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2571A - 산삼세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삼세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2571A
KR20050102571A KR1020040027988A KR20040027988A KR20050102571A KR 20050102571 A KR20050102571 A KR 20050102571A KR 1020040027988 A KR1020040027988 A KR 1020040027988A KR 20040027988 A KR20040027988 A KR 20040027988A KR 20050102571 A KR20050102571 A KR 20050102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ld ginseng
callus
cells
acid
precur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1903B1 (ko
Inventor
변상요
장문식
유병삼
이승호
Original Assignee
변상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상요 filed Critical 변상요
Priority to KR1020040027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1903B1/ko
Publication of KR20050102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9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8Other accessories

Landscapes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효과, 항염효과 및 미백효과가 향상된 산삼세포의 제조방법, 전기 방법으로 제조된 산삼세포 및 전기 산삼세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산삼세포의 제조방법은 산삼을 암조건하에 캘러스 유도용 고체배지에 치상하여, 캘러스(callus)를 유도하는 단계; 유도된 캘러스를 캘러스 현탁배양용 액체배지에 넣고, 전기 액체배지의 총당함량이 25%가 될 때까지 진탕배양하여, 단일세포의 형태로 캘러스를 배양하는 단계; 전기 배양된 캘러스의 배지에 일리시터(elicitor)와 사포닌의 전구체를 첨가하는 단계; 및, 전기 일리시터와 사포닌의 전구체가 첨가된 배지의 당이 모두 소모될 때까지 캘러스를 진탕배양하여, 산삼세포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산삼세포의 제조방법을 이용할 경우, 항산화효과, 항염효과 및 미백효과가 우수한 산삼세포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화장품을 비롯한 각종 산삼 제품의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산삼세포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eparing Wild Ginseng Cell}
본 발명은 산삼세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항산화효과, 항염효과 및 미백효과가 향상된 산삼세포의 제조방법, 전기 방법으로 제조된 산삼세포 및 전기 산삼세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산삼(Panax ginseng C.A. Meyer)은 두릅나무 오가피과에 속하는 반음지성(半陰地性) 다년생(多年生) 초본식물(草本植物)로서, 일정한세월이 지나면 새싹이 나올 때 꽃대가 잎과 줄기와 함께 나오는 현화식물(顯花植物)이며 피자식물(被子植物)로 분류된다. 산삼은 내한성(耐寒性)이 강하고, 몸에 상처를 받거나 생장 환경이 열악해지면 충분한 생장 조건 이 갖추어질 때까지 줄기를 내지 않고 휴면(休眠)하는 독특한 식물로서 성장 속도가 느리고 번식력이 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산삼은 파종 기원에 따라 천연산삼과 심산에서 야생적으로 재배되는 산양삼(山養蔘)으로 분류되는데, 산양삼은 장뇌삼이라고도 하며, 크게 세가지 종류로 구별될 수 있다. 즉, 천연산삼의 종자를 산중에 파종하여 가꾸는 것과 천연산삼의 유근(幼根)을 심산 중에서 채취하여 적당한 위치의 산림 중에 재이식하여 가꾸는 것과 재배인삼의 종자를 산림중에 파종하여 가꾸는 것 등으로 구별될 수 있는데, 현재 유통되는 대부분의 산양삼은 재배인삼의 종자를 산림중에 파종하여 재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극동지방에서는 고래로부터 약용으로 산삼을 사용하여 왔으며, 급취장, 상한론, 명의별록, 신농본초경, 신농본초경집주, 경약전서, 방약합편, 동의보감 등의 많은 의서에 산삼을 약재로서 사용하였음이 기록되어 있는데, 전기 문헌에 의하면, 산삼은 기를 보충하고, 혈을 이롭게 하며, 음을 돕고, 진액을 만들며, 오장을 돕고, 정신을 맑게 해주며, 혼백을 안정 시켜주고, 경계를 멈추게 해주며, 사기를 제거해 주는 동시에 눈을 밝게 하고 심을 통하게 만들어 준다고 기록되어 있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산삼은 당뇨병 개선, 위장병과 간질환 회복, 혈압 및 혈행, 항암효과, 부인병 개선, 항스트레스 효과, 정력증진, 신경 세포 촉진, 피로방지 및 회복, 심장강화, 알레르기성 체질개선, 노화 방지, 갱년기 장애의 해소 등의 효과를 나타냄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산삼은 산에서 자연적으로 자생하였으나, 자생하는 개체수가 적고, 자생하는 개체를 과도하게 채취함으로 인하여, 야생삼의 공급이 부족하게 됨에 따라, 근래에 와서는 유전공학적인 기술을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산삼을 재배하려는 노력이 진행되어 왔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제 318091호에는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산삼 부정근(세근)의 대량생산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 제 353636호에는 조직 배양에 의한 인삼, 장뇌삼, 산삼 부정근의 대량 증식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제 392513호에는 조직 배양에 의한 인삼, 장뇌삼, 산삼 부정근의 사포닌함량 개선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1-62245호에는 캘러스(callus) 유래의 단세포배양에 의한 산삼의 기관 및 체세포배 분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1-62240호에는 초기단계의 체세포배성 세포로부터 산삼 부정근의 대량 생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99-61176호에는 액체배양시스템을 이용한 산삼의 조직배양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2-52673호에는 산삼 해장국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2-17744호에는 인삼 또는 산삼의 성분이 함유된 버섯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1-39685호에는 조직배양한 산삼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1-35591호에는 산삼과 장뇌산삼을 이용한 피부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99-13629호에는 산삼성분을 함유한 무우의 재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산삼을 대량으로 제조하는 방법은 대부분 캘러스(callus)를 이용하여 생물학적 배양기에서 조직배양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으로 조직배양되어 제조된 배양근은 자연상태에서 얻어진 산삼보다는 효과면에서 상당히 저조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배양기간이 짧아, 산삼의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이 축적되지 못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예측되어, 산삼의 유효성분의 함량을 증진시켜서, 산삼의 