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455A -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 Google Patents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455A
KR20050095455A KR1020040020873A KR20040020873A KR20050095455A KR 20050095455 A KR20050095455 A KR 20050095455A KR 1020040020873 A KR1020040020873 A KR 1020040020873A KR 20040020873 A KR20040020873 A KR 20040020873A KR 20050095455 A KR20050095455 A KR 20050095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lower plate
main body
cover
compressio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5114B1 (ko
Inventor
이근주
Original Assignee
이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주 filed Critical 이근주
Priority to KR1020040020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5114B1/ko
Priority to US10/998,763 priority patent/US20050215298A1/en
Priority to CNU2004200581957U priority patent/CN2788467Y/zh
Priority to EP04028796A priority patent/EP1583328A1/en
Priority to JP2004356256A priority patent/JP4020910B2/ja
Publication of KR20050095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1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다수의 키패드가 장착된 본체에 대해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커버를 슬라이딩이동시켜 개폐시키는 슬라이드 모듈을 구성하는 부품수를 줄여 구조 간단화로 인해 슬라이딩 작동이 원활하고, 원가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은, 키패드가 장착된 본체와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커버사이에 설치되며, 커버를 본체에 대해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시키는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에 있어서,
전술한 슬라이드 모듈은,
본체에 장착되며 가이드레일이 양측면에 형성된 하부 플레이트와,
커버에 장착되며 하부 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딩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와,
일단이 제1고정핀에 의해 하부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 플레이트의 좌우방향으로의 중앙에 고정된 제2고정핀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소정길이를 갖는 제1압축코일스프링을 구비하여,
제1압축코일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하부 플레이트에 대해 상부 플레이트를 슬라이딩이동시켜 커버를 본체에 대해 개폐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module of slide type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다수의 키패드가 장착된 본체에 대해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커버를 슬라이딩이동시켜 개폐시키는 슬라이드 모듈을 구성하는 부품수를 줄여 구조 간단화로 인해 슬라이딩 작동이 원활하고, 원가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에 장착된 하부 플레이트와 커버에 장착된 상부 플레이트의 대향면에 양단이 고정된 압축코일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 모듈을 슬라이딩이동시켜 커버를 본체에 대해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커버와 본체로 이루어진 외관 디자인의 형태뿐만 아니라, 커버의 개폐방식에 따라 바 타입, 플립형 및 폴더형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바 타입의 휴대폰은 키패드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키패드가 쉽게 손상될 우려가 있고, 이를 감안하여 플립형 휴대폰이 제안되었으나, 이는 본체 길이가 길어서 사용자들이 휴대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전술한 바 타입 및 플립형 휴대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폴더형 휴대폰이 제안되었으나, 휴대시 폴더를 열고닫는 동작으로 인해 폴더와 본체의 연결부위인 힌지부위가 쉽게 손상될 수 있었다.
폴더형 휴대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슬라이드형 휴대폰이 제시되었으며, 슬라이드형 휴대폰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키입력버튼을 갖는 키패드(1a)가 상면에 장착된 본체(1)와, 슬라이드 모듈(미도시됨)에 의해 본체(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커버(2)로서 이루어진다.
종래 슬라이드 모듈은 커버를 본체로 부터 슬라이딩이동시키는 동작시 이를 가이드하는 부재가 레일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외부로 부터 충격이 가해질때 구조 특성상 슬라이드 모듈이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개폐동작시, 사용자가 본체에 대해 커버의 완전한 개폐상태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어 사용상 불편함을 감수해야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슬라이드 모듈을 이용한 슬라이드형 휴대폰(특허공개번호 제2002-74870호)은, 슬라이드 모듈(312)에 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대(412,413)가 장착되며, 커버와 본체가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슬라이딩 부재(410)와, 본체에 고정되어 슬라이딩 부재(410)를 받치기 위한 받침판(420)과, 받침판(420)에 부착된 슬라이딩 부재(410)를 고정하고 슬라이딩 부재(410)의 슬라이딩이동을 가이드하는 장공(h1)이 형성된 가이드 판(430)으로서 이루어진다.
이때, 슬라이딩 부재(410)는 가이드 판(430)에 의해 받침판(420)에 부착되는 판스프링(411)과, 슬라이드 모듈(312)에 본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판스프링(411)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호이격되게 형성된 고정대(412,413)와, 판스프링(411)과 받침판(420) 사이에 볼(415)이 삽입되도록 판스프링(411)의 일정부분이 융기되는 융기부(414)로 구성된다.
