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271A - 두부제조설비의 제품회전장치 - Google Patents

두부제조설비의 제품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271A
KR20050095271A KR1020040020542A KR20040020542A KR20050095271A KR 20050095271 A KR20050095271 A KR 20050095271A KR 1020040020542 A KR1020040020542 A KR 1020040020542A KR 20040020542 A KR20040020542 A KR 20040020542A KR 20050095271 A KR20050095271 A KR 20050095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guide bar
tofu
conveyor
m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택
Original Assignee
정성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택 filed Critical 정성택
Priority to KR1020040020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5271A/ko
Publication of KR20050095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27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40Pulse curds
    • A23L11/45Soy bean curds, e.g. tof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65B35/58Turning articles by positively-acting means, e.g. to present labelled portions in uppermost 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은 모단위로 두부 밀봉포장을 마친 제품을 마킹공정으로 진행시키기 전에 90° 회전시켜주는 두부제조설비의 제품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킹작업을 위해 제품을 90° 회전시켜주는 수단으로 제품의 진행력에 의해 자동으로 방향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간단한 구조의 2단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 및 제작비용의 저렴화로 두부제조설비의 전체적인 규모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제품의 진행력을 그대로 이용하여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식이므로 사이클 타임의 손실없이 연속진행을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측면에서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두부제조설비의 제품회전장치{Turning device for bean curd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두부 밀봉포장을 마친 제품을 마킹공정으로 진행시키기 전에 90° 회전시켜주는 두부제조설비의 제품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유통기한 등을 포장지에 인쇄되어 있는 문양이나 상표 등과 바르게 마킹하기 위해 제품을 90°회전시켜주는 수단으로 2단 가이드장치를 포함하는 제품회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턴테이블 등과 같은 회전장치에 비해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두부제조설비의 전체적인 규모를 줄일 수 있고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생산성측면에서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두부제조설비의 제품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포장용 두부는 자동화설비에 의해 대부분 제조되고 있는 추세이며, 그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적정입도의 원료를 선별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정선/석발/세척공정과, 깨끗이 정수된 물의 제공과 원료를 불리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침지공정과, 원료를 분쇄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마쇄공정과, 원료를 끓이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가열/숙성공정과, 두즙을 두유와 비지로 분리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여과공정과, 응고제 투입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응고공정과, 응고된 순두부를 성형상자에 투입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성형/압착공정과, 성형된 판두부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절단/담기공정과, 케이스에 담긴 두부를 컨베이어로 자동 이송한 후 충진수 공급 및 밀봉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포장공정과, 두부의 숙성을 위한 가열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열탕/냉각공정과, 냉각완료된 제품을 선별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선별검사공정 후 제품을 출하하는 공정을 통해 포장용 두부가 제조된다.
특히, 상기 포장공정에서는 두부가 담긴 케이스가 컨베이어를 따라 진행하면 포장지 공급→포장지 열융착 밀봉→케이스 단위별 절단의 과정을 거치게 되고, 절단 후 제품은 컨베이어를 따라 진행된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접촉식 마킹머신(100)에 의해 포장지 전면에 생산일자, 유통기한, 생산자 등이 마킹되는 과정이 수행된다.