효과를 향상시키려는 연구가 계속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산삼의 효과를 향상시키거나 또는 산삼의 유효성분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연구는 별다른 성과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산삼의 유효성분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개발하여야 할 필요성이 끊임없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산삼의 유효성분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산삼을 조직배양할 때, 배양액의 총당함량이 75% 이상 소모되는 시점에서, 배양액에 일리시터(elicitor)와 사포닌의 전구체를 첨가할 경우, 항산화 효과, 항염효과 및 미백효과가 향상된 산삼세포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효과가 향상된 산삼세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방법으로 제조되어, 항산화 효과, 항염효과 및 미백효과가 향상된 산삼세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 산삼세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산삼세포의 제조방법은 산삼(Panax ginseng C.A. Meyer)을 암조건하에 캘러스 유도용 고체배지에 치상하여, 캘러스(callus)를 유도하는 단계; 유도된 캘러스를 캘러스 현탁배양용 액체배지에 넣고, 전기 액체배지의 총당함량이 25%가 될 때까지 진탕배양하여, 단일세포의 형태로 캘러스를 배양하는 단계; 전기 배양된 캘러스의 배지에 일리시터(elicitor)와 사포닌의 전구체를 동시에 첨가하는 단계; 및, 전기 일리시터와 사포닌의 전구체가 첨가된 배지의 당이 모두 소모될 때까지 캘러스를 진탕배양하여, 산삼세포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캘러스의 현탁배양용 액체배지가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탄소원과 식물생장 조절제를 포함하는 MS 배지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일리시터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자스모닌산(jasmonic acid),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키토산(chitosan), 페룰린산(ferulic acid), 카페인산(caffeic acid)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일리시터의 첨가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50 내지 400μM의 농도로 배지에 첨가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포닌의 전구체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피루브산, 벤조산, 메발로닌산 락톤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사포닌의 전구체의 첨가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50 내지 400μM의 농도로 배지에 첨가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산삼조직을 이용하여, 캘러스를 형성하고, 형성된 캘러스를 분화시켜서 산삼배양근을 형성할 경우, 산삼의 효과가 정상적으로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는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수행하던 중, 자연산의 산삼은 환경적인 스트레스에 의하여, 다양한 이차 대사산물을 생산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일리시터(elicitor)를 처리하여, 이차 대사산물의 생산량을 촉진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일리시터란 일리시테이션(elicitation)을 유발시키는 물질을 지칭하는데, 일리시테이션이란 식물세포가 여러가지 종류의 스트레스를 받을 때, 이에 대응하는 이차 대사산물의 생산량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가장 대표적인 현상으로는 병원체(pathogen)의 감염에 의하여 방어물질이 생산되는 현상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이차 대사산물의 생산량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이차 대사산물의 전구체를 배지에 처리하였다.
그러나, 이처럼 일리시터와 이차 대사산물의 전구체를 처리하여, 산삼 배양근을 제조할 경우에도, 제조된 산삼 배양근의 효과는 특별히 증가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일리시터와 전구체의 처리시간을 달리하여 처리하고, 일리시터와 전구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캘러스를 배양근으로 유도시키지 않고, 현탁배양하여 산삼세포의 형태로 수득하였는데. 이때, 일리시터와 전구체의 처리시간은 액체배지에 함유된 총당함량의 소모시간을 기준으로하여 측정하였다.
이처럼 일리시터와 전구체의 처리시간을 달리하여 제조된 산삼세포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일리시터와 전구체를 총당함량이 75%가 소모된 이후에 처리하여 제조된 산삼세포의 항산화효과, 항염효과 및 미백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는 바, 이처럼 제조된 산삼세포는 최소한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피부개선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시 전기 산삼세포의 추출물을 사용함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피부개선용 화장품은 전기 산삼세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장료를 함유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수용성 스킨제제화를 위하여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솔비톨, 폴리에틸렌글리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잔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로커스트빈검, 알란토인, 카라기난 등을 첨가할 수 있으며; 점도와 경도조절제로 밀납, 파라핀 왁스, 스테아릴알콜, 카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칸데릴라 왁스(candelilla wax) 및 칼슘스테아레이트,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 아연스테아레이트, 위치하젤(witchhazel)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자외선 흡수제로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안료로는 이산화티탄, 미립자 이산화티탄, 카올린, 나이론 파우다, 탈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체질 안료와 황색산화철, 흑색산화철, 적색산화철, 울트라마린,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등의 착색안료를 사용할 수 있고; 보습제로 1,3-부틸렌글리콜, 농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등과 키틴, 키토산, 히아론산, 하이알루로닌산, 젖산, 글리콜산 등의 천연보습 물질들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방부제로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류,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등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한 성분들을 제품특성에 따라 1종 또는 2종이상 혼용 