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9702A -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 및 이 구조에 의해형성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 및 이 구조에 의해형성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9702A
KR20050099702A KR1020040024875A KR20040024875A KR20050099702A KR 20050099702 A KR20050099702 A KR 20050099702A KR 1020040024875 A KR1020040024875 A KR 1020040024875A KR 20040024875 A KR20040024875 A KR 20040024875A KR 20050099702 A KR20050099702 A KR 20050099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arrier
carrier package
wiring structure
driver
connect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9771B1 (ko
Inventor
김기정
권혜경
강태경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4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771B1/ko
Publication of KR20050099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9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7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6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 E05C17/6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holding sliding wings open by fri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연결선의 굽어지는 부위에서의 간격을 넓게 확보하여 단락이나 노이즈를 최소화하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에 실장되는 드라이버 IC에 연결되는 입출력패턴의 직선부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양쪽 끝부분에 형성되는 다수의 신호단과, 직선부와 신호단을 소정의 경사로 연결하며 각각의 직선부와 연결되는 출발지점 및/또는 각각의 신호단과 연결되는 종료지점이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상에 위치하는 연결선을 포함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 및 이 구조에 의해 형성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Wiring Structure of Tape Carrier Package and Display Device having Tape Carrier Package formed with the structure}
본 발명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라이버 IC와 신호입출력단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선의 굽어지는 부위를 곡률을 갖는 곡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연결선 사이의 간격을 넓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와 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체방전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표시용량과 휘도, 콘트라스트, 시야각 등의 성능이 우수하고, 박형이면서 경량으로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어 그 사용빈도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화상이 구현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이하 "패널"이라 한다)에 형성되는 전극은 구동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드라이버 IC가 구동회로에서 제어되는 신호에 따라 어드레스 전압을 패널의 전극에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드라이버 IC를 이용하여 전압을 인가하는 구조로 널리 사용되는 기술로, 드라이버 IC가 PCB(Printed Circuit Board) 상에 실장된 COB(Chip on Board), FPC(Flexible Printed Circuit)를 구성하는 필름 상에 드라이버 IC가 실장되는 COF(Chip on Film)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소형이면서 가격이 저렴한 TCP(Tape Carrier Package)가 널리 사용되는 추세이다.
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는 패널을 지지하는 새시 베이스 쪽에 배치되어 별도의 압착 플레이트에 의해 압착된 상태로 드라이버 IC를 통해 패널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며, 베이스필름 상에 입출력패턴이 형성되고 드라이버 IC가 인너리드(Inner Lead)를 통해 입출력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양쪽 끝부분에 형성되는 신호입력단 및 신호출력단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며, 상기 드라이버 IC와 신호입력단 및 신호출력단을 각각 연결하는 입출력패턴은 소정의 각도록 굽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도 7은 이러한 종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에 있어서는 드라이버 IC와 연결된 인너리드(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와 연결되는 입출력패턴의 직선부(4)와 신호입력단(2)을 연결하는 연결선(6)이 경사로 형성되며, 연결선(6)의 출발지점 및 종료지점이 모두 동일 직선(8), (9)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연결선(6)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며, 단락(short)이나 노이즈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선의 출발지점 및/또는 종료지점을 곡률을 갖는 곡선상에 위치하게 하여 굽어지는 부위에서의 간격을 넓게 확보하여 단락이나 노이즈를 최소화하며 신뢰성을 향상시킨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가지고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에 실장되는 드라이버 IC에 연결되는 입력패턴 및/또는 출력패턴(이하 "입출력패턴"이라 한다)의 직선부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양쪽 끝부분에 형성되는 다수의 입력신호단 및/또는 출력신호단(이하 "신호단"이라 한다)과, 상기 직선부와 신호단을 소정의 경사로 연결하며 상기 각각의 직선부와 연결되는 출발지점 및/또는 상기 각각의 신호단과 연결되는 종료지점이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상에 위치하는 연결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선의 출발지점은 베이스필름의 모서리쪽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드라이버 IC로부터 멀어지는 곡률을 갖는 곡선상에 위치시켜 형성한다.
