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617A - 6-치환-△6-프레그난의 진균 산화에 의한19-노르-10β-카르복실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6-치환-△6-프레그난의 진균 산화에 의한19-노르-10β-카르복실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617A
KR20050095617A KR1020057013360A KR20057013360A KR20050095617A KR 20050095617 A KR20050095617 A KR 20050095617A KR 1020057013360 A KR1020057013360 A KR 1020057013360A KR 20057013360 A KR20057013360 A KR 20057013360A KR 20050095617 A KR20050095617 A KR 20050095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nigrospora
substituted
atc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존 화이트
이반 게일 길버트
브루스 알렌 펄맨
Original Assignee
파마시아 앤드 업존 캄파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마시아 앤드 업존 캄파니 엘엘씨 filed Critical 파마시아 앤드 업존 캄파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50095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61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33/00Preparation of steroid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6-치환-△6-프레그난의 진균 산화에 의한 19-노르-10β-카르복실산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6-치환-△6-프레그난의 진균 산화에 의한 19-노르-10β-카르복실산의 제조 방법 {A PROCESS TO PRODUCE 19-NOR-10β-CARBOXYLIC ACIDS BY FUNGAL OXIDATION OF 6-SUBSTITUTED-△6-PREGNANES}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6-치환-△6-프레그난을 진균 산화시켜 하기 화학식 II의 19-노르-10β-카르복실산을 형성시킨 다음, 화학적 탈카르복실화 단계에 의해 하기 화학식 III의 19-노르-6-치환-△6-프레그난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19-노르4,6-프레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노메게스트롤) 및 화학식 III의 관련 분자들은 약리학적 활성의 19-노르 스테로이드의 합성을 위한 유용한 스테로이드 중간체이다. 예를 들면, 19-노르-4,6-프레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노메게스트롤)이 여성의 건강 스테로이드인 노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19-노르-4,6-프레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 17 아세테이트)를 합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 4,284,720 호는 안도스탄 또는 프레그난 계열의 10-메틸 스테로이드가 니그로스포라(Nigrospora) 속의 진균 배양물에 의한 발효에 의해 상응하는 19 히드록시 스테로이드로 전환된다는 것을 개시한다.
19-노르 스테로이드는 19-히드록시 스테로이드로부터 화학적으로 합성되었다.
발명의 요약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6-치환-△6-프레그난의 진균 산화에 의해 하기 화학식 II의 19-노르-10β-카르복실산을 형성한 후에, 화학적 탈카르복실화 단계에 의해 하기 화학식 III의 19-노르-6-치환-△6-프레그난을 제조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I의 6-치환-△6-프레그난의 진균 산화에 의한 화학식 II의 19-노르-10β-카르복실산의 제조 방법은 화학식 I의 6-치환-△6-프레그난을, 화학식 I의 6-치환-△6-프레그난의 19번 탄소를 산화시킬 수 있는 니그로스포라 속의 종을 함유하는 생물전환 배양물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식에서,
R1은 H, OH, R-C(O)O-, -CH2OCH3, CH3CH(OR)O-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은 C1-C8알킬기이고;
R2는 H, F, Cl, Br 및 CH3-으로부터 선택되고;
R3은 H 또는 CH2=이며;
R4는 -CH2OH 또는 -CH3이고;
상기 식에서:
R1은 H, OH, R-C(O)O-, -CH2OCH3, CH3CH(OR)O-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은 C1-C8알킬기이고;
R2는 H, F, Cl, Br 및 CH3-으로부터 선택되고;
R3은 H 또는 CH2=이고;
R4는 -CH2OH 또는 -CH3이며;
R5는 -CHO, -CH2OH 또는 CH3이다.
정의
하기 정의 및 설명은 명세서 및 청구의 범위를 모두 포함하는 전체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것이다.
모든 온도는 섭씨 온도이다.
"r.p.m."은 분당 회전수를 지칭한다.
"TLC"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를 지칭한다.
"HPLC"는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지칭한다.
"psig"는 제곱 인치 게이지 당 파운드를 지칭한다.
"RO"는 역삼투를 지칭한다.
용매 혼합물이 사용될 때, 사용되는 용매들의 비율은 부피/부피(v/v)이다.