보통 기존의 두부제조설비에서는 라인구성상 제품의 포장지에 인쇄되어 있는 문양이나 상표 등의 방향과 비접촉식 마킹머신(100)의 마킹방향이 90°옆으로 틀어지게 배치됨에 따라 마킹공정 전에 제품을 90°돌린 후 마킹공정으로 보내줌으로써, 포장지의 문양 또는 상표에 대해 생산일자, 유통기한, 생산자 등이 제품의 진행방향으로 바르게 나란히 마킹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는 상기 비접촉식 마킹머신(100)이 도트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또 진행되는 제품에 보통 2∼8라인으로 문자를 진행방향으로 마킹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수작업 또는 자동날인기를 도입하여 날인하는 방식에 의존하거나 또는 컨베이어상에 턴테이블 등의 장치를 설치하여 제품을 90° 회전시켜 주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는데, 수작업의 경우 인건비 증가를 초래하거나 작업능률이 떨어지고, 자동날인기 또는 턴테이블의 경우 두부제조설비의 전체적인 규모를 커지게 하거나 또 구조를 복잡하게 하여 설비의 제작단가를 너무 높이는 단점이 있으며, 또 신속한 연속진행과정을 중요시하는 자동화라인의 특성면에서 볼 때 턴테이블을 이용하여 제품을 90°회전시키는 사이클 타임만큼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마킹작업을 위해 제품을 90°회전시켜주는 수단으로 제품의 진행력에 의해 자동으로 방향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간단한 구조의 2단 가이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 및 제작비용의 저렴화로 두부제조설비의 전체적인 규모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제품의 진행력을 그대로 이용하여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식이므로 사이클 타임의 손실없이 연속진행을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측면에서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품포장설비의 윗쪽 제품배출부와 마킹설비측으로 향하는 아래쪽 컨베이어 사이에 하향 경사지게 한쌍의 가이드바 및 제품을 받쳐주는 슈트를 설치하되, 한쪽 바의 길이중간에는 제품진행경로 안쪽으로 돌출되는 전환턱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전환턱부의 맞은편 바에는 돌출정도에 상응하는 외향 절곡부를 형성하여 가이드바로 진입하는 제품이 전환턱부에 부딪히면서 방향이 90°전환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의 전환턱부에는 원형봉 또는 롤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는 그 하단부에 컨베이어의 양편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보조 가이드바를 구비하여 제품이 컨베이어상에서 90°방향 전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회전장치의 정면구성도,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회전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품회전장치는 서로 나란한 한쌍의 가이드바(12)와 이 가이드바(12)의 저부에 조합되어 미끄러지는 제품을 밑에서 받쳐주는 슈트(13)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바(12)는 제품의 폭에 맞는 간격을 유지하는 2개의 바가 나란하게 조합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2개의 바 중에서 한쪽 바의 길이중간은 안쪽, 즉 제품의 진행경로에 간섭을 줄 수 있는 내측으로 일부 들어간 상태로 돌출되는 전환턱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전환턱부(14)의 맞은편 바에는 제품의 방향전환시 옆으로 제품이 이동하는 거리만큼의 필요한 간격을 확보할 수 있는 외향 절곡부(15), 즉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휘어져 있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이드바(12)는 전체적으로 제품이 진입하는 초입부터 중간까지의 제품안내경로와 방향전환된 제품이 진출하는 중간부터 끝까지의 제품안내경로가 서로 한쪽 옆으로 틀어져 있는 2단의 제품안내경로를 갖게 된다.
이때의 상기 전환턱부(14)는 돌출정도가 너무 작으면 전환이 제대로 이루어지 않게 되거나, 또 돌출정도가 너무 크면 전환시 제품이 옆으로 회전되는 반경이 커서 그만큼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기 제품의 전체 폭의 약 30∼50mm 정도에 상응하는 크기 정도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전환턱부(14)에는 원형봉이나 롤러가 세워진 상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원형봉이나 롤러에 제품이 직접 부딪히게 함으로써 제품의 전환이 좀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12)에는 하단부에 컨베이어(11)의 위쪽 양옆으로 길게 연장되는 보조 가이드바(16)가 구비되어 있어서 방향전환된 제품이 컨베이어(11)상에 미끄러져 놓여진 후 벨트를 따라 이동될 때 전환된 방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슈트(13)는 가이드바(12)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고 또 안내될 때 미끄러져 내려가는 제품을 받쳐줌으로써 제품의 진행을 원활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회전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바(12)는 밀봉포장을 마친 제품이 절단공정에서 단품으로 절단된 후 배출되는 윗쪽의 제품배출부(10)와 마킹을 위한 마킹설비측으로 향하는 아래쪽 컨베이어(11) 사이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슈트(13)는 가이드바(12)의 아래쪽을 받쳐주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때의 슈트(12)는 일정한 높이의 벽면을 이용하여 제품이 옆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도 한다.
