로, 색재의 전사공정을 필요한 색 수만큼 반복하여 용지(2)에 컬러화상을 형성한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에서는 용지(2)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해 클램퍼(5)로 용지(2)의 선단부를 홀딩했다. 이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2)중에 클램퍼(5)와 열헤드(4) 사이의 구간(2a)에 큰 비전사(무인쇄) 영역이 발생하여, 용지 전체면에 대한 전사를 실행할 수 없었다. 이런 비전사 영역은 뒤에 절단해야만 하므로, 비교적 고가의 열전사 사진용지가 낭비된다. 또, 클램퍼(5)의 오염이나 용지의 종류 등에 기인하는 전사화상의 전사위치의 이탈이나 화상의 흐릿함이 생길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지탈카메라 등의 화상의 기록출력장치로서 여백 없이 전면 프린트를 가능케 하는 화상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램퍼의 마찰부재의 오염이나 열화나 마모, 기록매체의 종류 등에 기인하는 기록매체의 미끄러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화상기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열전사 방식 화상기록장치의 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종래의 열전사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화상기록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중 하나의 전사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마찰반송드럼과 기록매체 상호간의 정지마찰계수와, 기록매체와 반송보조부재 상호간의 마찰계수의 각종 비와 인쇄위치에서의 편위 관계를 인쇄매수를 파라미터로 하여 설명하는 그래프;
도 7은 기록매체의 마찰반송드럼으로의 권취각도와 인쇄 레지스트 사이의 관계를 인쇄매수를 파라미터로 하여 설명하는 그래프;
도 8은 도 7의 실험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환형 링크를 이용해 복수의 반송보조부재의 압력을 가변시킨 실험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은 환형 링크의 회전에 의한 반송보조부재의 압력 설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1은 직선형 링크를 이용해 복수의 반송보조부재의 압력을 가변시킨 다른 실험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2는 직선형 링크의 이동에 의한 반송보조부재의 압력설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3은 화상기록장치의 제어계를 설명하는 블록도;
도 14는 데이타베이스에 기억된 압력설정 테이블의 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5는 데이타베이스에 기억된 미끄러짐 예측 테이블의 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6은 제어계의 파라미터 설정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어차트;
도 17은 제어부의 열헤드의 통전가열의 개시 타이밍 설정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어차트;
도 18은 제어부의 열헤드의 통전가열의 개시타이밍 설정동작(기본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어차트.
발명의 개요
이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화상기록장치에 의하면, 열헤드를 이용해 시트형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열전사방식의 화상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의 길이보다 큰 원주길이를 갖고, 상기 열전사 공정에 동기적으로 회전하며, 적어도 기록매체와 접촉하는 부분의 표면 전체가 고무 등의 탄성체로 덮인 마찰반송 드럼;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을 향해 안내하는 기록매체 안내기구; 및 상기 기록매체의 적어도 일부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도록 기록매체를 마찰반송 드럼과 함께 회전시키는 1개 이상의 반송보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반송드럼과 기록매체 사이의 마찰계수와 기록매체와 반송보조부재 사이의 마찰계수를, 상기 마찰반송드럼과 기록매체 사이의 마찰계수에 대한 기록매체와 마찰보조부재 사이의 마찰계수의 비율이 35% 이하로 되도록 설정하고; 상기 기록매체와 마찰반송드럼 사이의 접촉길이가 마찰반송드럼의 원주의 1/4 이상이며; 기록매체와 마찰반송드럼 사이에 생기는 미끄러짐이 허용범위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런 구성에 의하면, 기록매체의 마찰반송드럼상에서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안정된 기록매체 반송이 가능하다. 또, 다색 인쇄를 할 경우에도 색 번짐이 방지된다.
또, 본 발명의 화상기록장치는, 열헤드를 이용해 시트형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열전사방식의 화상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의 길이보다 큰 원주길이의 마찰체를 갖고, 열전사 공정에 대응하게 회전하는 마찰반송드럼; 공급되는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을 향해 안내하는 기록매체 안내기구; 상기 기록매체의 적어도 일부가 마찰반송드럼과 밀착되게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과 함께 회전시키는 1개 이상의 반송보조부재; 상기 기록매체의 소정위치 통과를 검출하는 검출기; 및 상기 검출기의 출력에 따라 열헤드를 발열시키는 출력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이런 구성에 의하면, 기록매체의 위치를 검출한 시점으로부터 전사개시시점을 결정할 수 있어, 검출시점으로부터 전사개시까지의 사이에만 미끄럼이 있어, 기록매체의 미끄러짐의 영향 범위를 경감할 수 있다. 또, 기록매체의 단부를 감지하여 얻어지고 마찰반송드럼에 감긴 기록매체의 위치데이타를 기초로, 열헤드의 통전개시위치를 변화시켜 미세한 미끄러짐을 전기적으로 보정하여 색번짐 없는 프린트가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화상기록장치는 열헤드를 마찰반송드럼과 접하는 위치와 떨어진 위치 사이를 진퇴시키는 헤드 이동기구와, 검출기의 출력을 기초로 상부 헤드이동기구를 동작시키는 동작제어수단을 더 포함한다. 그 결과, 비전사 공정중에 열헤드와 기록매체가 접촉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기록매체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화상기록장치는 열헤드와 마찰반송드럼 사이를 통과하는 리본을 갖고, 열헤드는 상기 리본을 가열하며, 리본으로부터 색재를 기록매체에 전사한다. 그 결과, 승화형 열전사방식의 프린터를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기록매체의 반송보조부재 상호간의 마찰계수는 마찰반송드럼과 기록매체 상호간의 마찰계수의 비율이 35% 이하가 되도록 설정된다. 그 결과, 기록매체의 마찰반송중에 기록매체의 미끄러짐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기록매체와 마찰반송드럼의 밀착 범위는 마찰반송드럼의 원주길이의 약 1/4 이상의 범위에 있다. 그 결과, 마찰반송중에 기록매체의 미끄러짐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반송보조부재는 마찰반송드럼상의 4군데 이상에 배치된다. 또, 기록매체와 마찰반송드럼의 밀착 범위를 마찰반송드럼의 원주길이의 약 1/4 이상으로 하여 기록매체를 회전이동 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검출기는 열헤드에 근접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검출기와 열헤드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어, 이 간격에서의 미끄러짐을 낮출 수 있다.