용매 중 고체의 용해도가 사용될 때, 용매에 대한 고체의 비율은 중량/부피(wt/v)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6-치환-△6-프레그난의 진균 산화에 의한 하기 화학식 II의 19-노르-10β-카르복실산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R1은 H, OH, R-C(O)O-, -CH2OCH3, CH3CH(OR)O-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은 C1-C8알킬기이고;
R2는 H, F, Cl, Br 및 CH3-으로부터 선택되고;
R3은 H 또는 CH2=이고;
R4는 -CH2OH 또는 -CH3이며;
R5는 -CHO, -CH2OH 또는 CH3이고;
<화학식 II>
상기 식에서, R, R1, R2, R3, R4는 화학식 I의 R, R1, R2, R3, R4와 동일하다.
화학식 I의 6-치환-△6-프레그난의 19번 탄소를 산화시킬 수 있는 니그로스포라 속의 임의의 사상 진균을 화학식 II의 19-노르-10β-카르복실산을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의 방법을 사용해서 니그로스포라 속의 특정 사상 진균이 화학식 I의 6-치환-△6-프레그난의 19번 탄소를 산화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화학식 II의 19-노르-10β-카르복실산을 회수하고, 화학적으로 탈카르복실화시켜서 하기 화학식 III의 19-노르-6-치환-△6-프레그난을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III>
상기 식에서, R, R1, R2, R3, R4는 화학식 I의 R, R1, R2, R3, R4와 동일하다.
본 발명자들은 화학식 I의 6-치환-△6-프레그난을 니그로스포라의 특정 균주, 특히 니그로스포라 스파에리카(Nigrospora sphaerica) ATCC 12772, 니그로스포라 고를렌코아늄(Nigrospora gorlenkoanum) ATCC 24718, 및 니그로스포라 오리자에(Nigrospora oryzae) ATCC 42775와 접촉시키면 화학식 II의 19-노르-10β-카르복실산이 형성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생물전환 배지는 계면활성제 및 고수준의 탄소원을 함유한다.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아미드, 비이온성 에스테르, 예컨대 에톡실화 알킬 페놀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유화 왁스, 비이온성 에톡실레이트, 트리스티릴페놀 에톡실레이트, 알콜 에톡실레이트, 예컨대 옥틸페녹시폴리에톡시에탄올, 에톡실화 메르캅탄, 캡핑된 에톡실레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역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비이온성 세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에톡실화 알킬 페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또는 옥틸페녹시폴리에톡시에탄올이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된다. 사용되는 비이온성 세제의 농도는 약 0.1mL/L 또는 0.1g/L 내지 약 4mL/L 또는 4g/L일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는 약 1mL/L 또는 1g/L 내지 약 2mL/L 또는 2g/L이다.
탄소원은 모노사카라이드, 디사카라이드, 트리사카라이드, 가수분해 폴리사카라이드, 및 당 알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전형적으로, 글루코스가 탄소원으로 사용된다. 탄소원의 농도는 약 2g/L 내지 약 100g/L일 수 있지만, 전형적으로는 약 5g/L 내지 약 60g/L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진균은 호기 조건하에서의 액침 배양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 및 동일계내에서 수행되는 산화 반응을 이용해서 성장시킨다. 바람직한 니그로스포라 진균을 당업계 숙련인에게 공지되어 있는 조건, 방법, 탄소원, 및 질소원을 사용해서 배양한다. 일반적으로 1차 및 2차 영양 종균 방법이 진균의 19-산화를 위한 준비에 사용된다. 대안으로, 1차 영양 종균을 진균의 19-산화를 위한 생물전환 배지로 접종하는데 직접 사용할 수 있다.