이렇게 설치되는 가이드바(12)의 상단부 제품안내경로, 즉 제품이 진입하는 초입부터 중간까지의 경로는 제품에 대한 밀봉, 절단 등의 공정을 수행하는 라인과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게 되고, 이곳에서부터 약간 옆으로 방향이 어긋나게 하단부의 제품안내경로, 즉 제품이 진출하는 중간부터 끝까지의 경로가 연이어서 배치될 수 있게 되며, 계속해서 컨베이어(11) 라인과 이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품배출부(10)로부터 배출되는 제품은 상기와 같은 2단 구조의 가이드바(12)와 슈트(13)를 타고 미끄러져 내려오면서 구간 중간쯤에서 90°방향전환되고, 이렇게 방향전환된 상태로 재차 미끄러져 내려오면서 컨베이어(11)상에 놓여져 이송하게 된다.
도 4a,4b,4c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회전장치에서 제품이 90°회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품포장설비에서 두부가 들어있는 케이스에 대한 밀봉 및 밀봉을 마친 케이스에 대한 절단을 마친 단위체의 제품은 절단공정영역과 곧바로 이어지는 제품배출부(10)까지 체인에 연결되어 반경을 그리면서 이동하는 몰드(18) 내에 수용된 상태로 진행되고, 이곳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롤러(17)에 의해 제품은 몰드(18)로부터 이탈되면서 곧바로 가이드바(12) 내로 진입, 즉 가이드바(12)를 타고 안내되어 미끄러져 내려오기 시작한다.
가이드바(12)의 진입초기에는 제품은 케이스의 양측 날개부분이 가이드바(12)의 상단 휘어진 부분에 안내되어 진행하면서 가이드바(12)의 상면에 걸치는 상태로 안내된다.
계속해서 가이드바(12)를 타고 내려오는 제품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옆부분이 그 진행경로 안쪽으로 튀어나와 있는 전환턱부(14)에 부딪히게 되고, 이때의 간섭에 의해 제품은 옆으로 90°회전하면서 방향이 전환되며, 이렇게 방향이 전환된 상태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바(12) 및 슈트(13)의 나머지 구간을 따라 아래로 미끄러져 내려와 그 아래쪽의 컨베이어(11)상에 놓여지게 된다.
여기서, 제품은 전환턱부(14)에 부딪혀 옆으로 회전한 후 맞은편의 외향 절곡부(15)에 재차 저지되면서 더 이상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게 되므로 정확히 90°회전될 수 있으며, 이때의 턱의 돌출정도, 절곡부의 절곡정도를 제품의 폭, 내려오는 속도(경사정도)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면 제품의 정확한 90°방향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컨베이어(11)상의 제품은 그 방향이 최초상태(가이드바 진입 전 상태, 즉 상표나 문양이 제품진행 방향과 90°틀어진 상태)에서 90°방향이 전환된 상태(상표나 문양이 제품진행 방향과 같은 상태)로 컨베이어(11)를 따라 마킹공정으로 진행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비첩촉식 마킹머신에 의한 마킹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때의 비접촉식 마킹머신에 의해 수행되는 생산일자, 유통기한, 생산자 등의 표시는 포장지 전면에 인쇄되어 있는 문양이나 상표 등과 바르게 마킹될수 있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제품이 정사각 형태이면 상기 가이드바(12)의 상,하측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며, 제품이 직사각 형태이면 본 실시예와 같이 전환턱부(14)를 기준으로 상,하측 폭이 달라질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기술사상 내에서 여러 변형이 가능한 것이고 이러한 변형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당연한 것이라 하겠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두부제조설비에 설명을 한정하였지만 현재 이와 유사한 사각형태의 포장팩을 다루는 다른 식료품(마늘, 콩 등등)설비에서도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것이 본원 발명의 권리범위를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마킹작업을 위한 제품의 90°회전시 제품의 진행력에 의해 자동으로 방향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간단한 구조의 2단 가이드장치를 포함하는 제품회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구조의 단순화 및 제작비용의 저렴화로 두부 제조설비의 전체적인 규모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제품의 진행력을 그대로 이용함에 따라 사이클 타임의 손실없이 연속진행을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회전장치의 정면구성도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회전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a,4b,4c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회전장치에서 제품이 90° 회전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상태도