받침판(420) 바닥에 볼(411)이 록킹 결합되도록 두개의 홀(h4,h5)이 형성되며, 제1,2고정대(412,413)에 스크류(401,402)를 고정할 수 있는 나사공이 형성된다.
종래 슬라이드형 휴대폰은 사용자가 커버를 본체로 부터 슬라이딩이동시킬 때, 볼(415)이 받침대(420)의 홀(h4,h5)에 선택적으로 록킹 결합되면서 "딸깍"하는 소리가 발생되어 개폐동작을 인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본체에 대해 커버의 슬라이딩이동 동작이 완료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으나, 커버 개폐시 소음이 발생되고, 구조 특성상 조립이 어려우며, 슬라이딩이동 동작이 원활하게 작동되지않아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코일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수의 키패드가 장착된 본체에 대해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커버를 슬라이딩이동시킴에 따라, 커버의 개폐동작이 원활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에 대해 커버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드 모듈의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조립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에 대한 커버의 슬라이딩이동 동작이 완료된 상태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키패드가 장착된 본체와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커버사이에 설치되며, 커버를 본체에 대해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시키는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에 있어서,
전술한 슬라이드 모듈은,
본체에 장착되며, 가이드레일이 양측면에 형성된 하부 플레이트와,
커버에 장착되며, 하부 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딩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와,
일단이 제1고정핀에 의해 하부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 플레이트의 좌우방향으로 중앙에 고정된 제2고정핀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소정길이를 갖는 제1압축코일스프링을 구비하여,
제1압축코일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하부 플레이트에 대해 상부 플레이트를 슬라이딩이동시켜 커버를 본체에 대해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제1압축코일스프링 양단을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에 각각 고정하는 제1,2고정핀에 인접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하부 플레이트에 대해 상부 플레이트 슬라이딩이동시 제1압축코일스프링의 꼬임 방지 및 일측으로 쏠리지않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가이드핀을 구비한다.
또한, 일단이 하부 플레이트의 제1고정핀보다 하측에 배치된 제3고정핀에 의해 하부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부 플레이트의 제2고정핀보다 하측에 배치된 제4고정핀에 의해 상부 프레이트에 고정되며, 소정길이를 갖는 제2압축코일스프링을 더 구비한다.
또한, 전술한 제1,2압축코일스프링은 제1고정핀 내지 제4고정핀 외측으로 결합된 부싱에 각각 고정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키패드(11)가 장착된 본체(10)와 디스플레이부(21)가 장착된 커버(20)사이에 설치되며, 커버(20)를 본체(10)에 대해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시키는 슬라이드 모듈(30)을 갖는 슬라이드형 휴대폰에 적용되며, 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하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30)은,
관통공(46)에 결합되는 스크류(미도시됨)에 의해 본체(10)에 장착되며 가이드레일(41)이 양측면에 형성된 하부 플레이트(40)와, 관통공(55)에 결합되는 스크류(미도시됨)에 의해 커버(20)에 장착되며 하부 플레이트(40)에 대해 슬라이딩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41)에 대응되는 결합홈(51)이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50)와, 일단이 제1고정핀(42)에 의해 하부 플레이트(40)의 좌우방향의 중앙에서 편심된 위치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 플레이트(50)의 좌우방향으로의 중앙에 고정된 제2고정핀(52)에 의해 상부 프레이트(50)에 고정되며, 소정길이를 갖는 제1압축코일스프링(60)을 구비하여,
제1압축코일스프링(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하부 플레이트(40)에 대해 상부 플레이트(50)를 슬라이딩이동시켜 커버(20)를 본체(10)에 대해 개폐시킨다.
이때, 전술한 제1압축코일스프링(60) 양단을 하부 플레이트(40)와 상부 플레이트(50)에 각각 고정한 제1,2고정핀(42,52)에 인접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하부 플레이트(40)에 대해 상부 플레이트(50) 슬라이딩이동시 제1압축코일스프링(60)의 꼬임 방지 및 일측으로 쏠리지않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가이드핀(44,45)(54)을 구비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의 작동을 첨부도면중 도 5(a-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전술한 하부 플레이트(40)가 장착된 본체(10)에 대해 상부 플레이트(50)가 장착된 커버(20)의 닫힌 초기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사용자에 의해 전술한 커버(20)를 도면상, 상측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제1고정핀(42)을 기준으로 제2고정핀(52)이 상방향으로 약간 올라간다.
