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8362A - 승합차용 보조시트 절첩장치 - Google Patents

승합차용 보조시트 절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8362A
KR20050098362A KR1020040023370A KR20040023370A KR20050098362A KR 20050098362 A KR20050098362 A KR 20050098362A KR 1020040023370 A KR1020040023370 A KR 1020040023370A KR 20040023370 A KR20040023370 A KR 20040023370A KR 20050098362 A KR20050098362 A KR 20050098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auxiliary
guide
shee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8742B1 (ko
Inventor
박상도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3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8742B1/ko
Publication of KR20050098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7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3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절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조시트(100)의 시트쿠션프레임(120) 저면에 일측단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가이드(300)와, 상기 가이드(30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단부가 시트쿠션프레임(12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링크프레임(400)과, 상기 링크프레임(400)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스톱퍼(500)와, 상기 스톱퍼(500)가 형성되어 있는 링크프레임(400)과 가이드(300)의 하단부가 각각 좌우 양측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60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600)가 가이드레일(미도시)을 따라 전후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주시트(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는 메인시트프레임(900)에 고정되게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플레이트(700)로 구성하여, 보조시트(100)를 펼쳐 승원이 시트쿠션(110)에 착좌한 상태에서도 주시트를 전후로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주시트 및 보조시트(100)에 착좌한 승원이 편안하고 안락한 위치로 주시트 및 보조시트(100)를 이동시켜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승합차용 보조시트 절첩장치{Foldable Device of an Auxiliary Seat for an Omnibus}
본 발명은 승합차용 보조시트 절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주시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보조시트를 전개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도 플로어매트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차실의 외관미가 저감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보조시트에 승원이 착좌한 상태에서도 주시트에 착좌한 승원이 원하는 위치로 상기 주시트를 시트프레임의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승합차용 보조시트 절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박스 왜건 및 캡 오버 타입의 밴등과 같이 엔진 승무원 화물실등이 하나의 차실내에 수용되거나, 1.5 박스 왜건 및 밴 등과 같이 엔진부와 승무원 및 화물실로 구성된 승합차내에는 운전석과 조수석으로 구성된 프론트시트와 상기 프론트시트 후부에 위치하는 퍼스트 리어시트 및 상기 퍼스트 리어시트 후부에 위치하는 세컨드 리어시트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퍼스트 리어시트는 일측에 보조시트가 장착된 2인승 시트 또는, 1인승 시트와 일측에 보조시트가 장착된 시트가 장착되나, 근래에는 시트의 활용성 및 탑승자의 독립성을 위하여 1인승 시트의 일측으로 절첩이 이루어지는 보조시트를 장착한 시트가 많이 창착되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보조시트가 장착된 시트 즉, 퍼스트 리어시트에 장착되는 보조시트가 장착된 시트는 1인승 시트를 주시트로 하고, 상기 주시트 일측에 별도의 보조시트가 장착되어, 탑승자의 독립성을 보장하도록 하기위해 도 1과 도 2 및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주시트(10)의 메인시트프레임(20)에 지지플레이트(30)의 일측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30)에는 제1가이드(40) 및 제2가이드(50)에 의하여 작동되는 결합부(60) 상단부에 보조시트(90)의 시트쿠션(91) 하단부를 결합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30)의 일측단 하부에 장착된 고정축(80)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대(70)를 장착하여, 보조시트(90)를 절첩할 시, 고정축(80)을 중심으로 지지대(70)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즉, 주시트(10)의 일측에 장착된 보조시트(90)에 탑승객이 착좌하고자 하는 경우, 절접된 보조시트(90)의 시트쿠션(91) 일측에 힘을 가하면, 제1가이드(40)와 제2가이드(50)는 지지플레이트(30)와 고정대(55)에 결합된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보조시트(90)의 하단에 장착된 결합부(60)가 수평상태가 될 때 까지 각각 회전한다.
이와 같이 결합부(60)가 수평상태가 되면 보조시트(90)의 시트쿠션(91)도 수평이 되므로 탑승객이 착석할 수 있도록 보조시트(90)가 전개된다.