바람직하게, 검출기의 출력 후, 상기 출력제어수단은 검출기로부터 열헤드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시간의 경과 후에 열헤드를 발열시킨다. 따라서, 기록매체상의 화상의 전사개시이치를 일정위치로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력제어수단은 기록매체의 종류, 크기 및 리본의 텐션의 가감을 참조해 기록매체의 미끄러짐을 예측하고, 미끄러짐으로 인한 열헤드의 발열타이밍을 정밀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기록매체에 의해 변하는 미소한 미끄러짐의 차이를 더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력제어수단이 리본의 배출량에 연동하는 엔코더의 펄스주기를 기초로 리본의 텐션의 가감을 추정하고, 리본의 텐션 가감에 따라 미끄러짐을 예측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사개시 타이밍에 기록매체에 접하는 리본의 미끄러짐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력제어수단은 미리 기억된 데이타테이블을 참조하여 미끄러짐의 예측을 할 수 있다. 리본의 장력과 기록매체의 미끄러짐 사이의 관계를 미리 기억하였다가, 수시로 리본의 장력에 맞춰 미끄러짐을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록매체는 열전사 전용용지, 보통지, 라벨용지, 투명필름, 감열기록용지 및 감열 컬러기록용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감열기록형 기록매체는 물론 승화형 열전사방식의 기록매체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반송보조부재는 판형이나 나선형의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반송보조부재에 바이어스력이 작용하여, 기록매체를 반송드럼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반송보조부재는 기록매체의 이동을 마찰반송드럼의 회전방향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더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마찰반송드럼의 원주방향으로 기록매체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반송보조부재는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는 압력을 기록매체의 종류에 맞게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기록매체에 적합한 압력으로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켜, 미끄러짐의 방지와 기록매체의 주름접힘, 절첩, 잼 등의 방지를 모두 이룰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반송보조부재는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는 압력을 변경 가능하게 설정해야만 한다. 그 결과, 기록매체에 적당한 압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반송보조부재는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는 압력을 다른 기록매체에 맞게 설정하고,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기 위한 공통의 임의의 압력을 복수의 반송보조부재에 설정하는 링크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반송보조부재들의 압력을 동시에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링크기구는, 내주면에 복수의 캠면이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환형 부재; 복수의 반송보조부재를 마찰반송드럼에 누르는 바이어스력을 각각 발생시키는 복수의 탄성체; 및 상기 환형 부재의 복수의 캠면을 따라 환형부재의 직경방향으로 각각 움직이며, 각각의 탄성체를 신축시켜 바이어스력을 다단으로 설정하는 복수의 캠폴로워;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환형부재의 회전위치(회전각도)를 설정하여 각 탄성체의 신축이 설정되고, 각 반송보조부재의 압력을 공통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마찰반송드럼의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반송보조부재를 마찰반송드럼에 대해 각각 누르기 위한 바이어스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 상기 복수의 반송보조부재의 부근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탄성체를 신축시키는 복수의 레버; 및 상기 레버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연결부재(또는 레버)의 위치를 설정하여 각 탄성체의 신축이 설정되고, 각 반송보조부재의 압력을 공통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화상기록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여주는데, 화상기록장치는 주요 구성요소로서 열전사리본 공급기구(21), 용지(기록매체)(22), 플래튼드럼(마찰반송드럼)(23), 열헤드(24), 플래튼드럼 구동모터(26), 용지호퍼(27), 급지롤러(28), 원통형 가이드(29), 용지위치 검출장치(30), 접촉자(반송보조부재)(35a-d), 리본공급 검출장치(40), 헤드승강기구(41) 등을 포함한다.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화상전사공정의 제어회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열전사리본 공급기구(21)는 열전사리본(21c)을 권취하는 권취릴(21a), 열전사리본(21c)을 두루말아 수납하는 수납릴(21b), 이들 릴을 구동하는 열전사리본(21c)의 공급모터(도시 안됨)로 구성된다.
수납릴(21b)에서 인출된 열전사리본(21c)은 열헤드(24)의 밑면의 발열부를 통해 권취릴(21a)에 감긴다. 열전사리본(21)은 여러 색의 색재가 베이스재에 도포되어 있고, 각각의 색재는 주기적으로 색구분되어 있다. 예컨대, 황색, 적색, 청색의 3가지 색이 일군을 구성한다. 경우에 따라, 흑색이나 표면을 코팅하기 위한 투명코팅재 등이 부가된 리본도 준비될 수 있다.
리본공급 검출장치(40)는 소정량의 리본이 공급될 때마다 펄스를 발생시키고, 후술하는 제어부에 펄스를 공급한다. 제어부는 펄스 간격의 변화를 기초로 리본의 인출력이나 사용량을 추정한다.
열헤드(24)는 1개의 화소에 상당하는 미세한 발열소자를 여러개 일렬이나 복수열로 배열하여 구성된다. 후술하는 제어부로부터 화상(화소) 패턴에 대응하는 펄스(PAM) 전류를 각 발열소자로 공급하면, 각 발열소자는 펄스레벨에 대응하는 고열을 순간적으로 생성한다. 이런 열 때문에, 색재가 용해되어 리본의 베이스로부터 용지(22)에 전사된다.
헤드승강기구(41)는 열헤드(24)를 플래튼드럼(23)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진퇴)시켜 플래튼드럼(23)에 접촉시키거나 분리시킨다. 통상, 헤드승강기구(24)는 용지(22)에 색재를 전사할 때는 열헤드(24)를 플래튼드럼에 밀착시키고, 용지(22)를 미리 퇴 리본(21c)을 공급할 때는 열헤드를 분리위치(24')에 위치시킨다.
플래튼드럼(23)은 원통형으로서, 외주면이 마찰재로 덮여있다. 마찰재로는, 실리콘고무, EPDM, 클로로프렌, NBR 등의 합성고무가 사용 가능하다. 마찰재와 소정의 용지 사이의 정지마찰계수 μ는 약 0.8이다. 여기서, 정지마찰계수 μ란 피측정물의 상대적인 미끄럼 속도가 1 ㎜/sec 이하일 때의 마찰계수를 의미한다. 플래튼드럼(23)은 모터(26)에 의해 적절히 회전된다. 플래튼드럼(23)은 용지(22)의 원주방향 공급을 안내하는 원통형 가이드(29)로 둘러싸이고, 플래튼드럼(23)과 가이드(29) 사이의 간격은 용지 반송로를 구성한다.