배합할 수도 있다: 이때, 산삼세포의 추출물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열수 추출물, 유기용매 추출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C1-5의 저급알콜을 사용하여 추출된 유기용매 추출물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개선용 화장품은 메이컵 화장료의 제형, 크림, 로션, 스킨, 아스트리젠트, 화장수, 에센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10 내지 30%(v/v)의 화장료 및 70 내지 90%(v/v)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수용성 화장품의 제형으로 제조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개선용 화장품은 산삼세포의 항산화효과, 항염효과 및 미백효과를 이용하여, 피부의 산화를 방지하여 노화를 막기 위한 효과를 나타내고, 손상된 피부의 염증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미백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기 산삼세포의 추출물은 다양한 식품첨가물과 혼합하여 항산화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산삼세포의 추출물은 당류(예,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당알콜 등), 향미제(예,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 영양제, 비타민, 식용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예,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알긴산,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등의 식품첨가물과 혼합하여 항산화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식품의 형태는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선식, 면류, 과자류, 음료류, 육류, 생선류, 나물류, 찌게류 또는 밥류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식품의 제조시 첨가하여 제조될 수도 있고, 전기 항산화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에 첨가되는 산삼세포의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산삼세포의 제조방법을 이용할 경우, 항산화효과, 항염효과 및 미백효과가 우수한 산삼세포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화장품을 비롯한 각종 산삼 제품의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산삼세포의 제조
실시예 1-1: 산삼으로부터 캘러스 유도 및 계대 배양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산삼으로부터 캘러스를 유도하였다(참조: 유병삼 외 2인, 산삼과 재배인삼의 세포배양 및 Ginsenoside 생성 특성, 한국생물공학회지, 18(2):133-139,2003). 즉, 캘러스 유도용 MS고체배지(sucrose 3%, agar 0.7%, 2,4-D 5ppm, kinetin 0.2ppm, pH 5.8)에 살균된 시료를 암조건하에 무균적으로 치상하여 캘러스를 유도하였다. 유도된 캘러스는 미분화 세포 덩어리로서, 전기 캘러스를 단일세포 형태로 배양하기 위하여 캘러스 현탁배양용 MS액체배지(sucrose 3%, 2,4-D 5ppm, kinetin 0.2ppm, pH 5.8)에서 진탕배양하였으며, 계대배양은 동일한 액체배지에서 7일 간격으로 수행하였다.
실시예 1-2: 일리시터의 투여
전기 실시예 1-1에서 계대배양된 단일세포 형태의 캘러스(이하, '현탁세포'라 약칭함)에 일리시터를 투여하며 현탁배양하였다.
전기 실시예 1-1에서 현탁세포를 캘러스 현탁배양용 MS액체배지에서 진탕배양하여, 단일세포의 형태로 캘러스를 현탁배양한 후, 각 배양시기별로 일리시터를 배지에 처리한 후, 배양하여 산삼세포를 수득하였다: 이때, 배양시기는 크게 3 시기로 구별되는데, 제 1시기는 배양을 시작하고 세포가 새로운 배지에 적응하는 발육유도기(lag phase)로서, 배지 총당함량 기준으로 초기의 75%까지 감소하는 시기이고, 제 2시기는 세포생장이 왕성한 시기(exponential growth phase)로서, 배지 총당함량 기준으로 75%에서 완전히 당이 소모되는 시기이며, 제 3시기는 세포가 유지되는 정지기(stationary phase)로서, 당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시기이다. 또한, 일리시터로는 자스모닌산, 효모추출물, 키토산, 페룰린산 또는 카페인산을 사용하였다: 이때, 효모추출물은 시판되는 효모추출물의 가공물을 사용하였다. 즉, 시판되는 효모추출물 200g을 80%(v/v) 에탄올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6℃ 에서 4 일 동안 침전시켜서,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이어, 전기 침전물을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투석한 후, 침전물을 제거하고, 다시 40%(v/v) 에탄올 수용액에 용해시킨 후, 침전물을 제거하고, 에탄올 성분을 제거하여 제조된 효모추출물을 일리시터로서 사용하고, 전기 일리시터를 300μM의 농도로 액체배지에 첨가하였다.
실시예 1-3: 일리시터가 처리된 산삼세포의 효과
전기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각 산삼세포를 7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각 추출물을 수득하고, 이들의 항산화효과, 항염효과 및 미백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일리시터를 처리하지 않고, 제조한 산삼세포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3-1: 항산화효과
항산화 효과는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법을 이용한 활성 산소(free radical)의 발생저해율로 측정하였다.
즉, 0.15mM DPPH 메탄올 용액 0.5ml에 전기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각 산삼세포의 추출물 0.1ml를 혼합하여 1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기준실험군으로는 산삼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시료의 흡광도를 사용하였고, 항산화효과는 기준실험군의 흡광도에 대한 실험군의 흡광도의 백분율로 계산하였다(참조: 표 1).
각 일리시터의 처리시기에 따른 산삼세포의 항산화효과의 변화(%)
일리시터 제 1시기 제 2시기 제 3시기
대조군 22 33 28
자스모닌산 38 84 46
효모추출물 35 81 44
키토산 39 86 42
페룰린산 40 84 43
카페인산 38 83 46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배양시기에 따라, 항산화효과면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일리시터의 종류에 따라서는 항산화효과면에서는 별다른 차이가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3-2: 항염효과
항염효과는 쥐를 이용하는 귀 부종(ear edema) 실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즉, 쥐의 귀를 시료 적용 전에 에탄올로 깨끗이 세척하고, 전기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각 산삼세포의 추출물을 쥐의 양쪽 귀에 20㎕/ear 씩 발라주었다. 1시간 경과 후 좌측 귀에는 에탄올(기준실험군), 우측 귀에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2mg/ear를 발라주었다(실험군). 1시간 경과 후, 각 귀의 두께를 측정하고, 실험군에서 귀의 두께 증가량(아라키돈산 처리 귀의 두께 - 비 처리 귀의 두께, A)과 기준실험군에서 귀의 두께 증가량(에탄올 처리 귀의 두께 - 비 처리 귀의 두께, B)을 측정한 다음, 하기의 식에 의하여, 항염효과를 계산하였다(참조: 표 2).
