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8934B1 -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 - Google Patents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8934B1
KR100658934B1 KR1020060004599A KR20060004599A KR100658934B1 KR 100658934 B1 KR100658934 B1 KR 100658934B1 KR 1020060004599 A KR1020060004599 A KR 1020060004599A KR 20060004599 A KR20060004599 A KR 20060004599A KR 100658934 B1 KR100658934 B1 KR 100658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cam
mobile phone
main body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4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경
하상우
강권진
정문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4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9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에 관한 것으로, 본체부(20); 본체부(20)와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30); 디스플레이부(30)를 본체부(20)에 대해 회동 개폐가능하게 하는 힌지부(40); 본체부(20)에 설치되는 캠모듈(50); 힌지부(40)에 지지된 상태에서 캠모듈(50)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부(30)를 본체부(20)에 대해 슬라이딩 개폐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캡(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폴더/슬라이드 전환구조가 단순화됨으로써 모바일폰의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은 물론이고 그 사용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체부, 디스플레이부, 힌지부, 캠모듈, 슬라이드캡

Description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 {MOBILE PHONE OF FOLDABLE AND SLIDABLE TY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의 캠모듈 및 슬라이드캡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의 캠모듈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의 캠모듈을 도시한 전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의 캠모듈을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7a, 7b, 7c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의 캠모듈 작동상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의 작동상태 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본체부 22 : 개방홀
30 : 디스플레이부 40 : 힌지부
50 : 캠모듈 60 : 베이스부
62 : 가이드홀 70 : 슬라이딩부
72 : 가이드바아 74 : 슬라이딩브래킷
75 : 몸체부 76 : 롤러부
80 : 캠부 81a : 변곡부
81b,81c : 안착부 82 : 캠
84 : 탄성부재 86 : 지지축
90 : 슬라이드캡
본 발명은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를 폴더/슬라이드 타입으로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는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폰은 실내 또는 실외 뿐 아니라 이동 중에도 사용할 수 있는 무선통신기기의 일종으로서, 음성 송·수신에 한정되었던 기능이 인터넷은 물론이고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기로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폰은 그 개폐구조에 따라 플림(Flip), 폴더(Fold) 및 슬라이드(Slide) 타입 등으로 구분되며, 현재는 폴더 또는 슬라이드 타입이 주를 이루고 있다.
폴더 또는 슬라이드 타입의 모바일폰은 그 기능적인 측면이나 사용상의 편리성 측면에서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경우 그에 따른 장·단점이 있다. 예컨대, 전화 기능 및 내구성 측면에서 보면 슬라이드 타입에 비해 폴더 타입의 모바일폰이 장점이 있으나, 멀티미디어 기능 및 디자인성 측면에서 보면 폴더 타입에 비해 슬라이드 타입의 모바일폰이 유리하다.
최근에 들어,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폴더/슬라이드 타입으로 자유롭게 전환시킬 수 있는 모바일폰이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지닌 모바일폰은 공개특허공보 10-2005-0060827, 10-2005-0061196, 10-2005-0011777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모바일폰은 폴더/슬라이드 타입으로의 디스플레이부 전환구조는 물론이고 그 결합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불안정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모바일폰의 조립성 및 사용성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내구성을 저하시 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모바일폰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워져 외관이 컴팩트(Compact)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단순히 디스플레이부를 폴더/슬라이드 타입으로 전환시키는 기능만을 고려함으로 인해, 영화감상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분히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의 폴더/슬라이드 전환구조를 단순화시킴과 아울러 그 외형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회동 개폐가능하게 하는 힌지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캠모듈; 상기 힌지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캠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딩 개폐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캠모듈은, 상기 본체부 내에 마련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캡과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캡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베이스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 동작을 제어하는 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슬라이딩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바아; 상기 슬라이드캡에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바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브래킷은, 상기 슬라이드캡에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바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상기 캠부를 따라 구름 접촉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중앙에 변곡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양단에는 상기 롤러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캠; 상기 캠을 지지하며, 상기 롤러부의 구름 접촉에 의해 상기 캠을 탄력적으로 유동시키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의 중앙 및 양단은 지지축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며,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롤러부의 구름 접촉시 상기 캠이 상하로 평행하게 유동되도록 상기 지지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Mobile Phone)은 사각형 구조를 지닌 본체부(20); 본체부(20)와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30); 디스플레이부(30)를 본체부(20)에 대해 회동 개폐가능하게 하는 힌지부(40); 본체부(20)에 설치되는 캠모듈(50); 힌지부(40)에 지지된 상태에서 캠모듈(50)에 결합되는 슬라이드캡(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20)의 상면에는 각종 키(Key)가 구비되어 있는 쿼티키패드(Qwerty Keypad)(24)가 마련되어, 각종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Instant Messasing Service) 뿐만 아니라 문자메시지(SMS), 이메일(E-mail) 등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체부(20)의 상부 테두리영역에는 슬라이드캡(90)을 캠모듈(50)에 합시키기 위하여 개방홀(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캠모듈(50)의 일 영역은 개방홀(2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디스플레이부(30)는 본체부(20)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지니고 있으며, 일측 테두리 영역에는 힌지부(40)가 결합되는 힌지결합홀(32)이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의 전면 및 후면에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창(34)이 구비되어 있다.