상기와 같이 제1가이드(40) 및 제2가이드(50)가 지지플레이트(30)와 고정대(55)에 결합된 힌지부를 중심축으로 각각 회전할 시, 상기 제1가이드(40)에 장착된 이동핀(41)은 가이드부(A)의 가이드(A1)를 따라 이동하여 가이드(A1)의 일측단과 접촉하게되고, 제1가이드(40)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A1)의 일측단과 접촉된 이동핀(41)은 가이드부(A)를 제1가이드(40)의 회전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가이드부(A)는 고정축(8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지지대(7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B)를 고정축(80)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즉, 상기 연결부(B)와 지지대(7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고정축(80)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가이드부(A)와 힌지 결합된 연결부(B)는 가이드부(A)의 이동에 따라 고정축(80)을 중심으로 지지대(70)와 일체형으로 고정축(8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지지대(70)를 바닥패널(P)에 설치되어 있는 플로어매트(PA)와 접촉되면서 보조시트(90)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보조시트(90)를 절첩시킬 경우에는, 시트쿠션(91)의 하단 일측에 힘을 가하면 제1가이드(40)와 제2가이드(50)에 의해 보조시트(90)는 주시트(10)의 일측에 세로방향으로 절첩됨과 동시에 상기 제1가이드(40)에 장착된 이동핀(41)이 가이드부(A)의 가이드(A1)를 따라 제1가이드(40)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이드(A1)의 타측단에 접촉되고, 상기 가이드(A1)의 타측단과 접촉된 이동핀(41)은 제1가이드(40)의 회전에 의해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이드부(A)를 이동시키며, 상기 가이드부(A)는 연결부(B)와 일체형으로 작동되는 지지대(70)를 고정축(80)을 중심으로 제1가이드(4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플레이트(30) 하단부에 지지대(70)를 밀착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승합차용 보조시트 절첩장치는 주시트의 일측에 장착된 보조시트를 전개시킨 상태에서 탑승자가 오랜시간 상기 보조시트에 착좌 시, 지지대의 저면이 바닥패널에 설치되어 있는 플로어매트와 접촉되는 것에 의해, 상기 플로어매트에 자국이 남아 차실의 외관미를 저감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플로어매트가 눌리면, 상기 플로어매트의 눌린량 만큼 보조시트가 일측으로 쏠리면서 변형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상기 보조시트에 착좌한 승원이 편안한 자세로 착좌를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보조시트를 전개시켜 승원이 착좌한 후에는, 상기 보조시트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대의 저면이 바닥패널에 설치되어 있는 플로어매트와 접촉되는 것에 의해, 주시트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없게 됨으로써, 주시트에 착좌한 승원이 편안한 자세로 착좌하기 위해 주시트를 전후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보조시트에 승원이 착좌를 하지 않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시트의 일측에 장착된 보조시트를 전개시킨 상태에서 탑승자가 착좌한 상태에서도, 상기 주시트 전후로 이동시켜 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주시트 및 보조시트에 착좌한 승원이 편안하고 안락한 위치로 주시트 및 보조시트를 이동시켜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주시트의 일측에 장착된 보조시트를 전개시킨 상태에서도 플로어매트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차실의 외관미가 저감되지 않게 됨은 물론, 무게가 무거운 승원이 오랜시간 보조시트에 착자하는 경우에도, 상기 보조시트가 일측으로 쏠리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승합차용 보조시트 절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시트(100)의 시트쿠션프레임(120) 저면에 상단부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300)와, 상기 가이드(30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단부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시트쿠션프레임(120)의 저면에 결합되는 링크프레임(400)과,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20)의 저면에 결합되어 있는 링크프레임(400) 및 가이드(300)의 하단부가 좌우 양측단부에 각각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60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600)에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있는 링크프레임(400)이 일정치 이상 회전되면 상부면이 보조시트(100)의 시트쿠션(110) 저면에 접하며 더 이상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링크프레임(40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스톱퍼(50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인 승합차용 보조시트 절첩장치는 주시트의 일측에 장착된 보조시트(100)를 전개시켜 착좌하고자 하는 경우, 절첩된 보조시트(100)의 시트쿠션(110) 일측에 힘을 가하면, 하단부와 상단부가 각각 시트쿠션프레임(120)과 지지플레이트(600)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300)와 링크프레임(400)이 시트쿠션프레임(120)이 수평상태가 될 때까지 일측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시트쿠션프레임(120)이 수평상태가 되는 위치에 이르면 스톱퍼(500)가 시트쿠션(110)의 저면에 접촉하게 되는 것에 의해 승원이 보조시트(100)에 착좌하는 경우에도 일측으로 계속해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주시트의 일측에 장착된 보조시트(100)를 전개시켜 착좌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스톱퍼(500)가 바닥패널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플로어매트와 접촉하지 않아 차실의 외관미가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보조시트(100)에 무게가 무거운 승원이 장시간 착좌한 경우에도 상기 보조시트(100)가 일측으로 쏠리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상기 보조시트(100)에 승원이 착좌한 상태에서도 주시트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절첩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구성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절첩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구성도 이며, 도 