플래튼드럼(23)의 외주면에는 반시계방향으로 접촉자(35a), 열헤드(24), 접촉자(35b-35d) 및 용지위치 검출장치(30)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접촉자는 단면이 평판형인 부재로서 일정한 탄성을 갖는다. 접촉자들은 용지(22)를 플래튼드럼(23)에 대고 눌러 밀착시킨다. 접촉자들은 또한 플래튼드럼(23)의 원주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용지(22)를 안내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후술하겠지만, 각각의 접촉자와 용지(22) 사이의 정지마찰계수는 전술한 마찰재와 용지 사이의 정지마찰계수의 35%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이하가 되도록 설정한다. 그 결과, 마찰재와 용지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용지의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서로 인접한 접촉자들은 플래튼드럼(23)의 회전축에 대해 90도 각도로 배치된다. 이렇게 되면, 용지(22)가 90도(드럼 원주의 1/4) 범위에서 드럼에 밀착하게 된다. 이것은 용지(22)의 미끄럼 방지에 적절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촉자의 상호 배열은 이 각도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용지가 여러 접촉자에 의해 홀딩될 때의 권취각도는 90도 이상일 수도 있다.
용지위치 검출장치(30)는 용지의 위치, 예컨대 용지의 선단의 통과를 검출하고, 후술하는 제어부(76)에 검출신호를 공급한다. 이들 신호는 예컨대 열헤드(24)의 이동을 제어하거나 가열개시 타이밍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다음,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열전사기구의 용지급송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헤드(24)는 분리위치에 설정되고, 열전사리본(21)의 임의의 색이 방출된다. 다음, 용지호퍼(27)로부터 급지롤러(28)에 의해 용지(22)가 송출된다. 용지(22)는 접촉자(35a)의 측면에서 안내되어 접촉자(35a)의 선단부로 인도된다. 접촉자(35a)는 용지의 종류나 사이즈에 대응하는 소정의 압력으로 플래튼드럼(23)에 접촉하고, 용지(22)는 접촉자(35a)와 플래튼드럼(23) 사이에 홀딩된채 열헤드(24)의 바로 앞으로 보내진다. 접촉자(35a)는 마찰계수가 낮은 판형 재료로 이루어지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에 롤러를 설치해 드럼(23)과 함께 회전하도록 하여 마찰계수가 낮아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 드럼구동모터(26)를 작동시킨다. 회전하는 플래튼드럼(23)과 접촉자(35a)로 용지(22)를 홀딩하여 용지를 반시계방향으로 반송한다. 용지(22)의 선단부는 열헤드(24) 밑을 통과하여 접촉자(35b)에 도달하고, 접촉자(35b)와 플래튼드럼(23)에 의해서도 용지가 홀딩된다. 용지(22)를 플래튼드럼(23)에 감기 위해, 접촉자(35a-d)로 용지(22)를 안내하여 열헤드(14)의 히터라인(발열소자) 바로 앞으로 용지(22)를 공급한다. 이 때, 용지(22)는 플래튼드럼(23) 둘레에 단단히 감기고 접촉자(35a-d)에 의해 홀딩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22)의 선단부가 열헤드(24)의 히터라인 밑의 적절한 위치에 도달하면, 열전사리본(21)과 용지(22)를 밀착시키기 위해, 헤드승강기구(41)에 의해 열헤드(24)가 플래튼드럼(23)을 향해 이동해 압력을 가한다. 열헤드(24)는 임의의 도트(화소)에 대응하여 발열되도록 통전되고, 열전사리본(21)에서 용지(22)로 가열된 색재가 전사되면서 용지(22)가 반송되어, 용지(22)에 제1 색을 갖는 화상이 형성된다(도 4c 참조).
제1 색의 화상 전사가 종료된 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승강기구(41)를 작동시켜 열헤드(24)의 압력을 개방하고, 플래튼드럼(23)에서 열헤드를 분리한다. 열전사리본(21c)을 취출하여 제2 색의 배출을 함과 동시에, 플래튼드럼(23)을 반시계방향(화상형성방향)으로 회전시켜 용지(22)의 선단부 위치정합(큐잉)을 실행한다. 선단위치 검출에는 후술하는 검출장치(30)를 이용한다.
도 4b-d의 전술한 공정을 필요한 회수로 반복하고 다른 색의 화상을 용지(22)에 전사하여, 여러 색을 중첩하여 얻은 컬러화상을 형성한다. 컬러화상을 형성한 뒤, 드럼(23) 둘레에 구성된 용지배출경로의 가이드(도시 안됨)를 개방해, 프린트된 용지를 외부로 송출한다.
도 5는 전술한 접촉자의 다른 구성례를 보여준다. 이 도면에서, 도 3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접촉자(39a-d)의 선단부를 롤러로 형성하여, 롤러의 접촉지점과 용지 사이의 마찰계수가 회전하는 롤러의 베어링과 용지와 접촉하는 외주부 사이의 모멘트비만큼 용지와 정적 접촉자 사이의 마찰계수보다 작아지므로, 접촉자(36)와 용지(22) 사이의 마찰계수를 쉽게 낮출 수 있다. 또, 용지(22)를 플래튼드럼(23)에 누르는 바이어스력을 가하기 위해,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고무 등의 탄성체를 롤러에 설치한다. 그 결과, 용지(22)와 접촉자(39) 사이의 정지마찰계수는 용지(22)와 플래튼드럼(23) 사이의 정지마찰계수의 약 30% 이하가 되도록 쉽게 선택될 수 있다.
도 6은 플래튼드럼에 감겨서 반송되는 용지가 미끄러지지 않는 조건을 발견하기 위한 여러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표와 그래프는 플래튼드럼(23)과 용지(사이즈 127㎜x89㎜) 사이의 정지마찰계수 μ1과 용지(22)와 접촉자(35) 사이의 정지마찰계수 μ2의 여러 비(μ2/μ1)에 따른 인쇄흐림량의 변화를 보여준다. 실험례에서는, μ1=0.8로 고정하고 μ2를 다양하게 변화시켰다. 프린트매수가 1장, 25장, 50장일 때의 편차변화를 추적했다. 잉크리본을 감아서 구동시키는 잉크리본 클러치(도시 안됨)가 일정한 토크로 구동되므로, 리본의 텐션은 리본의 권선수(감긴 리본의 직경) 변화에 따라 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프린트 매수가 변하면 리본의 텐션이 변하는 경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허용 편차량은 75㎛로 설정되는데, 이 값은 풀컬러 인쇄 화상을 육안으로 위화감 없이 볼 수 있는 편차량의 한계값이다. 일반적으로, 고정밀 컬러프린터의 경우, 인간의 눈이 흑백을 구분하는 능력은 50㎛이므로, 컬러화상의 경우 그 편차량은 75㎛정도로 설정한다.