1차 영양 종균 배양물을 약 20℃ 내지 약 37℃(바람직하게는 약 28℃)의 온도 및 약 3.0 내지 약 7.5의 pH에서 약 24 내지 약 96시간(바람직하게는 약 48-72시간) 동안 배양한다. 2차 영양 종균 배지에 약 0.006% 내지 약 0.25%[v/v], 그러나 전형적으로는 약 0.012% 내지 약 0.1%[v/v]의 1차 영양 종균 배양물을 접종하고, 약 20℃ 내지 약 37℃(바람직하게는 약 28℃)의 온도에서 약 36 내지 약 72시간(바람직하게는 약 48-60시간) 동안 배양한다. 2차 종균 배지의 pH는 약 3.0 내지 약 7.5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7.0이다. 2차 영양 종균 배지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는 생물전환 배지에 약 1% 내지 약 10%[v/v] 2차 영양 종균 배양물(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약 5%)을 접종한다. 약 12 내지 약 72시간(바람직하게는 약 16 내지 약 24시간)의 최초 배양 기간 후에, 바람직하게는 미크론화된, 화학식 I의 스테로이드 기질을 생물전환 배양물에 첨가한다. 화학식 I의 미크론화 스테로이드 기질을 건조 분말 또는 수성 슬러리로서, 1회 첨가로, 또는 일련의 첨가로, 또는 연속 공급으로 첨가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미크론화 스테로이드 기질은 1g/L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2g/L 초과,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g/L 초과의 농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II의 19-산화 생성물을 형성하는 화학식 I의 스테로이드 기질의 생물전환은 약 1 내지 약 9일간 진행되지만, 전형적으로는 약 2 내지 약 6일간 진행된다. 전환은 HPLC와 같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에 의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적절한 HPLC 방법이 실시예 1에 제공된다.
일단 화학식 I의 스테로이드 기질의 화학식 II의 19-산화 생성물로의 전환이 완결되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다수의 방법들 중 하나를 사용해서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회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체 또는 여과된 배양액을 수-불혼화성 유기 용매, 예컨대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화학식 II의 생성물이 산 형태일 때까지 pH를 하향 조정하는 것에 의해 추출한다. 그 다음에 증발에 의해 수-불혼화성 유기 용매를 농축시킨다. 화학식 II의 생성물을 물로, 화학식 II의 카르복실산 생성물이 이온화(pH 8 내지 9)될 때까지 pH를 상향 조정하는 것에 의해 추출한다. 이러한 수성 추출물을 수-혼화성 용매, 예컨대 메탄올로 희석하고, 화학식 II의 생성물이 다시 산 형태(pH 3 내지 4)일 때까지 pH를 하향 조정한다. 화학식 II의 조 생성물을 수-혼화성 용매를 증발시키는 것에 의해 천천히 결정화시킨다.
화학식 III의 스테로이드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화학식 II의 스테로이드 화합물을 화학적으로 탈카르복실화시킬 수 있다. 탈카르복실화 단계는 당업계 숙련인에게 공지되어 있는 조건 및 시약을 사용해서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극성 용매 중에, 산 촉매와 함께 용해시킨다. 혼합물을 가열해서 원하는 탈카르복실화를 야기한다. 전형적으로, 카르복실산을 수성 메탄올 중의 촉매량의 염산으로 환류 온도에서 약 30분간 처리해서 원하는 탈카르복실화를 수행한다. 그러나 용매와 산이 중요하진 않다. 카르복실산 기질 및 산 촉매를 모두 용해시킬 임의의 용매가 적합하다. 바람직한 용매는 피리딘, 피콜린, 디메틸 술폭시드(DMSO), 헥스메틸포스포르아미드(HMPA), 술포란, 디메틸 포름아미드,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아세토니트릴,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그의 수성 혼합물을 포함한다. 메탄올이 가장 바람직한 용매이다.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약 10mg/mL 내지 약 500mg/mL(바람직하게는 약 100-300mg/mL)의 농도로 용해시킨다.
적절한 산 촉매는 4.9 미만의 pKa를 갖는 산이다. 이러한 산은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빙초산, 인산, 벤젠술폰산, 브로모아세트산, 클로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디클로로아세트산, 옥살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및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을 포함한다. 메탄올 중 산의 최종 농도는 0.001N(pH 3) 내지 0.1N(pH 1), 바람직하게는 약 0.01N(pH 2)이다. 반응 혼합물을 40 내지 80℃(바람직하게는 약 50-60℃)로 약 1시간 내지 약 24시간(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시간) 동안 가열한다. 당업계에서 인지된 방법들 중 임의의 하나를 사용해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이 반응 혼합물로부터 회수할 수 있는데; 이 바람직한 방법은 증발 농축 및(또는) 냉각에 의한 결정화이다.