힌지부(40)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디스플레이부(30)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 어 슬라이드캡(90)과 결합되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즉, 한지부(40)는 그 일단이 디스플레이부(30)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결합홀(32)에 결합됨과 아울러 타단은 슬라이드캡(9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슬라이드캡(9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캠모듈(50)은 슬라이드캡(90)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본체부(20) 내에 설치되며, 슬라이드캡(90)은 디스플레이부(30)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캠모듈(5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30)를 본체부(20)에 대해 슬라이딩 개폐시킨다.
캠모듈(50)의 세부적인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힌지부(40) 및 슬라이드캡(90)은 일체형 구조를 가짐으로써 디스플레이부(30)를 본체부(20)에 대해 폴더/슬라이드시는 구조가 상대적으로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캠모듈(50)은 본체부(20) 내에 마련되는 베이스부(60); 베이스부(60) 상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부(70); 슬라이딩부(70)와 접촉되도록 베이스부(60) 상에 설치되는 캠부(8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60)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구조를 가지며, 본체부(20)에 스크류 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베이스부(60)에는 가이드돌기(62)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돌기(62) 사이에는 지지돌기(6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홀(62)은 베이스부(60)의 중앙 및 양단에 3개 형성되며, 지지돌기(64) 는 가이드홀(62) 사이에 2개씩 총 4개가 형성된다. 가이드홀(62) 및 지지돌기(64) 설치개수 및 그 배치간격은 적절히 조절 가능하다.
베이스부(60)의 상측에는 스크류가 관통되는 스크류관통홀(66)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부(70)는 슬라이드캡(90,도2참조)과 결합되어 슬라이드캡(90,도2참조)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30,도2참조)를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슬라이딩부(70)는 본체부(20,도2참조)에 형성되어 있는 개방홀(22,도2참조)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슬라이딩부(70)는 베이스부(60)에 설치되는 가이드바아(72); 슬라이드캡(90,도2참조)에 지지되어, 가이드바아(7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브래킷(74)을 포함한다.
가이드바아(72)는 장형의 바아(Bar) 구조를 가지고 베이스부(60)의 상측에 한 쌍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가이드바아(72)의 구조는 슬라이딩브래킷(74)을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슬라이딩브래킷(74)은 슬라이드캡(90,도2참조)에 지지되어, 가이드바아(7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75); 몸체부(75)에 결합되어, 몸체부(75)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캠부(80)를 따라 구름 접촉되는 롤러부(76)를 포함한다.
몸체부(75)는 슬라이드캡(90,도2참조)에 스크류 결합시킬 수 있도록 그 일측에 베이스부(60)의 스크류관통홀(66)과 대응되는 스크류홀(75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브래킷(74)의 구조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캠부(80)는 슬라이딩부(70)의 슬라이딩 동작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30,도2참조)의 슬라이딩 개폐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캠부(80)는 베이스부(60)에 설치되며, 중앙에 변곡부(81a)가 형성됨과 아울러 양단에는 슬라이딩브래킷(74)의 롤러부(76)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안착부(81b,81c)가 형성되어 있는 캠(82); 캠(82)의 하부를 지지하며, 슬라이딩브래킷(74)의 롤러부(76)의 구름 접촉에 의해 캠(82)을 탄력적으로 유동시키는 탄성부재(84)를 포함한다.
캠(82)은 변곡부(81a)를 기준으로 양측에 하향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착부(81b,81c)는 디스플레이부(30,도2참조)의 폐쇄 및 개방시 슬라이딩브래킷(74)의 롤러부(76)가 안착되는 장소이다.
한편, 캠(82)의 안착부(81b,81c) 상에 안착된 슬라이딩브래킷(74)의 롤러부(76)는 외부로부터 일정 이상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유동되지 않는다. 즉, 슬라이딩브래킷(74)의 롤러부(76)는 외부로부터 일정 이상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캠(82)의 안착부(81b,81c)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탄성부재(84)는 베이스부(60)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돌기(64)에 지지된 상태로 캠(82)의 하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롤러부(76)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한 캠(82)의 유동에 의해 압축된다.
탄성부재(84)로는 스프링을 비롯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캠(82)의 중앙 및 양단은 지지축(86)에 의해 베이스부(60)에 지지되며, 지지축(86)은 롤러부(76)의 구름 접촉시 캠(82)이 상하로 유동되도록 가이드홀(62)에 삽입되어 있다.
가이드홀(62)은 캠(82) 전체가 평행하게 유동되도록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지지축(92)을 가이드하는 바람직하다.
그리고 캠(82)의 중앙 및 양단에는 지지축(86)이 관통되는 축관통홀(81d)이 형성되고, 베이스부(60)의 배면에는 지지축(86)이 수직으로 안정되게 유동되도록 플레이트(94)가 지지축(86)에 결합되어 플레이트안착홈(96) 상에 안착되어 있다.