각 일리시터의 처리시기에 따른 산삼세포의 항염효과의 변화(%)
일리시터 제 1시기 제 2시기 제 3시기
대조군 18 23 19
자스모닌산 22 30 23
효모추출물 21 31 24
키토산 22 34 23
페룰린산 23 32 22
카페인산 22 31 20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배양시기에 따라, 항염효과면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일리시터의 종류에 따라서는 항염효과면에서는 별다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3-3: 미백효과
미백효과는 멜라닌 색소의 합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산삼세포의 추출물이 억제하는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분석하였다.
즉, 티로신 10mM과 전기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각 산삼세포의 추출물을 0.1mM 인산완충용액(pH 7.8)에 용해시킨 후, 버섯 티로시나제를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얼음에서 5분간 방치하여 반응을 중단시킨 다음,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기준실험군으로는 산삼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시료의 흡광도(A)를 사용하였고, 실험군으로는 산삼 추출물을 첨가한 시료의 흡광도(B)를 사용하였으며, 하기의 식에 의하여, 미백효과를 계산하였다(참조: 표 3).
각 일리시터의 처리시기에 따른 산삼세포의 미백효과의 변화(%)
일리시터 제 1시기 제 2시기 제 3시기
대조군 14 23 3
자스모닌산 28 64 4
효모추출물 27 66 5
키토산 30 67 4
페룰린산 28 64 3
카페인산 29 63 3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배양시기에 따라, 미백효과면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일리시터의 종류에 따라서는 미백효과면에서는 별다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4: 전구체의 투여
전기 실시예 1-1에서 계대배양된 현탁세포의 배지에 사포닌의 전구체를 투여하며 배양하여, 산삼세포를 수득하였다.
전기 실시예 1-1에서 계대배양된 현탁세포를 캘러스 현탁배양용 MS액체배지에서 배양하면서, 각 배양시기별로 사포닌의 전구체를 배지에 처리한 후, 배양하여 산삼세포를 수득하였다: 이때, 배양시기는 실시예 1-2에서 설정된 것과 동일하고, 사포닌 전구체로는 피루브산, 벤조산 또는 메발로닌산 락톤을 사용하였으며, 전구체를 300μM의 농도로 액체배지에 첨가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는 전구체를 처리하지 않고, 제조한 산삼세포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5: 전구체가 처리된 산삼세포의 효과
전기 실시예 1-4에서 수득한 각 산삼세포를 7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각 추출물을 수득하고, 이들의 항산화효과, 항염효과 및 미백효과를 실시예 1-3-1 내지 1-3-3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참조: 표 4, 표 5 및 표 6).
각 전구체의 처리시기에 따른 산삼세포의 항산화효과의 변화(%)
전구체 제 1시기 제 2시기 제 3시기
대조군 22 33 28
피루브산 27 43 30
벤조산 25 45 29
메발로닌산 락톤 24 44 31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배양시기에 따라, 항산화효과면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전구체의 종류에 따라서는 항산화효과면에서는 별다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각 전구체의 처리시기에 따른 산삼세포의 항염효과의 변화(%)
전구체 제 1시기 제 2시기 제 3시기
대조군 18 23 19
피루브산 19 27 19
벤조산 18 29 20
메발로닌산 락톤 20 28 19
상기 표 5에서 보듯이, 배양시기에 따라, 항염효과면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전구체의 종류에 따라서는 항염효과면에서는 별다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각 전구체의 처리시기에 따른 산삼세포의 미백효과의 변화(%)
전구체 제 1시기 제 2시기 제 3시기
대조군 14 23 3
피루브산 19 38 3
벤조산 18 39 4
메발로닌산 락톤 19 37 3
상기 표 6에서 보듯이, 배양시기에 따라, 미백효과면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전구체의 종류에 따라서는 미백효과면에서는 별다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6: 일리시터 및 전구체의 투여
전기 실시예 1-1에서 계대배양된 현탁세포의 배지에 일리시터 및 사포닌의 전구체를 투여하며 현탁배양하여, 산삼세포를 수득하였다.
전기 실시예 1-1에서 계대배양된 현탁세포를 캘러스 현탁배양용 MS액체배지에서 진탕배양하면서, 각 배양시기별로 일리시터 및 사포닌의 전구체를 배지에 처리한 후, 배양하여 산삼세포를 수득하였다: 이때, 배양시기는 실시예 1-2에서 설정된 것과 동일하고, 일리시터의 종류 및 첨가량은 실시예 1-2와 동일하고, 사포닌 전구체의 종류 및 첨가량은 실시예 1-4와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또한, 대조군으로는 일리시터와 전구체를 처리하지 않고, 제조한 산삼세포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7: 일리시터와 전구체가 처리된 산삼세포의 효과
전기 실시예 1-6에서 수득한 각 산삼세포를 7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각 추출물을 수득하고, 이들의 항산화효과, 항염효과 및 미백효과를 실시예 1-3-1 내지 1-3-3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참조: 표 7, 표 8 및 표 9).