이 그래프에서, 정지마찰계수의 비가 낮을수록 급지 정밀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정지마찰계수의 비가 35%이면, 연속인쇄매수가 50장일 경우에도 용지의 미끄러짐이 허용 편차범위내에 있다. 특히, 정지마찰계수의 비가 30%이면, 용지의 미끄러짐이 충분히 허용 편차범위내에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플래튼드럼(23)의 외주부에 합성고무 등의 적당한 마찰계수를 갖는 마찰부재를 형성한다. 접촉자 선단의 미끄럼면을 평활하게 하거나(35a-d 참조), 선단을 회전시키면, 마찰계수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39a-d 참조). 마찰계수의 비는 35%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이하로 설정한다.
도 7은, 상기 결과를 기초로 정지마찰계수 비를 30%로 한 경우, 용지의 권취량의 가감에 따라 용지의 미끄러짐의 가감을 실험한 예를 보여준다.
도 8은 플래튼드럼 둘레의 용지의 각종 권취각도(용지가 드럼에 밀착하는 범위)를 구하는데 사용되는 급지기구의 구성례를 보여준다. 도면에서, 도 3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플래튼드럼(23)에 대한 권취각도가 드럼(23)의 회전축 둘레의 각도로 약 90도(플래튼드럼 원주의 1/4에 상당하는 각도)를 넘으면, 인쇄위치의 편차(용지의 미끄러짐)가 현저히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즉, 도 8d에서 볼 수 있듯이, 기록매체가 플래튼드럼의 1/4 이상에 감기도록 접촉자를 예컨대 도면에서 4군데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 접촉점이 늘어나고 용지의 권취각도가 접촉자에 의해 커지면,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인쇄매수가 1장일 경우, 권취각도가 45도일 때 용지는 "-" 방향으로 편위된다. 이것은, 용지(22)가 플래튼드럼(23)보다 더 회전함을 의미한다. 이런 상태는 열전사리본 공급기구(21)에 의한 리본(21c)의 권취가 용지(22)를 인출시키기 때문에 생긴다. 즉, 용지의 미소 미끄러짐은 리본(21c)의 텐션의 영향도 받는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플래튼드럼(23) 둘레의 용지(22)의 권취각도가 80도를 넘으면, 용지의 미끄러짐에 작용하는 리본의 텐션의 영향이 작아진다. 용지(22)와 드럼(23) 사이의 밀착면적(마찰력)이 커져 미끄러짐이 생기기 어려우면, 리본의 영향도 감소된다. 플래튼드럼 둘레로 용지가 회전하므로, 접촉자와의 접촉점이 변하여 플래튼드럼 둘레의 권취각도도 변한다. 이 경우의 권취각도는 1장 인쇄할 때의 최소의 권취각도에 대응한다.
이런 식으로, 플래튼드럼(23)에 대한 용지(22)의 권취각도가 증가하면, 좀더 정밀한(미끄러짐이 없는) 급지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 9는 접촉자의 압력을 가변적으로 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도면에서, 도 3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화상기록장치에 여러가지 기록용지를 사용할 수 있으면 편리할 것이다. 급지를 안정시키려면, 용지의 종류, 예컨대 보통지, 열승화형 기록지, 시일 용지, 엽서 등에 대응되게 용지의 홀딩력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9의 구성에서는, 각 접촉자의 압력을 가변적으로, 예컨대 "小", "中", "大"로 설정할 수 있다.
도면에서, 원통형 가이드(29) 외측을 둘러싸도록 환형 링크부재(51)를 설치한다. 환형 링크부재(51)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정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환형 링크부재(51)의 내주변에는 각 접촉자에 대응하는 위치로 계단형 캠면(51a-51c)을 형성한다. 이들 캠면에는 캠폴로워(55)가 접촉되어 있다. 캠폴로워(55)는 플레이트(도시 안됨)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종방향 홈(54)에 의해 안내되고, 환형 링크부재(51)가 회전하면, 캠폴로워도 환형 링크부재(51)의 직경방향(플래튼드럼 23의 직경방향)으로 움직인다. 캠폴로워(55)와 접촉자(35) 사이에는 코일스프링, 합성고무, 판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53)를 배치한다.
도 10은 환형 링크부재(51)를 회전시켰을 때 구성요소들의 동작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에서는 압력이 "中" 상태에 있고, 캠폴로워(55)가 중단의 캠면(51b)에 위치한다. 그 결과, 탄성체(53)가 접촉자에 가하는 압력이 중간으로 된다. 도 10b는 도 10a의 상태에서 환형 링크부재(5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구성요소들의 동작례를 보여주는데, 이 때 압력이 "小" 상태에 있고, 캠폴로워(55)가 하단의 캠면(51a)에 위치하므로, 탄성체(53)가 늘어나 탄성체(53)의 바이어스력이 저하된다. 그 결과, 접촉자(35)에 대한 압력이 낮아진다. 도 10c는 도 10a의 상태에서 환형 링크부재(5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켰을 때의 구성요소의 동작례를 보여주는데, 압력은 "大" 상태에 있다. 캠폴로워(55)가 상단의 캠면(51c)에 위치하고, 탄성체(53)가 압축되어 탄성체(53)의 바이어스력은 증가한다. 그 결과, 접촉자(35)에 대한 압력이 증가한다.
환형 링크부재(51)는 수동으로 회전 가능하고 접촉자의 압력을 용지 종류에 맞게 설정할 수 있다. 또, 환형 링크부재(51)에 웜기어를 형성하고 모터(도시 안됨)로 웜기어를 회전시키면, 환형 링크부재(51)를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1은 접촉자의 압력을 가변적으로 설정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면에서 도 3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는,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직선(봉)형 링크부재(61)를 사용한다. 링크부재(61)는 휘어질 수 있다. 접촉자(35b-d) 각각의 외측에는 지지점(62)에 대해 회동 자유롭게 지지된 "く" 모양의 레버(63)가 각각 배치된다. 레버(63)의 타단부와 접촉자 사이에는 탄성부재(53)가 배치된다.