탈카르복실화는 두 단계로도 수행될 수 있다: 먼저, 탈카르복실화에 의해 3-케토-△5(10) 중간체를 얻은 후의, 화합물(III)으로의 이성질체화 단계이다. 3-케토-△5(10) 중간체로의 탈카르복실화는 실온(15-25℃)하에 DMSO 중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3-케토-△5(10) 중간체는 상기한 바와 같은 pKa 4.9 미만의 산으로의 처리에 의해 화합물 III으로 이성질체화된다.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없이도, 당업계 숙련인이라면 전술한 설명을 이용해서 본 발명을 그의 완전한 범위로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기 상세한 실시예는 어떻게 다양한 화합물을 제조하고(하거나) 어떻게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을 수행하는지를 설명하며 단지 설명만을 목적으로 하고, 어떤 식으로도 전술한 내용을 제한하지 않는다. 당업계 숙련인이라면 반응물 및 반응 조건과 기술 모두에 대한 방법의 적절한 변경을 즉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1
4,6-프레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의 19-노르-4,6-프레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 10β-카르복실산으로의 전환을 니그로스포라 스파에리카 ATCC 12772의 액침 배양물을 사용해서 수행한 후에, 19-노르 4,6-프레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으로의 탈카르복실화를 수행했다.
(A) 1차 종균 단계
니그로스포라 스파에리카 ATCC 12772의 동결 영양 세포를 해동하고, 감자-덱스트로스-아가 플레이트(PDA)로 옮기고, 28℃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했다. 단일 균사 플러그(6-7mm 직경)를 사용해서 100mL의 1차 종균 배지를 함유하는 실리콘화 500-mL 스티플(stippled) 진탕 플라스크에 접종했다. 1차 종균 배지는 (RO 수(water)의 1리터당): 덱스트린, 50g; 대두분, 35g; 글루코스, 5g; 코발트 클로라이드 헥사히드레이트, 2mg; 실리콘 소포제(SAG 471), 0.5mL로 구성되었고; 예비멸균되었으며, 수산화나트륨(2N)으로 pH 7.0-7.2로 조정되었다. 1차 종균 배지를 함유하는 진탕 플라스크를 121℃에서 30분간 고압멸균기를 사용해서 멸균했다. 니그로스포라 스파에리카 ATCC 12772를 28℃에서 48시간 동안 270r.p.m.(2" 오비탈 스트로크)으로 고정된 조절 환경 배양기-진탕기를 사용해서 배양했다.
(B) 2차 종균 단계
실리콘화 500mL 스티플 진탕 플라스크 중의 100mL의 2차 종균 배지에 0.2mL의 영양 1차 종균 배양물을 사용해서 접종했다(0.2%[v/v] 접종 비율). 2차 종균 배지는 (RO 수의 1리터당): 글루코스, 30g; 대두분, 12.5g; 콘 스팁 고체, 10g; 옥틸페녹시 폴리에톡시 에탄올, 0.25mL; 실리콘 소포제(SAG 471), 0.5mL를 함유했으며; 예비멸균되고, 수산화나트륨(2N)으로 pH 6.5-6.6으로 조정되었다. 2차 종균 배지를 함유하는 진탕 플라스크를 121℃에서 30분간 고압멸균기를 사용해서 멸균했다. 니그로스포라 스파에리카 ATCC 12772를 28℃에서 약 52시간 동안 270r.p.m.(2" 오비탈 스트로크)으로 고정된 조절 환경 배양기-진탕기를 사용해서 배양했다.
(C) 스테로이드 생물전환
실리콘화 500mL 스티플 진탕 플라스크 중의 100mL의 스테로이드-생물전환 배지에 5mL의 영양 2차 종균 배양물을 사용해서 접종했다(5%[v/v] 접종 비율). 스테로이드-생물전환 배지는 본질적으로 2차 종균 배지와 동일하지만, 옥틸페녹시 폴리에톡시 에탄올만 0.25mL/L에서 2mL/L로 증가되었다. 접종 약 22시간 후에, 최소 부피의 0.2%[v/v]옥틸페녹시 폴리에톡시 에탄올 중에 슬러리화된 0.5g의 미크론화 4,6-프레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을 100-mL 발효물에 첨가했다.