각 일리시터 및 전구체의 처리시기에 따른 산삼세포의 항산화효과의 변화(%)
일리시터 전구체 제 1시기 제 2시기 제 3시기
대조군 대조군 22 33 28
자스모닌산 피루브산 58 91 52
효모추출물 피루브산 57 90 56
키토산 피루브산 61 94 51
페룰린산 피루브산 63 86 50
카페인산 피루브산 58 87 57
자스모닌산 벤조산 60 93 56
효모추출물 벤조산 59 94 55
키토산 벤조산 54 96 57
페룰린산 벤조산 57 92 53
카페인산 벤조산 61 89 60
자스모닌산 메빌로닌산 락톤 59 88 61
효모추출물 메빌로닌산 락톤 58 84 58
키토산 메빌로닌산 락톤 56 92 57
페룰린산 메빌로닌산 락톤 62 91 54
카페인산 메빌로닌산 락톤 57 87 53
상기 표 7에서 보듯이, 배양시기에 따라, 항산화효과면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일리시터 및 전구체의 종류에 따라서는 항산화효과면에서는 별다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기 표 1 및 표 4의 결과와 비교하면, 일리시터와 전구체를 각각 첨가할 경우보다 동시에 첨가할 경우에, 항산화효과면에서 상승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각 일리시터 및 전구체의 처리시기에 따른 산삼세포의 항염효과의 변화(%)
일리시터 전구체 제 1시기 제 2시기 제 3시기
대조군 대조군 18 23 19
자스모닌산 피루브산 25 43 25
효모추출물 피루브산 26 45 26
키토산 피루브산 27 48 24
페룰린산 피루브산 25 46 24
카페인산 피루브산 24 43 23
자스모닌산 벤조산 25 44 25
효모추출물 벤조산 23 42 26
키토산 벤조산 24 45 27
페룰린산 벤조산 26 48 24
카페인산 벤조산 22 47 26
자스모닌산 메빌로닌산 락톤 22 46 22
효모추출물 메빌로닌산 락톤 23 45 21
키토산 메빌로닌산 락톤 24 44 23
페룰린산 메빌로닌산 락톤 22 45 25
카페인산 메빌로닌산 락톤 25 46 24
상기 표 8에서 보듯이, 배양시기에 따라, 항염효과면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일리시터 및 전구체의 종류에 따라서는 항염효과면에서는 별다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기 표 2 및 표 5의 결과와 비교하면, 일리시터와 전구체를 각각 첨가할 경우보다 동시에 첨가할 경우에, 항염효과면에서 상승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각 일리시터 및 전구체의 처리시기에 따른 산삼세포의 미백효과의 변화(%)
일리시터 전구체 제 1시기 제 2시기 제 3시기
대조군 대조군 14 23 3
자스모닌산 피루브산 32 87 11
효모추출물 피루브산 33 89 12
키토산 피루브산 34 92 13
페룰린산 피루브산 29 90 11
카페인산 피루브산 30 91 14
자스모닌산 벤조산 35 86 10
효모추출물 벤조산 28 87 9
키토산 벤조산 27 89 10
페룰린산 벤조산 31 82 13
카페인산 벤조산 33 85 12
자스모닌산 메빌로닌산 락톤 28 88 11
효모추출물 메빌로닌산 락톤 30 91 15
키토산 메빌로닌산 락톤 31 93 12
페룰린산 메빌로닌산 락톤 29 90 14
카페인산 메빌로닌산 락톤 31 89 10
상기 표 9에서 보듯이, 배양시기에 따라, 미백효과면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일리시터 및 전구체의 종류에 따라서는 미백효과면에서는 별다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기 표 3 및 표 6의 결과와 비교하면, 일리시터와 전구체를 각각 첨가할 경우보다 동시에 첨가할 경우에, 미백효과면에서 상승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1-2 내지 1-7의 결과를 종합하면, 캘러스를 현탁배양하여 산삼세포를 수득할 때, 세포생장이 왕성한 배지 총당함량 기준으로 75%에서 완전히 당이 소모되는 시기에 일리시터와 전구체를 배지에 첨가하여 배양하면, 항산화효과, 항염효과 및 미백효과가 우수한 산삼세포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산삼세포의 생리활성물질 함량
전기 실시예 1에서 확립된 조건으로 제조된 산삼세포의 효과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성분에 의하여 유도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기 산삼세포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즉, 일리시터인 자스모닌산과 전구체인 피루브산을 각각 또는 함께 제 1시기, 제 2시기 및 제 3시기에 300μM의 농도로 배지에 첨가하고 현탁배양하여 산삼세포를 각각 제조한 다음, 전기 제조된 각각의 산삼세포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페놀유도체 화합물(phenolic compound) 및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일리시터와 전구체를 처리하지 않고 제조된 산삼세포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2-1: 진세노사이드의 함량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은 세포내 함량과 세포외 함량을 각각 측정한 다음, 이의 합으로 측정하였다.
먼저, 세포내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시료를 분비하였다. 건조된 산삼세포 100mg을 수포화 n-부탄올 5mL에 침지하고, 30분동안 초음파 분쇄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이어, 수득한 상등액을 농축한 다음, 메탄올로 정용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세포외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시료를 분비하였다. 배양배지 5mL에 동량의 수포화 n-부탄올을 첨가하여 2회 추출하여 부탄올 층을 수득하고, 수득한 부탄올 층을 농축시킨 다음, 메탄올로 정용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상기 준비된 시료는 HPLC 분석 방법(UV detector: 203nm, Column: C-18(Phenomenex SYNERGI, 독일, 4u, Hydro-RP80A, 4.6 mm x 250mm), 이동상의 조성 : Solvent A(MeCN:H20 = 10:90(v/v)), Solvent B(MeCN:H20 = 80:20(v/v)), gradient 조건: 10-80% MeCN, Column Temperature: 55℃)으로 분석하여 함량을 측정하였다(참조: 표 10).
각 일리시터 및 전구체의 처리시기에 따른 산삼세포의 진세노사이드의 함량변화(mg/g 세포건조중량)
처리군 제 1시기 제 2시기 제 3시기
대조군 1.6 2.5 1.5
일리시터 5.4 12.1 2.5
전구체 1.8 4.3 2.1
일리시터 + 전구체 6.8 17.6 4.7
상기 표 10에서 보듯이,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은 일리시터와 전구체를 제 2시기에 처리하여 제조된 산삼세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일리시터와 전구체를 동시에 첨가하여 제조된 20종의 산삼세포 시료로부터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산삼세포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의 평균 함량은 세포건조중량 1g당 17.2mg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2: 페놀유도체 화합물의 함량
페놀유도체 화합물의 함량은 페놀유도체 화합물을 TMS 유도체화시킨 후 측정하였다.