레버(63)의 타단부에는 연결핀(64)을 통해 링크부재(61)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다. 링크부재(61)의 타단부는 다른 레버(63)의 타단부에 연결핀(64)을 통해 접속된다. 각각의 레버(63)가 링크부재(61)에 의해 서로 연결되므로, 전체 레버(63)가 연동되어 탄성체(53)를 통해 접촉자(35)의 압력을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링크부재(61)의 형상이나 레버(63)의 형상을 개별적으로 설정하면, 각 접촉자의 압력을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접촉자의 압력조정기구의 작동례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12a에서, 압력은 "中" 상태이고, 레버(63)는 중간위치에 있다. 따라서, 탄성체(53)가 접촉자에 가하는 압력은 "中" 상태로 정해진다. 도 12b는 도 12a의 상태에서 링크부재(61)를 시계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기구의 동작례를 보여주는데, 이 때에는 압력이 "小"에 있다. 레버(6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외측을 향해 개방되고, 탄성체(53)는 늘어나 바이어스력이 줄어든다. 그 결과, 접촉자(35)에 대한 압력이 감소된다. 도 12c는 도 12a의 상태에서 링크부재(61)를 반시계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기구의 동작례를 보여주는데, 이 때 압력은 "大" 상태에 있다. 레버(6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탄성체(53)를 압축하므로, 탄성체(53)의 바이어스력이 증가한다. 그 결과, 접촉자(35)에 대한 압력이 증가한다.
상기 예에서는 용지의 미끄러짐이 기계 구조적으로 억제되었다. 그러나, 도 13-17의 실시예에서는, 용지의 미소한 미끄러짐을 예측하여 보다 정밀하게 화상의 전사개시위치를 결정하고 컬러화상에서의 각각의 색의 화상의 편위를 방지한다.
도 13은 미끄러짐의 예측을 이용한 동작제어를 통해 전사개시위치와 용지의 선단위치 사이의 위치편위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계의 동작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급지트레이(27)에는 용지 세트가이드의 위치를 검출하여 용지 사이즈를 검출하는 용지사이즈 검출장치(71)가 설치되고, 검출된 용지사이즈를 제어부(76)에 공급하여 내부 메모리에 용지사이즈에 대응하는 플래그를 설정한다. 급지트레이 부근에는 용지의 종류를 세팅하는 용지설정 스위치(72)가 배치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보통지, 승화전사용지, 라벨용지 등의 용지의 종류를 선택스위치를 이용해 설정하면, 출력이 제어부(76)로 공급되고, 용지의 종류를 표시하는 플래그가 내부메모리에 설정된다. 용지 등의 기록매체의 통과를 검출하는 매체검출장치(30)의 검출출력은 제어부(76)에 공급되고, 내부메모리에 통과검출 플래그가 설정된다. 리본잔량 검출장치(40)는 리본의 공급에 응답해 주기적인 펄스의 발생을 검출하고, 이 검출결과를 제어부(76)에 보낸다. 제어부(76)는 펄스 간격의 변화로부터 리본 외경을 추정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본 외경변화로 인한 리본 텐션변화에 기인하는 인쇄색의 중첩의 미소 위치편위를 추정한다. RAM을 포함한 화상데이타 메모리(73)는 디지탈카메라 등의 외부장치로부터 인터페이스(75)를 통해 제어부(76)에 공급된 화상데이타를 저장한다. 화상데이타는 제어부(76)에 의해 적절히 읽혀진다. ROM(74)은 제어프로그램(도시 안됨)이나 미끄러짐에 관련된 여러 데이타를 포함한 데이타베이스를 저장한다. 헤드승강기구(41)는 제어부(76)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열헤드(24)를 승강시킨다. 구동회로(77)는 제어부(76)에서 공급된 화상데이타신호를 증폭하고, 열헤드(4)의 가열체를 구동한다. 압력조정기구(60)는 제어부(76)의 지령에 따라 접촉자의 압력을 설정한다. 따라서, 용지 종류나 사이즈에 맞게 압력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75)는 디지탈카메라 등의 외부장치로부터 화상데이타를 받아, DMA 동작에 의해 화상데이타 메모리(73)에 화상데이타를 저장한다.
제어부(76)는 CPU, 메모리, 인터페이스, 타이머 등이 조립된 1칩 LSI로 구성되고, 적어도 용지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제어를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4, 15는 ROM(74)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 변환테이블의 예를 보여준다.
도 14는 용지의 종류와 용지 사이즈에 맞는 최적의 접촉자 압력을 설정하기 위한 테이블데이타를 보여준다. 용지의 종류(Pn), 용지사이즈(Sm)의 플래그 데이타를 기초로 링크부재(51)의 위치와 각 접촉자에 최적의 압력 F(Pn, Sm)를 설정하여, 용지를 이송할 때의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도 15는 용지의 미끄러짐 원인이 되는 요소와 이 요소에 의한 미끄러짐 정도를 미리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한 테이블의 일례를 보여준다. 미끄러짐의 요인으로는, 예컨대 용지의 종류(P), 접촉자에 의한 압력(F), 용지 사이즈(S), 리본의 텐션(R) 등이 있다. 이들 요소의 조합에 의한 해당 용지의 미끄러짐 값(T)은 테이블에 저장된다. 이런 조합으로는, 특정 미끄러짐 요소가 0일 경우, 또는 모든 미끄러짐 요소가 0일 경우(테이블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동작은 큰 영향을 주는 요소에 한정될 수 있다. 예컨대, 리본 텐션이 용지 미끄러짐에 영향을 주지 않는 급지구조의 경우, 리본 텐션 R은 파라미터에서 배제된다(파라미터 값은 "0").
도 16은 제어부(76)의 CPU가 실행할 각종 프로그램에서 용지의 종류, 사이즈 등의 입력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여러 설정을 행하는 파리미터 설정 루틴의 일례를 보여주는 플로어차트이다.
CPU는 시동 직후 및 이후 정기적으로 메모리의 플래그 레지스터를 점검한다. 플래그의 설정에 변화가 없으면, 이 루틴이 종료한다(S12; No). 예컨대, 용지의 종류와 사이즈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변하면(S12; Yes), 데이타테이블을 참조하여 접촉자에 설정할 입력값을 결정한다(S14; 도 14 참조). 이 결정을 기초로 압력조정기구(60)가 접촉자에 대응하는 바이어스력을 걸어주는 상태가 설정된다(S16). 다음, 각종 플래그의 상태나 미끄럼 요인의 파라미터값을 기초로, 미끄럼 예측테이블을 참조하여 미끄럼 예측시간이 결정된다(S18; 도 15 참조). 미끄럼 예측시간을 기초로 검출장치(30)에서 기준 전사개시위치까지의 용지이동시간을 수정하고, 이 수정값을 제어부의 내장 타이머에 설정한다(S20). 그 후, 원래의 처리루틴으로 돌아간다.