생물전환 배양물을 HPLC를 사용해서 19-노르-4,6-프레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 10β-카르복실산에 대해 매일 분석했다. 1mL의 전체 배양액을 3mL의 따뜻한 아세토니트릴로 추출했다. 세포를 수성-아세토니트릴 혼합물로부터 원심분리(3,000xg, 10분)에 의해 분리하고, 5㎕의 추출물을 HPLC 컬럼에 주입했다. HPLC 컬럼에 대한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C18 역상 컬럼(150x4.6mm)이 장착된 스펙트라-피직스(Spectra-Physics) 크로마토그래프 컬럼; 컬럼 온도, 30℃; 이동상(이소크래틱(isocratic)), 아세토니트릴/0.25% 인산(55/45, [v/v]); 유속=0.5mL/분; 검출, 287nm; 실행 시간=20분. 4,6-프라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의 19-노르-4,6-프레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 10β-카르복실산으로의 생물전환은 대략 2일 동안 완결되었다.
(D) 회수 및 탈카르복실화 방법
5개의 100-mL 발효물로부터의 수확된 전체 배양액을 250mL의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pH를 4로 하향 조정하는 것에 의해 추출했다. 줄어든 배양액을 또 다른 200mL의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재추출했다. 풍부한 메틸렌 클로라이드 추출물을 원심분리에 의해 회수한 다음에, 모으고, 정제하고, 증발에 의해 약 50mL로 농축시켰다. 이어서, 생성물인 19-노르-4,6-프라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 10β-카르복실산을 50mL의 물로 pH를 9로 상향 조정하는 것에 의해 추출했다. 풍부한 수성상을 50mL의 메탄올로 희석하고, pH를 4로 하향 조정했다. 조 생성물을 메탄올의 증발에 의해 결정화시켰다. 고체를 수성 슬러리로부터 여과에 의해 회수하고, 15mL의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서, 1.22g의 조 결정질 19-노르-4,6-프레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 10β-카르복실산을 수득했다.
1.22g의 조 19-노르-4,6-프레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 10β-카르복실산을 0.1mL의 85% 인산을 함유하는 4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55℃로 가열했다. 반응 혼합물을 HPLC를 사용해서 매시간마다 19-노르-4,6-프레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에 대해 분석했다. 반응 혼합물의 5㎕를 1mL의 아세토니트릴로 희석하고 5㎕를 HPLC 컬럼에 주입했다. HPLC에 대한 조건은 상기한 바와 같았다. 19-노르-4,6-프레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 10β-카르복실산의 19-노르-4,6-프레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으로의 탈카르복실화는 대략 4시간 동안 완결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10℃로 냉각시키고 결정을 여과하고 1mL의 -10℃ 메탄올로 세척해서 0.72g의 99.4% 순도의 19-노르-4,6-프레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을 얻었다.
실시예 2
4,6-프레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의 19-노르-4,6-프레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 10β-카르복실산으로의 전환이 니그로스포라 고를렌코아늄 ATCC 24718을 사용하는 액침 배양에 의해 수행된 후에, 19-노르-4,6-프레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으로 탈카르복실화되었다.
실시예 1에 기술된 조건하에서, 1.18g의 조 결정질 19-노르-4,6-프레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 10β-카르복실산을 제조했다. 그 다음에 이 물질을 0.75g의 99.7% 순도의 19-노르-4,6-프레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으로 전환시켰다.
실시예 3
4,6-프레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의 19-노르-4,6-프레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 10β-카르복실산으로의 전환이 니그로스포라 오리자에 ATCC 42775를 사용하는 액침 배양에 의해 수행된 후에, 19-노르-4,6-프레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으로 탈카르복실화되었다.
실시예 1에 기술된 조건하에서, 1.20g의 조 결정질 19-노르-4,6-프레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 10β-카르복실산을 제조했다. 그 다음에 이 물질을 0.65g의 99.2% 순도의 19-노르-4,6-프레그나디엔-6-메틸-17α-올-3,20-디온으로 전환시켰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I의 6-치환-△6-프레그난을, 화학식 I의 6-치환-△6-프레그난의 19번 탄소를 산화시킬 수 있는 니그로스포라(Nigrospora) 속의 종을 함유하는 생물전환 배지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화학식 I의 6-치환-△6-프레그난의 진균 산화에 의한 하기 화학식 II의 19-노르-10β-카르복실산의 제조 방법.