이로 인해, 상부 플레이트(50)가 하부 플레이트(40)를 따라 도면상, 상방향으로 약간 슬라이딩 이동되고, 제1압축코일스프링(60) 일단을 상부 플레이트(50)에 고정시킨 제2고정핀(52)에 근접되게 위치(도면상, 제2고정핀(52)의 우측방향에 위치함)하는 가이드핀(54)에 의해 압축력을 받게되는 제1압축코일스프링(60) 일단이 제2고정핀(52) 뒷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커버(20)를 상측방향으로 조금 더 미는 경우, 제1고정핀(42)을 기준으로 제2고정핀(52)이 도면상, 상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전술한 제2고정핀(52)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50)에 고정된 제1압축코일스프링(60) 일단이 상부 플레이트(50)의 가이드핀(54)에 의해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쏠리는 것이 방지되고, 제1고정핀(42)에 의해 하부 플레이트(40)에 고정된 제1압축코일스프링(60) 타단은 하부 플레이트(40)의 가이드핀(44)에 의해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쏠리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전술한 제1압축코일스프링(60)은 압축력과 탄성 복원력이 균형을 이루게되므로, 상부 플레이트(50)에 외부로 부터 더이상 힘이 가해지지않는 경우에 하부 플레이트(40)에 대해 상부 플레이트(50)는 순간적으로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커버(20)를 상측방향으로 조금 더 미는 경우, 제1압축코일스프링(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하부 플레이트(40)에 대해 상부 플레이트(50)를 도면상, 상측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킨다.
이때, 제1압축코일스프링(60) 일단은 상부 플레이트(50)의 제2고정핀(52)에 인접한 가이드핀(54)으로 부터 이탈되며, 제1압축코일스프링(60) 타단은 하부 플레이트(40)의 제1고정핀(42)에 인접한 가이드핀(44)에 의해 지지되어 쏠림이 방지된다.
도 5(e)는 전술한 제1압축코일스프링(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하부 플레이트(40)에 대해 상부 플레이트(50)가 완전하게 슬라이딩이동됨에 따라, 본체(10)에 대해 커버(20)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제1압축코일스프링(60) 일단은 상부 플레이트(50)의 제2고정핀(52)에 인접한 가이드핀(56)에 의해 저지되고, 압축코일스프링(60) 타단은 하부 플레이트(40)의 제1고정핀(42)에 인접한 가이드핀(44)에 의해 저지됨에 따라, 하부 플레이트(40)에 대해 상부 플레이트(50)의 슬라이딩이동시 제1압축코일스프링(60)의 꼬임이 방지되고 일측으로 쏠림이 방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10) 상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키패드(11)를 조작하여 통화를 하거나 메시지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술한 커버(20)는 제1압축코일스프링(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본체(10)에 대해 완전하게 개방되므로, 사용자는 커버(20)의 슬라이딩이동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없어 편리성을 갖는다.
또한, 전술한 하부 플레이트(40)에 대해 상부 플레이트(50)를 슬라이딩이동시켜 본체(10)에 대해 커버(20)를 개방 및 복귀시키도록 사용되는 기구적인 메카니즘과, 슬라이딩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등의 부품이 불필요하므로, 슬라이드 모듈(30)을 구성하는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원가비용을 줄이고, 작동이 원활하여 고장발생율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은, 일단이 전술한 하부 플레이트(40)의 제1고정핀(42)보다 하측에 배치된 제3고정핀(43)에 의해 하부 플레이트(42)에 고정되고, 타단이 전술한 상부 플레이트(50)의 제2고정핀(52)보다 하측에 배치된 제4고정핀(53)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50)에 고정되며, 소정길이를 갖는 제2압축코일스프링(70)을 더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제1,2압축코일스프링(60,70)은 제1고정핀 내지 제4고정핀(42,43,52,53) 외측으로 결합된 부싱(42a,43a,52a,53a)에 각각 고정된다.