즉, 산삼세포로부터 추출 및 정제된 페놀성 분획물에 BSA 20㎕를 첨가하고 85℃ 항온조에서 15 분간 반응시켜 TMS 유도체화를 수행하였다. TMS 유도체화된 페놀성 성분들은 GC로 분석(FID Detector, capillary column(30m length x 0.25mm I.D., Altech), injector 온도 260℃, detector 온도 290℃ 및 oven 온도 100-260℃ gradient)하여 함량을 측정하였다(참조: 표 11).
각 일리시터 및 전구체의 처리시기에 따른 산삼세포의 페놀유도체 화합물의 함량변화(mg/g 세포건조중량)
처리군 제 1시기 제 2시기 제 3시기
대조군 3.5 5.7 4.5
일리시터 4.2 7.8 5.8
전구체 3.6 6.1 4.4
일리시터 + 전구체 5.6 11.8 6.7
상기 표 11에서 보듯이, 페놀유도체 화합물의 함량은 일리시터와 전구체를 제 2시기에 처리하여 제조된 산삼세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일리시터와 전구체를 동시에 첨가하여 제조된 20종의 산삼세포 시료로부터 페놀유도체 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산삼세포에 함유된 페놀유도체 화합물의 평균 함량은 세포건조중량 1g당 12.2mg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3: 폴리아세틸렌의 함량
폴리아세틸렌의 함량 역시 TMS유도체화시킨 후, 측정하였다. 산삼세포의 메탄올 추출물 100㎕에 질소가스를 주입하여, 완전히 증기화시킨 후, 20㎕ BSA를 첨가하여 85℃ 에서 15 분 동안 TMS 유도체화를 수행하고, 가장 높은 함량으로 존재하는 파낙시놀(panaxynol)과 파낙시돌(panaxydol)의 함량을 전기 실시예 2-2와 동일한 조건의 GC로 측정(FID Detector, capillary column(30m length x 0.25 mm I.D., Altech), injector 온도 260℃, detector 온도 290℃ 및 oven 온도 100-260℃ gradient)하여, 이들의 합으로 폴리아세틸렌의 함량을 측정하였다(참조: 표 12).
각 일리시터 및 전구체의 처리시기에 따른 산삼세포의 폴리아세틸렌의 함량변화(mg/g 세포건조중량)
처리군 제 1시기 제 2시기 제 3시기
대조군 9.2 25.3 20.2
일리시터 10.3 48.1 23.5
전구체 9.3 28.5 20.9
일리시터 + 전구체 14.1 59.3 29.4
상기 표 12에서 보듯이, 폴리아세틸렌의 함량은 일리시터와 전구체를 제 2시기에 처리하여 제조된 산삼세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일리시터와 전구체를 동시에 첨가하여 제조된 20종의 산삼세포 시료로부터 폴리아세틸렌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산삼세포에 함유된 폴리아세틸렌의 평균 함량은 세포건조중량 1g당 58.8mg임을 알 수 있었고, 파낙시놀(panaxynol)과 파낙시돌(panaxydol)의 평균 함량비는 1.8:1.0(w/w)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4: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의 함량비
건조된 산삼세포 100mg을 수포화 n-부탄올 5mL에 침지하고, 30분동안 초음파 분쇄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이어, 수득한 상등액을 농축한 다음, 메탄올로 추출하여 수득한 산삼세포 추출물 30㎕를 취하여 질소기류하에서 완전히 건조시키고 BF3-MeOH 10㎕와 혼합한 후, 100℃ 물에서 30초간 메틸레이션 (methylation)유도체화 반응을 수행한 것을 시료로서 GC에 적용(FID Detector, EC-WAX capillary column(30m length × 0.32mm I.D.,Alltech), 검출온도 300℃, 주입온도 250℃, 컬럼온도 100-220℃ gradient, 유속은 1.8 mL/min, 분배비 1:20)하여, 시료에 함유된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불포화지방산에 대한 포화지방산의 함량비를 계측하였다. 이때, 포화지방산의 함량으로는 팔미트산(palmitic acid)과 스테아르산(stearic acid)의 함량의 합을 사용하고,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으로는 올레산(oleic acid)과 리놀레산(linoleic acid)의 함량의 합을 사용하였다.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20종의 산삼세포 시료로부터 불포화지방산의 함량과 포화지방산의 함량을 각각 측정한 결과,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의 평균 함량비는 1.0:4.1(w/w)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5: 이소류신의 함량
전기 실시예 2-4에서 수득한 산삼세포 추출물 100㎕에 OPA 유초체화 용액 100㎕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1분간 반응시키고, 아세테이트 완충용액(0.1mM sodium acetate buffer, pH 6.8) 100㎕ 첨가한 것을 시료로 사용하여, HPLC 분석 방법(형광검출기(Exitation λ=360, Emission λ=450), Column: CUROSIL PFP(Phenomenex SYNERGI, 독일, 4u, Hydro-RP80A, 4.6 mm x 250mm), 이동상의 조성 : Solvent AMeOH:THF:0.02M sodium acetate(pH5.9)=20:2.5:77.5(v/v/v), Solvent B(MeOH:THF:0.02M sodium acetate(pH5.9)=80:2.5:17.5(v/v/v)), Column Temperature: 40℃)으로 분석하여 시료에 포함된 이소류신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20종의 서로다른 산삼세포 시료로부터 이소류신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이소류신의 평균 함량은 세포건조중량 1g당 0.28mg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6: 산성 다당체의 함량
건조된 산삼세포 100mg을 메탄올 5mL에 침지하고, 30분동안 초음파 분쇄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수득하였다. 이어, 침전물을 물 5mL에 다시 침지하고, 1시간 동안 초음파 분쇄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전기 수득한 상등액 1mL를 에탄올 4mL와 혼합하고 원심분리하여, 다당체 침전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물 1mL에 재용해시킨 후, 다당체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20종의 서로다른 산삼세포 시료로부터 산성 다당체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산성 다당체의 평균 함량은 세포건조중량 1g당 87㎍임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2-1 내지 2-6의 결과에서 보듯이, 일리시터와 전구체를 제 2시기에 처리하여 제조된 산삼세포는 각종 유효성분을 높은 함량으로 포함하였으므로, 전기 실시예 1의 효과는 증가된 유효성분에 의하여 기인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산삼세포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
실시예 3-1: 산삼세포 추출물의 제조
전기 실시예 1-1에서 계대배양된 현탁세포를 캘러스 현탁배양용 MS액체배지에서 배양하면서, 일리시터인 자스모닌산과 사포닌의 전구체인 피루브산을 제 2시기에 300μM의 농도로 액체배지에 첨가한 후, 배양하여 산삼세포를 수득하였다.