상기 연결선의 종료지점은 베이스필름의 모서리쪽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드라이버 IC로 근접하는 곡률을 갖는 곡선상에 위치시켜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한 배선 구조를 갖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포함하여, 이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자치를 비롯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0)에 실장되는 드라이버 IC(18)에 연결되는 입출력패턴의 직선부(22), (23)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0)의 양쪽 끝부분에 형성되는 다수의 신호단(26), (27)과, 상기 직선부(22), (23)와 신호단(26), (27)을 연결하며 상기 각각의 직선부(22), (23)와 연결되는 출발지점이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30)상에 위치하는 연결선(24), (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0)에는 드라이버 IC(18)의 입력쪽에 연결되는 입력패턴과 드라이버 IC(18)의 출력쪽에 연결되는 출력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직선부(22), (23)는 입력패턴의 직선부(22)와 출력패턴의 직선부(23)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신호단(26), (27)은 드라이버 IC(18)의 입력쪽(구동회로와 연결되는 쪽)에 연결되는 입력신호단(26)과, 드라이버 IC(18)의 출력쪽(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연결되는 쪽)에 연결되는 출력신호단(2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선(24)의 출발지점(S1,S2,…Sn)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12)의 모서리쪽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드라이버 IC(18)로부터 멀어지는 곡률을 갖는 곡선(30)상에 위치시켜 형성한다.
상기 곡선(30)은 드라이버 IC(18)쪽에서 보아서 오목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연결선(24) 사이의 간격을 보다 넓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연결선(24)의 출발지점(S1,S2,…Sn)을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하면, 연결선(24)의 경사각도가 서로 다르면서 출발지점(S1,S2,…Sn)도 다르게 되므로, 이웃하는 연결선(24) 사이의 간격이 자연스럽게 넓어지게 된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12)의 모서리쪽에 위치하는 연결선(24)의 출발지점(S1)은 다음에 위치하는 연결선(24)의 출발지점(S2)보다 드라이버 IC(18)에 가깝게 위치하므로, 굽어지는 출발지점(S1), (S2)이 서로 달라 종래 동일 직선(8)에 위치하는 것에 비하여 간격이 더 넓어지게 된다.
상기에서는 입력패턴쪽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출력패턴쪽에도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기에서는 연결선(24)의 굽어지기 시작하는 출발지점(S1,S2,…Sn)을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30)상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는 연결선(24)의 길이가 베이스필름(12)의 모서리쪽에서 중앙부쪽으로 갈수록 점점 짧아지는 구성으로 설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선(24)의 출발지점(S1,S2,…Sn )이 각각 드라이버 IC(18)쪽에서 보아서 오목한 곡률을 갖는 곡선(30)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연결선(24)의 길이가 베이스필름(12)의 모서리쪽에서 중앙부쪽으로 갈수록 점점 짧아지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의 일실시예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로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정의 화상이 구현되는 패널(42)과, 상기 패널(42)을 지지하는 새시 베이스(46)와, 상기 패널(42)의 반대쪽에서 상기 새시 베이스(46)에 지지되고 상기 패널(42)을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동회로(48)와, 상기 패널(42)과 구동회로(48)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0)는 압착 플레이트(49)에 의하여 새시 베이스(46)쪽에 드라이버 IC(18)가 장착된 부분이 압착되어 고정 설치된다.
또 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0)와 새시 베이스(46) 사이에는 드라이버 IC(18)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고열전도 고체부재(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배선구조가 사용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0)를 적용하면, 패널(42)의 구동시에 연결선(24)부분이 인접하여 발생하는 노이즈가 최소화되므로 표시품위가 크게 향상된다.
상기에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액정표시장치(LCD), 전계방출표시장치(FED) 등의 다양한 표시장치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의 다른 실시예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선(24)을 상기 각각의 신호단(26)과 연결되는 종료지점(F1,F2,…Fn)이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상기에서 연결선(24)의 종료지점(F1,F2,…Fn)은 베이스필름(12)의 모서리쪽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드라이버 IC(18)로 근접하는 곡률을 갖는 곡선(32)상에 위치시켜 형성한다.
상기 곡선(32)은 드라이버 IC(18)쪽에서 보아서 볼록한 곡률(입력신호단(26)쪽에서 보아서 오목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연결선(24) 사이의 간격을 보다 넓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연결선(24)의 종료지점(F1,F2,…Fn)을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하면, 연결선(24)의 경사각도가 서로 다르면서 종료지점(F1,F2,…Fn)도 다르게 되므로, 이웃하는 연결선(24) 사이의 간격이 자연스럽게 넓어지게 된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12)의 모서리쪽에 위치하는 연결선(24)의 종료지점(F1)은 다음에 위치하는 연결선(24)의 종료지점(F2)보다 드라이버 IC(18)에 가깝게 위치하므로, 직선으로 형성되는 입력신호단(26)과 연결되는 종료지점(F1),(F2)이 서로 달라 종래 동일 직선(9)상에 위치하는 것에 비하여 간격이 더 넓어지게 된다.