전술한 본체(10)에 장착된 하부 플레이트(40)와, 본체(10)에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20)에 장착된 상부 플레이트(50) 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드 모듈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의 상세한 구조 및 작동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의 작동을 첨부도면중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는 전술한 하부 플레이트(40)가 장착된 본체(10)에 대해 상부 플레이트(50)가 장착된 커버(20)의 닫힌 초기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사용자에 의해 전술한 커버(20)를 도면상, 상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하부 플레이트(40)에 고정된 제3고정핀(43)을 기준으로 하여 상부 플레이트(50)에 고정된 제4고정핀(53)이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제2압축코일스프링(70)은 좌측,상방을 향하는 "U"자 형상으로 탄성변형되어 압축력을 받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전술한 하부 플레이트(40)의 제1고정핀(42)을 기준으로 하여 상부 플레이트(50)의 제2고정핀(52)이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제1압축코일스프링(60)은 좌측,하방을 향하는 "U"자 형상으로 탄성변형되어 압축력을 받게 된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커버(20)를 상측방향으로 조금 더 미는 경우, 하부 플레이트(40)의 제3고정핀(43)을 기준으로 상부 플레이트(50)의 제4고정핀(53)이 상측으로 올라와 제3,4고정핀(43,53)이 수평을 이루게 된다. 이때 ∪자 형상을 이루는 제2압축코일스프링(70)은 계속적으로 압축력을 받게 된다.
또한, 전술한 하부 플레이트(40)의 제1고정핀(42)을 기준으로 하여 상부 플레이트(50)의 제2고정핀(52)이 상측으로 올라와 제1,2고정핀(42,52)이 수평을 이루게 된다. 이때 ∩자 형상을 이루는 제1압축코일스프링(60)은 계속하여 압축력을 받게 된다.
이때, 전술한 제1,2압축코일스프링(60,70)은 압축력과 탄성 복원력이 균형을 이루게 되므로(이때, 제1,2압축코일스프링(60,70)은 대향되는 위치에 U자 형상을 이루게게됨), 상부 플레이트(50)에 외부로 부터 더이상 힘이 가해지지않는 경우에 하부 플레이트(40)에 대해 상부 플레이트(50)는 순간적으로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커버(50)를 상측방향으로 조금 더 미는 경우, 제1,2압축코일스프링(60,7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하부 플레이트(40)의 제1고정핀(42)과 제3고정핀(43)을 기준으로 하여 상부 플레이트(50)의 제2고정핀(52)과 제4고정핀(53)을 상측으로 밀게 된다. 즉 하부 플레이트(40)에 대해 상부 플레이트(50)를 도면상, 상측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킨다.
도 8(e)는 전술한 제1,2압축코일스프링(60,7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하부 플레이트(40)의 제1,3고정핀(42,43)을 기준으로 하여 상부 플레이트(50)의 제2,4고정핀(52,53)을 상측으로 밀게 되므로, 상부 플레이트(50)가 하부 플레이트(40)에 대해 완전하게 슬라이딩이동됨에 따라, 본체(10)에 대해 커버(20)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10) 상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키패드(11)를 조작하여 통화를 하거나 메시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1압축코일스프링(60) 일단이 제2고정핀(52)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50)의 좌우방향으로의 중앙에 고정됨에 따라, 제1,2압축코일스프링(60,70)의 탄성력 범위내에서 하부 플레이트(40)에 대해 상부 플레이트(50)를 적은 힘으로서 자연스럽게 슬라이딩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40)에 대해 상부 플레이트(50)의 슬라이딩이동시 제1,2압축코일스프링(60,70)의 상호 간섭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제1,2압축코일스프링(60,70)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압축코일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수의 키패드가 장착된 본체에 대해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커버를 슬라이딩이동시킴에 따라, 본체에 대한 커버의 개폐동작이 원활하여 고장발생율이 낮아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에 대해 커버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드 모듈의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조립하는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하여 가격경쟁력을 갖게 된다.