한편, 별도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베이스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직선형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양단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곡선형으로 형성하여, 롤러부의 구름 접촉시 캠이 시소 타입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캠모듈의 작동상태를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간단히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디스플레이부(30,도2참조)가 닫혀져 있을 경우에는,도 7a에서와 같이 몸체부(75)에 결합되어 있는 롤러부(76)가 캠(82)의 좌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부(81b) 상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복수의 탄성부재(84)는 캠(82)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도 7b에서와 같이, 외부로부터의 일정 외력에 의해 몸체부(75)에 결합되어 있는 롤러부(76)가 캠(82)의 좌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부(81b)를 벗어나 복수의 탄성부재(84)를 압축시키면서 캠(82)의 경사면을 타고 상부로 이동된다.
이 때, 캠(82)은 지지축(86)이 가이드홀(62)을 따라 하강함에 따라 평행한 상태로 이동된다.
그리고 몸체부(75)에 결합되어 있는 롤러부(76)가 변곡부(81a)를 통과함에 따라 롤러부(76)는 자동으로 캠(82)의 경사면을 타고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도 7c에서와 같이 캠(82)의 우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부(81c) 상에 안착된다.
이 때, 복수의 탄성부재(84)는 서서히 원 상태로 복귀되고, 이에 따라 지지축(86)이 가이드홀(62)을 따라 상승함에 따라 캠(82)이 평행한 상태로 이동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폰은 힌지부(40), 캠모듈(50,도2참조) 및 슬라이드캡(90)을 통해 폴더/슬라이드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힌지부(4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30)를 본체부(20)에 대해 폴더 타입으로 회동 개폐시킬 수 있으며, 슬라이드캡(90)이 캠모듈(50,도2참조)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30)를 본체부(20)에 대해 슬라이드 타입으로 슬라이딩 개폐시킬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30)의 슬라이딩 개폐동작은 디스플레이부(30)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물론이고 디스플레이부(30)가 열려져 있는 상태에서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의 폴더/슬라이드 전환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모바일폰의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은 물론이고 그 사용성 및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편측 슬라이딩 구조를 가짐으로써 모바일폰의 두께를 한층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현하는 데 유리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회동 개폐가능하게 하는 힌지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캠모듈;
    상기 힌지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캠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딩 개폐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모듈은,
    상기 본체부 내에 마련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캡과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캡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베이스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 동작을 제어하는 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슬라이딩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방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바아; 상기 슬라이드캡에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바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브래킷은,
    상기 슬라이드캡에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바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상기 캠부를 따라 구름 접촉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며, 중앙에 변곡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양단에는 상기 롤러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캠; 상기 캠을 지지하며, 상기 롤러부의 구름 접촉에 의해 상기 캠을 탄력적으로 유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캠의 중앙 및 양단은 지지축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되며,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롤러부의 구름 접촉시 상기 캠이 상하로 유동되도록 상기 지지축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
KR1020060004599A 2006-01-16 2006-01-16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 KR100658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599A KR100658934B1 (ko) 2006-01-16 2006-01-16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4599A KR100658934B1 (ko) 2006-01-16 2006-01-16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8934B1 true KR100658934B1 (ko) 2006-12-15

Family

ID=37733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4599A KR100658934B1 (ko) 2006-01-16 2006-01-16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89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769B1 (ko) 2007-01-29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휴대 통신 장치
KR101001218B1 (ko) 2009-03-20 2010-12-15 (주) 유원컴텍 슬라이드 폴더 겸용 휴대용 단말기
US11594188B1 (en) 2021-09-24 2023-02-28 Samsung Display Co., Ltd. Data driver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769B1 (ko) 2007-01-29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휴대 통신 장치
KR101001218B1 (ko) 2009-03-20 2010-12-15 (주) 유원컴텍 슬라이드 폴더 겸용 휴대용 단말기
US11594188B1 (en) 2021-09-24 2023-02-28 Samsung Display Co., Ltd. Data driver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922891B2 (en) 2021-09-24 2024-03-05 Samsung Display Co., Ltd. Data driver that sets data output orders of channels based on data output order information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5114B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EP1988691B1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0617690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1408322B1 (ko) 힌지 메카니즘을 가진 전자 디바이스
EP2134065B1 (en) Portable terminal
KR100619183B1 (ko) 틸팅 가능한 슬라이드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US7953464B2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0658934B1 (ko)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
KR100658307B1 (ko) 폴더/슬라이드 겸용 모바일폰
KR10068135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힌지 장치
KR20060122583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99623B1 (ko) 슬라이드 다운 개폐방식의 휴대 단말기
KR100899741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200338310Y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20100009708U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703352B1 (ko) 돌출식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02586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틸트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KR200353356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KR101019679B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86639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KR100801162B1 (ko) 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 개폐장치
KR20100054425A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200353355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KR20100044683A (ko) 자판 내장형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100056862A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