도 5는 비접촉식 마킹머신의 마킹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품배출부 11 : 컨베이어
12 : 가이드바 13 : 슈트
14 : 전환턱부 15 : 외향 절곡부
16 : 보조 가이드바 17 : 배출롤러

Claims (3)

  1. 제품포장설비의 윗쪽 제품배출부(10)와 마킹설비측으로 향하는 아래쪽 컨베이어(11) 사이에 하향 경사지게 한쌍의 가이드바(12) 및 제품을 받쳐주는 슈트(13)를 설치하되, 한쪽 바의 길이중간에는 제품진행경로 안쪽으로 돌출되는 전환턱부(14)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전환턱부(14)의 맞은편 바에는 돌출정도에 상응하는 외향 절곡부(15)를 형성하여 가이드바(12)로 진입하는 제품이 전환턱부(14)에 부딪히면서 방향이 90°전환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제조설비의 제품회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12)의 전환턱부(14)에는 원형봉 또는 롤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제조설비의 제품회전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12)는 그 하단부에 컨베이어(11)의 양편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보조 가이드바(16)를 구비하여 제품이 컨베이어(11)상에서 90°방향 전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제조설비의 제품회전장치.
KR1020040020542A 2004-03-25 2004-03-25 두부제조설비의 제품회전장치 KR200500952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542A KR20050095271A (ko) 2004-03-25 2004-03-25 두부제조설비의 제품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542A KR20050095271A (ko) 2004-03-25 2004-03-25 두부제조설비의 제품회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829U Division KR200352705Y1 (ko) 2004-03-30 2004-03-30 두부제조설비의 제품회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271A true KR20050095271A (ko) 2005-09-29

Family

ID=37275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542A KR20050095271A (ko) 2004-03-25 2004-03-25 두부제조설비의 제품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52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769B1 (ko) * 2006-11-16 2007-09-14 주식회사 한국 오에프에이시스템 두부의 심온 냉각 자동창고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769B1 (ko) * 2006-11-16 2007-09-14 주식회사 한국 오에프에이시스템 두부의 심온 냉각 자동창고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3001350A (es) Proceso para fabricar recipientes etiquetados usando un proceso de moldeo por soplado y estiramiento.
CN203610517U (zh) 一种盆架切料拉伸模具
CN206106278U (zh) 顶出机构及注塑模具
CN104803150B (zh) 可变节距进料输送机构
KR200352705Y1 (ko) 두부제조설비의 제품회전장치
CN205799827U (zh) 电瓷瓶泥坯自动修坯设备
KR20050095271A (ko) 두부제조설비의 제품회전장치
PL372580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and packaging of lollipops
CN103639295B (zh) 一种盆架切料拉伸模具
CN208991741U (zh) 一种铸件连续式自动分离设备
CN204109079U (zh) 一种用于切除塑胶产品水口的治具
CN207000949U (zh) 一种全自动多支钢管上料套管机
CN206085635U (zh) 吹塑成型装置
CN202290987U (zh) 蜗杆传动式软管环箍箍壳加工设备
CN220052106U (zh) 一种华夫饼切片装置
CN207273846U (zh) 一种吹瓶机成型及溢边料一次性切除模具
CN2843818Y (zh) 塑料拉吹机脱模机构
CN205467125U (zh) 旋转式自动切水口装置
EP2479019B1 (en) Method of planting a handle and a bottle parison to a mold of blow-molding modules for manufacturing plastic containers
CN104228026B (zh) 一种产品封装边条生产装置
CN108638482A (zh) 一种用于塑料瓶的传输夹具
KR20030046382A (ko) 수지성형기
JP2004229591A (ja) 包餡おむすび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210940321U (zh) 一种模内自动切浇口
US8613882B2 (en) Method of planting a handle and a bottle parison to a mold of blow-molding modules for manufacturing plastic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