6은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절첩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절첩장치는 도 4의 본 발명인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절첩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구성도와 도 5의 본 발명인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절첩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구성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보조시트(100)의 시트쿠션프레임(120) 저면에 일측단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가이드(300)와, 상기 가이드(30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단부가 시트쿠션프레임(12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링크프레임(400)과, 상기 링크프레임(400)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스톱퍼(500)와, 상기 스톱퍼(500)가 형성되어 있는 링크프레임(400)과 가이드(300)의 하단부가 각각 좌우 양측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60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600)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주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메인시트프레임(900)에 고정되게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플레이트(70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상기 링크프레임(400)은 일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스톱퍼(500)가 보조시트(100)가 펼쳐지는 경우 시트쿠션(110)의 저면에 접하는 위치에 설치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보조시트(100)의 시트쿠션(110) 저면에는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시트(100)를 펼치는 경우 스톱퍼(500)의 상부면에 접하는 보강플레이트(111)를 고정되게 설치하여, 상기 보조시트(100)에 무게가 나가는 승원이 착좌한 경우에도, 상기 보조시트의 시트쿠션(110)가 변형되는 것이 억제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 함을 밝혀 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주시트의 일측에 장착된 보조시트(100)에 탑승객이 착좌하고자 하는 경우, 절접된 보조시트(100)의 시트쿠션(110) 일측에 힘을 가하면, 지지플레이트(600)의 좌우 양측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300)와 링크프레임(400)의 하단부와 상단부가 각각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보조시트(100)의 시트쿠션프레임(120)이 수평상태가 될 때까지 각각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시트쿠션프레임(120)이 수평상태가 되면 보조시트(100)의 시트쿠션(110)도 수평이 되므로 탑승객이 착석할 수 있도록 보조시트(100)가 전개된다.
이때, 상기 링크프레임(400)에 형성된 스톱퍼(500)의 상부면은 보조시트(100)의 시트쿠션(110)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보강플레이트(111)와 접촉되면서, 상기 보조시트(100)의 시트쿠션(110)을 지지하게 됨으로서, 상기 보조시트(100)에 무게가 무거운 승원이 장시간 착좌하는 경우에도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주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메인시트프레임(900)에 보조시트(100)가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관계로, 상기 보조시트(100)를 펼쳐 승원이 시트쿠션(110)에 착좌한 상태에서도 주시트를 전후로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주시트 및 보조시트(100)에 착좌한 승원이 편안하고 안락한 위치로 주시트 및 보조시트(100)를 이동시켜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상기 주시트의 일측에 장착된 보조시트(100)를 전개시킨 상태에서도 바닥패널에 설치되어 있는 플로어매트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차실의 외관미가 저감되지 않게 됨은 물론, 무게가 무거운 승원이 오랜 시간 보조시트에 착좌하는 경우에도, 상기 보조시트가 일측으로 쏠리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보조시트의 절첩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보조시트의 절첩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종래 보조시트의 절첩장치가 접혀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보조시트의 절첩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인 보조시트의 절첩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6은 자동차용 보조시트의 절첩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보조시트 110 : 시트쿠션
111 : 보강플레이트 120 : 시트쿠션프레임
300 : 가이드 400 : 링크프레임
500 : 스톱퍼 600 : 지지플레이트
700 : 고정플레이트 900 : 메인시트프레임

Claims (3)

  1. 보조시트(100)의 시트쿠션프레임(120) 저면에 일측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가이드(300)와, 상기 가이드(30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단부가 시트쿠션프레임(120)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링크프레임(400)과, 상기 링크프레임(400)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스톱퍼(500)와, 상기 스톱퍼(500)가 형성되어 있는 링크프레임(400)과 가이드(300)의 하단부가 각각 좌우 양측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60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600)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주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메인시트프레임(900)에 고정되게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플레이트(7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용 보조시트 절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프레임(400)은 일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스톱퍼(500)가 보조시트(100)가 펼쳐지는 경우 시트쿠션(110)의 저면에 접하는 위치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용 보조시트 절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트(100)의 시트쿠션(110) 저면에는 스톱퍼(500)의 상부면에 접하는 보강플레이트(111)가 고정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용 보조시트 절첩장치.