도 17은 전사공정중에서 용지에 대한 전사개시 타이밍을 결정하는 루틴의 일례를 보여주는 플로어차트이다.
먼저, CPU는 용지 선단위치의 통과를 검출하는 검출장치(30)로부터 검출이 통지되었는지 여부를 플래그 설정의 유무로 판별한다(S32). 플래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S32; No), 루틴을 종료한다. 플래그가 설정된 경우(S32; Yes), 제어부에 내장된 제1, 제2 타이머들의 시계동작을 개시시킨다. 타이머는 시스템클록을 계속 계수하는 카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용지가 검출장치(30)를 통과한 시간에서 열헤드가 플래튼드럼(또는 용지)에 접촉한 시간까지의 시간을 제1 타이머에 설정한다. 용지의 통과부터 열헤드의 가열개시 까지의 시간은 제2 타이머에 설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개시시간은 용지의 추정 미끄럼량에 대응하는 시간으로 보정된다(S34). 제1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S36; Yes), CPU는 헤드승강기구(41)의 동작을 지령하여, 열헤드를 플래튼드럼과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바람직하게는 열헤드의 밑면이 용지의 선단부까지 내려온다. 제2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S40; Yes), CPU는 구동회로(77)에 대한 화상데이타 신호공급을 개시한다. 화상데이타는 급지와 동기적으로 1 주사선의 화상데이타로 계속 공급된다. 그 결과, 특정 색의 화상이 리본에서 용지로 전사된다(S42). 이후, 이 처리를 종료하고 원래의 처리루틴으로 돌아간다.
S32 내지 S42 단계의 공정이 각 색의 전사공정에서 행해지므로, 풀컬러 화상을 형성할 때 가급적 컬러 번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열헤드(24) 부근에 설치된 검출장치(30)의 출력을 기초로 열헤드(24)를 제어하면, 검출장치(30)에서부터 열헤드(24) 밑의 기계적 전사위치까지의 짧은 거리구간을 제외하고는, 미끄러짐이 전사된 화상의 번짐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 짧은 구간에서의 약간의 미끄러짐(기계적으로는 충분히 보정될 수 없는 미소한 용지의 미끄러짐)은 추정된 미끄럼 값을 기초로 열헤드의 전사개시시점을 미세조정하여 보상된다. 그 결과, 컬러화상의 번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은 전술한 전기적 조정을 통해 용지의 미끄럼을 보상하는 회로의 구성을 간단하게 한 예를 보여준다. 도면에서 도 13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본 실시예에서, 용지(22)의 선단의 통과를 검출장치(30)가 검출할 때, 제어부(76)는 검출시점부터 소정 시간이 지난 뒤 헤드승강기구(41)를 작동시켜 열헤드(24)를 하강시킨다. 제어부는 열헤드(24)의 통전 가열을 개시한다. 그 결과, 용지의 미끄럼이 문제가 되는 급지범위가 좁아진다. 전술한 용지의 미끄러짐을 감소시키는 기계적 구성의 조합으로, 용지의 미끄러짐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용지위치 검출장치(30)와 제어부(76) 사이에 가변신호지연회로와 같은 시간축 조정회로(80)를 배치하면, 리본 텐션 등이 문제를 일으킬 경우, 제어부에 대한 검출신호의 공급타이밍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사된 화상들 사이의 편위를 보상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클램프기구가 없어도 용지의 미끄러짐이 쉽게 생기지 않도록 용지반송기구를 구성하므로, 용지(화상기록매체)의 외연부에 큰 여백을 만들지 않고 용지의 전체면에 전사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열헤드 부근에서 용지위치를 검출하고 이 위치에서 열헤드에 대한 통전개시 타이밍을 설정하므로, 용지의 미끄러짐이 전사위치들 사이의 편위를 일으키는 범위를 한정할 수 있다.
또, 상기 범위내에서 미끄러짐을 추정하고 통전개시 타이밍을 더 조정할 수 있으므로, 반송중의 용지의 미끄러짐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 플래튼드럼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용지를 반송하는 일방향 프린트가 가능하여, 용지를 왕복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고속 풀컬러 프린트가 가능하다.
또, 클램프기구에 부수되는 부품이 불필요하고 그립롤러 방식에서처럼 용지를 왕복 이동시킬 공간이 역시 불필요하므로, 소형이고 저렴한 화상기록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 용지에서 버리는 부분이 생기지 않으므로, 고품질의 고속 프린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의 선단위치(또는 소정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장치(30)를 열헤드(24) 가까이 배치할 수 있다.