    <화학식 II>
    상기 식에서,
    R1은 H, OH, R-C(O)O-, -CH2OCH3, CH3CH(OR)O-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은 C1-C8알킬기이고;
    R2는 H, F, Cl, Br 및 CH3-으로부터 선택되고;
    R3은 H 또는 CH2=이며;
    R4는 -CH2OH 또는 -CH3이고;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R1은 H, OH, R-C(O)O-, -CH2OCH3, CH3CH(OR)O-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은 C1-C8알킬기이고;
    R2는 H, F, Cl, Br 및 CH3-으로부터 선택되고;
    R3은 H 또는 CH2=이고;
    R4는 -CH2OH 또는 -CH3이며;
    R5는 -CHO, -CH2OH 또는 CH3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니그로스포라 속의 종은 니그로스포라 스파에리카(Nigrospora sphaerica) ATCC 12772, 니그로스포라 고를렌코아늄(Nigrospora gorlenkoanum) ATCC 24718, 및 니그로스포라 오리자에(Nigrospora oryzae) ATCC 42775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니그로스포라 속의 종은 니그로스포라 스파에리카 ATCC 12772인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니그로스포라 속의 종은 니그로스포라 고를렌코아늄 ATCC 24718인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니그로스포라 속의 종은 니그로스포라 오리자에 ATCC 42775인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R5가 -CHO인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R5가 -CH2OH인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R5가 CH3인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적절한 용매 중에서 pKa 4.9 미만의 산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탈카르복실화하여 하기 화학식 III의 19-노르-6-치환-△6-프레그난을 형성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화학식 III>
    상기 식에서,
    R1은 H, OH, R-C(O)O-, -CH2OCH3, CH3CH(OR)O-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은 C1-C8알킬기이고;
    R2는 H, F, Cl, Br 및 CH3-으로부터 선택되고;
    R3은 H 또는 CH2=이고;
    R4는 -CH2OH 또는 -CH3이며;
    R5는 -CHO, -CH2OH 또는 CH3이다.
  10. 제 6 항에 있어서, pKa 4.9 미만의 상기 산은 염산이고 적절한 용매는 메탄올인 방법.
KR1020057013360A 2003-01-21 2004-01-09 6-치환-△6-프레그난의 진균 산화에 의한19-노르-10β-카르복실산의 제조 방법 KR200500956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4154203P 2003-01-21 2003-01-21
US60/441,542 2003-01-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617A true KR20050095617A (ko) 2005-09-29

Family

ID=32771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360A KR20050095617A (ko) 2003-01-21 2004-01-09 6-치환-△6-프레그난의 진균 산화에 의한19-노르-10β-카르복실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7300771B2 (ko)
EP (1) EP1587942B1 (ko)
JP (1) JP2006515518A (ko)
KR (1) KR20050095617A (ko)
CN (1) CN100338225C (ko)
AR (1) AR042738A1 (ko)
AT (1) ATE392483T1 (ko)
AU (1) AU2004205797A1 (ko)
BR (1) BRPI0406853A (ko)
CA (1) CA2511653A1 (ko)
DE (1) DE602004013123D1 (ko)
IL (1) IL169118A0 (ko)
MX (1) MXPA05007535A (ko)
PL (1) PL377997A1 (ko)
RS (1) RS20050504A (ko)
RU (1) RU2311461C2 (ko)
TW (1) TWI281946B (ko)
WO (1) WO2004065612A1 (ko)
ZA (1) ZA2005046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6534B2 (en) * 2004-05-11 2008-07-08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Nigrospora sphaerica extracts
CN106978356B (zh) * 2017-03-24 2019-10-25 湖北省荆楚药材研究院 一株产bostrycin的蕲艾内生真菌HCH285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9926A (en) * 1958-10-10 1962-06-19 Pfizer & Co C 19-hydroxy pregnenes
FR1281867A (fr) * 1959-12-02 1962-01-19 Takeda Pharmaceutical Ind Procédé d'oxygénation de stéroïdes en position 19 par voie microbiologique
CH425774A (de) * 1961-07-14 1966-12-15 Ciba Geigy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19-Nor-steroiden
US3212969A (en) * 1961-11-17 1965-10-19 Syntex Corp 16-methyl-19-nor-delta4, 6-pregnadiene-3, 20-dione
US3475275A (en) * 1966-02-01 1969-10-28 Sankyo Co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3alpha,5-cyclo-6beta,19-oxido-5alpha- androstan-17-one