전기 수득한 세포를 분쇄한 후, 70%(v/v) 에탄올에서 37℃에서 3일동안 방치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수득하고, 이를 감압하에 농축하고, 진공건조시켜서, 산삼세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2: 콜드크림의 제조
실시예 3-1에서 수득한 산삼세포 추출물 0.03%(w/w), 유동파라핀 35.5%(w/w), 밀납 4.3%(w/w), 미세결정성 납 5.4%(w/w), 세레신(ceresin) 2.15%(w/w), 바셀린 7.53%(w/w), 백당 지방산 에스테르 2.7%(w/w), 트리라우레이트-4-포스페이트 3.0%(w/w), 소르비탄 모노스페아레이트 0.33%(w/w),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 0.86%(w/w), 초산토코페롤 0.2%(w/w), 1,3-부틸렌글리콜 8.22%(w/w),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3%(w/w),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 0.13%(w/w) 및 적량의 향료와 정제수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콜드크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3: 화장수의 제조
실시예 3-1에서 수득한 산삼세포 추출물 0.005g, 에탄올 15㎖,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g, 1,3-부틸렌글리콜 3㎖, 소르비톨액 5㎖, DL-피롤리돈카르본산 1㎖,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3g, 염산피리독신 0.05g, 적색소 40호 적량 및 적량의 향료와 정제수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4: 화장비누의 제조
실시예 3-1에서 수득한 산삼세포 추출물 2g, 식물성 소지(PALM:PALM Kernel-70:30) 95.7g, 알콕시 0.3g, 향료 1.0g 및 부형제 1.0g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화장비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산삼세포 추출물를 포함하는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의 제조
실시예 3-1에서 수득한 산삼세포 추출물을 통상의 식품 첨가물과 혼합하여 다음과 같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1: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산삼국수의 제조
실시예 3-1에서 수득한 산삼세포 추출물 20g, 소맥분 700mg, 계란 80g 및 물 200g을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고, 통상의 국수 제조방법에 의하여 면대를 제조하여,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산삼국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2: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산삼비스킷의 제조
실시예 3-1에서 수득한 산삼세포 추출물 20g, 소맥분 700mg, 우유 200g 및 계란 80g을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고, 통상의 비스킷 제조방법에 의하여,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산삼비스킷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3: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산삼음료의 제조
실시예 3-1에서 수득한 산삼세포 추출물 20gg, 과일향 10mg, 과일즙 100g, 안식향산 나트륨 10mg 및 물 900ml을 혼합하여,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산삼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4: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산삼잡곡밥의 제조
실시예 3-1에서 수득한 산삼세포 추출물 20g, 검정콩 50g, 수수 50g, 좁쌀 50g 및 백미 300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조리하여,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산삼잡곡밥을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은 항산화효과, 항염효과 및 미백효과가 향상된 산삼세포의 제조방법, 전기 방법으로 제조된 산삼세포 및 전기 산삼세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산삼세포의 제조방법을 이용할 경우, 항산화효과, 항염효과 및 미백효과가 우수한 산삼세포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화장품을 비롯한 각종 산삼 제품의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ⅰ) 산삼(Panax ginseng C.A. Meyer)을 암조건하에 캘러스 유도용 고체배지에 치상하여, 캘러스(callus)를 유도하는 단계;
    (ⅱ) 유도된 캘러스를 캘러스 현탁배양용 액체배지에 넣고, 전기 액체배지의 총당함량이 25%가 될 때까지 진탕배양하여, 단일세포의 형태로 캘러스를 배양하는 단계;
    (ⅲ) 전기 배양된 캘러스의 배지에 일리시터(elicitor)와 사포닌의 전구체를 첨가하는 단계; 및,
    (ⅳ) 전기 일리시터와 사포닌의 전구체가 첨가된 배지의 당이 모두 소모될 때까지 캘러스를 진탕배양하여, 산삼세포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삼세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일리시터는 자스모닌산, 효모추출물, 키토산, 페룰린산 또는 카페인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삼세포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일리시터는 50 내지 400μM의 농도로 배지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삼세포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사포닌의 전구체는 피루브산, 벤조산 또는 메발로닌산 락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삼세포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사포닌의 전구체는 50 내지 400μM의 농도로 배지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삼세포의 제조방법.