또, 리본 텐션의 변화가 용지의 미끄러짐에 영향을 줄 경우, 검출장치(40)를 통해 리본의 주기적 펄스 변화로부터 리본의 외경을 추정하여, 그리고 인쇄매수 증가로 인한 리본의 외경변화로 생기는 리본의 텐션변화로 인한 인쇄색의 중첩위치들 사이의 미소위치 어긋남을 테이블(도 15)에 미리 기억시켜서, 그리고 프린트중에 검출되는 리본 엔코더 검출장치(40)에 의해 검출된 리본의 외경을 추정하여, 플래튼드럼 둘레에 감긴 용지와 플래튼드럼 사이의 미세한 위치편위를 예측할 수 있다. 위치편위에 맞게 열헤드의 가열개시위치를 조정하면, 색번짐이 없는 고품질의 컬러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로 용지를 반송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시일용지, 승화형 열전사용지, 투명필름, 감열기록용지, 감열 컬러기록용지 등의 여러 기록매체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기록장치는, 마찰반송드럼에 감긴 기록매체(용지)를 클램퍼 등의 홀딩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정확히 반송할 수 있다. 클램퍼 등의 홀딩부재가 없으므로, 열헤드를 용지의 어떤 위치에 대해서도 가압할 수 있고, 용지의 전단부에서 후단부까지 어떤 위치에서도 열헤드와 잉크리본을 압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지의 전체면에 프린트가 가능하다. 즉, 전체면을 여백 없이 프린트하는 용지를 얻을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고가의 자동 커터 등으로 용지를 절단할 필요가 없어, 용지의 낭비가 없으며, 여백 없는 완전한 인쇄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7)

  1. 열헤드를 이용해 시트형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열전사 방식의 화상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의 길이보다 큰 원주길이를 갖고, 상기 열전사 공정에 동기적으로 회전하며, 적어도 기록매체와 접촉하는 부분의 표면 전체가 고무 등의 탄성체로 덮인 마찰반송 드럼;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을 향해 안내하는 기록매체 안내기구; 및
    상기 기록매체의 적어도 일부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도록 기록매체를 마찰반송 드럼과 함께 회전시키는 1개 이상의 반송보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반송드럼과 기록매체 사이의 마찰계수와 기록매체와 반송보조부재 사이의 마찰계수를, 상기 마찰반송드럼과 기록매체 사이의 마찰계수에 대한 기록매체와 반송보조부재 사이의 마찰계수의 비율이 35% 이하로 되도록 설정하고;
    상기 기록매체와 마찰반송드럼 사이의 접촉길이가 마찰반송드럼의 원주의 1/4 이상이며;
    기록매체와 마찰반송드럼 사이에 생기는 미끄러짐이 허용범위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2. 열헤드를 이용해 시트형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열전사 방식의 화상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의 길이보다 큰 원주길이의 마찰체를 갖고, 열전사 공정에 대응하게 회전하는 마찰반송드럼;
    공급되는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을 향해 안내하는 기록매체 안내기구;
    상기 기록매체의 적어도 일부가 마찰반송드럼과 밀착되게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과 함께 회전시키는 1개 이상의 반송보조부재;
    상기 기록매체의 소정위치 통과를 검출하는 검출기; 및
    상기 검출기의 출력에 따라 열헤드를 발열시키는 출력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헤드와 마찰반송드럼 사이를 통과하는 리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열헤드는 리본을 가열하며 리본으로부터 색재를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들이 마찰반송드럼상의 4군데 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들이 마찰반송드럼상의 4군데 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들이 마찰반송드럼상의 4군데 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7.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가 열헤드 부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가 열헤드 부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9.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검출기의 출력 뒤, 상기 출력제어수단이 검출기로부터 열헤드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시간의 경과 후 열헤드를 발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검출기의 출력 뒤, 상기 출력제어수단이 검출기로부터 열헤드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시간의 경과 후 열헤드를 발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검출기의 출력 뒤, 상기 출력제어수단이 검출기로부터 열헤드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는 시간의 경과 후 열헤드를 발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제어수단은 기록매체의 종류와 크기 및 리본의 텐션의 가감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기록매체의 미끄러짐을 예측하고, 이 미끄러짐을 기초로 열헤드의 발열타이밍을 정밀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제어수단이 리본의 배출량에 연동하는 엔코더의 펄스주기를 기초로 리본의 텐션의 가감을 추정하고, 리본의 텐션 가감에 따라 미끄러짐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제어수단이 미리 기억된 데이타테이블을 참조하여 미끄러짐의 예측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15. 제1항, 제2항, 제4항,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가 열전사 전용용지, 보통지, 라벨용지, 투명필름, 감열기록용지 및 감열 컬러기록용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가 열전사 전용용지, 보통지, 라벨용지, 투명필름, 감열기록용지 및 감열 컬러기록용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가 열전사 전용용지, 보통지, 라벨용지, 투명필름, 감열기록용지 및 감열 컬러기록용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가 열전사 전용용지, 보통지, 라벨용지, 투명필름, 감열기록용지 및 감열 컬러기록용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가 판형이나 나선형의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2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가 판형이나 나선형의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2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가 판형이나 나선형의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2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가 판형이나 나선형의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가 판형이나 나선형의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가 판형이나 나선형의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25. 제2항, 제4항,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가 기록매체의 이동을 마찰반송드럼의 회전방향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2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가 기록매체의 이동을 마찰반송드럼의 회전방향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2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가 기록매체의 이동을 마찰반송드럼의 회전방향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2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가 기록매체의 이동을 마찰반송드럼의 회전방향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2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가 기록매체의 이동을 마찰반송드럼의 회전방향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3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가 기록매체의 이동을 마찰반송드럼의 회전방향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3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가 기록매체의 이동을 마찰반송드럼의 회전방향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32. 제2항, 제4항,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가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는 압력을 기록매체의 종류에 맞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3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가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는 압력을 기록매체의 종류에 맞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3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가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는 압력을 기록매체의 종류에 맞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3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가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는 압력을 기록매체의 종류에 맞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3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가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는 압력을 기록매체의 종류에 맞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3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가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는 압력을 기록매체의 종류에 맞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3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가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는 압력을 기록매체의 종류에 맞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3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가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는 압력을 기록매체의 종류에 맞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40. 제2항, 제4항,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는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는 압력을 기록매체의 종류에 맞게 설정하고,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기 위한 공통의 임의의 압력을 복수의 반송보조부재에 설정하는 링크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링크기구는,
    내주면에 복수의 캠면이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환형 부재;
    복수의 반송보조부재를 마찰반송드럼에 누르는 바이어스력을 각각 발생시키는 복수의 탄성체; 및
    상기 환형 부재의 복수의 캠면을 따라 환형부재의 직경방향으로 각각 움직이며, 각각의 탄성체를 신축시켜 바이어스력을 다단으로 설정하는 복수의 캠폴로워;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마찰반송드럼의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반송보조부재를 마찰반송드럼에 대해 각각 누르기 위한 바이어스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