또한, 본체에 대한 커버의 슬라이딩이동 동작이 완료된 상태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슬라이드형 휴대폰에 장착되는 모듈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의 단면도,
도 5(a-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의 단면도,
도 8(a-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본체
20; 커버
30; 슬라이드 모듈
40; 하부 플레이트
41; 가이드레일
42,43,52,53; 제1고정핀 내지 제4고정핀
44,45,54,56; 가이드핀
50; 상부 플레이트
51; 결합홈
42a,43a,52a,53a; 부싱
60; 제1압축코일스프링
70; 제2압축코일스프링

Claims (4)

  1. 키패드가 장착된 본체와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커버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커버를 본체에 대해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시키는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가이드레일이 양측면에 형성된 하부 플레이트;
    상기 커버에 장착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딩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 및
    일단이 제1고정핀에 의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부 플레이트의 좌우방향으로의 중앙에 고정된 제2고정핀에 의해 상부 프레이트에 고정되며, 소정길이를 갖는 제1압축코일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제1압축코일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대해 상부 플레이트를 슬라이딩이동시켜 상기 커버를 본체에 대해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압축코일스프링 양단을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에 각각 고정하는 제1,2고정핀에 인접하게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대해 상부 플레이트 슬라이딩이동시 상기 제1압축코일스프링의 꼬임을 방지하거나 일측으로 쏠리지않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가이드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제1고정핀보다 하측에 배치된 제3고정핀에 의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부 플레이트의 제2고정핀보다 하측에 배치된 제4고정핀에 의해 상기 상부 프레이트에 고정되며, 소정길이를 갖는 제2압축코일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2압축코일스프링은 상기 제1고정핀 내지 제4고정핀 외측으로 결합된 부싱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KR1020040020873A 2004-03-26 2004-03-26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KR100655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873A KR100655114B1 (ko) 2004-03-26 2004-03-26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US10/998,763 US20050215298A1 (en) 2004-03-26 2004-11-29 Slide type mobile phone module
CNU2004200581957U CN2788467Y (zh) 2004-03-26 2004-11-29 滑盖型移动电话机的模组
EP04028796A EP1583328A1 (en) 2004-03-26 2004-12-04 Slide type mobile phone module
JP2004356256A JP4020910B2 (ja) 2004-03-26 2004-12-09 スライド型携帯電話機用モジュー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873A KR100655114B1 (ko) 2004-03-26 2004-03-26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455A true KR20050095455A (ko) 2005-09-29
KR100655114B1 KR100655114B1 (ko) 2006-12-08

Family

ID=36786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873A KR100655114B1 (ko) 2004-03-26 2004-03-26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215298A1 (ko)
EP (1) EP1583328A1 (ko)
JP (1) JP4020910B2 (ko)
KR (1) KR100655114B1 (ko)
CN (1) CN2788467Y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248B1 (ko) * 2006-06-30 2008-01-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슬림화를 구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9535A1 (en) * 1998-01-16 2005-03-03 Johannes Reinmuller Device and method for cosmetically treating cellulite
KR100617673B1 (ko) * 2004-12-06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및 이를채용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721337B1 (ko) * 2004-12-22 2007-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 슬라이딩형 전자장치
KR200382520Y1 (ko) * 2005-02-01 2005-04-20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US7248201B2 (en) * 2005-03-07 2007-07-24 War Corporation Key fob with automatic cover release
TW200644566A (en) * 2005-06-02 2006-12-16 Benq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70060220A1 (en) * 2005-09-14 2007-03-15 An-Szu Hsu Gliding structure for glide-open type mobile phone
DE112005003703T5 (de) * 2005-09-23 2008-07-10 Amphenol Phoenix Co., Ltd., Hwaseong Öffnungs- und Schließvorrichtung in Gleitbauweise zur Verwendung in Mobiltelefonen
KR100663500B1 (ko) 2005-11-07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754594B1 (ko) * 2005-11-07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JP4738161B2 (ja) * 2005-12-21 2011-08-03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電話機
US20070155448A1 (en) * 2006-01-04 2007-07-05 Jia-Sing Hong Sliding mechanism of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4669426B2 (ja) * 2006-03-28 2011-04-13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電子機器
TW200742390A (en) * 2006-04-28 2007-11-01 Benq Corp Sliding mechanism for moving electronic device
TWI313125B (en) * 2006-05-03 2009-08-01 Electronic device having a slidable cover which slides via a rack
US7548769B2 (en) * 2006-08-02 2009-06-16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Sliding device
CN101136951A (zh) * 2006-08-29 2008-03-05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手持式电子装置
WO2008059894A1 (fr) * 2006-11-14 2008-05-22 Panasonic Corporation Terminal portable coulissant
JP5199597B2 (ja) * 2006-11-14 2013-05-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ライド型携帯端末