  6.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되어, 진세노사이드의 평균 함량은 세포건조중량 1g당 17.2mg이고, 페놀유도체 화합물의 평균 함량은 세포건조중량 1g당 12.2mg이며, 폴리아세틸렌의 평균 함량은 세포건조중량 1g당 58.8mg이고, 파낙시놀(panaxynol)과 파낙시돌(panaxydol)의 평균 함량비는 1.8:1.0(w/w)이며,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의 평균 함량비는 1.0:4.1(w/w)이고, 이소류신의 평균 함량은 세포건조중량 1g당 0.28mg이며, 산성 다당체의 평균 함량은 세포건조중량 1g당 87㎍인, 산삼세포.
  7. 제 6항의 산삼세포를 분쇄한 후, 유기용매를 처리하고, 침전물을 제거한 다음, 상등액을 감압하에서 농축시키고, 건조시킴으로써 제조되는 산삼세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품.
  8. 제 7항에 있어서,
    유기용매는 C1-5의 저급알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개선용 화장품.
  9. 제 7항에 있어서,
    피부의 산화를 방지하여 노화를 막기 위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개선용 화장품.
  10. 제 7항에 있어서,
    손상된 피부의 염증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개선용 화장품.
  11. 제 7항에 있어서,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개선용 화장품.
  12. 제 6항의 산삼세포를 분쇄한 후, 유기용매를 처리하고, 침전물을 제거한 다음, 상등액을 감압하에서 농축시키고, 건조시킴으로써 제조되는 산삼세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
  13. 제 12항에 있어서,
    선식, 면류, 과자류, 음료류, 육류, 생선류, 나물류, 찌게류 또는 밥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
KR1020040027988A 2004-04-22 2004-04-22 산삼세포의 제조방법 KR100601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988A KR100601903B1 (ko) 2004-04-22 2004-04-22 산삼세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988A KR100601903B1 (ko) 2004-04-22 2004-04-22 산삼세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571A true KR20050102571A (ko) 2005-10-26
KR100601903B1 KR100601903B1 (ko) 2006-07-14

Family

ID=37280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988A KR100601903B1 (ko) 2004-04-22 2004-04-22 산삼세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190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8103A1 (en) * 2007-01-17 2008-07-24 Hankook Cosmetics Co., Ltd.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issue cultured panax ginseng c.a. meyer adventitious root itself and a preparing method thereof
WO2009057836A1 (en) * 2007-10-31 2009-05-07 Amorepacific Corporation Use of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s from korean ginseng and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reof for skin whitening
US8247230B2 (en) 2007-09-21 2012-08-21 Unhwa Corporation Plant stem cell line derived from cambium of herbaceous plant with storage root and method for isolating the same
US8329471B2 (en) 2005-10-31 2012-12-11 Unhwa Corporation Isolated population of plant single cells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KR20160081169A (ko) * 2014-12-31 2016-07-08 (주)아모레퍼시픽 파낙시디올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676607B1 (ko) * 2015-12-30 2016-11-16 세원셀론텍(주) 자외선 보호, 항염 및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산삼 캘러스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14982910A (zh) * 2022-06-30 2022-09-02 江苏鑫轮纳米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凝冻状态好的黑豆蛋白精华素营养纤维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883B1 (ko) * 2010-11-24 2012-03-20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세인트존스워트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29471B2 (en) 2005-10-31 2012-12-11 Unhwa Corporation Isolated population of plant single cells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WO2008088103A1 (en) * 2007-01-17 2008-07-24 Hankook Cosmetics Co., Ltd.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issue cultured panax ginseng c.a. meyer adventitious root itself and a preparing method thereof
US8247230B2 (en) 2007-09-21 2012-08-21 Unhwa Corporation Plant stem cell line derived from cambium of herbaceous plant with storage root and method for isolating the same
WO2009057836A1 (en) * 2007-10-31 2009-05-07 Amorepacific Corporation Use of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s from korean ginseng and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reof for skin whitening
US8647610B2 (en) 2007-10-31 2014-02-11 Amorepacific Corporation Use of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s from korean ginseng and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reof for skin whitening
EP2203151A4 (en) * 2007-10-31 2016-04-06 Amorepacific Corp USE OF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S FROM KOREAN GINSENG AND THES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BALANCE CONTAINING THEREOF
KR20160081169A (ko) * 2014-12-31 2016-07-08 (주)아모레퍼시픽 파낙시디올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676607B1 (ko) * 2015-12-30 2016-11-16 세원셀론텍(주) 자외선 보호, 항염 및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산삼 캘러스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14982910A (zh) * 2022-06-30 2022-09-02 江苏鑫轮纳米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凝冻状态好的黑豆蛋白精华素营养纤维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1903B1 (ko) 200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2687B1 (ko)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2207995B1 (ko) 여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항염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20005195A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0601903B1 (ko) 산삼세포의 제조방법
KR101420211B1 (ko) 새싹추출물 및 새순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50382B1 (ko) 결명자, 갈대, 제주조릿대, 지모 및 치자의 혼합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93990B1 (ko) 상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557372B1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2612017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39415B1 (ko) 발효 삼칠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130136753A (ko) 박태기나무 또는 붉은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69A (ko) 당류를 이용한 천연 추출물 제조 방법
KR20220077991A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JP6078348B2 (ja) Cgi−58発現促進剤
KR102249710B1 (ko) 콩 배양조직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N113631227A (zh)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KR20170065956A (ko) 육계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 조성물
KR100899847B1 (ko) 백봉령, 마, 연자, 검실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KR102292114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미세먼지 유발 염증 개선, 및 모공축소용 조성물
KR102326086B1 (ko) 닥나무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보습, 및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KR101967919B1 (ko) 누리장나무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 또는 누리장나무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