FR1586869A (ko) * 1968-06-19 1970-03-06
DE2901564A1 (de) * 1979-01-12 1980-07-24 Schering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19hydroxysteroiden der androstan- und pregnanreihe
US4560656A (en) * 1981-09-28 1985-12-24 Fritzsche Dodge & Olcott Inc. Production of γ-decalactone
JP2627915B2 (ja) * 1988-03-09 1997-07-09 雪印乳業株式会社 20―カルボキシプレグナン誘導体の製造方法
DE10233723A1 (de) * 2002-07-24 2004-02-12 Schering Ag Mikrobiologisch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7α-substituierten 11α-Hydroxysteroiden, daraus herstellbare 7α,17α-substituierte 11β-Halogensteroide, deren Herstellungsverfahren und Verwendung sowie pharmazeutische Präparate, die diese Verbindungen enthalten, sowie daraus herstellbare 7α-substituierte Estra-1,3,5(10)-trie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5007535A (es) 2005-09-21
EP1587942B1 (en) 2008-04-16
DE602004013123D1 (de) 2008-05-29
RS20050504A (en) 2007-06-04
RU2311461C2 (ru) 2007-11-27
US7300771B2 (en) 2007-11-27
AU2004205797A1 (en) 2004-08-05
TWI281946B (en) 2007-06-01
RU2005118995A (ru) 2006-02-27
CN1742090A (zh) 2006-03-01
TW200418986A (en) 2004-10-01
EP1587942A1 (en) 2005-10-26
CA2511653A1 (en) 2004-08-05
ATE392483T1 (de) 2008-05-15
JP2006515518A (ja) 2006-06-01
AR042738A1 (es) 2005-06-29
WO2004065612A1 (en) 2004-08-05
ZA200504673B (en) 2006-07-26
CN100338225C (zh) 2007-09-19
BRPI0406853A (pt) 2005-12-27
IL169118A0 (en) 2007-07-04
PL377997A1 (pl) 2006-02-20
US20040175784A1 (en) 2004-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K148095A3 (en) Process for the isolation of lovastin
WO1994029292A9 (en) Process for the isolation of lovastatin
DE60308388T2 (de) 5-Androsten-3beta-ol-Steroide und Verfahren für ihre Herstellung
KR20050095617A (ko) 6-치환-△6-프레그난의 진균 산화에 의한19-노르-10β-카르복실산의 제조 방법
JPH0428710B2 (ko)
JP2002506653A (ja) フェキソフェナジンの新規の製造方法
Della Greca et al. Biotransformation of progesterone by the green alga Chlorella emersonii C211-8H
CN110776536B (zh) 一种从须糖多孢菌发酵液中提取丁烯基多杀菌素的工艺
CN108558799B (zh) 从发酵液中提取2,5-呋喃二甲酸的方法
US20060292666A1 (en) Fermentatio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testolactone by fusarium species
JPH01206999A (ja) プレグネノーオキサゾリンの製造法
Manosroi et al. Extraction of solasodine from dry fruits and leaves of Solanum laciniatum Ait. and the synthesis of 16-dehydropregnenolone acetate from solasodine by phase-transfer catalysis
TW200525036A (en) Microbial method for hydrolysis and oxidation of androst-5-ene and pregn-5-ene steroid esters
US20060100185A1 (en) 5-Androsten-3beta-ol steroid intermediates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HU204575B (en) Process for producing 1-methyl-1,4-androstadiene-3,17-dion
EP0786011A1 (en) A microbiological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17beta-carboxy substituted 3-oxo-4-azasteroids and the use of such products as inhibitors of the enzyme 5alpha-reductase
NO773531L (no) 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aristolochinsyre fra holurtarer
EP0702086A1 (en) Process for producing antibiotics
JP2000236894A (ja) ラディシコールの製造方法
CS254050B1 (cs) Sposob přípravy acetyldigoxinu
PL165567B1 (pl) Sposób wytwarzania enancjomerów /+/10R i /-/10S z racemicznego substratu /±/ 8,14-seko-4,9/11/-androstadien-3,14,17-trionu
JPS634833B2 (ko)
WO2002074970A1 (en)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n inhibitor of human platelet aggregation and soybean lipoxygenase
EP1679317A2 (en) 5-Androsten-3 -ol steroid intermediates and processes for fheir pr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