EP2134064A4 (en) 2007-03-30 2017-03-15 NEC Corporation Portable device
CN101647262A (zh) 2007-03-30 2010-02-10 日本电气株式会社 移动设备的滑动结构及移动设备
TW200843612A (en) * 2007-04-19 2008-11-01 Benq Corp Sliding-type opening device
JP2009177769A (ja) * 2007-05-18 2009-08-06 Strawberry Corporation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853659B1 (ko) * 2007-05-28 2008-08-25 (주)엘티엠에이피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식 개폐장치
JP4842223B2 (ja) * 2007-07-27 2011-12-21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スライドモジュール
TWI337518B (en) 2007-11-07 2011-02-11 Htc Corp Electronic device
US7752710B2 (en) * 2007-12-17 2010-07-13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Sliding hinge
WO2009104747A1 (ja) 2008-02-22 2009-08-27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機器
CN102037799B (zh) * 2008-04-17 2013-04-17 莱尔德电子材料(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设备的emi屏蔽滑动组件
CN101573011B (zh) * 2008-04-28 2012-07-1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盖机构及应用该滑盖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TWI394422B (zh) * 2008-05-30 2013-04-21 Fih Hong Kong Ltd 滑蓋機構及應用該滑蓋機構之攜帶式電子裝置
TWI407757B (zh) * 2008-09-12 2013-09-01 Fih Hong Kong Ltd 滑蓋機構及具該滑蓋機構之攜帶型電子裝置
TWM353403U (en) * 2008-11-14 2009-03-21 Ascend Top Entpr Co Ltd Assembling structure
CN101753643B (zh) * 2008-12-12 2013-12-04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立体旋转翻盖式手机
JP4638937B2 (ja) * 2008-12-26 2011-02-23 三菱製鋼株式会社 スライド型ヒンジ機構
US8787995B2 (en) 2010-05-20 2014-07-22 Nec Corporation Portable device
WO2011145259A1 (ja) 2010-05-20 2011-11-24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機器
CN103098448B (zh) 2010-05-20 2015-07-08 日本电气株式会社 便携式装置
US8598981B2 (en) * 2011-02-18 2013-12-03 Tore Etholm Idsøe Key fob with protected biometric sensor
JP5922486B2 (ja) * 2012-05-10 2016-05-24 京セラ株式会社 スライド型電子機器
TWI489248B (zh) * 2012-06-15 2015-06-21 Wistron Corp 用來導引連接於顯示模組與主機模組之軟性電路板之導引機構與其可攜式電子裝置
TWI489284B (zh) * 2013-07-16 2015-06-21 Wistron Corp 用來驅動第一模組相對殼體移動之驅動系統及其電子裝置
TWM533704U (en) * 2016-09-06 2016-12-11 Syncmold Entpr Corp Slide module
US10247238B1 (en) * 2018-03-28 2019-04-02 Guy R. Chaifetz Sliding track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33C (zh) * 1994-05-17 2002-02-27 索尼公司 便携式电话装置
US6256481B1 (en) * 1997-04-26 2001-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icrophone connecting device for flip type portable telephone
GB2340333B (en) * 1998-08-04 2002-07-31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 telephone
US6483445B1 (en) * 1998-12-21 2002-11-19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hidden keyboard
JP2003179678A (ja) * 2001-10-03 2003-06-27 Nec Corp 携帯電話機
KR20030046618A (ko) * 2001-12-06 2003-06-18 안임순 급액용 용기
JP2003298699A (ja) * 2002-03-29 2003-10-17 Nec Corp スライド型携帯電話機
US7082196B2 (en) * 2003-06-30 2006-07-25 Nokia Corporation Flexible structure, hinge, shutter, mobile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obile telephone
KR100694258B1 (ko) * 2003-07-25 200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248B1 (ko) * 2006-06-30 2008-01-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슬림화를 구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83328A1 (en) 2005-10-05
US20050215298A1 (en) 2005-09-29
JP2005286994A (ja) 2005-10-13
KR100655114B1 (ko) 2006-12-08
CN2788467Y (zh) 2006-06-14
JP4020910B2 (ja) 200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5114B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KR100617690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US7184806B2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terminal
KR100698581B1 (ko) 슬라이딩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딩개폐장치
US8200299B2 (en) Portable terminal
EP2034700A1 (en)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62869B1 (ko) 단말기
US7953464B2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1035126B1 (ko) 자판 내장형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1733808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모듈
KR10068135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힌지 장치
KR100800808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754594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200353356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KR100799623B1 (ko) 슬라이드 다운 개폐방식의 휴대 단말기
KR200353355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KR20070036862A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
KR100658934B1 (ko)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
KR100749747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019679B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376816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 모듈
KR200411625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100044683A (ko) 자판 내장형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90047416A (ko)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어셈블리
KR101052609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