KR1020040023370A 2004-04-06 2004-04-06 승합차용 보조시트 절첩장치 KR100568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370A KR100568742B1 (ko) 2004-04-06 2004-04-06 승합차용 보조시트 절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370A KR100568742B1 (ko) 2004-04-06 2004-04-06 승합차용 보조시트 절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362A true KR20050098362A (ko) 2005-10-12
KR100568742B1 KR100568742B1 (ko) 2006-04-07

Family

ID=37277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370A KR100568742B1 (ko) 2004-04-06 2004-04-06 승합차용 보조시트 절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87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091B1 (ko) * 2005-05-11 2006-08-01 주식회사다스 회전간섭 방지기능을 가지는 점핑장치
KR100896427B1 (ko) * 2007-11-16 2009-05-12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회전간섭 회피기능을 구비한 점핑장치
KR20190124978A (ko) * 2018-04-27 2019-11-06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차량용 접이식 보조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091B1 (ko) * 2005-05-11 2006-08-01 주식회사다스 회전간섭 방지기능을 가지는 점핑장치
KR100896427B1 (ko) * 2007-11-16 2009-05-12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회전간섭 회피기능을 구비한 점핑장치
KR20190124978A (ko) * 2018-04-27 2019-11-06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차량용 접이식 보조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8742B1 (ko) 200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74074B2 (ja) 乗物の補助シートユニット
US5954398A (en) Seat structure for motor vehicle
US3746389A (en) Folding seats for automotive vehicles
US20040100115A1 (en) Underfloor stowage of a folding seat in a vehicle
KR100837911B1 (ko) 자동차용 더블폴딩 시트의 리어캐치 이동구조
US8066325B2 (en) Deployable bolster for a vehicle seat
JPS6325977B2 (ko)
KR100568742B1 (ko) 승합차용 보조시트 절첩장치
US6464279B1 (en) Self stowing seat
JP2002104039A (ja) 跳ね上げシート
JP3730151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5289207A (ja) 車両用シート
JP3541602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H0764238B2 (ja) 自動車の後部座席構造
JP3871812B2 (ja) スライドシートの跳ね上げ規制構造
KR100559597B1 (ko) 자동차용 폴드 앤 다이브식 시트의 시트백 각도조절 구조
JPH11348624A (ja) 自動車のフラット化シート構造
EP1972490B1 (en) Motor vehicle with a second-row seat having a backrest and sitting surface that can both be tipped over
KR200163100Y1 (ko) 승합차용 보조 시트 체결장치
JP2854253B2 (ja) 車両用多目的シート
KR200201337Y1 (ko) 자동차용 접이식 시트 구조
JPS6313955Y2 (ko)
JPH0611229Y2 (ja) 自動車用リヤシート
KR0162554B1 (ko) 자동차의 시트구조
KR200149224Y1 (ko) 자동차 시트용 이중접이식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