상기에서는 입력패턴쪽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출력패턴쪽에도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선(24)이 종료지점(F1,F2,…Fn)을 드라이버 IC(18)쪽에서 보아서 볼록한 곡률(입력신호단(26)쪽에서 보아서 오목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하는 곡선(32)상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하여, 연결선(24)의 길이를 베이스필름(12)의 모서리쪽에서 중앙부쪽으로 갈수록 점점 보다 더 짧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선(25)을 베이스필름(12)의 중앙부에서 모서리쪽으로 볼록하게 굽어지는 곡선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연결선(25)은 베이스필름(12)의 모서리쪽에서 중앙부로 가면서 위치할수록 점점 곡률이 작아지는 곡선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간격을 넓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에 의하면, 연결선의 출발지점 및/또는 종료지점을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상에 위치시키므로 굽어지는 부위에서 연결선 사이의 간격을 충분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단락이나 노이즈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표시장치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노이즈의 발생이 최소화되므로, 표시품위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배선부분만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의 일실시예를 적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종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Claims (10)

  1.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에 실장되는 드라이버 IC에 연결되는 입출력패턴의 직선부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양쪽 끝부분에 형성되는 다수의 신호단과,
    상기 직선부와 신호단을 소정의 경사로 연결하며 상기 각각의 직선부와 연결되는 출발지점이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상에 위치하는 연결선을 포함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의 출발지점은 베이스필름의 모서리쪽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드라이버 IC로부터 멀어지는 곡률을 갖는 곡선상에 위치시켜 형성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상기 각각의 신호단과 연결되는 종료지점이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상에 위치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의 종료지점은 베이스필름의 모서리쪽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드라이버 IC로 근접하는 곡률을 갖는 곡선상에 위치시켜 형성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베이스필름의 중앙부에서 모서리쪽으로 볼록하게 굽어지는 곡선형상으로 형성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베이스필름의 중앙부에서 모서리쪽으로 볼록하게 굽어지는 곡선형상으로 형성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베이스필름의 모서리쪽에서 중앙부로 가면서 위치할수록 점점 곡률이 작아지는 곡선형상으로 형성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결선은 베이스필름의 모서리쪽에서 중앙부로 가면서 위치할수록 점점 곡률이 작아지는 곡선형상으로 형성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형성된 배선 구조를 가지고 형성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40024875A 2004-04-12 2004-04-12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 및 이 구조에 의해형성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99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875A KR100599771B1 (ko) 2004-04-12 2004-04-12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 및 이 구조에 의해형성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875A KR100599771B1 (ko) 2004-04-12 2004-04-12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 및 이 구조에 의해형성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702A true KR20050099702A (ko) 2005-10-17
KR100599771B1 KR100599771B1 (ko) 2006-07-12

Family

ID=37278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875A KR100599771B1 (ko) 2004-04-12 2004-04-12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 및 이 구조에 의해형성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97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901B1 (ko) * 2005-08-04 2007-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97261B1 (ko) * 2005-04-21 2008-01-23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CN114639312A (zh) * 2022-04-02 2022-06-17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邦定结构、显示面板、柔性印刷电路板和电子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261B1 (ko) * 2005-04-21 2008-01-23 후지츠 히다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리미티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769901B1 (ko) * 2005-08-04 2007-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N114639312A (zh) * 2022-04-02 2022-06-17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邦定结构、显示面板、柔性印刷电路板和电子装置
CN114639312B (zh) * 2022-04-02 2023-12-22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邦定结构、显示面板、柔性印刷电路板和电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9771B1 (ko) 200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7411B2 (en) Driver chip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102659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EP178058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1265245A (ja) フラットパネル型表示装置
JP2004271611A (ja) フラットパネル型表示装置
JP2006190989A (ja) キャリアフィルム、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66892B1 (ko) 표시 장치용 전기 회로 기판
KR100399794B1 (ko) 하나의 특정한 설치위치에 제한되지 않는 가변형 저항기를가지며, 기계적 강도가 거의 저하되지 않는 신호 처리회로 기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0599771B1 (ko)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배선구조 및 이 구조에 의해형성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JPH10209581A (ja) プリント配線板、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H11305250A (ja) 画像表示装置
KR101313649B1 (ko) 액정표시소자
JP2006243008A (ja) 表示パネル
JP2001255548A (ja) 液晶表示装置用信号処理基板
KR100762700B1 (ko)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가 구비된 평판표시장치
JP4660007B2 (ja) 表示装置
JP3138859B2 (ja) プリント基板とテープキャリアパッケージとの接続部のコーティング材硬化方法およびその硬化方法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02182205A (ja) 液晶表示装置
JP3532042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2229475A (ja) 表示装置
KR100578961B1 (ko)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3185B1 (ko) 전원공급용 기판을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KR20080041994A (ko)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JPH0996828A (ja) 液晶表示装置
JP3482881B2 (ja) 半導体実装構造、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