    상기 복수의 반송보조부재의 부근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탄성체를 신축시키는 복수의 레버; 및
    상기 레버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4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는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는 압력을 기록매체의 종류에 맞게 설정하고,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기 위한 공통의 임의의 압력을 복수의 반송보조부재에 설정하는 링크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링크기구는,
    내주면에 복수의 캠면이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환형 부재;
    복수의 반송보조부재를 마찰반송드럼에 누르는 바이어스력을 각각 발생시키는 복수의 탄성체; 및
    상기 환형 부재의 복수의 캠면을 따라 환형부재의 직경방향으로 각각 움직이며, 각각의 탄성체를 신축시켜 바이어스력을 다단으로 설정하는 복수의 캠폴로워;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마찰반송드럼의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반송보조부재를 마찰반송드럼에 대해 각각 누르기 위한 바이어스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
    상기 복수의 반송보조부재의 부근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탄성체를 신축시키는 복수의 레버; 및
    상기 레버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4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는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는 압력을 기록매체의 종류에 맞게 설정하고,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기 위한 공통의 임의의 압력을 복수의 반송보조부재에 설정하는 링크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링크기구는,
    내주면에 복수의 캠면이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환형 부재;
    복수의 반송보조부재를 마찰반송드럼에 누르는 바이어스력을 각각 발생시키는 복수의 탄성체; 및
    상기 환형 부재의 복수의 캠면을 따라 환형부재의 직경방향으로 각각 움직이며, 각각의 탄성체를 신축시켜 바이어스력을 다단으로 설정하는 복수의 캠폴로워;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마찰반송드럼의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반송보조부재를 마찰반송드럼에 대해 각각 누르기 위한 바이어스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
    상기 복수의 반송보조부재의 부근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탄성체를 신축시키는 복수의 레버; 및
    상기 레버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4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는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는 압력을 기록매체의 종류에 맞게 설정하고,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기 위한 공통의 임의의 압력을 복수의 반송보조부재에 설정하는 링크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링크기구는,
    내주면에 복수의 캠면이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환형 부재;
    복수의 반송보조부재를 마찰반송드럼에 누르는 바이어스력을 각각 발생시키는 복수의 탄성체; 및
    상기 환형 부재의 복수의 캠면을 따라 환형부재의 직경방향으로 각각 움직이며, 각각의 탄성체를 신축시켜 바이어스력을 다단으로 설정하는 복수의 캠폴로워;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마찰반송드럼의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반송보조부재를 마찰반송드럼에 대해 각각 누르기 위한 바이어스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
    상기 복수의 반송보조부재의 부근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탄성체를 신축시키는 복수의 레버; 및
    상기 레버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4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는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는 압력을 기록매체의 종류에 맞게 설정하고,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기 위한 공통의 임의의 압력을 복수의 반송보조부재에 설정하는 링크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링크기구는,
    내주면에 복수의 캠면이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환형 부재;
    복수의 반송보조부재를 마찰반송드럼에 누르는 바이어스력을 각각 발생시키는 복수의 탄성체; 및
    상기 환형 부재의 복수의 캠면을 따라 환형부재의 직경방향으로 각각 움직이며, 각각의 탄성체를 신축시켜 바이어스력을 다단으로 설정하는 복수의 캠폴로워;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마찰반송드럼의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반송보조부재를 마찰반송드럼에 대해 각각 누르기 위한 바이어스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
    상기 복수의 반송보조부재의 부근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탄성체를 신축시키는 복수의 레버; 및
    상기 레버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4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는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는 압력을 기록매체의 종류에 맞게 설정하고,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기 위한 공통의 임의의 압력을 복수의 반송보조부재에 설정하는 링크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링크기구는,
    내주면에 복수의 캠면이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환형 부재;
    복수의 반송보조부재를 마찰반송드럼에 누르는 바이어스력을 각각 발생시키는 복수의 탄성체; 및
    상기 환형 부재의 복수의 캠면을 따라 환형부재의 직경방향으로 각각 움직이며, 각각의 탄성체를 신축시켜 바이어스력을 다단으로 설정하는 복수의 캠폴로워;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마찰반송드럼의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반송보조부재를 마찰반송드럼에 대해 각각 누르기 위한 바이어스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
    상기 복수의 반송보조부재의 부근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탄성체를 신축시키는 복수의 레버; 및
    상기 레버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4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는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는 압력을 기록매체의 종류에 맞게 설정하고,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기 위한 공통의 임의의 압력을 복수의 반송보조부재에 설정하는 링크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링크기구는,
    내주면에 복수의 캠면이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환형 부재;
    복수의 반송보조부재를 마찰반송드럼에 누르는 바이어스력을 각각 발생시키는 복수의 탄성체; 및
    상기 환형 부재의 복수의 캠면을 따라 환형부재의 직경방향으로 각각 움직이며, 각각의 탄성체를 신축시켜 바이어스력을 다단으로 설정하는 복수의 캠폴로워;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마찰반송드럼의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반송보조부재를 마찰반송드럼에 대해 각각 누르기 위한 바이어스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
    상기 복수의 반송보조부재의 부근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탄성체를 신축시키는 복수의 레버; 및
    상기 레버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4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보조부재는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는 압력을 기록매체의 종류에 맞게 설정하고, 기록매체를 마찰반송드럼에 밀착시키기 위한 공통의 임의의 압력을 복수의 반송보조부재에 설정하는 링크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링크기구는,
    내주면에 복수의 캠면이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환형 부재;
    복수의 반송보조부재를 마찰반송드럼에 누르는 바이어스력을 각각 발생시키는 복수의 탄성체; 및
    상기 환형 부재의 복수의 캠면을 따라 환형부재의 직경방향으로 각각 움직이며, 각각의 탄성체를 신축시켜 바이어스력을 다단으로 설정하는 복수의 캠폴로워;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마찰반송드럼의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반송보조부재를 마찰반송드럼에 대해 각각 누르기 위한 바이어스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
    상기 복수의 반송보조부재의 부근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탄성체를 신축시키는 복수의 레버; 및
    상기 레버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기록장치.
KR1020047016408A 2004-10-14 2003-01-31 화상기록장치 KR20050105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16408A KR20050105928A (ko) 2004-10-14 2003-01-31 화상기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16408A KR20050105928A (ko) 2004-10-14 2003-01-31 화상기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928A true KR20050105928A (ko) 2005-11-08

Family

ID=37283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408A KR20050105928A (ko) 2004-10-14 2003-01-31 화상기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59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97123A (ja) 記録紙カール矯正機構、画像形成装置、及び記録紙カール矯正方法
US5172989A (en) Thermal transfer color printer with tensioning roller
JPH10138590A (ja)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入出力装置
EP1588856B1 (en) Image recorder
JP3404699B2 (ja) 画像記録装置
KR20050105928A (ko) 화상기록장치
JP4639025B2 (ja) 画像記録装置
JP2728194B2 (ja) 熱転写プリント方法
US20050063761A1 (en) Image forming device
JPH09193428A (ja) プリンタ
WO2022049749A1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4824188B2 (ja) 製版印刷装置
KR0147574B1 (ko) 열전사 프린터
JPH1034987A (ja) 熱転写記録装置及び熱転写記録方法
KR100636139B1 (ko) 용지이송유닛 및 이를 채용한 감열방식 화상형성장치
JP3993053B2 (ja) 熱転写プリンタ
JPH06218968A (ja) 画像記録装置
JPH0525891Y2 (ko)
JPH0485050A (ja) 画像形成装置
JPH03128267A (ja) シート送り装置及び前記シート送り装置を適用した記録装置
JPH11311914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S58185275A (ja) 感熱転写記録方法及びその装置
JPH0353962A (ja) 記録装置
JP2000351469A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3189174A (ja) 熱転写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